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록의 파편들을 통한 춘추전국(春秋戰國)시대 송(宋)나라의 부정적 이미지 고찰

        박영희 ( Younghee Park ) 한국중국학회 2018 중국학보 Vol.85 No.-

        본고는 春秋戰國시대 宋나라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의 형성 원인과 그것으로 인해 그동안 소홀히 다루었던 부분에 대해 고찰하였다. 흔히 宋나라가 周나라에게 멸망당한 商왕조의 후손이기에 희화화하거나 폄하하여 기록되었다고 판단하거나 宋나라가 戰國시대에 약소국으로 전락하면서 폄하의 대상이 되었다고 분석한다. 그러나 宋나라는 禮儀를 지킨 나라로 개국 초부터 周나라로부터 존중받았었고, 君子의 나라로 칭송받았었다. 『左傳』 등 역사기록에서 보이는 宋나라의 부정적인 기록들은 사실 春秋戰國시대 여타 제후국들에 대한 기록과 별반 차이가 없는 것이었다. 宋나라에 대한 여러 상반되는 기록과 평가가 혼재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몇몇 부정적인 기록들이 후대 반복되어 등장하거나 成語로 굳어지면서 宋나라의 부정적 이미지가 부각된 것이다.宋나라는 農商工이 발달하고 사통팔달한 곳으로 선진 문화를 보유하고 있었다. 莊子·墨子·孟子 등 유명 사상가들은 자신의 출신지이며 활동지였던 宋나라의 이러한 지역적 특색을 최대한 활용한 寓言과 서술을 통해 자신들의 사상을 설명하였는데, 후대로 오면서 寓言과 서술에서 단어와 표현들의 풍토성이 희미해지고 보편성만이 남아 宋나라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 형성에 일조하게 된 것이다. 또한 宋나라에 많았던 匠人과 달인들에 대한 이미지 역시 당시 그들에 대한 폄하의식에 기반하여 부정적인 이미지를 생성하였다. 여기에 亡國의 이미지까지 결합되면서 宋나라는 조롱과 폄하의 대상으로 여겨지게 된 것이다. This thesis researched the reason of forming unfavorable image about the Song Dynasty and its resulting unattended portion. Commonly, it has been recognized that Song Dynasty was depreciated and caricatured as the descendants of Shang Dynasty destroyed by Zhou Dynasty or Song Dynasty reduced to a small country in the Warring States Period. However, Song Dynasty had been respected by Zhou Dynasty since its establishment as a morally decent country and it had been praised as a noble country. According to Zuozhuan, a Chinese classic history book, the unfavorable records of Song Dynasty were not significantly distinguished from the records of other countries in the times. The negative image of Song Dynasty emerged by the reintroduction and reproduction later times of its some unfavorable records, although there were mixed conflicting opinions and records about Song Dynasty.Song Dynasty retained an advanced culture and developed industries of agriculture, commerce and manufacture as a hub of trade in the times. The famous thinkers, Zhuangzi, Muzi and Mengzi born and practiced in Song Dynasty demonstrated their thoughts by fables and descriptions about geographical features of Song Dynasty. On the contrary, this might lead to assist the formation of an unfavorable images about Song Dynasty by selecting universal aspects rather than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in the vocabularies and expressions over later times. Moreover, the images about the masters and artisans of Song Dynasty were unfavorably established based upon the depreciation by the times. Additionally, ruinous country images about Song Dynasty were combined with the unfavorable images for Song Dynasty to be ridiculed and derogated.

