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신 중 마이크로파에 노출된 새끼 생쥐의 난소 유전자의 세대간 전달

        황종윤 ( Jong Yun Hwang ),나성훈 ( Sung Hun Na ),이향아 ( Hyang Ah Lee ),이동헌 ( Dong Hun Lee ),이희제 ( Hee Jae Lee ),김송인 ( Song In Kim ),최용준 ( Yong Joon Choi ),황희용 ( Hee Yong Hwan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3 No.11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임신 중 핸드폰 1.765 GHz 마이크로파에 노출된 후 태어난 생쥐의 난소에서 발현에 장애를 보인 유전자의 세대간 전달 유무를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본 연구에서 사용된 1.765 GHz의 주파수를 가진 마이크로파이다. 마이크로파가 실험 생쥐에게 골고루 노출되기 위해서 모노폴 안테나는 실험 장소에서 정가운데에 위치하도록 고정하였다. 세대간 연구를 위하여 1세대는 ICR 계통의 임신한 생쥐 20마리를 분양 받아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각각 10마리씩 구분하여 교미 5일째부터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8시간 동안 마이크로파에 노출하였고 출산 직전까지 실험을 진행하였다. 분만 후 태어난 2세대 생쥐는 8주간의 사육 후 총 4개 군으로 구분하여 1군은 전자파 여성 생쥐5마리와 전자파 남성 생쥐 5마리, 2군은 전자파 여성 생쥐 5마리와 대조군 남성 생쥐 5마리, 3군은 전자파 남성 생쥐 5마리와 대조군 여성 생쥐 5마리, 4군은 정상 여성 생쥐 5마리와 정상 남성 생쥐 5마리로 구별하여 각각을 교미하였다. 각 군을 동일한 조건에서 사육하고 첫 번째, 두 번째 임신은 모두 버리고 3번째 임신으로 태어난 3세대의 생쥐를 분만 후 7일 후에 난소를 적출하고 real time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로 유전자 발현을 확인하였다. 결과: 적출한 난소에서 tumor necrosis factor alpha induced protein 8 (TNFaip 8), tumor necrosis factor superfamily 12 (TNFsf 12), complement factor D (Cfd), chemokine (C-C motif) ligands 11 (CCL 11), Zinc Finger Protein 74 (Zfp 74), Bromodomain containing 3 (Brd 3) 유전자를 대상으로 2세대에서 유전자와 비슷한 결과를 도출하는지를 알아보는 실험을 진행한 결과 1군과 4군을 비교하여 보았을 때 TNFaip 8, CCL 11유전자는 1군에서 4군보다 유전자 발현이 낮음을 확인하였지만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 TNFsf 12, Cfd, Zfp 74는 2세대 난소 유전자 발현과는 반대로 1군에서 4군보다 유전자 발현이 높았다. Brd 3유전자의 경우는 2세대 난소 유전자 발현 실험에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지만 본 실험에서는 1군이 4군보다 높았지만 통계학적 유의성은 찾지 못했다. 결론: 임신 중 1.765 GHz에 노출된 후 태어난 3세대 생쥐의 난소 유전자에서는 마이크로파에 노출된 후 발현에 차이가 있던 2세대 생쥐의 난소 유전자들이 동일하게 관찰되지 않아 유전자의 세대간 전달이 되지 않았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generational accumulation of murine fetal ovarian genes following prenatal exposure to 1.765-GHz microwave radiation. Methods: A 1.765-GHz microwave generator was used. Twenty pregnant ICR mice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microwave-exposed experimental (irradiated) group, and the sham-exposed (sham) group. On the fifth day post-mating, dam mice were exposed to microwave irradiation in the insulated cage for 8 hours each day. The remaining mice were treated in the same way. Second generation mice were raised for 8 weeks then classified into four groups for examination. We removed the neonatal ovaries on the seventh day after the third delivery. We investigated the expression of six genes in the ovaries: Tnfaip 8, TNFsf 12, Cfd, CCL 11, Zfp 74, and Brd 3. Real time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was performed using total RNA extracted from the removed ovaries. Results: In the third-generation offspring, we detected some differences in ovarian gene expression between the first group and the fourth. Expression of CCL 11, and TNFsf 12 was decreased in the first group compared to the fourth group. Expression of Tnfaip 8, brd 3, Cfd, and Zfp 74 was higher in the first group than in the fourth group. We found differing results when we compared ovarian gene expression in mice of the second generation with those of the third.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no generational accumulation of murine ovarian genes in offspring exposed to 1.765-GHz microwaves in the uterus.

