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논문 : 1910년 이후 한말 사회진화론의 변용과 극복 양상 -안중근, 박은식, 안창호, 신채호의 사상을 중심으로

        이인화 ( In Hwa Lee ) 한국동서철학회 2014 동서철학연구 Vol.74 No.-

        사회진화론은 1880년대에 초기 개화사상가들에 의해 한국사회에 수용되었고 1900년대에는 일종의 시대정신으로 여겨지며 당시 국제사회를 해석하는 가장 유력한 사상적 프레임으로 기능하였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연구들은 1910년을 기점으로 사회진화론의 사상적 기능이 소멸되었다고 보거나 제한된 영역에서의 사상적 양상만을 고찰하였다. 본고에서는 1910년 이후로도 사회진화론의 영향력은 다양한 사상 속에 침투되어 변용적으로 존재해왔으며 동시에 그것을 극복하기 위한 시도도 있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먼저 안중근은 동양 3국[황인종]의 연대를 통해 서구 세력[백인종]의 침략을 막아야 한다는 동양평화론을 주장하였다. 이는 인종주의에 사회진화론을 결합한 것으로 서구의 침략을 일종의 동종(同種) 혹은 약자 연대를 통해 대항하고자 하는 ‘저항적 인종주의’의 성격을 띠었다. 박은식은 사회진화론적 진보의 논리를 유학에 적용하여 당시 유학이 가지고 있었던 봉건성을 극복하고, 유학의 대동사상, 성선론 등을 통해 사회진화론의 인종주의적 우열론과 약육강식론의 비도덕성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1919년에는 제1차 세계대전 이후 파리강화회의가 개최되면서 ‘세계평화’가 화두로 제시되었고 ‘민족자결주의’, ‘세계주의’, ‘평화주의’ 등의 관념이 나타났다. 또한 러시아 혁명 및 사회주의 국가 건설 등을 계기로 사회주의, 아나키즘 등 새로운 사상이 등장하면서 사회진화론적 세계관에 균열을 가져온다. 이러한 사상적 흐름 속에서 안창호는 국제사회에서 여전히 약육강식의 논리가 통용되고 있음을 비판적으로 인식하고는 있었지만, 현실적으로 국제사회로부터 독립국으로서의 자격을 인정을 받기 위해서는 자강의 힘을 길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그 힘의 토대에 근면, 성실, 신용 등 개신교적 자본주의 윤리와 민족주의적 공동체의식을 도입하여 사회진화론적 경쟁의 비도덕성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신채호는 약육강식에 의한 열강의 식민 지배를 ‘민중직접혁명’을 통해 타도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이 과정에서 그는 세계 식민지 민중과의 연대를 주장하기도 했다. 그러나 역사를 ‘아(我)와 비아(非我)의 투쟁’ 즉, 자민족과 타민족의 생존투쟁의 기록이라고 봤던 그의 역사관은 사회진화론적 관점을 완전히 극복하지는 못한 것으로 보인다. 안중근과 박은식의 사상은 1910년을 기점으로 한 것이고 안창호와 신채호의 사상은 1919년 이후 주창된 것이다. 이들은 초기 사회진화론자들처럼 약육강식의 논리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하면서 소위 ‘문명국’의 ‘비문명국’에 대한 지배나 착취를 원리로서 인정하는 사고에서는 벗어났지만, 현실을 사회진화론적 프레임으로 바라보는 사고를 완전히 단절해내지는 못했다. 그러나 동양평화론, 유교, 자유민주주의, 아나키즘 등 각자가 취한 여러 가지 사상적 토대 위에서 사회진화론의 이론적, 현실적 문제를 극복하려는 시도가 나타났는데 그것이 1910년 이후 한국 사상계의 하나의 큰 특징이라고 결론지을 수 있다. After it``s acceptance in 1880``s, social Darwinism was regarded as the most influential ideology to understand the international world in 1900``s. And, despite some studies so far which insist that social Darwinism overcame before and after 1910, the influence of social Darwinism continued since 1910 and there were some acculturation and attempts to overcome it. Ahn Jung-geun suggested “the theory of oriental peace” insisting