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특수체육교사와 예비체육교사의 윤리적 민감성 및 가치정향 비교분석

        김혜민,이현수 한국특수체육학회 2017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students of different majors prioritize items related to value orientation, analyze the differences of ethical sensitivity and value orientation between Pre-service Physical Educators and Adapted Physical Educators comparatively, and investigate the effects of ethical sensitivity on value orientation. To address the goal, 423 students were selected, 213 undergraduates of adapted physical education and 210 undergraduates of physical education. As a study tool, the questionnaire on ethical sensitivity and value orientation was employed,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administration. Data collected went through analysis by using SPSS 23.0, and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done. With the process, this study has gained following finding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how students of different majors prioritize items related to value orientation, both Adapted Physical Educators and Pre-service Physical Educators put the highest value on ecological integration in terms of value orientation. Second, regarding differences between majors, Adapted Physical Educators indicate higher ethical sensitivity than Pre-service Physical Educators, and about value orientation, Adapted Physical Educators show a higher learning process than Pre-service Physical Educators, and Pre-service Physical Educators place higher value on social reconstruction than Adapted Physical Educators. Third, about gender differences, male Pre-service Physical Educators put higher value on ecological integration than female ones. Fourth, ethical sensitivity in Pre-service Physical Educators influences social reconstruction in value orientation significantly. 본 연구의 목적은 전공별 가치정향에 대한 우선순위와 예비 체육교사와 예비특수체육교사들의 윤리적민강성 및 가치정향의 차이를 비교분석하고, 윤리적민감성이 가치정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특수체육교육전공 대학생 213명, 체육교육전공 대학생 210명으로 총 423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조사도구는 윤리적 민감성과 가치정향에 관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기평가기입법에 의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Descriptive Statistics)와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그리고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전공별 가치정향의 최우선순위에 따른 결과로 예비특수체육교사와 예비체육교사의 가치정향은 생태통합에 대한 가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공에 따른 차이로 예비특수체육교사가 예비체육교사보다 윤리적민감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치정향은 예비특수체육교사가 예비체육교사 보다 학습과정이 높았고, 예비체육교사가 예비특수체육교사 보다 사회재건에 대한 가치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성별에 따른 차이로 예비체육교사 중 남자가 여자보다 가치정향의 생태통합에 대한 가치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예비체육교사의 윤리적민감성이 가치정향의 사회재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예비 체육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분석

        이도경 ( Do-kyeong Lee ),유정애 ( Jeongae You ) 중앙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2022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 Vol.10 No.2

        본 글은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의 자가진단 평가도구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예비 체육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총 200명의 수도권 예비 체육교사를 대상으로 성별, 재학소속별, 이수 과목별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수준과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 예비 체육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수준은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예비 체육교사의 변인별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몇 가지 의미 있는 사항이 확인되었다. 예비 체육교사의 경우, 여자 예비 체육교사와 교육대학원소속 예비 체육교사가 남자 예비 체육교사와 학부소속 예비 체육교사보다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수준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또한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과목을 이수한 예비 체육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이 이수하지 않은 예비 체육교사보다 높게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글에서는 체육교사교육에의 3가지 시사점(체육교사교육에서의 맞춤형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교육 프로그램 개발, 체육교사교육에서의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과목 개설 및 운영,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진단 검사를 체육교원 자격취득 요소로 반영)을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digital literacy competency of Korean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P.E.) teachers using the self-evaluation tool for digital literacy competence. Data from a total of 200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ere collected for analyzing the level and difference of digital literacy competence based on sex, affiliation, and courses taken.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he digital literacy competency of preservice P.E. teachers is an above average level. Even if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level of digital literacy competence based several variables, some meaningful facts are found. For pre-service P.E. teachers, the level of digital literacy competence for female pre-service P.E. teachers and pre-service P.E. teachers in the graduate program is higher than male pre-service P.E. teachers and pre-service P.E. teachers in the undergraduate program. Moreover, the level of digital literacy competence of pre-service P.E. teachers that have taken more than one course related to the digital literacy competence is higher than pre-service P.E. teachers without taking any course. Based on the results, this paper has provided three implications to physical education teacher education(PETE) such as and developing tailored educational programs of digital literacy competency for male and female preservice P.E. teachers, establishing and operating of digital literacy course in PETE, and including one of required elements as qualifying P.E. teachers.