      • KCI등재후보

        Serially Sectioned and Segmented Images of the Mouse for Learning Mouse Anatomy

        박진서(Jin Seo Park),정민석(Min Suk Chung),황성배(Sung Bae Hwang) 대한해부학회 2006 Anatomy & Cell Biology Vol.39 No.4

        생쥐를 갖고 실험하는 연구자는 생쥐의 해부학을 알아야 한다. 생쥐의 연속절단면영상과 구역화영상을 쌓아서 3차원영상을 만들면 생쥐의 입체 생김새를 이해하는 데 도움 될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생쥐의 연속절단면영상과 구역화영상을 만들고 이를 널리 퍼뜨려서 다른 연구자가 생쥐의 3차원영상을 만들게 하는 것이다. 연속절단기를 써서 수컷 생쥐와 암컷 생쥐를 0.5 mm 간격으로 가로절단한 다음에 절단면을 디지털사진기로 찍어서 연속절단면영상을 만들었다. 암컷 생쥐의 연속절단면영상에서 보이는 14개 구조물을 반자동으로 구역화해서(어도비 포토샵 소프트웨어) 구역화영상을 만들었다. 연속절단면영상과 구역화영상을 쌓아서 이마, 마루영상을 만든 다음에 정렬이 맞는지, 구역화가 제대로 되었는지 확인하였다. 앞으로 수컷 생쥐의 구역화영상도 만들 계획이다. 이 연구에서 만든 생쥐의 연속절단면영상과 구역화영상을 퍼뜨리면, 다른 연구자가 생쥐의 3차원영상과 가상해부 소프트웨어를 만들 수 있고, 나아가 생쥐의 입체 생김새를 이해하는 데 도움 될 것이다. Mouse anatomy is fundamental knowledge for researchers who perform biomedical experiments with mice. The purpose of our research is to present the serially sectioned images and segmented images of the mouse to produce three-dimensional images of the mouse, which are helpful in learning mouse anatomy. Using a cryomacrotome, a couple of male and female mice were transversely serially sectioned at 0.5 mm intervals to make sectioned surfaces. The sectioned surfaces were digitalized to make serially sectioned images. In the serially sectioned images of the female mouse, 14 structures including skin and bones were semi-automatically segmented on Adobe Photoshop software to make segmented images. The serially sectioned images and segmented images were stacked to make sagittal and coronal images, which were used for verifying the serially sectioned images and segmented images. In this ongoing research, the segmented images of male mouse will be added. All serially sectioned images and segmented images of the mouse will be presented worldwide. These images are expected to be used by many researcher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images and virtual dissection software of the mouse, which are helpful in comprehending the stereoscopic morphology of the mouse’s structures.

      • KCI등재후보

        Tottering/leaner 생쥐 소뇌에서 조롱박세포의 가지돌기가시와 평형섬유염주사이의 신경연접 가소성

        유임주(Im Joo Rhyu),박창현(Chang Hyun Park),전용혁(Yong Hyuck Chun),서영석(Young-Suk Suh) 대한해부학회 1999 Anatomy & Cell Biology Vol.32 No.2