three countries in East Asia have to ally to guard against the invasion of the Western powers. This theory combined racism and social Darwinism and indicated the characteristics of ‘resistant racism`` which means the same race have to unite to resist against the influence of stronger race. Park Eun-sik adopted social Darwinism to Confucianism in order to reform the conservativeness of Confucianism by progressiveness of social Darwinism and tried to eliminate the immorality of thoughts of “the survival of the strongest” of social Darwinism by adopting the thought for Daedong, which means ‘the great equality``, and ‘the thought that human nature is fundamentally good’ of Confucianism. In 1919, ‘the world peace’ became the main issue with being held of the Peace Conference at Paris, and the concepts of ‘self-determination of peoples’, ‘pacifism’ and ‘cosmopolitanism’ was brought out. And the influence of socialism and anarchism had been extended since the Russian Revolution. With this stream of transition of thoughts, Ahn Chang-ho believed that there still remained the thoughts of ‘the survival of the strongest’ in the international world and Korean have to develop the strength to achieve recognition as an independent nation from the world. But he adopted the Protestant capitalism ethic including diligence, earnestness and credibility etc. and nationalism to the foundation of the strength in order to overcome unethical competition based on the social Darwinism. Shin Chae-ho insisted that people have to raise a revolution to overthrow the imperialistic government and the people under the colonial control have to band together for the resistance. But he was still affected by social Darwinism in that he had the historical view considering history as a record of struggles among ethnic groups. These thinkers were released from the thought that the civilized countries have rights to take control of uncivilized countries, which was supported by early social Darwinist, but they still were not able to overcome social Darwinism completely. But on the base of the respective backgrounds of their thoughts, there were various attempts to overcome theoretical or practical problems stem from social Darwinism and tha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modern Korean thoughts since 1910.