      • KCI등재

        일본의 송변전설비 건설에 따른 보상제도 연구

        최철호(Cholho Choi) 한국토지공법학회 2022 土地公法硏究 Vol.100 No.-

        송·변전설비 건설에 따른 주민피해는 크게 재산적 피해, 환경적 피해, 건강피해 등으로 구별될 수 있다. 그중에서 경관피해와 환경피해, 송변전설비 건설에 따른 인접 토지의 거래가치 하락 등이 크게 문제되고 있다. 물론 주민들은 전자파 피해도 주장한다. 송․변전설비 건설보상제도는 크게 「전기사업법」에 따른 철탑보상과 송전선로부지보상, 그리고 「송주법」에 따른 재산적 보상, 주택매수보상, 주민지원제도 등으로 구성된다. 그 외에 한국전 전력의 내부기준인 「용지보상규정」과 감정평가 실무기준에서 정한 보상이 있다. 송변전설비 보상제도에서는 이미 토지의 미래가치가 입체이용저해율과 추가보정률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반영되어 있다. 송・변전설비 보상제도의 합리화를 위하여는 분산된 수용 및 보상 규정의 일원화가 요구된다. 또한 보상실무에서 발생하는 예외를 고려한 「용지보상규정」은 감사원 감사 등을 대비하여 법령과의 일치가 요구된다. 송·변전설비의 설치와 관련한 손실보상제도는 송전철탑, 변전소 등은 해당 시설이 영구적으로 토지를 사용하므로 원칙적으로 개인의 재산권을 박탈하는 토지수용으로 해당 토지의 소유권을 취득하게 된다. 그러나 송·변전선로는 주로 해당 토지의 지상 또는 지하라는 특정부분만을 사용하게 되는 공용사용에 따라 송전선로부지에 관한 공용사용권을 취득하는 방식을 취한다. 다만, 송전선로부지 공용사용과 관련하여서는 사용권 설정에 따른 손실보상을 하는데, 이것을 일본에서는 ‘선로권보상’, ‘선하지보상’,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전선로가 문제된다는 점에서 ‘선하지보상’ 또는 ‘송전선로부지 보상’이라고 한다. 최근 송․변전설비 건설에 따라 해당 부지 및 인접토지의 거래가치 하락에 따른 해당 토지의 미래가치를 반영한 보상패러다임의 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우리나라도 일본과 같이 종전의 일시불의 원칙에 따른 일시지급형 보상방식에서 연간사용료지급방식도 검토할 만하다. 본 연구는 일본에서 송·변전설비가 설치되는 토지를 수용 또는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보상 및 주변지역의 토지가격하락에 대한 보상제도를 규정하고 있는 법령 및 실무자료들을 검토하여 우리나라 관련법령상의 보상제도를 개선하는데 시사할 만한 내용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서술하였다. Residents’ damage caused by the construction of transmission and substation facilitie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property damage, environmental damage, and health damage. Among them, landscape damage, environmental damage, and a decrease in the transaction value of adjacent land due to the construction of transmission and transmission facilities are becoming a major problem. Of course, residents also claim damage from electromagnetic waves. The construction compensation system for transmission and substation facilities consists of steel tower compensation under the Electricity Business Act, transmission line site compensation, property compensation under the Songju Act, housing purchase compensation, and resident support system. In addition, there are compensations set by the Land Compensation Regulations, which are the internal standards of KEPCO, and the practical standards for appraisal. In the transmission and transmission facility compensation system, the future value of land is already indirectly reflected through the three-dimensional use inhibition rate and the additional correction rate. In order to rationalize the compensation system for transmission and transmission facilities, it is required to unify distributed acceptance and compensation regulations. In addition, the Land Compensation Regulations, which take into account exceptions arising from compensation practice, require agreement with the laws and regulations in preparation for audit by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In the loss compensation system related to the installation of transmission and substation facilities, since the transmission tower and substation permanently use land, in principle, the ownership of the land is acquired by expropriation of land that deprives individuals of property rights. However, the transmission and transmission lines mainly take the method of acquiring the public use right for the transmission line site according to the public use of only a specific part of the land or underground. However, in relation to the public use of the transmission line site, loss compensation is made according to the license setting, which is called ‘Road Right Compensation’, ‘Load Compensation’, and ‘Load Compensation’ or ‘Transmission Line Site Compensation’ in that the line is mainly a problem in Korea. With the recent construction of transmission and transmission facilities, it is required to change the compensation paradigm that reflects the future value of the land due to the decline in the transaction value of the site and adjacent land. In this regard, Korea, like Japan, deserves to consider the annual user fee payment method in the lump sum compens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vious principle of lump sum payment. This study aims to derive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compensation system under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that stipulate compensation for land price declines in surrounding areas and compensation for land expropriation or use of land with transmission and substitution facilities in Japan.