        Tottering 생쥐는 운동실조증, 소발작, 간헐성근경련과 유사한 운동장애등의 신경학적 증상을 보이는 변종생쥐이다. tottering (tg) 유전인자는 생쥐의 8번 염색체에 위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보통염색체 열성으로 분류된다. 최근 tottering/leaner 생쥐의 전압의존성칼슘채널 α1A subunit 유전자 변이가 보고되었으며 사람의 보통염색체 우성 소뇌성운동실조증 (Autosomal dominant cerebellar ataxia: SCA6), 가족성반신불수성편두통 (Familial hemiplegic migraine) 및 제2 형간헐성운동실조증 (Episodic ataxia type-2) 등의 질환 모델로서 활용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이들 생쥐의 소뇌 분자층에서 과립세포 평행섬유와 조롱박세포 가지돌기가시 사이의 신경연접 가소성이 관찰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tottering/leaner 생쥐에서 소뇌 분자층의 신경연접을 운동실조가 나타나는 시기에 따라 조롱박세포 가지돌기가 시극돌기와 과립세포 평형섬유팽대사이의 신경연접을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고, 전압의존성칼슘채널 α1A subunit 이상으로 유발된 세포내 전해질 변화가 조롱박세포의 형태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기 위해 성숙한 tottering/leaner 생쥐의 소뇌를 항 calbindin-28 kd 면역염색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tottering/leaner 잡종생쥐의 조롱박세포에서 가지돌기가시는 정상대조군에 비하여 세포쪽부위에서 나오는 것이 많이 관찰 되었으며 축삭은 드물지 않게 축삭염주가 관찰되었다. 조롱박세포의 가지돌기가시와 과립세포의 평행섬유염주사이 신경연접에서 3개 이상의 신경연접은, tottering 생쥐에서는 30일군에서, tottering/leaner 잡종에서는 18일군에서, leaner 생쥐에서는 15일군에서 쉽게 관찰되었다. 이상에서 관찰된 형태학적 소견들은 이들 변종생쥐들의 운동실조증과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The tottering (tg/tg) is neurologic mutant mouse exhibiting three neurological disorders: ataxia, petit mal-like absence seizures and myoclonic intermittent movement disorder. The tottering mouse carries an autosomal recessive single gene mutation on chromosome 8. The leaner (tgla) and Nagoya rolling (tgrol) are another two alleles of the tottering (tg). The combination of two mutant (tottering and leaner) produces compound heterozygous, tottering/leaner (tg/tgla) mouse. The genetic etilogy of the tottering and leaner was identified to be a mutation in voltage-dependent calcium channel α1A subunit. It made us link these animal model to human neurologic disease such as autosomal dominant cerebellar ataxia (SCA6), familial hemiplegic migraine and episodic ataxia type-2. The different onset and severity of neurological symptom of these three mutants (tg/tg, tg/tgla, tgla/tgla) offer good scale to analysis of pathophysiolgy of the neurologic disorder. Altered synapase between parallel fiber varicosity and dendritic spines of Purkinje cell was observed in adult tottering and leaner mice. Through the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 and anticalbindin-28 kd immunohistochemistry, we anaylzed not only the relationship between neurologic symptoms and synaptic plasticity around the ataxic onset of tottering, leaner and tottering leaner double mutation but also Purkinje cell morphology affected by voltage-sensitive calcium channel α1A subunit mutation in totterring mouse. Purkinje cell dendritic spines from proximal dendrites and axonal swellings of Purkine cell were observed frequently in wild type mice. The first apperance point of altered synapse based on semi-quantitative analysis was postnatal 15 days in leaner, postnatal 18 days in totering/leaner double mutation, and 30 days in tottering. These data suggest that altered synapse is associated with ataxia in tottering and leaner mice. Further study is needed to determine whether altered synapse is primary cause of ataxia.

      • KCI등재

        유전자결핍 생쥐를 이용한 aquaporin-3의 태반 내 분포 및 기능 연구

        김하정 ( Ha Jeong Kim ),나용진 ( Yong Jin Na ),김기형 ( Ki Hyung Kim ),이동형 ( Dong Hyung Lee ),김휘곤 ( Hwi Gon Kim ),조무성 ( Mu Seong Jo ),정준양 ( Jun Yang Jung ),전미련 ( Mei Lian Quan ),배혜란 ( Hae Rahn Bae ),최욱환 ( Ook 대한산부인과학회 200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2 No.8

        목적: Aquaporin (AQP) 3은 세포막을 통한 선택적인 수분과 글리세롤 이동을 촉진시키는 수분통로 단백질이다. 본 연구는 AQP3 유전자결핍 생쥐를 이용하여 태반에서 AQP3을 통한 수분 및 글리세롤 이동이 양수 및 태아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재태 14.5일된 야생형 및 AQP3 유전결핍생쥐 각각 30마리에서 임신낭을 적출하여 양수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AQP3 발현 및 분포는 면역조직화학법과 western blot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재태 14.5일된 생쥐 태반에서 AQP3는 태아막의 난황막세포의 기저측면막과 미로 태반의 융합영양막세포에 가장 높게 발현되었다. 반면 AQP1은 태아막의 난황막세포의 관강막과 미로 태반의 혈관조직에 고농도로 발현되었다. AQP3 유전자결핍 생쥐의 재태 14.5일이 태반은 야생형 CD1 생쥐와 비교할 때 태반 형성 및 태반 세포의 분화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AQP3 유전자결핍 생쥐는 야생형 CD1 생쥐에 비해 태아 단위 무게 당 양수량은 증가되었으며, 양수의 삼투질 농도는 감소되었고, 이로 인해 양수 내 이온과 다른 용질의 농도가 낮았다. 또한 AQP3 유전자결핍 생쥐 태아 평균 체중은 야생형 생쥐의 70% 수준으로 감소되어 있었다. 결론: AQP3는 모체 혈액 및 난황과 접하고 있는 태반과 태아막에 풍부하게 발현되어 이를 통한 수분과 글리세롤의 이동을 촉진시킴으로써 양수 조절 및 태아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Objective: Aquaporin (AQP) 3 is a small integral membrane protein that functions as a facilitated transporter of water and glycerol. To elucidate a role of AQP3 in placenta, changes in amniotic fluid composition and fetal growth were investigated using AQP3 null mice. Methods: Embryonic day 14,5 gestational sacs of wild-type and AQP3 kncok-out pregnant mice, thirty each, were used for this study. AQP3 localization and expression were assessed by immunohistochemistry and western blot. Results: AQP3 was highly expressed in basolateral membrane of visceral yolk sac cells of fetal membrane and syncytiotrophoblast cells of labyrinthine placenta. In contrast, AQP1 was expressed in apical membrane of visceral yolk sac cells and endothelial cells lining vasculatur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normal placentation and differentiation from trophoblast stem cells between wild type and AQP3 null mice. However, AQP3 null mice had increased amount of amniotic fluid per gram of body weight and decreased osmorality of amniotic fluid with low concentrations of ions and solutes in amniotic fluid. In addition, AQP3 null mice pups were smaller than CD1 wild type mice. Conclusion: AQP3 plays an important role in amniotic water balance and nutrient supply to developing fetus by facilitating transplacental transport of water and glycerol.

      • KCI등재

        Amisulpride의 지속 투여가 생쥐의 성별에 따른 체중 및 대사에 미치는 영향

        이효진,신윤오,전병화,박룡진,김정란,Lee, Hyo-Jin,Shin, Yun-O,Jeon, Byeong-Wha,Piao, LongZhen,Kim, Jeong-Lan 대한생물정신의학회 2008 생물정신의학 Vol.15 No.2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n food intake, body weight, and metabolic parameters by amisulpride administration in male and female mice, comparing the effects of risperidone and vehicle administration. Methods : Female and male C57BL/6 mice were grouped into low dose amisulpride(1.5mg/kg), high dose amisulpride(15mg/kg), risperidone(0.1mg/kg) and vehicle. Drugs were administered once daily through intraperitoneal injection over 21days. Body weight was measured weekly and food intake was measured daily. Levels of triglyceride, glucose, insulin and prolactin were determined at the end of experiment(on day 22). Results : In the female mice, low and high dose amisulpride as well as risperidone caused significant weight gains. But weight gains in amisulpride groups were numerically smaller than that of risperidone group. In male mice, only high dose amisulpride caused significant weight gain. Among weight gain groups, only weight gain of male mice with high dose amisulprid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ncreased food intake. Weight gain group in female mice did not show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food intake. In male mice, both amisulpride groups showed significantly high plasma insulin levels compared to vehicle. In female and male mice, low and high dose amiulpride groups showed significant high plasma prolactin levels compared to vehicle. Triglyceride level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in all groups. Glucose level was changed significantly only in male risperidone group. Conclusions : Administration of amisulpride caused more significant weight gains in female and male mice than controls but changes of metabolic parameter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sex of mice. Our results suggest that different mechanisms of amisulpiride are likely to affect weight gain between male and female mice. 목 적 이 연구는 수컷과 암컷 생쥐에서 amisulpride를 투여하였을 때 먹이 섭취량, 체중 및 대사 지표에 대한 영향을 risperidone 및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수컷과 암컷 C57BL/6형 생쥐를 저용량 amisulpride 투여군(1.5mg/kg), 고용량 amisulpride투여군(15mg/kg), risperidone 투여군(0.1mg/kg)과 Vehicle군으로 나누었다. 약물은 21일간 매일 하루에 한 번 복강 주사를 통해 투여되었다. 체중은 일주일에 한 번씩 측정하였으며 먹이 섭취량은 매일 측정하였다. Triglyceride(TG), glucose, insulin 그리고 prolactin은 실험 종료 시에 측정하였다(실험 22일). 결 과 암컷 생쥐의 경우, 저용량과 고용량의 amisulpride 투여군에서는 유의한 체중 증가를 보였으며, risperidone 역시 유의한 체중 증가를 보였다. 그러나, 두 amisulpride군의 증가량은 risperidone군의 증가량에 비해 수치적으로 작았다. 수컷 생쥐의 경우, 고용량의 amisulpride만이 유의한 체중 증가를 가져왔다. 체중 증가를 보였던 집단 중에서, 고용량의 amisulpride를 투여하였던 수컷 생쥐만이 유의하게 증가된 먹이 섭취량과 연관성이 있었다. 암컷 생쥐에서 체중 증가를 보였던 군들은 먹이 섭취량과 유의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수컷 생쥐에서, 두 개의 amisulpride 투여군 모두는 vehicle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혈장 insulin 수치를 보였다. 암컷과 수컷 생쥐에서, 저용량과 고용량의 amisulpride 투여군은 vehicle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높은 혈장 prolactin수치를 보였다. Triglyceride는 모든 집단에서 유의하게 변화하지 않았으며 glucose는 수컷 risperidone 투여군에서만 유의하게 변화하였다. 결 론 Amisulpride는 암수 생쥐에서 체중 증가를 일으키지만, 대사 이상에 대한 결과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amisulpride에 의한 체중 증가에 암수 생쥐에서 서로 다른 기전이 작용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펩티드가 제한된 상황에서 transgenic CD4 T 세포의 발달