      • KCI등재

        논문 : 한,중,일 근대불교의 사회진화론에 대한 대응양식 비교 -동아시아 불교의 사회진화론 수용과 비판의 두 흐름-

        김제란 ( Je Ran Kim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0 시대와 철학 Vol.21 No.2

        이 글에서는 동아시아 불교의 사회진화론 수용과 비판이라는 두 흐름을 한·중·일 각국의 근대불교 사상가들의 사상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일본 근대불교는 서구 기독교에 상대하여 적극적으로 진화론과 불교를 융합하였다. 이노우에 엔료와 키오자와 만시는 진화론과 불교 교리를 연관시켜 진화론적 불교, 또는 불교적 진화론을 제기하였다. 단지 이노우에 엔료의 불교적 진화론은 진화·퇴화를 모두 수용하는 우주적 진화론으로서, 그를 근거로 국가주의 이데올로기의 확립을 위한 사상적 기반을 제공하였다. 키오자와 만시는 사회진화론을 적극 비판하고 정신주의적 불교 진화론을 제기하고, 개인의 자유·자치·평등을 주장한 자유민권 사상과 함께 하였다. 중국근대불교에서 사회진화론을 수용한 대표적인 인물인 양계초는 사회진화론 수용을 서구 제국주의에서 벗어나기 위해 중국이 자립적 국가로서 자유와 주권을 획득하여야 하고 그를 위해 힘을 키워야 한다는 강권론과 연결시켰다. 진화론과 불교의 일치성을 전제로 그 둘을 결합하였고, 진화나 진보를 국가와 개인의 관계로 설명하면서 유식 불교의 종자설을 활용하였다. 이에 반해 장태염은 당시 대세로 받아들여졌던 사회진화론을 불교적 입장에서 비판적으로 성찰하였다. 그는 사회진화론을 따르는 이들을 `진화교`라고 비판하고, 유식불교의 아라야식연기에 근거를 둔 `구분진화론`, 선악병진론을 제기하였다. 한국 근대불교의 한용운에게는 사회진화론의 수용과 비판이라는 두 측면이 동시에 존재하였다. 그는 사회진화론을 현실적 이데올로기로서 긍정하면서 현실 인식과 불교계의 계몽을 위해 활용하는 한편, 양계초식의 강권주의적 사회진화론을 극복하고 불교 본연의 평등주의와 구세주의에서 해결책을 찾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근대시기 한국·중국·일본의 사회진화론 수용은 일본의 이노우에 엔료→ 중국의 양계초→ 한국의 한용운으로 이어졌고, 사회진화론의 비판과 극복은 일본의 키오자와 만시, 중국의 장태염, 한국의 한용운이 불교의 근원적인 평등성이라는 측면에서 동일한 흐름으로 이어지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two streams of acceptance and criticism on Social Evolution in East-Asian Buddhism. Buddhism in Modern Japan combined Evolution and Buddhism against Western Christianity. Inoue Enry(井上圓了) and Kiozawa Mansi(淸澤滿之) equally accepted Evolution, but the methods or aims were in striking contrast to each other. Both of them brought up Evolutionary Buddhism, or Buddhistic Evolution in relation to Buddhism. Inoue Enry proposed the universial-Buddhistic Evolution through a compromise between Western Linear Evolution and Eastern Circulating System. On the other hand, Kiozawa completely aceepted Evolution into his Buddhistic Evolution theory. He didn`t lose the Buddhistic sense of values respecting `an individual` than `a Nation`. He criticised Western Evolution and raised `the Mental Evolution`. Representative Buddhist in Modern China was Liang Chi-Zhao(梁啓超). He connected the acceptance of social evolution with authoritarianism to gain freedom and national sovereignty for China. He united Buddhism and Evolution on the assumption that they correspond with each other. Also he made the best use of `the theory of seeds`(種子說) of Only-Consciousness Buddhism to explain the relation of `individual` and `Nation`. On the other hand, Zhang Taiyan (章太炎) criticised the theory of social evolution severely from Buddhist standpoint, saying that we should survive in struggle for power. He proposed the theory of dual development going forward with good and evil called `the theory of dual evolution`(俱分進化論). Han Yong-un(韓龍雲) of Buddhism in Modern Korea had two sides of acceptance and criticism on social evolution. He answered in the affirmative for the theory of social evolution as the real ideology. On the other hand, he sought the answer in egalitarianism and the idea of mercy of Buddhism. Consequently, the acceptance of the theory of social evolution in modern Japan, China and Korea camed on in Inoue Enry of Japan and Liang Chi-Zhao of China and Han Yong-un of Korea. The criticism of the theory of social evolution continued through Kiozawa Mansi of Japan, Zhang Taiyan of China and Han Yong-un of Korea on the bases of the egalitarianism of Buddhism.