      • 고려시대 송나라 해상 무역 상인의 활동 시기와 양상

        최영호 동의대학교 인문사회연구소 2010 인간과 문화 연구 Vol.16 No.-

        본 논문은 송나라 해상 무역 상인들이 고려사회에서 활동한 시기를 재검토하는 한편, 그들의 출신 지역과 활동 양상을 분석하였다. 기존 연구에서는 고려와 송나라의 해상 무역이 현종 3년(1012)부터 충렬왕 4년(1278)까지 전개되었다고 하였다. 그러나 송나라의 해상 무역 상인들은 송나라의 건국 초기인 10세기 중기부터 고려사회를 드나들기 시작하여 송나라의 멸망 당해 연도인 충렬왕 5년까지 지속적으로 활동하였다. 이들은 고려와 송나라의 외교 관계나 자국의 해상 무역 금지 정책 및 정치적 위기 상황에도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고려사회에서 해상무역 활동을 전개하였다. 이들 대부분은 송나라의 건국 전후에도 국제 해상 무역의 중심지로 발전한 泉州․台州․福州․明州․南楚․廣南․溫州․務州 지역의 출신이었다. 이로써 고려사회에는 10세기 중엽 이래 다양한 국제 교역 물품의 수입과 함께 이 지역의 유․불 지식인이나 전문 기술 인력과 선진 문화도 수용할 수 있었다. 이들 해상 무역 상인들은 무역물품의 교역이라는 경제적인 영역 이외, 정치․사회․문화적 교섭 등의 영역에서도 중요 역할을 수행하였다. 이들은 의약 및 무기․공예품의 재료와 함께 불교 경판․경전이나 백과사전류 등 다양한 문물을 유입시켰다. 이 경판이나 서적들은 고려사회의 불교 연구와 유학 진흥 및 출판 인쇄술을 발전시켰으며, 왕권과 통치 규범의 확립에도 활용되었다. 그리고 이들은 고려의 불교문화를 일본으로 전달하는 등 고려․송․일본을 연결하는 문화 교섭을 중개하기도 하였다. 또한 이들은 여․송 외교관계에 관여하였으며, 송나라와 고려의 문인․승려 지식인․전문 기술 인력과 사신 일행을 수송하기도 하였다. 한편 그들 가운데 일부는 고려의 관리로 임명되는 등 고려 국내 정치에도 참여하였다. 撰寫本文的目的在於一方面再探討宋朝海上貿易商人在高麗社會活動的具體時間, 一方面分析他們的籍貫和活動面貌. 旣往的硏究認爲高麗與宋朝的海上貿易從高麗顯宗3年(1012)開始進行到高麗忠烈王4年(1278)爲止. 其實海上貿易商人從10世紀中葉宋朝建國初期開始來往高麗, 而這種活動持續到高麗忠烈王5年宋朝滅亡爲止. 雖然高麗同宋朝之間的外交關係因時而變化, 有時候國家下令禁止海上貿易, 或是發生政治上的危機狀況, 但是他們不會收到打擊仍然與高麗進行海上貿易. 他們大部分出身於泉州․台州․福州․明州․南楚․廣南․溫州․務州地區, 這些地區在宋朝建國前後已經成爲國際海上貿易的中心地了. 這些海上貿易商人除了在經濟方面進行物品交易以外, 還有在政治․社會․文化交流等方面也發揮了重要功能. 他們將藥品, 武器․工藝品材料, 佛敎經板․經典, 百科全書等各種文物帶進來了. 這些經板和書籍, 一面促進高麗社會的佛敎硏究, 儒學振興以及出版印刷術的發展, 一面有助於王權和統治規範的樹立. 他們還有擔當國際文化交涉中間人之角色, 將高麗的佛敎文化傳給日本. 他們又過問高麗與宋朝之間的外交關係, 幇助宋朝和高麗之間文人․僧侶․知識分子․技術人員․使臣的來往. 甚至他們當中一部分人作爲官吏, 參與高麗內政.