      • KCI등재

        체육수업에서 PBL방식 적용에 대한 예비체육교사들의 인식과 경험에 관한 연구

        함지선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4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reservice PE teachers' understanding of PBL lessons and their confidence in applying physical education classes with its possibilities by examining the previous  understanding and experience or not of preservice PE teachers and revealing what they felt and experienced about PBL lessons after the application of PBL classes. To this end, I conducted a research on 48 preservice PE teachers who was taking the 'Physical Education Theory' class of researcher, and analyzed data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inductive category analysis methods after collecting data through questionnaires of multiple choice type and structured questionnaires of completion type. Consequently, the results of the previous perception and experience or not of preservice PE teachers are as follows. First, many preservice PE teachers already understood the PBL teaching method, but had no experiences. Second, most preservice PE teachers who understood PBL classes have the understanding through media such as TV and Internet. Third, there was only one student who had both understanding and experience in PBL class, which was introduced and experienced in the course of undergraduate related to physical education. Next, I foun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ontent of experience with PBL teaching method after explaining and actually applying it to the preservice PE teachers at the end of the semester, and categorized them as follows. First, the process of studying as a pleasure factor of learning was a very interesting and enjoyable experience. Second, as an opportunity for reflective thinking, experience, sharing, and communication of thought to prelimin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to provide them with an opportunity to learn how to do so. Third, the extension factor of the professional knowledge about physical education class has experienced the deep expansion of the knowledge related to physical education. Fourth, as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 the opportunity factor of self - reflection is deep concern about the practical opera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 I have experienced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my role. 본 연구는 예비체육교사들의 PBL수업에 대한 사전인식과 경험여부에 대해 알아보고 PBL수업 적용 후 그들이 PBL수업방식에 대해 무엇을 느끼고 경험하였는지를 밝혀 예비체육교사들에게 PBL수업방식에 대한 이해와 체육수업 적용에 있어서의 자신감 및 가능성을 확인해보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의 ‘체육교과교육론’ 수업을 수강하고 있는 48명의 예비체육교사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객관식유형의 설문지와 서답형의 구조화된 질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한 후 각각 빈도분석과 귀납적 범주분석 방법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우선 PBL수업방식에 대한 예비체육교사들의 사전인식과 경험여부에 대해, 첫째, PBL수업방식에 대해 이미 많은 예비체육교사들이 인식은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에 비해 경험은 전무 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PBL수업에 대해 인식하고 있는 대부분의 예비체육교사들은 TV나 인터넷 등의 미디어를 통해 인식하게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PBL수업에 대한 인식과 경험이 모두 있는 학생은 단 1명으로 체육관련 학부에서의 수업 과정에서 소개받고 경험하게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예비체육교사들에게 학기 중, 후반에 걸쳐 PBL수업방식에 대해 설명하고 실제 적용한 후 그에 대한 경험내용을 분석한 결과로는 첫째, 배움의 즐거움 요인으로 공부하는 과정이 너무나도 흥미롭고 즐거운 경험이었음을, 둘째, 반성적 사고의 기회요인으로는 실기위주의 교육을 받아온 예비체육교사들에게 사고(思考)에 대한 경험과 공유, 전달 방법을 터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음을 나타내고 있다. 셋째, 체육수업에 대한 전문적 지식의 확장 요인은 체육관련 지식에 대한 깊이 있는 확장을 경험하였다고 말하고 있으며, 넷째, 체육교사로서 자기성찰의 기회 요인은 체육수업의 실질적 운영에 대한 깊은 고민과 체육교사로서의 역할에 대한 성찰의 기회를 경험하였다고 말하였다.