      • KCI등재

        사회진화론과 한국 근대민족주의

        우남숙(Woo Nam Sook)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08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7 No.2

        이 논문의 연구목적은 한국의 대표적 민족주의 사상가로 평가되는 白岩 朴殷植(1859-1925)이 한일합병 이전 사회진화론의 영향 하에 쓴 주요 논설들과 한일합병 이후에도 사회진화론의 사상적의 추이를 잘 살펴볼 수 있는 저술 〈夢拜金太祖〉(1911)을 살펴보아, 한국에 토착화된 서구의 사회진화론이 한국 근대 민족주의 형성에 역기능이 아닌 순기능을 하였음을 사상사적으로 해명한 것이다. 나아가 강대국이 아닌 약소국의 처지를 반영하여 토착화된 사회진화론을 사상적 가교로 하여 형성된, 그의 민족주의의 정치사상적 위상을 살펴본 것이다. 박은식의 사회진화론은 대외적으로 자주와 독립을 유지하고 대내적으로 민족통합과 국민국가의 형성을 뒷받침 할 수 있는 이론으로서, 동시에 한일합병이후에도 일관되게 「優者」가 되기 위한 「교육」「학교」「사업」과 같은 자강 독립의 방책으로 한국 근대 민족주의 형성에 순기능을 할 수 있었던 것은, 그의 사회진화론의 수용양식이 우승 열패적 세계관, 문명경쟁론 그리고 단합론에 기초하여 오늘의 약자는 내일의 강자가 될 수 있다는 「優勝劣敗」論의 약소국 민족주의의 이론적 성격이었기 때문이라 볼 수 있다. 따라서 박은식의 사회진화론은 한일합병이후에도 일관되게 독립에 대한 희망을 버리지 않는 반식민 독립운동의 사상적 기초가 되었으며 저항적 엘리트들의 반제국주의 투쟁의 동력이 되었던 것이다. 한편 자신이 전개한 「자강」ㆍ「독립」운동의 국력강화책인 「교육」과 「식산」운동이 좌절한 것은 사회진화론의 수용에 기인한 외세의 인정이 아니라, 대외적 배타성과 한민족의 정체성을 가지지 못한 위정척사파의 尊華攘夷論의 주자학적 도그마티즘 때문으로 보았다. 이러한 사회진화론을 기반으로 한 그의 민족주의의 성격은 서구의 사회진화론이 패권적 팽창적 제국주의적 강대국 민족주의적 형성을 보여주는 것과 다르게 민족적 해방적 저항적 약소국 민족주의의 전형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how the adoption of Western Social Evolutionism in Korea formed the bridge to the consciousness of Korean modem Democracy. The leader of this adoption, representative democracy thinker Eun-Sik Park (1859-1925), is the central base to this research, from which further research on his political position on democracy is conducted. Until 1910, Eun-Sik Park's writings and discourses were dominated by the theory of Social Evolutionism. However, after Korea lost its national sovereignty due to Japanese annexation in 1910, Park penned "夢拜金太祖" (1911), which revealed a major shift in his thoughts regarding Social Evolutionism. "夢拜金太祖" generally speaking, is a contemplation of the concepts of "Strenuous Efforts" and "Independence", and ideological movements based on self-determination which he himself advocated. Thus, 夢拜金太祖 is crucial material for the understanding the overall picture of the early stages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It reveals that after 1910, to Park, Social Evolutionism was not an ideology in which the weak admits inferiority and follows the strong, but was interpreted by him to be a theory that supports the belief that today's weak can become tomorrow's strong. Indeed, there is no doubt that Park did accept Social Evolutionism and admits his role in justifying the struggle for existence in the game of survival of the fittest; howev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he rejected the notion of the strong subjugating and oppressing weak nations, but advocated the idea that for the weaker nation to survive, individual members of that nation should make a collective effort for progress. His belief is of that the accumulation of these individuals' efforts are intrinsically connected to a nation's progress and her independence. Moreover, his position is not one that equates one having a positive mindset of about being colonized to one admitting his or herself as a loser, but a position that sees the only way for Korea to escape from being knocked off by natural selection and losing her national right is to become the "strong"; to Park, that was the only "rule." and adherence to this rule is possible by way of a nation's continuous efforts and contemplations. And therefore, his works frequentl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work, education, and knowledge as critical pillars of a grand design for independence. Through this perspective, he recognized and accepted the value of Social Evolutionism; to him, it provided a prospect of saving the nation, and he understood it to reflect that because Korea did not champion progress, it was reduced to a colony of Japan. But he remained positive to reality, and advocated and took part in what he saw as the attempt to rejuvenate the power of the Korean nation through strenuous efforts and independence movements. Viewed in this manner, his acceptance and interpretation of Social Evolutionism is certainly one that envisioned a bridge to Democracy. Indeed, Park's nationalism was an incredibly flexible principal, one that unified the nation's sense of unity, which subsequently made the construction of a national identity and a national state possible. Indeed, the grand product is a image that provides a place for belonging and identity to a socioethnic group; a special meaning of home is also implicated with belonging, so it rouses emotional loyalty and participation among the members of group who shares the experience of subjugation. Out of this special meaning, emerge the roots of liberating nationalism.