      • KCI등재

        현대 태권도의 원류, 송무관의 창립에 관한 연구

        김영선 국기원 2019 국기원태권도연구 Vol.10 No.1

        The establishment of Songmoo-gwan, one of the five martial art schools(五大館),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origin of modern Taekwondo history. Therefore, this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Kukkiwon Taekwondo promotional materials and teacher training materials. However, an issue still remains due to there being three theories regarding the date that Songmoo-gwan was established. The period of when Songmoo-gwan was established can be regarded as important historical knowledge due to its relation with the first recording of modern martial arts. Thus, this study is a much needed academic task in order to provide accurate and precise taekwondo hist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n objective and valid modern Taekwondo history by clarifying the establishment date of Songmoo-gwan.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e study, the following three detailed questions will be considered. First, what are the existing theories regarding the establishment of Songmoo-gwan? Second, what facts do the four primary sources provide as evidence for the establishment of Songmoo-gwan? Third, how will we objectively judge the establishment of Songmoo-gwan? These three questions will be discussed by using historical and analytical research methods. The existing theory regarding the establishment of Songmoo-gwan suggests that Roh Byeongjik, the founder of Songmoo-gwan started temporary personal teaching during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In this regard, instead of an establishment of a school it is more accurate to say that Roh Byeongjik established an indoor training hall where he provided martial art training and developed a management system.Considering this point and also in accordance to the four primary sources-three newspaper articles and one photograph- the opening and founding date of Songmoo-gwan was identified as the following. Songmoo-gwan, based in Gaeseong city, began a martial art class on September 20, 1947 at the Southern Judo Hall in Dongheung-dong (formerly known as Dongbonjeong). On November 16, a grand opening ceremony was held at Songdo Middle School Auditorium. This fact was based on three newspaper articles and one photopraph. In other words, the primary sources that convey objective facts have become the main clues behind the establishment of Songmoo-gwan and its founding date. Due to evidence suggesting that Roh Byeongjik, the founder of Songmoo-gwan started his training in a Gwandeok-jeong, aswell as five other detailed reasons it is difficult to suggest that Roh Byeongjik established a school during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현대 태권도의 원류(原流)로서 5대관의 하나인 송무관의 개설 또는 창립 시기는 현대 태권도사의 시초와도 연관된 주요한 사안이다. 따라서 이는 국기원의 대외적 홍보물이나 지도자 연수 교재에서도 다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송무관 창립 일자에 관해서는 지금까지 3가지 설이 제시되어 여전히 쟁점으로 남아 있다. 송무관의 창립 시기는 현대적 무예의 첫 출발을 기록하는 사안과도 얽힌 중요한 역사적 지식으로 간주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같은 논제는 보다 정확하고 엄밀한 태권도사 서술에 절실히 요청되는 학술적 과제이므로 이 연구의 필요성이 따른다. 이 연구의 목적은 송무관의 창립 시기가 언제인지를 구명(究明)함으로써 객관적이고 타당한 현대 태권도사를 확립하는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 세부적 문제를 순차적으로 고찰하기로 한다. 첫째, 송무관 창립에 관한 기존의 설은 무엇인가? 둘째, 송무관 창립에 관한 사료적 근거로서 4건의 1차사료들은 어떤 사실을 담고 있는가? 셋째, 송무관 창립에 관한 객관적인 판단은 어떠한 것인가? 연구방법으로는 실증주의에 바탕한 역사적 접근과 면접조사법을 병행한 분석적 고찰이 채용되었다. 연구 결과, 기존의 설에서 송무관 창설자 노병직이 일제 강점기에 시작한 일시적인 개인 지도까지 소급(遡及)시켜 무리하게 주장되는 사례가 있었다. 이에 대해 관(館)의 창립은 실내 수련장이 갖추어짐으로써 지속적인 무예 교습과 관(館) 운영 체제가 정식으로 성립된 경우로 한정되어야 한다. 이 같은 점을 고려하면서 신문기사 3건과 사진 1점 등 4건의 1차사료(史料)에 의거하여 송무관의 개설과 창립 일자는 다음과 같이 파악되었다. 개성(開城)을 연고지로 한 송무관은 동흥동(동본정은 옛 이름) 남부유도관 내에서 1947년 9월 20일(토) 정식으로 무예 교습이 개시되었다. 이어 11월 16일(일)에 송도중(고등)학교 강당에서 대대적인 창립식이 거행되었다. 신문기사 3건과 사진 1점이 그 사실적 근거가 되었다. 즉 객관적 사실을 전하는 1차사료들은 송무관의 개설과 창립 일자를 고증(考證)하는 주요 단서가 되었다. 한편 송무관 창설자 노병직이 근래에 와서 천명한 관덕정 창립설은 다섯 가지 세부적인 이유에 의해 정식 관(館)의 개설이나 창립으로 간주되기는 어렵다고 판단되었다.

      • KCI등재후보

        宋代 士大夫의 高麗觀

        박지훈 이화사학연구소 2003 梨花史學硏究 Vol.0 No.30

        本稿要注意宋麗關係史的歷史趨勢, 而整理宋代士大夫再說知識人的對高麗的觀點和認識, 進而考察타的特點. 對高麗來看的對宋關係和對宋來看的對宋的關係, 這兩者之間存在了一定的差異. 本稿的起點是, 宋朝的立場來看的對高麗的認識. 卽是以客觀地考察宋方立場爲本稿的目的. 爲了達到硏究目的, 從『文淵閣四庫全書電子版』(上海人民出版社)中, 檢索"高麗"地後, 唐宋代士大夫的文集以及宋代史部和子部文獻記錄裏的關係史方面的資料中, 選擇有效的記事以再構成宋代的高麗觀. 從時間而看, 宋人的有關高麗的言論, 集中於從宋麗之間再建交的宋神宗熙寧四年(1071年, 高麗文宗二十五年)到北宋滅亡的宋欽宗靖康元年(1126年, 高麗仁宗四年), 在北宋滅亡前後還有一些記載, 而宋麗之間公開地斷交以後的記錄時흔少見. 因此, 本硏究對於宋代士大夫的對高麗的觀念, 分開了對高麗友好或者肯定的見解爲親高麗觀念和對高麗排斥或者否定的見解爲反高麗觀念的兩種觀念. 進而, 看做把不能屬於兩種觀念的見解爲中立的立場, 最後, 考察上述宋人的對高麗觀念和宋人的華夷論的觀點之間有什마關係. 大體上, 首先如何認識對方國家的問題, 간自己國家的利益直接有關係. 通過一系列分析, 可以設宋人對高麗觀點的重點, 在於有沒有對自己國家有利的側面或者有沒有利用價値. 而且, 能看到國家之看互相認識問題, 隨着自己國家的利害關係而流動. 只是不能否認比??連國境而被侵掠的契丹和西夏, 宋人的對高麗觀念在於更加客觀立場. 特別是在民族的性情方面, 將契丹和西夏民族像禽獸那樣卑視, 反而卑視高麗的表現是흔少見的. 這是因爲,高麗不是對中國直接反抗或者侵掠的對象, 所以客觀地認識到高麗. 首先, 看親高麗的觀念, 在北宋初期, 對高麗可以設好意的觀念形成主流, 當文獻記錄中, 曾鞏的見解帶有代表性. 其次, 反高麗的觀念, 在王安石變法失敗以後, 從包括蘇軾在內的士大夫的言論中逐漸顯示出來了. 但是, 這只不過支出由于高麗發生的具體的弊害, 而主張保持宋朝利益的觀點而重視宋朝的實利. 如此同時, 這是隨着宋麗之間關係的變化, 也存在兩國立場差異的. 其三, 徐競在『高麗圖經』一書中, 强調了高麗受到先進文化(中國文化)的影響而擺脫後進文化(夷俗), 而對此作出肯定的評價. 這是一種以宋人的華夷論爲基礎的傳統中華思想. 如此相反, 他對高麗受到先進文化的影響, 但是還維持後進文化的一面, 保持批判的態度. 最後, 綜合上述論議和華夷論的特點而言, 蘇軾反高麗觀念的焦點, 在於高麗給中國帶來흔大的損失. 曾鞏顯示出中華思想的寬廣的一面, 但是他不像蘇軾那樣, 認爲訪來中國的高麗使臣對中國沒有危害而認定高麗. 而且, 以徐競爲代表, 從對高麗相似中國的文化因素就高麗文化的長處, 而不像中國文化因素就夷習的觀念, 能看出中國的驕??的心態. 宋代對高麗觀念與對遼, 西夏, 金等其他異民族國家的觀念不同地方, 就有宋人對高麗觀念隨着與宋關係而變的形態. 再說, 遼和西夏人??連國境和侵掠中國而常常處於敵對關係. 對宋朝來設, 遼雖然不斷因擾着中國, 但是忽視타的威勢, 反而, 對西夏, 因爲從以前一個朝貢國變爲反逆, 所以宋人帶有了不滿意的心態. 如果比較宋人對這兩國的觀念的話, 宋代士大夫的對高麗觀念特點非常明確. 但是, 對中國來設, 高麗是一個第三國. 他門認爲高麗是一個中國的朝貢國, 但從'文字之國'的表現來能看出有一定的文化水平. 不過由于高麗對中國帶來實際損實, 他門保持了非常否定的態度. 綜合而言, 從現存的史料來看, 可以設强調宋對士大夫對高麗的反感, 但幷不代表當時一般士大夫的情緖. 只不過指出對高麗政策上過分的配慮或者施行優先政策時會出現的弊害而已.

      • KCI등재후보

        조선후기 왕족여인 송 마리아의 천주교와 가족사 재조명

        박주 ( Park Joo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6 韓國思想과 文化 Vol.84 No.-

        본고는 영·정조 시대를 살았던 왕족여인 송 마리아와 천주교, 장자상계군 담의 독살, 남편 은언군 인(정조의 이복동생)의 유배와 죽음, 손자 철종의 즉위와 복권 등을 통하여 송 마리아 가족 수난의 사례를 여성사적 입장에서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왕족여인 송 마리아(1753, 영조 29~1801, 순조 1)는 참봉 송낙휴의 딸이며, 정조의 이복동생인 은언군 인의 처이다. 은언군 인과 혼인하여 3남1녀의 자녀를 두었다. 참봉의 딸인 송 마리아가 왕(정조)의 이복동생인 왕족 은언군 인과 혼인하면서 가족의 불행은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즉 아들과 남편이 역모를 주도하거나 가담함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정쟁속에서 역적으로 지목되었던 것이다. 그리하여 아들 상계군 담은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어린 나이에 독살당하고, 남편 은언군 인은 강화도로 유배보내졌다. 이런 환경 속에서 슬픔을 잊고 영혼을 구원하기위해 송 마리아는 며느리신씨와 함께 천주교에 입교하였던 것이다. 그 후 강완숙으로부터 천주교 신앙과 교리를 배웠으며, 마침내 주문모 신부한테 세례를 받았다. 그러나 1801년 송마리아 가족을 비호하던 정조와 정치적으로 대립관계였던 왕대비 정순왕후 김씨가 수렴청정을 하면서 신유박해를 일으키자, 왕족여인 송 마리아와 며느리 신 마리아는 정순왕후의 하교에 의해 재판과 신문의 아무런 법적 형식도 거치지 않고 그해 3월 16일 사사되었다. 남편 은언군 인도 사학죄인이라는 명목으로 5월 29일에 사사되었던 것이다. 그 후 손자가 왕(철종)으로 즉위하면서 송 마리아 가족은 마침내 역모혐의에서 복권되었다. This paper discussed the life of Royal Lady Mary Song, who lived in King Youngjo and King Jeongjo era, in women``s historical point of view. She had suffered from death of her eldest son Sanggye-gun Yi-Dahm, exile and death of her husband Euneon-gun Yi-Ihn(half brother of King Jeongjo), her rehabilitation after enthronement of the grand son King Cheoljong The Royal Lady Mary Song, a daughter of the lowest level of official post Chambong Song Nak-hyu, was born in 1753( 29th year of King Youngjo)and died in 1801( 1st year of King Sunjo). She had three sons and one daughter. Her tragedy began with the marrying King Jeongjo``s half brother Euneon-gun Yi-Ihn. Even though her husband and son did not commit and were not involved treason, they were falsely accused to the traitor in political strife. As the result, her eldest son Sanggye-gun Yi-Dahm was killed by poison and her husband was exiled to Gangwha Island. These circumstances leaded her and her daughter-in-law Mary Shin to believe in Christianity to forget human grief. She learned Catholic doctrine from Kang Wan-suk, and was baptized by a Chinese father Zhou Wen-Mo(1752~1801) at last. Queen Regent Jeongsun, who was opposed to King Jeongjo in politics, carried out regency and made the Sinyu Persecution. The Royal Lady Mary Song and her daughter-in-law Mary Shin were bestowed poison and died. Two months later, her husband Euneon-gun was bestowed poison and died by Queen Regent Jeongsun. After enthronement of her grand son King Cheoljong, she and her family were rehabilitated in the end.

      • KCI등재

        국내 현존 宋․元本의 조사와 書誌的 분석

        옥영정 한국서지학회 2012 서지학연구 Vol.52 No.-

        This study is about the editions published in the Song and Yuan dynasty and organizes overall the distinguisher standard for them that many scholars have suggested. On the basis of that, it aims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editions published in the Song and Yuan dynasty within the country, and to determine the right distinguisher and value of each book. The 1st chapter organized and synthesized the existing theories on the basis of the book design format, book binding, fiber quality, ink, style of calligraphy, cutting method, naming taboo, carving artisan, and colophon in order to present the distinguisher standard for the editions published in the Song and Yuan dynasty. The 2nd chapter determined annotated bibliography and system of its printed edition by investigating the editions published in the Song and Yuan dynasty.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3 kinds in the Song printed edition and 13 kinds in the Yuan dynasty printed ed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publication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inted editions, and comparatively reconsidered the reprinted ones by investigating the documents and existing editions as well as analyzed the detail items to distinguish the book correctly. This study will furnish the primary information to politics, economy, society, Korean linguistics, medical science, and Buddhism above a bibliography or Korea-China book exchange history in the Joseon dynasty. 이 연구는 국내 소장 宋․元本에 대한 연구로 먼저 여러 학자들이 제시한 송․원본의 감별의 기준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였고 이를 근거로 국내에 소장된 송․원본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개별 서적에 대한 올바른 감별과 가치를 밝히고자 한 것이다. 제1장에서는 송․원본 감별의 기준을 제시하기 위해 版式, 裝幀, 紙質, 墨, 字體, 刀法, 避諱, 刻工, 刊記 등을 근거로 송․원본에 대한 기존 학설을 정리하고 이를 종합하였다. 제2장에서는 국내에 소장된 송․원본을 조사하여 해당 간본에 대한 개별해제와 간본의 계통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송간본은 3종, 원간본 13종으로 조사되었다. 국내에 소장된 송․원본의 현황을 파악하는 한편 개별 서적에 대해서는 해당 서적에 대한 개괄, 역대 간행, 국내 소장본의 판본감별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하나의 서적을 정확하게 감별하기 위해 형태적인 사항을 분석하는 것과 동시에 문헌기록과 현전본에 대한 조사를 통해 역대 간본들의 간행 추이와 간본의 특징을 살펴보고 간본 상호간의 비교검토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는 서지학이나 조선시대 한-중 서적교류사를 뛰어넘어 정치, 경제, 사회, 국어학, 의학, 불교학 등 각 분야의 연구자들에게 1차적인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17세기에 의례화된 송대장군

        최종성(Choi, Jong Seong) 한국역사민속학회 2014 역사민속학 Vol.0 No.44

        송징, 송장군, 송대장군 등의 담론과 실천은 전남 완도에 집중되고 있으며, 자료상 탈-완도의 가능성도 높지 않았던 게 사실이다. 그러나 우리는 인조 7년(1629) 소위 이충경 옥사를 기록하고 있는 의금부의 재판기록인 ??역적이충경문서(逆賊李忠慶文書)??(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자료)를 통해, 황해도, 강원도, 함경도 등 한반도 중북부에서 의례화되었던 송대장군을 만나게 된다. 이충경을 비롯한 해서 및 관서 지역 출신의 하층민들은 상경거사(上京擧事)를 실행에 옮기기 전에 최영 및 남이와 더불어 송대를 모시는 장군제를 비밀리에 거행하였다. 『역적이충경문서』에 자주 등장하는 최영, 남이, 송대 등 3장군의 의례야말로 그간 송징 자료의 공백기로 남아 있는 17세기의 틈을 메워줄 뿐만 아니라 완도 중심의 편중성을 덜어주는 좋은 소재가 아닐 수 없다. 15세기 『동국여지승람』의 기록에서 송징은 호국신사의 신으로 등장하고 있으며, 16세기 『석천집』에서는 지역의 민중영웅으로서 송대장군이 유자들의 비웃음 속에서 소박한 무당굿을 흠향하는 신령으로 묘사되고 있다. 그리고 17세기 『역적이충경문서』에서는 상경거사를 획책하는 사회적 약자들 속에서 반왕조를 원조하는 장군신으로서 송대장군이 의례화되었다. 3세기에 걸친 편린들 속에서 괴력과 비극을 겸비한 송대장군의 종교적 힘과 그 발산을 확인할 수 있다. 민중들의 종교적 상상력과 감수성은 적장(敵將)도 역장(逆將)도 그리고 또 다른 적장(賊將)마저도 호국신사(護國神祠)의 주인으로, 때론 위민(爲民)의 영웅신으로, 급기야는 반왕조의 희망을 지지하는 신령으로도 전략화할 수 있을 만큼 풍부하였음을 실감하게 된다. It is reported that the folktales and rituals related to Song Jing(宋徵), Song Janggun(宋將軍, General Song), and Song Daejanggun(宋大將軍, Great General Song or General Song Dae) are only in the neighborhood of Wando Island. This paper deals with the 17<SUP>th</SUP> century ritual to general Song Dae in central and northern inland of Korean Peninsula from the State Tribunal Report on Rebel Yi Chung-gyeong’s Cabal (逆賊李忠慶文書). Yi Chung-gyeong and his followers sacrificed a horse to God, hanging three portraits of generals Choe Yeong, Nam Yi, and Song Dae(Song Jing) in Anbyeon, Hamgeong Province. The naratives of Song Dae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first two. It is believed that they accomplished the heroic merits while alive, but got a wrongful death from their political opponents. This contradiction between good deed and false charge is used efficiently to maximize their own religious power. Yi Chung-gyeong’s cabal recognized three generals as the powerful deities, and also ritualized general deities for their rebellious dreams.

      • KCI등재

        義天의 入宋求法과 宋 僧侶들과의 교류

        박현진 전북사학회 2019 전북사학 Vol.0 No.55

        본고에서는 의천과 관련된 사료에서 확인되는 송나라 승려와 그들과의 교류내용을 다시 한 번 살펴보았다. 의천은 1085년 4월에 송나라에 가서 송나라 여러 종파의 승려들을 만나고, 불교 관련 서적을 수집하고 1086년 5월에 고려로 돌아왔다. 의천은 1085년 입송 이전부터 송나라 화엄승인 정원과 이미 교류를 하며 관계를 형성하였다. 정원과는 당시 송과 고려 사이를 왕래하던 제3의 인물을 통해 양국의 상황과 불교계 흐름을 파악하였다. 의천과 정원은 단지 서신만 주고받은 것이 아니라, 화엄경 관련 서적도 주고받았다. 특히 의천은 입송 전에 정원에게 ‘교승목록’을 전해주는 등 이미 교장 수집 활동을 하고 있었다. 또, 의천은 고려에서 정원의 초상화도 보았으며, 둘은 입송 전에 이미 사제관계를 형성하였다. 입송한 후에는 의천은 밀주~개봉~항주~개봉~명주로 이어지는 입송구법 여정 속에서 화엄, 천태, 선, 율, 범학 등 다양한 종파의 승려들과 교류하였다. 교류시기를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인물과 그렇지 않은 인물, 의천 귀국시 송별시와 글을 보내 교류사실을 알 수 있는 인물은 약 40여명이다. 입송 당시에 의천은 고려에서 ‘장소목록’을 가지고 갔다. 귀국한 후에도 이들 대부분과 서신을 주고받았다. 서로의 안부를 묻는 편지를 비롯하여 서로 필요한 불교 관련 서적을 주고받았으며, 또 서로가 만든 서적을 교감, 교정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 1088년에는 정원이 입적하였는데, 정원의 입적과 관련하여 다른 승려들과의 서신 교류도 주목되며, 의천이 귀국하고 나서 10년이 지난 후에도 몇몇 송나라 승려들과 꾸준히 교류한 것이 확인된다. 의천이 몸소 송나라에 있었던 기간은 1년 남짓이었지만, 그의 구법은 입송하기 전부터 귀국한 이후까지 계속해서 이어졌다. 그리고 그 결실은 신편제종교장총록의 편찬 등으로 나타났다. In the present manuscript, Buddhist monks in the Song Dynasty who can be confirmed in historical records as being related to Uicheon, and his interactions with them, are reexamined. Uicheon went to Song in April 1085; he met with Buddhist monks of various denominations and collected Buddhism-related books, returning to Goryeo in May 1086. Uicheon had already interacted and established a link with Jeongwon, a Huayan monk in Song, before he went there in 1085. Uicheon understood the situation of the two countries and the flow of Buddhism by communicating with Jeongwon through a third person who traveled between Song and Goryeo. Uicheon and Jeongwon exchanged not only letters, but also books related to the Avatamska Sutra. In particular, Uicheon was already performing “gyo-jang” collection activities such as sending Jeongwon “Gyoseungmongnok.” In addition, Uicheon saw Jeongwon’s portrait in Goryeo, and they had already formed a student-teacher relationship even before Uicheon went to Song. After Uicheon went to Song, he interacted with Buddhist monks of various denominations including Huayan, Tiantai, Zen, vinaya, and Buddhist studies during his journey of seeking Dharma in Song from Milju to Gaebong, Hangju, Gaebong, and Myeongju. Uicheon interacted with approximately 40 Buddhist monks in Song, including those whose time of interaction can and cannot be specified, and those whose interaction can be identified by farewell poems or works of writing sent to him when he was returning to Goryeo. Uicheon took a “catalog of writing and commentaries” with him when he went to Song and collected writing and commentaries from Buddhist monks in Song. He corresponded with most of those monks even after he returned to Goryeo. They maintained contact, asking after each other, exchanging Buddhism-related books they needed, and requesting the proofreading of each other’s books. In 1088, Jeongwon passed into nirvana; correspondence with other monks regarding Jeongwon’s passing is worth noting,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correspondence with some of the monks in Song continued even 10 years after Uicheon returned to Goryeo. Even though Uicheon’s stay in Song only lasted a little over a year, his visit to Song was meaningful in that his seeking for truth continued from before he went to Song to after returning to Goryeo, significantly affecting his activity after his trip.

      • KCI등재

        일제강점기 송창일의 아동문학

        김젬마 ( Kim Jem-ma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7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8 No.2

        송창일(宋昌一)은 일제시대에 창작동화집을 간행한 몇 안 되는 작가 중 한 사람이다. 송창일은 1930년대에 동요, 동화, 소년소설, 평론 등에 걸쳐 1929년부터 1959년까지 약 30년간 아동문학가로 활동하며 왕성한 활동을 펼쳤다. 그의 작품은 일제시대부터 현재까지 각종 아동문학 선·전집에 수록되는 등 한국 아동문학사를 관통하며 일정한 문학적 성과를 거두기도 하였다. 송창일은 1930년대 등장한 전문작가로 이전의 소년문단과 구분되는 1930년대 신진작가 군(群)에 속한다. 한국아동문학사에서 1930년대는 이념성이 가라앉고 개인의 일상으로 중심이 옮겨가면서 문단의 지형도가 변화된 시기이다. 송창일은 1930년대에 새롭게 등장한 전문작가로서 계급주의가 만연하던 시기에 활동을 시작했으나, 계급주의 문학에 전적으로 참여하지 않고 유년 지향적의 작품들을 주로 발표했다. 송창일은 한국아동문학의 성장 발전기인 1930년대 아동문단에 일정한 부분을 차지하는 작가임에도 그에 대한 개별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그간 다뤄지지 않았던 송창일의 생애와 작품세계를 1930년대 아동문단의 특수성에 비추어 살펴봄으로써 한국아동문학사에서 그의 위치를 가늠해 보고자 한다. Song Chang-il is one of the writers who published creative collections of fairy tales. Song Chang-il led an active life as a writer of fairy tales for about thirty years from 1929 to 1959. His works achieved literary performances through Korean history of children`s literature, being printed in all sorts of fairy tales` selections or collections from the colonial period of Japan to now. Song Chang-il appeared as a professional writer in 1930s and belonged to a group of rising writers who distinguished themselves from previous literary circles on children books. In 1930s, the topographical map of literary circles was changing showing a decline of ideology and focusing on individuality and daily affairs. Song Chang-il began his career in the 1930s as a writer who emerged as a professional writer. However, he did not fully participate in the literary works of the classics, but mainly presented his childhood oriented works. Although Singh Chang is a writer who occupies a certain part of children `s literature in the 1930s`, involved i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Korean children `s literature, there are no individual studies on it. I will try to assess his posi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by looking at the life and works of Song Chang-il, which has not been addressed in the past, in light of the particularity of the children`s literature of the 1930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