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지방정부 신뢰요인의 탐색

        정광호 ( Kwang Ho Cheong ),이달곤 ( Dal Gon Lee ),하혜수 ( Hyue Su Ha ) 한국행정학회 2011 韓國行政學報 Vol.45 No.4

        정부신뢰에 대한 상당한 연구가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지방정부의 신뢰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해외의 경우 중앙정부뿐만 아니라 지방정부 신뢰에 대한 실증분석이 부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국내의 경우 아직 지방정부 신뢰에 대한 실증연구는 드물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갤럽의 시민인식도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두 가지 논점을 중심으로 지방정부 신뢰함수를 탐색하고자 한다. 첫째, 지방정부 신뢰가 중앙정부 신뢰와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면서도 고유한 특성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지방정부를 관료조직(시군구청)과 선출직(지방의회 및 지방자치단체장)으로 구분하여 이들 특성이 지방정부 신뢰에 어떻게 투영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지방정부 성과를 효율성, 형평성, 적절성, 유능함, 청렴성 등으로 구체화하여 정부성과와 신뢰 사이의 관련성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지방정부의 신뢰는 국가기관(행정부, 국회)의 신뢰와 밀접히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정부의 효율성 및 형평성에 대한 인식과 지방정부 신뢰 사이에는 연관성이 없었고 반면 청렴성 및 유능함에 대한 인식은 지방정부 신뢰와 유의미한 연관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선출직에 대한 신뢰는 주민선호를 반영하는 적절성에 대한 인식과 밀접한 연관성을 보여주었다. 한편 정책이해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군지역의 경우 시군구청, 지방의회, 그리고 지방자치단체장에 대한 신뢰가 모두 높았다. Despite numerous studies on trust in government, there is still little research on trust in local government. The reason is that most studies have mainly focused on central government, rather than local governments. Using the annual citizen survey of the Knowledge Center for Public Administration and Policy conducted by Korean Gallup, we attempt to explore factors that influence trust in local government in terms of two points. First, we examine unique characteristics embedded in trust in local government that differ from those influencing trust in central government. Second, we group local government into three subcategories-local executive branch (Si-Gun-Goo), local assembly, and chief executives in local government (governor, mayor, district head)-and compare the levels of trust in the three local institutions. In addition, we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 performance and trust in terms of five performance criteria: efficiency, equity, relevance, competence, and integrity.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trust in local government is mainly related to the level of trust in the central government. For instance, the level of trust in the local assembly is significantly related to that in the national assembly. Second, the perception of the competence and integrity of local government significantly influences the level of trust in local executive branches, the local assembly, and chief executives. In addition, the perception of the relevance of the local assembly and chief executives elected by direct vot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evel of trust in these institutions. However, regarding the perception of the efficiency of local government, this is not the case. Policy literacy, representing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public affairs in local government, influences the level of trust in local executive branches, the local assembly, and chief executives in local government. Further research should focus on case studies to compare local governments with a low and a high level of citizen trust and should identify various contextual factors that influence the level of trust in local government by using multi-level analysis.

      • KCI등재

        정부신뢰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정치참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정숙,정다정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19 行政論叢 Vol.57 No.1

        Each government tries to increase trust in government because it believes that trust in government is a major factor in the success of policy and administration. Several previous studies have indentified various factors affecting trust in government, but few studies have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political particip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investigate whether social capital increases trust in government through mediation of political participation. In this study, 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urvey data related to social capital, political participation and trust in government. As a result, there was a partially mediating effect of political particip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trust in government.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olitical participation is existed only in the high group of trust in government and not in the low group of trust in govern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ocial capital of the people can be linked to the trust in government through political participation. Second, there is a positive effect of social capital, political participation and trust in government only in the high group of trust in government. So there is a need to draw up measures to increase trust in government who are relatively low group of trust in government. 각 국가마다 정부신뢰가 정책 및 국정운영의 성공에 주된 영향요인이라 보고, 이를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여러 선행연구에서 정부신뢰의 다양한 영향요인들을 밝혔으나, 정치참여의 매개효과를 주목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치참여가 사회적 자본을 매개하여 정부신뢰를 높이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자본, 정치참여, 정부신뢰와 관련된 설문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정치참여는 사회적 자본을 부분적으로 매개하여 정부신뢰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같은 매개효과는 정부를 신뢰하는 고신뢰군에서 나타나고 저신뢰군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민들이 갖는 사회적 자본은 정치참여를 통해 정부신뢰로 연결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정부를 신뢰하는 경우에만 사회적 자본, 정치참여, 정부신뢰의 선순환과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정부신뢰가 낮은 시민들에 대한 정부신뢰 향상 방안이 요구된다.