        이동섭(Dong-Sup Lee),이왕재(Wang Jae Lee) 대한해부학회 1999 Anatomy & Cell Biology Vol.32 No.5

        MHC class II 분자의 펩티드결합과정에 관여하는 H2-M 분자의 다른 class II 분자에 대한 영향을 보고자 H2-M 결핍 H2- E transgenic 생쥐를 만들고, 이 생쥐의 H2-E 분자에 결합된 자기펩티드의 다양성 여부를 규명하고자 AND -> H2-M 결핍 H2-E transgenic 생쥐 골수잡종 (bone marrow chimera)을 만들어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H2-M 결핍 H2-E transgenic 생쥐의 경우는 정상의 B6와 유사한 가슴샘세포의 비율을 보여서 CD4/CD8 비율이 2 정도 되었으며 double positive 인 미성숙 가슴샘세포가 약 85%의 비율을 차지하였다. 2. H2-M 결핍 H2-E transgenic 생쥐의 경우는 말초 림프절에서도 정상 B6와 유사한 비율을 보여서 CD4 세포가 CD8 세포 보다 1.5~2배 정도 많았다. 3. AND -> H2-M+/- H2-E transgenic 생쥐 골수잡종의 경우 가슴샘에서 발달하는 CD4 세포의 비율이 정상의 AND transgenic 생쥐의 경우와 비슷하였다. 4. AND -> H2-M 결핍 H2-E transgenic 생쥐 골수잡종의 경우는 B6 환경의 AND transgenic 생쥐나 AND -> H2-M+/- H2-E transgenic 생쥐 골수잡종과 비교하면 덜 효과적인 CD4 세포의 발달을 보였으나 상당한 양의 transgenic CD4 세포가 발달하였다. 이는 H2-M 결핍상태에서도 H2-E 분자는 상당한 양의 자기펩티드를 결합하고 있어서 AND CD4 세포의 발달을 보조한 결과로 생각되었다.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ole of H2-M molecule on class II molecule other than H2-Ab we made H2-M deficient H2-E transgenic mice and to see the peptide diversity on H2-E molecule in these mice, we contructed AND -> H2- M deficient H2-E transgenic bone marrow chimeras.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1. The phenotype of thymus of H2-M deficient H2-E transgenic mice showed similar CD4 and CD8 single positive thymocyte amount as normal wild type B6 mice with CD4/CD8 ratio around 2. The percentage of double positive cells were about 85%. 2. In the periphery, H2-M deficient H2-E transgenic mice also showed similar amount of CD4 and CD8 cells as normal wild type B6 mice. The CD4/CD8 ratio was 1.5~2. 3. The development of transgenic CD4 cells from AND -> H2-M+/- H2-E transgenic bone marrow chimera was similar to wild type AND transgenic mice. 4. The development of transgenic CD4 cells from AND -> H2-M deficient H2-E transgenic bone marrow chimera was reduced compared to wild type AND transgenic mice or AND -> H2-M+/- H2-E transgenic bone marrow chimeras. But the amount of CD4 cells developed in these chimeras were significant and H2-E molecule could bind some self peptides in the absence of H2-M molecules and support the CD4 cell development in these chimeras.

      • KCI등재

        Aquaporin-3 유전자 결핍 생쥐의 속수질집합관세포에서 H±-ATPase의 발현

        이은정(Eun-Jung Lee),김완영(Wan-Young Kim),한기환(Ki-Hwan Han),김 향(Hyang Kim),김 진(Jin Kim) 대한해부학회 2003 Anatomy & Cell Biology Vol.36 No.5

        최근 AQP1 (-/-) 생쥐 콩팥의 속수질집합관 (inner medullary collecting duct, IMCD) 세포에서 H±-ATPase가 발현되며, IMCD에서의 H±-ATPase 발현은 수분통로인 AQP1 결핍으로 요농축기전 장애가 일어나 형성된 콩팥수질내 저장성환경에 의하여 유발될 것으로 추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콩팥수질내 저장성환경과 IMCD세포에서의 H±-ATPase 발현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AQP1 (-/-) 생쥐에 비하여 요농축기전 장애가 더 심한 것으로 보고된 AQP3 (-/-) 생쥐 콩팥에서 H± 분비에 주로 관여하는 Na±-H± 교환체(NHE3)와 H±-ATPase의 발현 양상을 광학 및 전자현미경적 면역세포화학법으로 AQP3 (±/±) 및 AQP1 (-/-) 생쥐와 비교 관찰하였다. AQP3 (-/-)와 AQP1 (-/-) 생쥐에서 피질 및 수질집합관내 A형 사이세포의 활성이 약간 증가되어 있었고, IMCD세포의 자유면세포막에서 강한 H±-ATPase 면역반응성을 관찰할 수 있었 다. 그러나 근위세관과 헨레고리의 굵은오름부분에서 H± 분비에 주로 관여하는 NHE3의 면역반응성은 AQP3 (-/-) 및 AQP1 (-/-) 생쥐 모두 AQP3 (±/±) 생쥐에서와 비슷하였다. 이상의 소견으로 보아 AQP3 (-/-) 생쥐에서도 AQP1 (-/-) 생쥐에서와 같이 IMCD세포에 H±-ATPase가 강하게 발현 되며, 이는 집합관내 수분통로 결핍으로 인한 요농축기전 장애에 의하여 형성된 콩팥수질내 사이질의 저장성환경과 관련 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decrease in urinary pH observed in AQP1 null mice with a urinary concentrating defect is due to upregulation of H±-ATPase in the IMCD. This is thought to be caused by the chronically low interstitial osmolality in these animals. To explore whether increase of H±-ATPase expression in the IMCD is associated with changes in the prolonged decrease of interstitial osmolality, we examined the expression of H±-ATPase and Na±-H± exchanger (NHE3) using light and electron microscopic immunocytochemistry in the kidneys of AQP3 null mice which are polyuric and manifest a urinary concentrating defect because of an inability to create a hypertonic medullary interstitium. In both AQP3 (-/-) and AQP1 (-/-) mouse kidneys, type A intercalated cells in cortical and medullary collecting ducts are slightly activated, and strong H±-ATPase immunostaining was present in the apical plasma membrane of IMCD cells, whereas no H±-ATPase labeling was observed in IMCD cells in wild type mice. No differences of the immunoreactivity for NHE3 in the proximal tubule and thick ascending limb of loop of Henle were observed between AQP3 or AQP1 (-/-) mice and AQP3 (±/±) mous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nduction of H±-ATPase expression in IMCD cells of AQP3 null mice, as well as AQP1 null mice, may be related to their chronically low interstitial osmolality.