      • KCI등재

        사회과학의 진화론 수용 비판

        조원광(Jo, Wonkoang) 비판사회학회 2013 경제와 사회 Vol.- No.97

        여러 사회과학의 주요한 입장들은 경쟁이 효율을 낳는다는 명제를 의심할 필요 없는 공리로 여긴다. 이런 일이 가능한 것은 생존경쟁과 자연선택을 통해 종의 효율화와 혁신이 일어난다고 설명하는, 진화론이라는 ‘과학’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즉 사회과학은 진화론을 수용함으로써 경쟁이 효율로 이어진다는 명제에 ‘객관적 근거’를 확보하게 된다. 하지만 사회과학이 이런 방식으로 진화론을 활용하는 것은 진화론의 여러 다양한 입론에 비추어보았을 때, 일면적이고 편파적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화론은 생존경쟁과 자연선택이 효율과 혁신을 만들어낸다는 명제를 보장하지 않는다. 굴드가 잘 지적하듯, 최적화를 규정하는 환경 자체가 무작위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살아남은 개체나 특질은 때때로 부산물에 지나지 않게 된다. 재벌의 사례는 이에 대한 좋은 예다. 재벌이 한국적 환경에 적응한 진화된 효율적이며 적합한 존재라고 보는 ‘진화론적 재벌론’의 설명과 달리, 재벌의 성립과 성장은 효율과 무관했고, 환경변화에서 적합한 적응을 하지도 못했다. 둘째, 진화론의 여러 입장은 경쟁에 따른 자연선택 이외에도 혁신과 효율에 이르는 다양한 길을 제시하고 있다. 공생진화가 대표적이다. 공생진화는 예외적인 양상이 아니라, 진핵 세포의 등장에서부터 식물의 등장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관찰되는 진화의 방식이다. 경쟁과 분쟁에만 초점을 맞추는 프레임 탓에 제대로 보지 못할 뿐, 사회에서도 공생진화의 수많은 사례가 존재한다. 생존경쟁을 통한 진화만을 특권화 할 이유가 없다는 말이다. 셋째, 현행과 같은 방식으로 진화론을 사회과학에 도입하는 것은 선택적 수용이다. 진화론의 다양한 입장을 무시한 채, 적응주의나 경쟁을 통한 자연선택만을 도입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는 일종의 순환보충이다. 애초에 사회과학에 존재하던 개념들이 진화론이라는 ‘과학’의 이름을 붙인 채 다시 사회과학으로 돌아오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편파적이고 왜곡된 수용을 극복하고 좀 더 풍요로운 방식으로 진화론과 사회과학의 만남을 모색할 때다. Many social science theories consider the proposition which maintains competition leads to efficiency as an axiom. It is possible in virtue of a science called the theory of evolution which explains efficiency and innovation of species are made by competition and natural selection. That is, social science theories can secure objective basis for the proposition that competition leads to efficiency by adopting the theory of evolution. But this way of applying the theory of evolution to social science theories is biased and partial, considering various positions of the theory of evolution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the theory of evolution does not guarantee that competition and natural selection make efficiency and innovation. As Gould pointed it out, evolution of gradual efficiency is impossible because of a random change of environment. Sometimes, existing individual and property are just a byproduct. Many chaebols are good examples of Gould"s theory. Unlike the "evolutionary chaebol theory", the formation and growth of chaebols had nothing to do with efficiency. And chaebols didn"t adapt to environment appropriately facing environment changes. Second, various positions in the theory of evolution suggested many ways to innovation and efficiency in addition to natural selection through competition. Symbiosis is one of them. Symbiotic evolution is not an exceptional but a widely observed phenomenon which includes from appearance of eukaryotic cell to evolution of plants. Even though we cannot see symbiosis in society because of our frame biased to competition and struggle, it has existed. That is, evolution by natural selection through competition is not the only and privileged way. Third, an existing way of adopting the theory of evolution to social science is selective acceptance because only particular position, like adaptationism, is introduced and other important positions are ignored. In addition, this is a circular supplement of competition theory. A proposition which connects competition and efficiency/innovation existed in social sciences before Darwin. If so, the proposition about competition ended up coming back to social science with the name of science called the theory of evolution. This is the moment to overcome biased and partial adoption of the theory of evolution and find a more productive way to connect the theory of evolution and social science.

      • KCI등재후보

        사회진화론의 동아시아 수용에 관한 연구

        우남숙(Woo Namsook)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1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10 No.2