      • 코칭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주현,윤병섭 한국경영학회 2016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16 No.8

        본 연구는 코칭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조직신뢰의 매개효과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2015년 1월 5일부터 1월 31일까지 서울에 소재한 주요 제조 대기업에 근무하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배포한 설문지 617부를 회수하여 불성실하게 응답이 이뤄진 33부를 제외하고, 총 580부의 유효한 설문지를 SPSS 22.0 통계프로그램 패키지를 이용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칭리더십의 구성요인 중 방향제시, 개발, 관계는 조직몰입의 정서적, 지속적, 규범적 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수행평가는 규범적 몰입에만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코칭리더십의 구성요인 중 방향제시, 개발, 관계는 계산적 신뢰와 지식적 신뢰 양 집단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수행평가는 계산적 신뢰에만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계산적 신뢰는 지식적 신뢰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조직신뢰는 조직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코칭리더십과 조직몰입 사이 조직신뢰의 매개효과는 부분적으로 채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코칭리더십은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고, 조직신뢰는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며, 코칭리더십은 조직신뢰에 영향을 미치고, 조직신뢰는 코칭리더십과 조직몰입의 사이에서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코칭리더십의 상하커뮤니케이션과 조직구성원 간의 신뢰 형성에 미치는 영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실무적으로 코칭리더십의 효과적인 적용을 통하여 조직성과를 창출에 기여하는 연구기여도가 있다.

      • KCI등재

        조직 및 개인 차원의 신뢰간 상호인과

        박진용(Park, Jin Yong) 한국마케팅학회 2015 마케팅연구 Vol.30 No.2

        유통경로 연구에서 신뢰의 중요성이 차지하는 비중에도 불구하고 신뢰의 대상을 구분하여 접근 하는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지 못하였다. 비록 신뢰의 대상이 조직 전체와 조직을 대표하는 개인수준으로 구분되어야 한다는 합의에는 이르고 있지만 이들 관계의 성격에 대한 명확한 이해는 여전히 부족하다. 기존의 연구들은 신뢰 대상간의 관계에 대해 이론적으로나 실증적으로 명확한 논의를 구성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들 변수들이 갖는 연관과 인과에 대한 정리도 규명하지 않고 연구모형에 여과 없이 가설로 설정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신뢰 대상의 관계에 대한 기존 연구의 검토를 통해서 조직 및 개인차원 신뢰에 대한 관계의 본질은 무엇이고 이들이 어떠한 인과관계를 갖는가에 대한 개념적 함의와 논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그리고 기존 연구와의 비교작업을 통해서 신뢰 대상간 연구 논의를 촉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연구에서 다루어진 조직과 개인차원의 신뢰를 이해하고 그들이 실증한 과정과 결과를 본 연구의 취지에 맞게 복원하였다. Sirdeshmukh, Singh, and Sabol (2002), Pavlou and Gefen (2004), Yim, Tse, and Chan (2008), 그리고 Mende and Bolton(2011) 의 연구에서 제시된 자료를 활용하여 진행된 복원연구를 통하여 조직 및 개인차원 신뢰의 연관과 인과 유형을 검토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lthough the importance of trust is increasing, there are not enough examina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 targets in inter-organizational contexts. In the marketing channel study, prior researches have adopted trust targets in two folds: company level and personal (individual who represents or belongs to the company) level. Although the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between different levels of trust are still not clear, the prior research posited the hypothetical path between them with no sophisticated suspicion.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refining the concept of trust targets and finding the different types of relationship between them. One is appl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urbance terms of trust targets. Another is applying the causality between them. It means that one construct is a cause of the other and vice versa. So, two relationship types between trust targets compete against each other as different hypothetical models. In order to find the relevant model of the two, the differentiation test of comparing goodness-of-fits was adopted.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the data was gathered by reexamining the prior researches rather than collecting new data. After screening the existing researches, the prior researches that reported the statistics for reexamination analysis is selected. In four researches, six service industries were included: apparel retailing, airline service, online auction, fast food, hair salon, and insurance selling. From the result of testing chi-square difference of models in reexamination analysis,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firm and individual level trusts were found in apparel retailing and hair salon. There is no causality between different level trusts in insurance selling. However, both the causality model and disturbance covariate model between trust levels are not supported in online auction and fast food. Moreover, both models are supported in airline service.

      • KCI등재

        원자력 에너지와 신뢰변화: 대상과 속성에 대한 신뢰의 영향력 분석

        왕재선 ( Jaesun Wang ),김서용 ( Seoyong Kim ) 고려대학교 정부학연구소 2017 정부학연구 Vol.23 No.1

        원자력 문제와 관련해 신뢰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신뢰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신뢰개념의 추상성으로 인해 다양한 신뢰개념이 제시되고 있다. 최근 신뢰 연구들은 특정 신뢰 개념이나 특정 차원에 집중하기 보다는 신뢰의 다양한 차원성에 주목하여 신뢰가 현실적으로 어떤 영향력을 가지는지를 분석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설문조사 자료에 기반하여 대상과 속성에 대한 신뢰가 후쿠시마 원전사고와 원전비리로 인한 원자력 신뢰 변화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독립변수로 `대상에 대한 신뢰`, `속성에 대한 신뢰`로 신뢰의 차원을 구분하였으며, 이들 차원별 신뢰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후쿠시마 원전사고와 원전비리 이후 신뢰변화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신뢰의 두 가지 차원은 상이한 신뢰구조를 형성하고 있었으며, 각 신뢰들은 신뢰변화에 상이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특히 세부 신뢰의 영향력은 정책이슈(후쿠시마 원전사고, 원전비리)에 따라 다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importance of trust in nuclear issue has been emphasized and various research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rust. Due to the abstract nature of trust, various concepts of trust have been proposed. Recent studies of trust have focused on analyzing how trust has a realistic effect by paying attention to various dimensions of trust, rather than concentrating on a specific concept or specific dimen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trust in objects and attributes regarding changes in nuclear energy and trust due to events and accidents based on survey data. For this purpose, the level of trust was classified into `Trust in the subject` and `Trust in the property` as independent variables. To test the effect of trust on these dimensions, changes in trust after Fukushima nuclear accident were analyzed. In addition, nuclear corruption and its influence on trust was determined. Results of analysis revealed that two dimensions of trust formed different trust structures and each trust had different influence on trust change. In particular, the influence of detailed credibility showed different effects depending on policy issues (Fukushima nuclear plant accident, nuclear power plant accident).

      • KCI등재
      • KCI등재

        기업간 유통경로에서 상호신뢰가 영향전략에 미치는 영향

        김성진(Kim, Seong-Jin),김종근(Kim, Jong-Keun) 한국상품학회 2008 商品學硏究 Vol.26 No.4

        This is the time that corporations need to establish strategic alliances with excellent partners because it is hard for them to achieve the business goals in this complex, fast-changing, and uncertain corporation surroundings. In fact, the relationship among corporations has been studied in this context. However, most of the studies were limited to one business party; as a result, reciprocal response from one party to the other party has not been studied enough.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e mutual trust, which is a trust concept, considering trust between both parties in business relationship. Also,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the substance of mutual trust in corporation-level business relationships by analyzing the dyadic data, collected from each business party in actual business relationship. In this case, the data should be divided into two dimensions, such as magnitude and asymmetry.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e influence strategy as a consequence variable for the mutual trust, and it finally showed that the two kinds of influence strategies increase as the total of mutual trust from both sellers and buyers increases. However, this study has a limit that only partial portion of hypotheses about the asymmetry was supported. 높은 불확실성과 지속적인 변화가 존재하는 최근의 기업환경속에서 다양한 전략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신뢰를 바탕으로 우수한 파트너와의 전략적 관계형성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다양한 기업간 신뢰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대부분의 연구들이 거래당사자 일방에 국한되어 진행되어 옴에 따라 거래당사자 자신의 신뢰에 대한 상대방의 반응이나 상대방의 신뢰에 대한 거래당사자의 반응에 대해서는 연구가 진행되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거래관계상에서 거래쌍방의 신뢰를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신뢰개념으로서 상호신뢰를 제안함과 동시에 상호신뢰를 상호신뢰의 총합과 불균형성의 두 가지 차원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실제 거래관계에 있는 개별 거래당사자들로부터 쌍대비교 자료를 수집하여 실증분석함으로써 기업간 거래관계상에서 상호신뢰의 실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상호신뢰의 결과변수로서 영향전략을 제시하였는데, 실증분석 결과 구매업체집단 및 공급업체집단 모두에서 상호신뢰의 총합이 증가함에 따라 두 가지 유형의 영향전략이 증가함을 밝혀냈으나, 상호신뢰의 불균형성에 대해서는 일부 가설만이 지지되었다.

      • KCI등재

        신뢰가 갈등의 민주주의 측면에 미치는 영향: 국민의식조사를 중심으로

        김강민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1 社會科學硏究 Vol.37 No.3

        This study researches the effect of reliability on the contribution of conflict of democracy. The reliability is divided into normal reliability, reliability of government and reliability of public organization. The result of analysis is as follow:The first, the reliability for the government affects positive effect on the conflict of democracy, and positive effect to decrease of conflict and release. The second, the reliability of public organization affects positive effect on the conflict of democracy. The third, Normal reliability affects negative effect on releasing conflict. This negative effect is indirect. And finally, the reliability between the government and public organization and normal reliability take positive effect mutually. As a summary, the result show that normally felt the correlation between normal reliability, government and public organization take closely effect each other and especially the reliability of the government and public organization take an effect to the normal society. However, under the conflict of democracy, the reliability of government and public organization shows the meaningful result. Merely, normal reliability takes effect on the contribution of conflict of democracy through the release of conflict as a parameter. 본 연구는 신뢰성이 갈등민주주의 기여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신뢰성은 일반적인 신뢰, 정부의 신뢰, 시민단체의 신뢰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신뢰는 갈등민주주의 기여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갈등 발생감소와 갈등해소에도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시민단체의 신뢰는 갈등민주주의 기여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일반 신뢰는 갈등해소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부의 영향은 직접적으로는 미치지 못하고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었다. 넷째, 정부신뢰, 시민단체신뢰, 일반신뢰는 상호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종합해 보면, 일반적으로 느끼는 사회신뢰, 정부, 시민단체의 신뢰와의 상호관계는 밀접하게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부 및 시민단체의 신뢰가 일반 사회에서 느끼는 신뢰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갈등민주주의에는 정부의 신뢰와 시민단체의 신뢰만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다만 일반적 신뢰는 매개변수인 갈등해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갈등민주주의 기여도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 KCI등재

        대학 유도선수들의 지도자신뢰와 스포츠자신감 및 경기력 간의 관계

        이혜선(Lee, HyeSun),전기영(Jun, KeeYoung),정성숙(Jung, SungSook),홍승분(Hong, SeungB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7