      • KCI등재

        통합체육교사의 지도능력에 대한 예비체육교사의 인식 유형: Q방법을 중심으로

        김혜민 ( Hye-min Kim ),이현수 ( Hyun-su Lee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8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6 No.3

        본 연구는 Q방법을 활용하여 통합체육교사의 지도능력에 대한 예비체육교사의 인식 유형과 그에 따른 특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는 통합체육교사에 대한 예비체육교사의 주관적 반응을 통하여 이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다른지 분석하고, 유형을 제시함으로써 각 유형별 특징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예비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면담과 브레인스토밍을 실시하여 도출된 통합체육교사에 대한 인식 관련 진술문과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총 74개의 Q모집단을 구성하였으며, Q모집단의 유목화를 통해 최종 38개의 Q표본을 추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Q방법론의 소표본 이론(small sample doctrine)에 근거하여 P대학교 체육교육과에 재학 중이며, 교생실습을 수료한 대학 및 대학원생 34명을 선정하였다. 자료처리는 QUANL pc program을 통해 Q요인분석 등의 방법으로 통계처리 하였으며, eigen value 1.00이상인 요인만을 추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로 통합체육교사의 지도능력에 대한 예비체육교사의 이미지 유형은 네 개 유형으로 나타났다. 제 1유형은 통합개선 의지 부족형(10.7), 제 2유형은 능동적 책임 추구형(5.6), 제 3유형은 전문가적 역량 부족형(2.3), 제 4유형은 적극적 통합 지향형(1.9)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통합체육교사의 지도능력에 대해 예비체육교사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한 구체적인 정보와 성공적인 통합체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erception types of preparato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regarding the teaching abilitie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the teaching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long with the characteristics that follow by applying the Q Method. This is to analyze how principles differ through the subjective reactions of preparato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regarding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resent different types, and bring light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For this, a total of 91 Q populations were form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image statements regarding physical education teachers drawn by conducting interviews and brainstorming sessions with preparato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after classifications were made of these Q populations, a final number of 38 Q samples were extracted. 34 attending university and graduate students in the physical education department of P University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on the grounds of the small sample doctrine of the Q methodology. Data was processed through statistical processing using methods such as Q factor analysis through a QUANL pc program.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four image types of preparato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regarding the teaching abilitie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the teaching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ype 1: 10.7, Type 2: 5.6, Type 3: 2.3, Type 4: 1.9) and the types were lack of will towards integrated improvement type (Type 1)’, the active responsibility-seeking type (Type 2), the professional competence lacking type (Type 3), and the active integration-oriented type (Type 4). It seems that these results can be applied as detailed information that sheds light on the perceptions of preparatory physical education teacher regarding 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as base material for successful 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 KCI등재

        초등예비교사의 체육실기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 활성화 방안연구

        서재복,신원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2022 사회융합연구 Vol.6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professionalism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by analyzing various problems that appear in the physical education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sophomores with a total of 110 (36, female 74), who wer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t 00 University of Educatio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showed a negative tren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anxiety factors for physical education classes were generated. Second,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uggested the necessity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at include fun and entertainment in various sports with the preference types of physical education sports. Third,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aid that they lack exercise tools and that it is difficult to use them during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active physical education classes are necessary regardless of the environment. Fourth, it was concluded that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do not need self-management and specialized practical training to improve physical education professionalism. As a result of the above survey, it was concluded that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had a strong negative percep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but lacked various professional learning and self-management to improve them. Therefore, it is judged that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e curriculum for various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n order to change their percep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to improve their professionalism. 본 연구는 초등예비교사의 체육수업 실기학습에 있어 나타나는 다양한 문제점들을 분석하여 체육수업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00교육대학교 초등예비교사 대학생 2학년으로 총 110명(남36, 여74)명으로 체육실기 수업 전-후에 나타나는 자신의 생각이나 의견을 연구 자료로 수집하여 빈도와 백분율의 기술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예비교사들은 체육 실기수업에 대한 인식은 부정적인 경향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체육실기 수업에 대한 불안 요인이 생성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초등 예비교사들은 체육 실기 종목의 선호도 유형은 다양한 종목에서 재미와 오락이 포함된 체육실기 수업이 필요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셋째, 초등예비교사들은 체육실기 수업 시 운동도구 부족과 도구 사용이 어렵다고 하였으며 환경에 구애받지 말고 활동적 체육수업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넷째, 초등예비교사들은 체육 실기 전문성 향상을 위한 자기관리와 전문 실기교육이 필요 없다는 결과를 도출 하였다. 이상의 조사 결과로 볼 때 예비초등 교사들은 체육실기 수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강하지만 이를 개선시키기 위한 다양한 전문 학습 및 자기관리가 부족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따라서 초등 예비교사들의 체육실기 수업에 대한 인식 변화와 전문성 향상을 위한 다양한 초등 예비교사들을 위한 교육과정 개편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예비특수체육교사의 교사 창의적 역량에 대한 중요도 및 실행도 인식 분석

