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사경과제도에 대한 평가연구

        이도선(Lee, Do Sun),김순석(Kim Soon Suk)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4 사회과학연구 Vol.21 No.2

        인권의식의 신장과 더불어 보다 흉포화, 지능화되는 범죄에 대응하기 위해 마련된 수사경과제는 시행한지 8년이 지났다. 수사경과제는 일반경과와는 별도로 경찰의 역할과 직무의 특수성에 따라 수사경과를 분리하여 수사경찰의 선발, 승진, 인사를 개별적으로 운용하며 수사업무를 담당하는 경찰관을 수사업무에만 전담시켜 수사경찰의 전문적 역량을 강화하고자 하는 목적을 지향하여 수사경찰 전반을 관리하는 제도이다. 수사전문성 확보를 위해 마련된 이 제도는 주요 선진국의 경찰에서는 이미 수사의 기능을 독립적인 조직과 수사업무 전담으로 하는 의미에서의 제도가 시행되어 왔다. 이 연구에서 논의하고자 하는 내용은 수사경과제의 실효성과 함께 제기되는 문제점으로 인력수급의 불균형과 전문교육 부족에 따른 수사전문화제도 본래의 취지 미흡, 지역경찰과의 연계부족 등 체계적 제도체제에 대한 미비한 사항과 문제점에 대해 분석하여 효율적인 방향으로의 제언을 하고자 함이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수사경과제의 제도적, 구조적 측면과 인사관리 측면중에 사기관리 분야에 대해 구조적인 실태와 분석을 통해 현행 제도의 실태와 문제점을 고찰하고 효율적인 제도의 개선방안에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our study is to analyse the Professional Investigative Police System and to suggest some reform measures. A police force is a constituted body of persons empowered by the state to enforce the law, protect property, and limit civil disorder. Their powers include the legitimized use of force. The term is most commonly associated with police services of a state that are authorized to exercise the police power of that state within a defined legal or territorial area of responsibility. Police forces are often defined as being separate from military or other organizations involved in the defense of the state against foreign aggressors; however, gendarmerie are military units charged with civil policing. Law enforcement, however, constitutes only part of policing activity. Policing has included an array of activities in different situations, but the predominant ones are concerned with the preservation of order. In some societies, in the late 18th and early 19th centuries, these developed within the context of maintaining the class system and the protection of private property. Some parts of the world may suffer from police corruption. The police force is usually a public sector service, meaning they usually get paid by the taxpayer. The paper identifies the key tenets of intelligence-led policing, and describes progress made both organizationally and culturally to move the Investigations Branch to an intelligence-led policing mindset. Organizational successes were reported, but more limited success was achieved in relation to changing police culture.