        본 논문은 근대 한국·중국·일본 삼국의 사회진화론 수용 양식의 비교 연구를 위한 선결과제인 역사적 수용과 이론적 원형을 각기 비교해보는 것이다. 사회진화론은 사회의 장기적 변화를 진화 혹은 진보라는 관점에서 설명하는 다양한 이론의 총칭으로, 초기 사회진화론으로써 스펜서의 개인주의적 사회진화론과 다윈의 생물학적 진화론을 사회에 적용한 사회다위니즘이 대표적 이론이다. 다윈 역시 진화적 생물학에만 집착하지 않고『인간의 계보』를 통해 생물학의 범위를 넘어 자연선택이론을 사회에 적용하려는 시도를 본격화하여 사회진화론을 전개하였다고 볼 수 있다. 사회진화론의 수용 시기는 서구열강과 동양 삼국의 만남의 시기이기도 한 19세기 후반으로, 비서양 후발사회인 삼국은 서구로부터의 무력정복·불평등조약·영토분할·정치적 압박·경제적 침략이 강제된 냉혹한 역사에 대응하기 위한 근대화 과정의 하나로, 서양사상과 제도를 주체적으로 수용하는 시기이기도 하였다. 이 과정에서 사회진화론은 당시 각국이 지향하고 있던 정치사회적 목표인 부국강병에 의한 근대화와 자주독립을 동시에 달성가능하게 하는 최신 사회과학 이론으로 인식되어 크게 공명된 사상이었다. 수용이 1870년대 일본을 선두로 자발적인 동시에 용이하게 이루어졌던 이유는 서구와 같은 오랜 기독교적 신학의 전통이 결여되어 있었을 뿐만 아니라, 당시 최신 생물학을 기반으로 한 최신의 사회과학이론을 제공한 스펜서와 다윈의 이론에 삼국의 사상가들은 큰 지적 매력을 느꼈기 때문이다. 일본의 경우 독일학의 개척자인 加藤弘之가 선두주자로, 이외의 메이지 지식인들도 자신들의 정치적 사회적 종교적 입장과 관계없이 사회진화론의 큰 영향하에 있었다. 중국의 경우 역시 1880년대 이미 스펜서의 저서가 번역되었다. 그러나 본격적인 전파는 청일전쟁의 패배 이후인 1890년대로, 영국 유학생 출신이며 교육자와 져널리스트로 평생을 견지한 嚴復과 실천적 변법운동가이자 14년의 일본 망명을 통해 폭 넓은 서양사상을 흡수한 후발주자 梁啓超가 중심이다. 한국의 경우는 일본 및 미국 유학생 출신의 1880년대 유길준이 최초 수용자이며, 본격적인 전파는 일본의 식민지로 전락해 가는 과정에서의 사상적 대응 운동이라 할 수 있는 1890년대 후반의「자강」·「독립」사상의 선두주자였던 박은식 장지연 신채호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삼국의 사상가들 다윈의 생존경쟁과 적자생존에 의한 진화의 법칙, 스펜서의 인간의 지덕체의 성쇠에 의한 사회진화에 관한 해석, ‘약육강식’과 ‘우승열패’의 생존경쟁 법칙을 새로운 국제질서 인식의 틀로 받아들여, 중화문명에 대한 압도적인 자신감인 화이우열론을 토대로 하여 서양사회의 부강의 원인을 기술문명에 한정하는, 일본의「和魂洋財」론 중국의「中體西用」론 한국의「동도서기」론을 파산시키고 각국의 독자적인 사회진화론 수용 양식을 전개하게 되는 것이다.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compare historical acceptance and original type of the Theory of Social Evolution of Korea·China·Japan in modern century. Social Darwinism, a term that explains longterm changes of society in the view of evolution or advance, is a representative theory of social evolutionism, as a initial social Darwinism, in which Individual social evolutionism of Spencer and Biological Evolution of Darwin are applied to the society. Three countries accepted from Japan in 1870’s with easy and spontaneously, despite their lack of traditionally old christian theology, Original type of social Darwinism of three countries was greatly influenced by Darwin and Spencer and the concern of thinkers was not Biological Evolution, but social Darwinism from the beginning. In case of Japan, a front-runner, Katohiroyuki(加藤弘之), a pioneer of German study, and other Meizi intellectuals was under the influence of social Darwinism irrespective of their political, social and religious stand. In case of China, a book of Spencer was already translated in 1880s. Full scale of propagation was on 1890s following defeat at China-Japan war and was centered by Yenfu(嚴復), a British studied educator and journalist and a next-runner Liangizao(梁啓超), an activist who assimilated a broad western ideology through 14 years-exile in Japan. In case of Korea, Kil-Jun Yu, a Japan and America studied, is the first in 1880s and full scale of propagation was centered by Eun-Sik Park, Ji-Yeon Jang, and Che-Ho Shin, front-runners of ‘Self Strength’ · ‘Independence’ ideology in later of 1890s, which was a defensive ideological movement during a fall into Japanese colony They accepted interpretation of natural selection by ‘struggle for existence’ and ‘survival of the fittest evolution of Darwin and social evolution by human intellectual, moral, and physical education of Spencer.