        강은영,김동민 한국특수체육학회 2019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7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ortance of the creative competence of the preliminary adaptiv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ho are currently enrolled in the department of special physical education, and analyzed the difference in the feasibility they actually feel. A total of 99 preliminary teacher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is study, except for the two reponses that were unfinished; out of 101 random survey from two department of special physical education located in Gyeonggi and Chungcheong provinces. The teacher's creative competency checklist consists of 32 questions in total, and several vocabulary changes were made to suit the preliminary teacher for validity.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SPSS v22.0 and the reliability coefficient, Cronbach's α, for the materiality and execution awareness questionnaire was calculated by sub-region of teacher’s creative competence.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materiality-practice analysis using technical statistics, paired t-test, and diagrams for analyzing the importance and execution of teachers' creative competence recognized by preliminary adaptiv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re as follows. First, throughout the sub-region concerning teacher creative competence, the preliminary teacher was perceived to be relatively low in practice compared to importance, and these difference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ll of the questions except for the respect of student’s individuality (paragraph 5) and the sympathy with student’s opinion (paragraph 6). Second, the preliminary teachers tend to maintain their role as supporting facilitators, awareness toward growth with improvement, and open attitude areas, and they tend to think relatively low about teaching and diverse learning methods that are needed as teachers for curriculum expertise, was found among the sub-region concerning teacher creative competence. This is an important result for the curriculum of the training institutions, to plan the education for cultivating preliminary adaptiv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he curriculum to develop creative skills to plan and execute creative classes.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s many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 importance of research and the practical feasibility. the research results that require a more focused and directed teacher creative competence during the adaptive physical education teacher education course. 본 연구는 현재 특수체육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특수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느끼는 창의적 역량에 대한 중요도를 살펴보고 실제 이를 행할 수 있다고 여기는 실행도와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경기도 및 충청도에 소재한 2개의 특수체육교육과에서 무작위로 본 설문에 참여한 101명의 설문결과 중 끝까지 수행하지 않은 2명의 응답을 제외한 총 99명의 예비특수체육교사가 본 연구의 참여자로 선정되었다. 교사 창의적 역량 검사지는 총 32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예비특수체육교사에게 적절하도록 몇 가지 어휘를 수정한 뒤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22.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중요도 및 실행도 인식 설문문항에 대한 신뢰도 계수인 Cronbach’s α를 교사 창의적 역량의 하위영역별로 산출하였다. 또한, 예비특수체육교사가 인식하는 교사 창의적 역량에 대한 중요도 및 실행도 분석을 위해 기술통계, 대응표본 t 검정, 도표를 활용한 중요도-실행도 분석 결과를 시각적 매트릭스로 제시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창의적 역량과 관련한 하위영역 전체에서 예비특수체육교사는 중요도에 비해 실행도가 상대적으로 낮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차이는 학생의 개성 존중(문항 5)과 학생 의견 공감(문항 6) 문항을 제외하고 모든 문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 창의적 역량의 하위영역 중 예비특수체육교사는 지원적 조력자로서의 역할, 변화성장을 지향하는 인식, 개방적인 태도 영역에서 지속적으로 유지하고자 하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교과전문성이나 교과지식, 교수방법의 다양성 등에 대한 교사로서 필요로 되어지는 교수・학습 관련 요소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우선순위를 낮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창의적인 역량을 갖추고 창의적 수업을 계획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예비특수교육교사를 길러내는 양성기관의 교육과정 운영에 중요한 결과이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특수체육교사 양성과정 중 좀 더 교사 창의성 역량에 초점을 맞추고 지도해야하는 당위성과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요도와 실행도에 차이가 있는 부분을 살펴보고 차이를 좁혀갈 수 있는 방안을 향후 연구들을 통해 구현해 가고자 할 때, 본 연구의 결과는 많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예비체육교사교육에서 비판적 전문성 함양의 의미와 방법