      • KCI등재

        수사경찰 승진제도에 대한 경찰공무원의 선호도

        최무찬 한국치안행정학회 2010 한국치안행정논집 Vol.7 No.1

        이 연구는 수사경찰의 승진제도에 대한 경찰공무원의 선호도를 조사하여 이를 반영한 합리적인 승진제도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조사결과 경찰공무원이 가장 선호하는 승진제도는 특별승진, 현행제도의 유지, 심사승진, 시험승진 순으로 나타났다. 특별승진을 가장 선호하는 이유는 특진제도에 여러 가지 부작용이 있음에도 실적에 따른 경쟁원리에 가장 적합한 제도이며, 시험승진의 선호도가 가장 낮은 것은 승진시험의 치열한 경쟁률로 인하여 정신적․시간적 부담을 느끼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경찰공무원은 근무부서에 따라 선호하는 승진제도를 달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사경찰 중 강력팀은 특진, 경제팀은 심사승진, 지능팀은 시험승진, 기타 수사부서 경찰관들은 특진를 가장 선호하는 등 근무부서에 따라 선호하는 승진제도가 확연히 달라지고 있다. 이상의 조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 볼 때, 현행 수사경찰의 승진제도를 수사경찰의 선호도를 고려한 합리적인 개선으로, 승진에 대한 수사경찰의 부담을 줄여 사기를 높이고, 수사활동의 질과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도의 개선을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수사경과자의 승진에서 특별승진 인원을 대폭 상향 조정하여 자기의 업무를 열심히 한 사람이 승진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둘째, 수사팀별 특별승진의 기준을 달리하여 특진에서 제외되는 수사팀이 없도록 하여 특진의 편중으로 인한 수사팀 간 갈등과 반목을 방지하여야 한다. 셋째, 특별승진에 대한 심사의 공정성 담보를 위하여 심사위원의 일정 비율을 외부 전문가로 구성하여야 한다. 이는 특별승진 인원의 증가할 경우 심사의 공정성이 더욱 더 요구되기 때문이다. 다만, 각 승진제도별 구체적인 승진인원 비율과 수사경찰의 팀별 특진기준에 관하여는 향후 수사경찰의 의견수렴을 거처 종합적이고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the preference of police officers toward the promotion system of investigation police and provide the basis for establishing the rational promotion system reflecting the preference of police officers toward the promotion system of investigation polic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promotion system that the police officers preferred the most was the special promotion, followed by the maintenance of the current system, promotion through review, and promotion through test. The reason behind the greatest preference toward the special promotion was that the special promotion would represent the system most appropriate to the principle of competition based on performance despite various side effects, and the reason behind the lowest preference toward the promotion through test was that they felt the constraint on the time and psychological pressure from the fierce competition of the promotion test. Moreover, it turned out that the police officers had different preference for the promotion system, depending on their departments. It was found that the violent crime department of the investigation police had the greatest preference for the special promotion while the economic crime department of the investigation police had the greatest preference for the promotion through review. The intelligence crime department of the investigation police had the greatest preference for the promotion through test, and other departments of the investigation police had the greatest preference for the special promotion, which suggested that they had clear different preference for the promotion depending on their departm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from comprehensive perspective, the recommendation can be made to reduce the burden on the investigation police toward the promotion, elevate their morale, and enhance the quality and efficiency of investigative activities which can be achieved by reforming the current promotion system of the investigation police based on their preference of promotion system. First, the quota for the special promotion of professional detectives should be adjusted upward dramatically, so that those who make great efforts in their work can be promoted. Second, the criteria for the special promotion should be determined in a differentiated way for each investigation team to prevent the exclusion of any team from the special promotion and avoid possible conflict and animosity among investigation teams over the concentration of promotion in specific teams. Third, a certain portion of total review committee members should be comprised of independent expert to ensure the fairness of the review for special promotion, given that the fairness of the review is required all the more amid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candidates for special promotion. However, comprehensive and in-depth research need to be carried out with the consideration of the opinions of the investigation police in the upcoming period with respect to the specific quota for the promotion based on each promotion system and the criteria for the special promotion of each investigation police team.

      • KCI등재

        수사경과제의 운용평가

        김성언(Kim Seong Eon),정세종(Jung Se Jong) 한국공안행정학회 2007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16 No.1

        경찰은 경찰관들의 수사부서 기피문제의 심각성과 수사경찰관들의 자질부족 문제 등을 타개하고자 2005년 1월 1일부터 '수사경과제'를 전격적으로 시행하였다. 수사경과제는 일선 수사경찰관에게 수사경과를 부여해 '평생수사관제'를 확립하는 것으로서, 수사경찰의 전문화를 도모하고 이를 통해서 범죄대응역량을 강화시켜 궁극적으로 수사경찰에 대한 국민의 만족도를 높이는 정책으로 요약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사경과제 시행에 따른 효과를 수사경찰관의 전문화 정도, 범죄대응역량, 수사경찰에 대한 국민의 만족도의 3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평가하는 것을 주요목표로 하였고, 이를 위해 수사체계관련 공식통계자료, 경찰관 설문조사자료, 수사경찰관 국민만족도 조사자료를 다면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들이 도출되었다. 첫째, 수사경과제와 죄종별수사팀제가 수사전문성의 고양과 수사관들의 근무환경 및 인사고과제도의 개선 등을 실현하는 데 긍정적인 기여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인 직무소외감을 줄이거나 직무헌신을 강화하는 데는 크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나지는 않았으며, 수사요원들의 직무적합도와 직무만족도 역시 크게 향상된 것으로 평가되지 않았다. 둘째, 수사경과제 시행 이후에도 수사인력과 예산 및 장비 개선이 크게 향상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수사경찰관 전문교육의 경우 양적인 측면에서는 증가되었으나 교육기법상 획기적인 변화는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범죄대응역량의 측면에서는 수사경과제가 검거율 향상에는 큰 역할을 하지 못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다섯째, 수사경찰에 대한 국민의 만족도를 알아본 결과, 수사경과제가 현재까지 정착과정에 있어 국민의 만족도를 크게 향상시키는 수준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이 밝혀진 사실들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고 정책적인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National Police Agency in Korea put the Professional Detective System in operation from January l, 2005 to promote the professionalization of Detectives in Korea. The purpose of our study is to analyse the Professional Detective system and to suggest some reform measures. Before suggesting on the reform measures, we examined the actual conditions and problems of the Professional Detective system as a whole. To carry out our this research literature review and demonstrative analysis are combined together. The basic problems can be divided into five parts as follows. First, the Professional Detective System is not yet perfect so there are some conflicts among investigation teams and detectives who are in different rank. Second, there is insufficient influx of the specialists who major in criminology, scientific investigation, and so on. Third, there is not sufficient budget for financial costs of investigation. Fourth, the arrest rate gets lower than that of 2003 and 2004. Fifth, the customer satisfaction measurement for detectives does not move up than that of 2003 and 2004. The following items can be suggested as alternatives for the problems. First, it is necessary to make the regulations which define the qualification and power of the investigation teams' leader. Second, it is need to recruit more specialists who major in police science, criminology, etc. Third, it also necessary to increase the allocated budget and equipment for investigation. Fourth, it is needed to make a fair evaluation system for detectives' achievement to promote arrest rate. Fifth, it is necessary to estimate the customer satisfaction measurement for detectives at a stated interval.