        이 연구는 대학 유도선수들을 대상으로 지도자신뢰가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지도자신뢰와 경기력 간의 관계에서 스포츠자신감이 어떠한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규명하기 위해 2016년 대한유도회에 등록된 대학선수 330명의 대상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유효한 설문지 300부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대학 유도선수들이 지각하는 지도자신뢰 중 감성적 신뢰와 행동적 신뢰는 스포츠자신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지적 신뢰는 스포츠자신감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도자신뢰 중 행동적 신뢰는 경기력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성적 신뢰는 경기력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포츠자신감에서는 사회적지지 요인에서만 경기력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도자신뢰와 경기력의 관계에서 스포츠자신감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niversity judo players ’ trust in their coach and sports self-confidence in performance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ports self-confid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 in coach and performance. For data collection, the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330 university players who were enrolled in the Korea Judo Association in 2016.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total of received 300 responses are as follows. First, as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effects of university judo players ’ trust in their coach on sports self-confidence, among trust in coach the emotional trust and behavior trust had a positive effect on sports self-confidence, and the cognitive trust had a negative effect on sports self-confidence. Second, as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effects of trust in coach on performance, the behavior trust had a positive effect on performance, and the emotional trust had a negative effect on performance. Third, as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effects of sports self-confidence on the performance, that had a positive effect on only social support factor. Last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 in coach and performance, sports self-confidence had a mediator effect.

      • KCI등재

        집합행동, 신뢰, 법 -공적 신뢰의 토대에 관한 고찰-

        김도균 ( Dok Yun Kim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서울대학교 法學 Vol.54 No.3

        사회 전반적으로 정착된 신뢰, 특히 법제도에 대한 신뢰는 일종의 사회적 자본으로서 한 사회의 발전 수준을 가늠하는 한 지표이다. 법에 대한 신뢰를 제고하기 위한 방안은 무엇일까? 이 논문의 목표는 두 가지이다. 첫째,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신뢰가 가능하기 위한 조건과 신뢰 형성의 기초를 설명해 낼 수 있는 이론적 틀을 확립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집합행동의 이론들에 관해 고찰한 후 호혜성에 바탕을 둔 집합행동의 논리를 정리한다. 둘째, 호혜성의 논리를 공적 제도 및 법에 대한 신뢰의 문제로 확장하여 공적 신뢰가 정착되기 위한 특수한 가치군들을 추출하는 것이다. 이 논문의 결론은 사회적 신뢰의 반경을 확대시킬 이 신뢰가치군들을 법기관들과 법공무원들이 증진하고 실현하려고 노력하는 과정에서 법에 대한 신뢰가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법에 대한 신뢰 여부는 법담당기관에 대한 시민들의 체험 속에서 결정된다는 경험적 연구들에 의거하여, 법적 결정의 유?불리와는 무관하게 공정하게 결정이 이루어졌다는 시민들의 느낌, 그리고 결정과정에서 자신의 의견이 충분히 존중받았다는 시민들의 느낌이 법에 대한 신뢰 형성과 법의 권위 확립에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주장한 후, 마지막으로 이 논문은 사회적 신뢰 형성의 선순환이 가능하기 위한 사회심리적 조건과제도적 조건을 제안한다. Trust in the law is a very important social capital which plays a key role for developing and maintaining a good society. This article has two goals. The first is to develop a theoretical framework for justifying the possibility and necessity of trusting law. The second is to articulate conditions for trusting law in the light of the logic of collective action. The possibility of trust in general consists in reciprocity which emerges from interactions between homo reciprocans. Having examined the relevance of reciprocity for trusting social institutions, i.e. public trust, this article extends the logic of reciprocity into the theme of law and trust, and tries to explore the specific set of values which contribute to engender ‘generalized trust’, especially trust in the law. Those trust-engendering values are truth-telling, promise-keeping, fairness and solidarity. When legal institutions and officials try to promote and enforce these values, the law can claim to trust, authority, and obedience. Only if such conditions are satisfied, a law-abiding society will be entrenched, and therewith a trust-equilibrium in society can be achie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