        정현우 ( Hyun Woo Jung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5 체육과학연구 Vol.2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비판적 교육(critical pedagogy) 이론을 토대로 예비체육교사교육에서 필요한 비판적 전문성의 개념과 특징을 살펴보고, 비판적 전문성 함양의 의미와 구체적인 방법을 이론적 수준에서 탐색하는데 있다. 체육교사 전문성에 있어서 기존의 지배적인 기능적 접근에서 1990년대 이후 반성적.비판적 접근이 주목받는 이때, 비판적 전문성은 반성적 접근에서 강조하는 수업에 대한 반성뿐만 아니라 학교체육을 둘러싼 사회.문화적 문제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역량이다. 그러나 그동안 예비체육교사교육에서 비판적 접근은 실천성이 떨어지고, 이에 상응하는 교육적 대안과 방향성을 충분히 제공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예비체육교사 전문성에 있어 비판적 접근에 대한 개념의 명료화를 위해 사회적 민감성, 비판적 반성, 비판적사고, 실천성을 비판적 전문성의 핵심요소로 도출하였다. 비판적 전문성을 함양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으로 마이크로티칭, 토론중심의 수업, 비판적 읽기자료와 비판적 글쓰기, 다양한 교재의 활용을 중심으로 한 탐구중심 예비체육교사교육을 제시하였다. 예비체육교사교육에서 비판적 전문성 함양을 위해서 예비교사를 능동적 지식창조자로 이해하고, 교육과정의 변화와 학교체육의 정책적 측면을 이해할 수 있는 정책소양(policyliteracy)발달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더 나아가 다양한 탐구중심 수업을 통해 ‘비판의 장’을 충분히 마련해주어 예비체육교사들이 현대 사회에서 학교체육의 목표와 교육적 측면을 동료와 고민하고, 보다 인간적이고, 도덕적이며, 사회를 개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야 한다. There has been a growing advocacy for a critical approach to physical education teacher education(PETE) in the era of globalization and ubiquitous society. Drawing on critical pedagogy,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plore the meanings and methods for developing critical professionalism in PETE through identifying the definitions and features of critical professionalism. The notion of critical professionalism includes four crucial components: critical reflection, social sensitivity, critical thinking, and practicability. This paper suggests an inquiry-oriented physical education teacher education to develop per-service teachers’ critical professionalism in terms of providing a range of teaching methods centered on microteaching, discussion-based lessons, critical reading and writing, and using media materials. Building on findings, it was concluded that there is a need of programs for the development of policy literacy understanding complex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Furthermore, PETE should focus on the processes of critical reflection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act itself within wider social contexts, by using an inquiry-oriented approach to PETE, which will contribute to fostering teachers’ critical capacities needed to guard the educational aims of physical education against political interference.

      • KCI등재

        초등예비교사들의 동작도전 수업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양태석 한국초등체육학회 2020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6 No.1