      • KCI등재

        수사경찰의 효율적 운용방안

        조성호(Jo Sung Ho) 한국민간경비학회 2008 한국민간경비학회보 Vol.11 No.-

          한국경찰은 2005년 1월에 수사경과제를 도입하여 일반경과에서 분리된 수사경과를 창설하여 수사경찰의 선발, 승진, 인사를 별도로 관리하는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수사업무에 종사하는 경찰관을 수사부서에만 근무시킴으로써 수사경찰의 전문성을 확보하겠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 논문은 2005년부터 시행되어 오고 있는 수사경과제하의 수사경찰의 운용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고 효율화를 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연구는 문헌조사의 방법을 이용하여 현재 시행되고 있는 수사경찰의 운용실태를 분석하고 그것의 문제점에 대한 도출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현행 수사경찰의 문제점은 폭증하는 수사업무수요에 따라 수사인력의 절대적인 부족, 전문성의 부족, 수사팀간의 업무분담의 미흡, 수사팀 간 또는 타 경찰서와의 공조수사의 문제, 수사여건 및 처우의 부족 등 다양한 문제점들이 지적되었다. 개선방안으로는 수사팀제의 활성화를 위해 팀장의 자격기준과 권한의 강화, 수사인력의 증원과 수사교육의 전문화, 업무배분의 적정성과 수사공간의 충분한 확보, 수사경찰의 승진 및 수사수당의 현실화 등 수사경찰의 활동을 담보할 수 있는 제도적ㆍ실질적인 대책을 제시하였다.   National Police Agency in korea put the professional investigative system in operation from January 1, 2005 to promote the professionalization of investigative system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professional investigative system to promote efficiency of the professional investigative system in korea. Before suggesting on the reform measures, we examined the actual conditions and problems of the professional investigative system as a whole.<BR>  This study is to carry out our this research literature review. The professional investigative system for korea to be component for the specialization in investigative police. The professional investigative system is the system "that can be contribute on the improvement efficiency of the investigative police and on the development of general police. For the improvement about activation of professional investigative police system, it is suggested that reinforcement of investigator, improvement of working space, promotion of investigator and actual allowance.