      • KCI등재

        간헐절식에 의한 고지방식이 생쥐의 비장 갈렉틴-3단백발현에 미치는 영향

        이정은 대한체질인류학회 2023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36 No.4

        비알코올지방간질환은 비장 대식세포의 증가를 유발한다. 갈렉틴-3은 대식세포의 식세포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비알코올지방간질환에서 비장 갈렉틴-3의 역할은 아직 불분명하다. 본 연구에서는 고지방식이를 먹인 생쥐의 비장 갈렉틴-3 단백질에 대한 간헐절식의 효과를 확인한다. 생쥐에게 30주 동안 고지방식이를 먹인 다음 고지방식이를 계속 먹거나 마지막 22주 동안 간헐절식을 실시하였다. 간헐절식은 고지방식이 생쥐의 비장 무게를 감소시키고, 비알코올지방간질환을 감소시켰다. 특히, 정상식이 생쥐에 비해 고지방식이 생쥐에서 비장내 철 농도가 감소하였다. 하지만 간헐절식은 비장내의 철분을 증가시켰다. 고지방식이 생쥐에서 증가된 비장 갈렉틴-3 단백발현이 간헐절식에 의해 크게 감소되었다. 또한, 고지방식이 간헐절식 생쥐는 고지방식이 생쥐보다 비장 갈렉틴-3발현 대식세포가 더 적었다. 본 연구결과는 비알코올지방간질환 생쥐에서 간헐절식이 비장의 갈렉틴-3매게 대식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causes the increase of splenic macrophages. Galectin-3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hagocytosis of macrophages. However, the role of splenic galectin-3 in NAFLD remains unclear. This study determines the effects of intermittent fasting (IF) on splenic galectin-3 protein expression in high-fat diet (HFD)-fed mice. Mice were fed an HFD for 30 weeks and then either continued on the HFD or subjected to IF for the last 22 weeks. IF led to the reduction of spleen weight and attenuated NAFLD in HFD-fed mice. In particular, total splenic iron concentration was decreased in HFD-fed mice compared to NDꠓfed mice. However, IF reversed the total iron level. Increased splenic galectin-3 expression in HFD-fed mice was significantly attenuated by IF. HFD+IF-fed mice had fewer galectin-3-positive macrophages in the spleen than those of HFD-fed mice.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IF can improve galectin-3-mediated phagocytosis in mice with NAFLD.

      • 생쥐 성장에 따른 다양한 장기 내 nesfatin-1/NUCB2 발현의 변화

        정은혜,정이와,김희정,양현원,김진희 한국발생생물학회 2013 한국발생생물학회 학술발표대회 Vol.2013 No.8

        식욕조절과 신진대사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nesfatin-1/NUCB2는 시상하부 이외에 지방조직, 소화기관 및 생식기관에서도 발현되는 것이 보고되었다. 본 연구실에서도 nesfatin-1/NUCB2의 발현을 전 장기에서 조사한 결과, 뇌하수체, 심장, 폐, 소화기관 및 생식기관에서 다량 발현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nesfatin-1/NUCB2가 체내 주요 장기의 발달 및 생리적 기능 조절에 관여할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쥐를 대상으로 배아에서 성체로 성장하는 동안 장기 내 nesfatin-1/NUCB2 발현 변화를 조사함으로써 nesfatin-1/NUCB2 발현과 장기의 발달과 어떤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 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생쥐 태자, 신생쥐, 성체 생쥐에서 성장에 따른 nesfatin-1/NUCB2의 발현 양상을 면역조직화학적 염색, qRT-PCR과 western blot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먼저 생쥐 태자에서 nesfatin-1/NUCB2 단백질 발현을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으로 확인한 결과, 뇌, 심장, 폐에서 다량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FITC-conjugated nesfatin-1을 이용하여 nesfatin-1 결합 부위를 확인한 결과에서도 nesfatin-1 발현 부위와 유사하게 뇌, 심장, 폐에서 염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qRT-PCR과 western blot 방법으로 신생쥐와 성체 생쥐 내 다양한 장기에서 nesfatin-1/NUCB2 발현량을 조사한 결과, 신생쥐에서는 다른 장기에 비해 심장과 폐에서 nesfatin-1/NUCB2 발현량이 높았으나, 성체로 성장하면서 발현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흥미롭게도 신생쥐의 신장에서는 nesfatin-1/NUCB2 발현이 거의 되지 않다가 성체가 되면서 다량 발현하는 양상을 보였다. 한편, 성체 생쥐의 신장에서 암컷과 수컷 사이의 nesfatin-1/NUCB2 발현 양상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발생 초기에는 nesfatin-1/NUCB2의 발현이 신진대사에 필수적인 심장과 폐에서 많이 발현하고, 성장하면서 배설에 관여하는 신장에서 다량 발현하는 것으로 보아 nesfatin-1/NUCB2가 생쥐 성장 단계에서 특이적으로 장기의 발달과 생리적 기능을 조절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앞으로 심장, 폐 및 신장에서 다량으로 발현하고 있는 nesfatin-1/NUCB2가 어떤 기능을 가지고 있는 지 알아보기 위한 더 많은 연구가 요구된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