      • KCI등재후보

        한말 사회진화론의 수용과 자강론의 형성

        성주현 경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0 시민인문학 Vol.39 No.-

        본고는 한말 서구에서 수용된 사회진화론을 통해 근대 한국민족주의 형성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아시다시피 스펜서 등에 의해 이론화된 사회진화론은 약육강식 의 제국주의적 지배를 정당화하기 위한 이데올로기, 우생학에 의한 인종주의적 진화 론, 극단적 형태의 정치 이데올로기인 파시즘 등 다양하게 활용되었다. 그렇지만 한말 수용된 사회진화론은 국가의 현실을 우승열패와 적자생존의 논리로 인식하였 다. 따라서 한국도 제국주의 국가와 같은 근대화를 통한 문명국이 되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따라 사회진화론은 서세동점의 시기인 19세기 후반으로 동아시아 삼국 즉 한국·중국·일본에 시기적으로는 차이가 있지만, 불평등조약, 경제적 침 략, 정치적 압박 등 서세동점에 대응하기 위한 과정의 하나로 수용되었다. 이 과정에 서 사회진화론은 각국이 지향하고 있는 근대화와 맞물려 부국강병의 논리로 활용되 었다. 사회진화론은 당시 한국 사회에서 현실을 인식하고 극복하는데 중요한 기준의 하나가 되었다. 위정자를 포함한 지식인들은 제국일본의 식민지로 전락해 가고 있는 상황에서 그 원인을 사회진화론의 우승열패, 생존경쟁의 논리로 인식하였다. 뿐만 아니라 사회진화론은 개인의 권리보다는 민족과 국가를 유지하는 하나의 기준으로 인식되었다. 그리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국권회복의 방안으로 사회진화론을 적극적 으로 수용하고 이를 활용하고자 하였다. 한말 한국에 수용된 사회진화론은 교육의 진작과 식산의 발달이라는 자강론으로 변용되었다. 자강론자들은 사회진화론을 이 론으로 하는 제국주의에 대해 보다 명확하게 인식하였고, 한국의 부국강병을 주장하 는 한편 민족주의를 전면에 내세웠다. 이에 따라 한말 계몽단체들은 기관지를 발행 하면서 교육과 식산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을 뿐만 아니라 ‘애국심’, ‘조선혼’, ‘민족주 의’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교육운동의 하나로 학교를 설립하거나 적극 지원하였다. 이에 따라 교육진흥과 식산발달을 토대한 사회진화론은 ‘실력이 곧 힘’이라는 자강론 을 내세웠다. 자강론은 나아가 개인보다 국가와 민족을 강조하는 국권론으로 발전하 면서 민족주의를 형성하는데 기반이 되었다. 결론적으로 사회진화론이 서구에서는 제국주의의 이론적 기반으로서의 역할을 하였지만, 한말 한국 사회에서는 서구열강 과 제국일본의 국권침탈에 대한 저항의 대안으로 인식되었고, 자강론을 기반으로 하는 민족주의 형성에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article analyzes how the acceptance of Social Darwinist ideas from the West impacted emergent Korean nationalism during the Korean Empire Period. Social Darwinism was a set of ideas formulated by Herbert Spencer and others that were utilized in ideological justifications of colonial rule by survival of the fittest, racist evolutionary theories premised upon eugenics, and in Fascism. However, it was perceived in the Korean Empire as being a logic of the survival of the fittest. Hence, it was taken to mean that Korea must modernize to become a civilized state. At different times, each of the three states of East Asia – China, Japan and Korea – all were confronted by Western imperial power in the form of unequal treaties, economic invasion, political pressure etc. The process of seeking a response to Western encroachment led each of the three states to accept the logic of Social Darwinism. It become a part of the approach to modernization that all three states pursued, an approach that stressed the need for a rich state and a strong army. Social Darwinism became an important standard by which to understand and overcome present realities in Korean society of the time. Intellectuals, including politicians, saw the Korea’s descend into Japanese colonial domination in Social Darwinian terms, being characterized by the logic of the survival of the fittest. Social Darwinism was also interpreted as providing a standard which put the maintenance of the nation and state above individual rights. And in order to recover national sovereignty, Social Darwinism was actively accepted and utilized. This logic developed into a theory of self-strengthening. In education, this theory stressed the importance of boosting access to education and increasing the country’s productive capacity. Self-strengthening theorists clearly understood Social Darwinism as the theory that undergirded imperialism, they advocated for a rich state and strong army, and for nationalism. Consequently, enlightenment organizations formed, published periodicals that advocated for educ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but also stressed the importance of patriotism and nationalism. They also founded or actively supported schools. