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빈문고의 中國飜刻本과 그 가치-「近思錄」과 「韻府群玉」을 중심으로-

        옥영정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2 민족문화논총 Vol.51 No.-

        This paper that is bibliographical study of the Book Culture of East Asia deals with value and meaning of Geunsarok and Unbugunok belonging to Dongbin Collection of Yeongnam University and printed in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In other words, I proceeded to study focusing on Geunsarok and Unbugunok belonging to Dongbin Collection of Yeongnam University which had been reprinted in Joseon in the process of importing Chinese edition printed in Song-Yuan Dynasty. Examining the real books, I inquired into pattern and circulation of the book exchange and found out new materials. Also I think this is meaningful in understanding origin and early form of Korean old books. In case of reprinting Chinese books imported in Joseon, they were reprinted as original forms or printed in new style maintaining original format. Also at first having reprinted as original forms, later they were printed in new layout making use of movable type. Based on Chinese books, Geunsarok and Unbugunok were reprinted as original forms. I consider that the comparison between reprinting of Song-Yuan books and original books remaining in Korea, based on the physical bibliography of Song-Yuan edition, will be helpful in clarifying influence and contents of Chinese books in East Asian Book Culture. 이 연구는 동아시아 서적문화에 관한 서지학적 고찰로 영남대 동빈문고 소장의 중국 번각본 중 고려말과 조선전기에 간행된 「근사록」과 「운부군옥」에 대하여 그 가치와 의의를 다루었다. 송・원시기 중국에서 간행된 서적이 조선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조선에서 간행된 번각본인 「근사록」과 「운부군옥」을 중심으로 영남대 동빈문고의 두 책을 대상으로 삼아 연구를 진행한 것이다. 실물자료에 의한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서적 교류의 유형과 유통 및 새로운 자료에 대한 발굴이란 측면에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는 국내 고문헌의 원류와 초기의 형태를 파악하는 데에도 의의가 있다. 조선에 유입된 중국간본은 간본을 저본으로 하여 그대로 번각하는 경우도 있지만, 본래의 판형을 유지하되 새롭게 중간하는 경우가 있다. 또 처음에는 간본을 그대로 번각하였다가 새로운 활자가 제작되면 해당 활자를 이용하여 새로운 판식으로 간행하기도 하였다. 「근사록」과 「운부군옥」은 저본을 바탕으로 그대로 번각하는 경우의 예로서 그 방식을 잘 보여준다. 송・원간본의 형태서지적 속성을 바탕으로 고려・조선에서 간행된 송・원간본의 번각본들 중에서 현존하는 자료를 파악하여 한국에 남아있는 송・원간본과의 실증적인 예를 통한 확인 작업이 이루어진다면 동아시아의 서적문화에서 중국 간행서적의 영향과 그 내용을 확인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童蒙先習」의 서지적 재검토

        옥영정 한국서지학회 2019 서지학연구 Vol.78 No.-

        Dongmongseonseup has been known as the representative children’s textbook published by private initiative in Chosun Dynasty. Considering the significant value as the independent textbook for the children published by a domestic scholar, however, it seemed to be treated carelessly compared to the other children’s books such as ‘Thousand-Character Classic,’ ‘Classic of Filial Piety,’ and so on. This might be resulted from unrevealed aspects of the book in terms of cultural history including the process of its publication, publisher, system, type, transition, distribution, and so on so far. In this article, several points were reviewed to be treated or supplemented newly in view of bibliography upon confirmation of the evidence for the distribution of early Chosun edition in addition to the woodblock-printed book of Dongmongseonseup or author related contents reviewed in the previous bibliographical studies,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Dongmongseonseup had been wood-blocked, printed, and distributed at least before February 1547 from the records of the document that was sent to Baek Woon Dong Private School. Second, upon the supplementary review result of the author theory with An Kook Kim referring to the data that were not reviewed in the past, the background that An Kook Kim was described as the author of Dongmongseonseup in the preface and the main contents of Daedong Woonboo Goonok by Moon Hae Kwon might be the error from the process transited from the transcribed copies into the woodblock editions. Third, the edition possessed by Jangseogak was assumed to be produced since nineteenth century from the bibliographical historical investigation for copied edition of Dongmongseonseup in Jangseogak. Fourth, the publication period of Dongmongseonseup in Choonbang edition was determined by the analysis of Ganyuk Diary. These studies seem to be the evidences to be able to approach Dongmongseonseup in view of cultural history in the future. 「동몽선습」은 조선시대에 민간에서 주도하여 편찬한 대표적 아동학습서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아동의 학습서 중에 국내 학자에 의해 저술된 독자적 교재라는 큰 가치를 고려하면 「천자문」, 「효경」 등 다른 아동학습서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룬 면이 없지 않다. 이는 그동안 이 책의 생성과정, 편찬자, 체제, 유형, 변천 및 유통 등 책의 문화사적 측면이 제대로 드러나지 않은 것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이 글에서는 기존의 서지적 연구에서 다룬 『동몽선습』의 판본이나 저자관련 내용파악에 더하여 판본정리와 함께 특히 조선전기본의 유통에 대한 단서를 확인하고 서지적 측면에서 새롭게 다루거나 보완해야 할 몇 가지 사항을 검토해 보았다. 그 내용은 백운동서원에 보낸 문서의 기록을 통해서 「동몽선습」이 최소한 1547년 2월 이전에 판각, 인쇄되어 유통되고 있었다는 사실을 확인한 것이다. 또한 기존에 살펴보지 못했던 자료를 참고하여 김안국 저자설에 대한 보완적 검토결과 권문해의 「대동운부군옥」 인용서목과 본문에서 김안국을 「동몽선습」의 저자로 표시하게 된 배경에는 여러 필사본의 작성과 후에 목판본으로 이어지는 과정이 있었고 이 과정에서 오류가 생성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장서각 소장 필사본 『동몽선습』에 대한 서지적 고증을 통해서 장서각 소장본이 19세기 이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그리고 간역일기의 분석을 통해 춘방장판 『동몽선습』의 간행시기를 확정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는 향후 『동몽선습』의 문화사적 접근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단초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장서각 소장 어제류 간본의 서지적 분석

        옥영정 한국서지학회 2004 서지학연구 Vol.29 No.-

        藏書閣의 장서는 규장각과 더불어 한국 왕실자료의 寶庫로 알려져 왔다. 수많은 장서각의 자료 중에는 임금이 직접 찬술하거나 왕명을 받아 대신 편찬한 御製類 서책이 많으며 자랑스러운 한국의 문화유산으로서 그 연구가치가 매우 높다. 이 연구는 어제류 서적의 전체적 정리를 위한 기본적 과정으로 장서각의 소장자료를 우선대상으로 삼아 고찰하여 보았다. 우선 藏書閣 御製類 서적의 보존과정과 범위를 알아보는 의미에서 장서각의 서적 보존경위, 그 중에서도 특히 어제류 서적의 보존과정을 간략하게 살펴보았고 왕실도서를 주로 포함하고 있는 書目 중에 어제류 서적이 저록된 상황을 살펴보았다. 또한 현재 장서각에 소장된 어제류 서적으로 인쇄하여 간행한 자료의 현황을 살피고 그 의의와 형태적인 특징을 살펴보았다. The collection of Changseogak(藏書閣) with that of Kyujanggak(奎章閣) were known as the treasures of royal documents and have value of research as korean cultural heritage. Ojeryu(御製類) written by king for himself or compiled by the royal orders holds many portions of the collection. This study is to survey Ojeryu kept in Changseogak as priority items for arrange Ojeryu in general. First, to search process and extent of preservation of Ojeryu kept in the Changseogak investigated details of preservation of collection of Changseogak especially process of preservation of Ojeryu and records about Ojeryu on catalogue of books include many records of Royal books. Also researched form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the printed editions of Ojeryu kept in the Changseogak to survey present states of them.

      • KCI등재

        한글 금속활자 복원을 위한 주조 및 조판 실험 연구

        옥영정 한국서지학회 2007 서지학연구 Vol.38 No.-

        This experimental research is a follow-up study of “A research on the restoration of metal printing types casting and printing technical history” conducted by Cheongju University and sponsored by Cheongju-si. This research is aimed to restore about 40 movable metal types cast in the Joseon period. This year,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restore 6 kinds of Kabin-ja Movable Types(1434) and 4 kinds of Korean alphabet Movable Metal Types, including movable types used for printing the "Songs of the Moon’s Reflection on a Thousand River(Wrin ch’gang chi kok, 1447)" and "Episodes from the Life of the Buddha (Skpo sangjl, 1447)". In this paper, the experimental process of selecting prints and typesetting 4 kinds of Korean alphabet metal types are described. 본 실험은 2005-2006년도에 청주시가 발주하고 청주대학교 학술연구소가 수행한 금속활자 주조 및 인쇄기술사 복원 연구에서 “금속활자 주조 및 인쇄기술사 복원사업”을 수행한 결과를 기초로 약 40여종에 이르는 조선왕실 주조 금속활자(官鑄活字)를 중장기적으로 복원하는 후속사업이다. 올해에는 먼저 조선시대 금속활자 가운데 가장 찬란한 금속활자로 평가받는 <甲寅字; 1434)> 6종과 <월인천강지곡(석보상절)(1447)> 등 4종의 한글 금속활자를 복원하는 것이 목표이다. 본고에서는 그 중 한글 금속활자 4종의 인본을 선정하고 주조/조판하는 실험 진행 과정을 기술하였다.

      • KCI등재

        冊板目錄을 통해본 조선시대 善山지역의 목판인쇄문화 연구

        옥영정 한국서지학회 2006 서지학연구 Vol.34 No.-

        As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publishing culture of every region in the Joseon period, this study analyzes the Catalogue of the Woodblocks to examine the woodblock printing in Seonsan, Gyeongbuk Province, which was well-known for Youngnam Confucian Scholars. First of all, in this study, based on the historical documents and the actual inspection of books, histor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Seonsan region is reviewed. Then, the contents of books mentioned in the Catalogue of the Woodblocks are specifically discussed. It could help describe the printing situations of individual publications, and understand better the general situation of woodblock printing culture in Seonsan region.Twelve titles of books published in the early Joseon, and thirty two titles of books published in the late Joseon are finally confirmed. Most of them are the Confucian classics and educational books compiled in the early Joseon period. Compared with the late Joseon, the majority of printing blocks made at private residences focused on the private collection of local works or the authentic record. Also, this study introduces Seonsan-Bu Sojae Chaekpanki recently known as the catalogue of the woodblocks located in Seonsan, and examines its editorial style, the period and background of its publication, and the contents of printing blocks listed in the book.In the Joseon period, most provincial districts collected their own printing blocks, and printed books with them. Some of those blocks have been handed down until now. In order to inherit, preserve and develop them as local historical and cultural tradition, more research on the scale and types of publications and the investigation on their existence should be conducted. 이 연구는 조선 시대 각 지방의 출판 문화 활동을 파악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영남 사림의 근원지로 알려진 경북 선산지역의 목판인쇄문화를 책판목록의 기록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조선 시대 이전의 역사 기록과 실물 자료를 바탕으로 선산 지역의 역사와 문화적 특징을 정리하였으며 책판 목록에 수록된 간행된 서책의 내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다루었다. 이는 책판목록에 수록된 다른 지역의 간본 연구를 체계화 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선산 지역을 언급하고 있는 책판 목록을 조사하여 종합화하였으며, 그 다음에 개별 서책의 간행 상황을 밝혀서 선산 지역에서 간행된 목판 인쇄 문화의 전체적 상황을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조선 전기 12종, 조선 후기 32종의 간행 서책을 확인하였다. 또한 선산 지역의 책판 목록으로 새롭게 알려지는 善山府所在冊板記에 대한 소개와 함께 편찬체제, 작성시기와 그 배경, 수록 책판 등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조선 시대에 전국 郡 단위 이상의 각 고을 마다에는 대부분 책판이 소장되어 있었고 서책을 간행하였으며, 현재까지도 전해지고 있는 것도 있지만 이를 지역의 문화 유산이나 전통으로 계승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이 연구와 같이 실제 간행된 서책의 규모, 종류, 실존 여부 등을 파악하는 중간 단계의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 KCI등재

        직지와 금속활자의 아름다움

        옥영정 한국서지학회 2004 서지학연구 Vol.28 No.-

        Metal type like Kemi-ja(癸未字), Kyoengja-ja(庚子字), Gabin-ja(甲寅字) in Chosun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art of metal type in Koryo Dynasty. Although the invention of metal type resulted from practical use, found that ancestor also considered beauty through inspecting existing metal type prints like 「Baekwoon Hwasang Chorok Jikji Shimche Yojol」(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 This paper is to survey Korean aesthetics showed in metal type casting and printing before 1592. so divided early Chosun into development times of metal type, improvement times, diffusion times and observed characteristics emphasized on beauty of individual metal type 실물로 유일하게 남아있는 고려시대의 금속활자본 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의 인쇄문화는 조선시대에도 계승되어 계미자, 경자자, 갑인자 등 금속활자의 개량 발전을 이루는데 바탕이 되었다. 비록 금속활자가 실용적인 활자의 필요성에 의해서 발명되었지만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인간의 미의식은 실용적인 측면에만 그치지 않고 인쇄된 출판물의 미적 측면을 고려하고 있음을 실물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 글은 임진왜란 이전 조선전기까지의 금속활자인쇄에 담겨진 한국인의 미의식을 살펴보기 위한 것으로 금속활자의 주조와 인쇄에 의해서 표현된 발전적 측면을 알아보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서 조선시대 금속활자를 개발시기, 개량시기, 보급․확대시기의 3시기로 구분하고 각 금속활자마다 미의식을 표현하고 있는 사항에 역점을 두어 살펴보았다.

      • KCI등재

        국내 현존 宋․元本의 조사와 書誌的 분석

        옥영정 한국서지학회 2012 서지학연구 Vol.52 No.-

        This study is about the editions published in the Song and Yuan dynasty and organizes overall the distinguisher standard for them that many scholars have suggested. On the basis of that, it aims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editions published in the Song and Yuan dynasty within the country, and to determine the right distinguisher and value of each book. The 1st chapter organized and synthesized the existing theories on the basis of the book design format, book binding, fiber quality, ink, style of calligraphy, cutting method, naming taboo, carving artisan, and colophon in order to present the distinguisher standard for the editions published in the Song and Yuan dynasty. The 2nd chapter determined annotated bibliography and system of its printed edition by investigating the editions published in the Song and Yuan dynasty.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3 kinds in the Song printed edition and 13 kinds in the Yuan dynasty printed ed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publication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inted editions, and comparatively reconsidered the reprinted ones by investigating the documents and existing editions as well as analyzed the detail items to distinguish the book correctly. This study will furnish the primary information to politics, economy, society, Korean linguistics, medical science, and Buddhism above a bibliography or Korea-China book exchange history in the Joseon dynasty. 이 연구는 국내 소장 宋․元本에 대한 연구로 먼저 여러 학자들이 제시한 송․원본의 감별의 기준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였고 이를 근거로 국내에 소장된 송․원본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개별 서적에 대한 올바른 감별과 가치를 밝히고자 한 것이다. 제1장에서는 송․원본 감별의 기준을 제시하기 위해 版式, 裝幀, 紙質, 墨, 字體, 刀法, 避諱, 刻工, 刊記 등을 근거로 송․원본에 대한 기존 학설을 정리하고 이를 종합하였다. 제2장에서는 국내에 소장된 송․원본을 조사하여 해당 간본에 대한 개별해제와 간본의 계통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송간본은 3종, 원간본 13종으로 조사되었다. 국내에 소장된 송․원본의 현황을 파악하는 한편 개별 서적에 대해서는 해당 서적에 대한 개괄, 역대 간행, 국내 소장본의 판본감별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하나의 서적을 정확하게 감별하기 위해 형태적인 사항을 분석하는 것과 동시에 문헌기록과 현전본에 대한 조사를 통해 역대 간본들의 간행 추이와 간본의 특징을 살펴보고 간본 상호간의 비교검토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는 서지학이나 조선시대 한-중 서적교류사를 뛰어넘어 정치, 경제, 사회, 국어학, 의학, 불교학 등 각 분야의 연구자들에게 1차적인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