      • KCI등재

        범죄수사에서 탐정의 공익적 보완 역할

        염건령,박영수 한국경찰연구학회 2021 한국경찰연구 Vol.20 No.2

        범죄수사는 형사소송법을 근간으로 하여 경찰, 해양경찰, 특별사법경찰 및 검찰수사 관이 진행하는 공적 행위이다. 형사소추를 위해 피의자를 특정함은 물론 범죄사실을 증 명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범죄증거를 합법적인 절차를 통해서 확보해야 한다. 문제는 최 근에 발생하는 범죄사건이 지능화, 첨단화됨으로 인해서 수사기관 및 수사관의 입장에 서 이들 범죄사건을 저지른 피의자들의 유죄를 입증하는데 이전보다 더 많은 시간과 수사자원이 투입되어야만 한다는 점이다. 경찰의 경우 수사경과제도를 시행하고 있으나, 소위 지역경찰로 불리는 순찰인력으 로 자청하여 이탈하는 전문수사인력이 속출하고 있는 상황에서 매년 수천만 명의 관광 객이 우리나라를 다녀가고 있으며, 합법적으로 입국한 산업연수생과 불법적으로 취업 하여 국내의 산업현장에 활동하는 대략 100만 명 정도로 추정되는 불법체류자들이 존 재한다. 이들 중 일부가 국제성 범죄와 연루되어 보이스피싱, 국제마약거래 등을 일삼 고 있으나 이에 대한 수사당국의 손길이 제대로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향후 심 각하게 급증하고, 전문화되는 범죄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민간의 협조를 구 하는 방법을 활용해야 한다. 그 대안으로 민간탐정의 적극적인 활용이다. 이는 미국의 경찰행정이나 수사행정 영역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으며, 자경단이나 탐정, 범죄감시 단체를 적극적으로 육성하여 경찰 및 검찰의 부족한 부분을 메우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제는 우리도 민간탐정의 수사경력이 일정기간 이상인 사람에 대해서 각 수사기관 이 민간수사자문관으로 위촉하고 이들의 기술적 자문과 협조를 받을 필요가 있다. 더욱 이 60대 초중반의 베테랑 수사관들은 젊은 수사관들의 좋은 선배가 될 수 있으며, 이들 의 조언, 특히 민간에서 강제력이 없는 조사를 해봄으로써 새롭게 얻게 되는 기술적인 내용들이 공적 영역의 수사에 투영되어 더 강력하면서도 촘촘한 수사를 할 수 있는 전기가 마련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Criminal investigation conducted by the police, maritime police, special judicial police, and prosecutors' office are public activities, because the Criminal Procedure Act stipulates that these law enforcement agencies are in charge. In order to prosecute criminal case, various criminal evidence should be collected through legal procedures to identify the suspect and prove the crime. The problem is that more time and resources should be spent on proving the guilt of suspects who committed intelligent and advanced crimes. Many criminals are committing crimes using these advanced or intelligent methods. In the case of police, professional investigator system is in place, but there are a number of professional investigators who voluntarily leave from criminal investigation field to patrol field. Korea has tens of millions of tourists visiting the country every year, with an estimated 1 million illegal immigrants illegally employed and engaged in domestic industrial sites. Some of them have been involved in international sex crimes, including voice phishing and international drug trafficking, but they have not been able to reach the investigation authorities properly. In order to actively deal with serious and specialized crimes in the future, private cooperation should be used. The alternative is the active use of Private investigators. Such cases can be easily found in U. S. police activities and investigations, and it is trying to fill the shortcomings of investigative agencies by actively fostering self crime prevention force, private investigation, and crime surveillance civic groups. Now, we also need to appoint private investigators with more than a certain period of experience in investigating private areas such as cyber, property tracking, and public interest reporting as public investigation advisors and get technical advice and cooperation from them. Private investigators with a lot of experience in their 60s and older can be good seniors for young crime investigators. We think that their advices, especially from conducting non-forced investigations in the private sector, can project new technical contents into the public sector's investigation, providing a more powerful yet tight investigation.

      • 경찰 수사 환경 개선 및 효율적 수사요원 운용 방안

        오윤성 한국경찰학회 2003 한국경찰학회보 Vol.5 No.2

        다양한 분권화의 욕구가 제기되고 있는 오늘날의 한국사회의 각 분야 중 치안행정 역시 예외는 아니다. 치안행정은 국민의 생명과 재산의 보호, 그리고 국가 형벌권의 행사라는 중요한 문제와 맞물려 있는 사안이므로 분권화 여부를 섣부리 결정할 수 없는 민감한 분야이다. 그러나 이제 분권화의 흐름은 실행할 것인가의 여부를 떠나 실행하되 어떻게 해 나갈 것인가를 하는 단계로 접어 든 듯하다. 경찰행정 중 경찰의 수사 환경과 수사요원의 운용의 효율적 운용문제는 보는 시각에 따라 여러 가지 주장이 있을 수 있다. 특히 수사권 독립이라는, 한 편으로는 크게 관계가 없을 것 같이 보이는, 명제가 얽혀 있는 관계로 이 분야에 대한 논의는 많은 논란 속에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참여정부가 들어서고 난 이후부터는 급속도로 분권화를 해야 한다는 분위기로 전환되고 이제 분권화라는 명제는 기정사실화되었다. 즉 경찰을 둘러싼 수사 환경과 분권화에 대비하기 위한 경찰수사요원의 효율적 운용 이라는 측면이 보다 구체적으로 논의되어야 할 시기에 이르렀다. 분권화와 연계하여 경찰조직에서 고려하여야 할 분야는 수사 분야 이외에도 적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경찰의 여러 기능 중에서도 수사 분야는 외적으로 경찰 활동의 상징적 의미를 가지고 있는 실질적으로 국민의 인권과 직접적 연관을 가지고 있으므로 국민들의 관심을 끌고 있는 분야이다. 경찰수사에 있어서 분권화가 가지는 의미와 영향에 대한 정확히 분석과 방향 설정은 필수적이다. 중앙에서 지방으로 이양되는 분권화의 시행에 따른 현상은 다음과 같다. 행정업무의 지방 분산으로 인한 경찰수사의 정치적 중립성과 검찰에 집중된 수사지휘 권한의 현실화, 그리고 중앙경찰에서 지방경찰로 이양되는 수사권한의 운용을 위한 방향의 정립 등이다. 무엇보다도 차제에 열악한 수사요원들의 업무여건과 수사요원의 인력구조나 승진문제 등 산적한 각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이 제시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본 고에서는 발생 범죄의 증가나 사회제도의 발전 속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제자리 걸음을 하고 있는 경찰수사조직의 문제점을 조직관리와 인력, 그리고 제도적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아울러 수사요원의 승진에 대한 문제점과 수사조직의 정상적 관리를 위한 계급구조문제, 업무의 비전문화 역시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새로운 패러다임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경찰 수사조직과 수사권 운용을 현실화시키고 보다 구체적인 제도 개선을 통하여 경찰조직 스스로가 이에 따른 변신을 적극적인 시도를 할 때라고 본다. The desire of decentralization is rising from every sphere of Korean society. Public safety administration is important aspect that is related to the protect of life and property of citizens and processing of national punishment. Among the public safety administration, the police investigation surroundings and application of investigator have been discussed for years. According to sight of view, there are many different kinds of insist and discussion about this matters how improve the police investigation atmosphere and what is the best way co applicate the investigator effectively. After Noh's government started, the 'decentralization' is seems to be realized. There are many kinds of police functions that are related to decentralization. Among these, the investigation function is typical and symbolic activity of police, because it is related to human right of citizen directly. The decentralization will result to transfer the power and right from the central government to municipal including police affairs and to control and balancing the investigation of law enforcement between prosecutor agency and police bureau. If authority want to make sure improvement of police investigation atmosphere and application of investigator, it is need to comprehend the meaning and effect of decentralization to these matters exactly. It is needed to consider the realization of investigation and weak working condition of investigator and organization structure, man power management, promotion problems. Under new paradigm, ROK police bureau should consider and insist the change of police investigation structure and system for themselves.

      • KCI등재

        수사경과제의 도입과 운영에 관한 비판적 고찰: 성공적 변화관리의 관점을 중심으로

        이정철,이정욱 한국경찰학회 2014 한국경찰학회보 Vol.16 No.6

        This study employs a ‘successful change management’ perspective to explain why the professional detective system (PDS hereafter) is still under controversy even after ten years since its introduction. The literature on organizational change suggests that large-scale change efforts, such as the introduction of PDS by the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KNPA hereafter), often end up as failures when pursued without carefully designed plans and strategies. This study first identifies a series of problems and controversies that PDS as a personnel system has. Utilizing Fernandez & Rainey’s (2006) framework for assessing organizational change endeavors in the public sector, it critically analyzes how the adoption and implementation of PDS has been managed by KNPA.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 that the problems of PDS that we see today are largely the results of the lack of appropriate change management on the part of KNPA. 수사경과제는 경찰조직 내 수사부서근무 기피현상을 해결하고 궁극적으로 수사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입된 인사관리제도이나, 제도의 운영·관리상에 있어서 여전히 다양한 문제점들을 노정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제도 도입 이후 10년이 경과한 현 시점에도 여러 문제점들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원인을 ‘성공적 변화관리’의 관점에서 진단·분석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수사경과제의 도입을 경찰조직이 수사역량 혁신을 위해 도입한 하나의 변화노력으로 파악하고, Fernandez & Rainey(2006)가 공공부문에서의 변화관리를 평가하기 위해 제시한 이론적 분석틀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수사경과제 운영·관리상 지속되고 있는 문제점들의 상당수는 체계적 변화관리의 부족과 연관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성공적 변화관리의 관점에서 문제점 극복을 위한 방안을 논의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