        이 연구는 초등예비교사들이 동작도전 수업참여 과정에서 ’어려움이 무엇이고‘, ’어떻게 극복하며 성장하는지‘, ’이 러한 경험을 통해 이야기되고 내면화되는 가치는 무엇인지‘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그들의 경험과 의미를 심층적으 로 탐구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G교육대학교 체육실기Ⅰ 수업 수강생 중 미술교육과 5명, 영어 교육과 3명 총 8명의 초등예비교사가 참여하였으며, Clandinin & Connelly(2007)가 제시한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초등예비교사 알아가기에서는 ‘초·중등학교의 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현재의 몸상태’, ‘목표상실’ 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예비교사 동작도전하기에서는 ‘동작도전 수행능력 향상전략(단계별·수준별 학습법, 보조법, 멘토링)’, ‘초등예비교사 동작도전 경험(성취감과 자신감 향상, 두려움 극복, 동료애, 칭찬)‘, ‘적극적인 도전활동(한 계극복, 실패경험)’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예비교사들의 동작도전 수업 경험의 의미에서는 ‘초등예비교사의 준비 와 역할’, ‘동작도전의 즐거움’, ‘체육의 필요성 인지’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초등예비교사들이 동작도전 경험을 할 때 느끼는 것을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explore the ‘difficulties’ in challenge activity class participation process by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how they overcome and grow’, ‘the value shared and internalized through such experience’, and their experience and meaning in-depth through narrative inquiry. To accomplish this purpose, 8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5 students from Department of Fine Arts Education and 3 students from Department of English Education, taking Sports Practice I course at G University of Education participated. This narrative inquiry utilized the method suggested by Clandinin & Connelly(2007).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understanding the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y showed ‘awareness toward physical education clas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present body condition’ and ‘loss of goal’. Secondly, the challenge activity of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volved ‘Strategies for Improving Challenge Active Performance(phased and level-based learning, assisting method, mentoring)’, ‘Experience Challenge Activity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improved sense of accomplishment and confidence, overcoming fear, comradeship, compliment)’, ‘Active Challenges activities(overcoming limitation, failure experience’. Thirdly, the meaning of experience in challenge activity class by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volved ‘preparation and role of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joy of Challenge Activity’, ‘awareness on necessity of physical education’. These results will help in-depth understanding of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feelings while experiencing the challenge activity.

      • KCI등재

        예비 체육 교사의 수업 시연을 통한 자기수업반성에 관한 연구

        김원정(Won Jung Kim)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0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17 No.1

        본 연구는 사범대학에 재학 중이며 교생실습을 앞두고 있는 예비 체육 교사들이 교사수준의 체육교육과정을 설계하고 수업 시연을 경험한 후, 궁극적으로 자기 수업을 관찰하고 반성하도록 함으로써 수업에 대한 문제점을 스스로 발견하고 개선 방향을 모색하도록 하는 것에 목표를 두었다. 이를 위해, 2009년 1학기 전공 실기 과목을 수강하고 있으며 참관 또는 교생실습을 앞두고 있는 3~4학년 위주의 예비 체육 교사를 대상으로,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이해 - 교사수준의 교육과정 설계 - 교육과정 실행’의 과정에서 마이크로 티칭을 통한 수업 시연의 경험과 자기 수업 반성의 과정을 거치도록 하였다. 특히, 연구자는 예비 체육 교사의 반성일지, 시연 이후 교생실습을 다녀온 학생들과의 심층면담, 마이크로 티칭 수업의 참여관찰, 체육교사 관련 행사 참여 후 토론 자료, 수업 비평 관련 세미나 및 예비교사교육 관련 세미나 자료, 연구자 일지 등을 토대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예비 체육 교사들은 수업시연 과정에서 “계획하지 않고 준비되지 않은 시간”, “학생과의 소통 부족”, “방향성과 진지함의 부재”, “재미없는 조연 교사” 등에 대한 아쉬움과 반성을 이야기하였고, 교생실습이라는 수업실연 과정에서는 “진짜 아이들과의 만남”, “두 번째가 주는 이로움”, “마이크로 티칭을 통하여 얻은 것과 바뀐 것”을 이야기하였다. 궁극적으로, 이 연구는 예비 체육 교사들로 하여금 미래에 “되고 싶은 교사상”과 “만들고 싶은 수업”에 대한 스스로의 생각을 정립하도록 하는 동시에, 교사 양성 기관의 교사교육자가 정체성을 가지고 교사 양성 프로그램에 대한 반성을 통한 바람직한 개선 방향을 탐색하도록 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problems of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eaching and explore improving way through microteaching experiences. Ultimately, they have designed teachers` curriculum for their own microteaching and have reflected on the whole process, that is, the `understanding curriculum- making teachers curriculum- implementing curriculum`. For doing this, I collected and analyzed various qualitative data, such as 17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reflective writings/journals, in-depth interview data of 3 participants after teaching practicum, and lots of materials of public briefing session or seminars diary, sport event group interview, etc. The findings and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reflected themselves and expressed regret at "unplanned and unprepared time", "deficiency of mutual communications", "absence of direction and sincerity". Second, they realized "difficulties of managing real students", "advantages of second experiences", and "gains and changes of microteaching" after teaching practicum. Finally, this study can make it possible for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o establish their own ideas of "becoming a good PE teacher" and "making a good PE class". At the same time, it implicates that we have to find out the desirable direction and identify of the college of education and its optimal curriculum to cultivate good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the future.

      • KCI등재

        예비체육교사의 교육실습 단계별 수업지식의 형성 과정과 내용

        박현선(Park, Hyun-Sun),박정준(Park, Jeong-Jun) 한국체육교육학회 2018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3 No.1

        이 연구는 예비체육교사의 교육실습 단계별 수업지식의 형성과정과 내용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 자신의 교육 실습 과정에서 문서 자료, 수업관찰,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Belenky, Cllinchy, Goldberger, Tarule(1986)의 5단계 분석 절차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다. Kemmis와 McTaggart(1988)의 현장개선연구 순환 모형과 박정준, 최의창(2010)의 체육교사의 실천적 지식 유형 분석틀에 따라 예비체육교사의 수업지식 형성 과정과 내용을 정리하였다. 예비체육교사의 수업지식은 수업의 각 단계별로 사전 경험 유무, 지도교사의 피드백, 예비체육교사의 반성이 영향을 미쳤다. 체육 내용 지식은 ‘농구 규칙’, ‘패스를 통한 경기 전술’, ‘농구경기에서의 페어플레이’, ‘정확하게 슛하는 방법’, ‘농구의 역사로’, 체육 교수법 지식은 ‘다양한 시청각 자료를 통해 동기 유발하기’, ‘농구 기능 연습 독려하기’로, 체육 환경 지식은 ‘수업 기자재 변경하기’, ‘수업 내용에 따른 자리 배치’로, 학생에 관한 지식은 ‘여학생의 특성에 맞게 경기규칙 변형하기’, ‘기본기능이 낮은 학생에게 기회주기’로 나타났다. 체육 내용 지식, 체육 교수법 지식, 체육 환경 지식, 학생에 관한 지식은 실습 전의 경험, 실습 중 수업 준비 단계, 실행 단계, 반성 후 재실행 단계에 따라 지식 유형별로 다르게 나타났으며, 유형별 세부 내용이 골고루 발견되었으나, 그 수준은 높지 않았다. 이를 통해 초중등교육에서 신체활동 경험 확대, 반성적 예비교사교육 프로그램 적용, 교육청, 대학, 실습학교 간 팀티칭 전략이 요구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ormation process and the content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 of teaching practice phase. Methods: The researcher self-studied the course of his own education by utilizing data collected from documented data, class observation, and peer-to-peer consult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five-step qualitative data analysis procedure of Belenky, Cllinchy, Goldberger, and Tarule. (1986). The process and contents of the prelimin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class knowledge formation were summarized according to the action research circulation model of Kemmis and McTaggart (1988), and the practical knowledge type analysis framework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of Park and Choi(2010).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knowledge of the contents of the game consisted of "basketball rules", "game tactics through pass", "fair play in basketball game", "how to shoot accurately", and "history of basketball" Second, knowledge of pedagogical method of physical education consisted of "motivating through various audiovisual materials" and "encouraging practice of basketball function". Third, the knowledge of physical education environment consisted of "changing teaching materials" and "placing space according to contents of class". Fourth, knowledge about students consisted of "transforming game rul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female students" and "providing opportunities for students with low basic skills". The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knowledge of classes influenced pre-experience, preparatory stage, execution stage, reflection and revision stage, and re-execution stage.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pre-experience of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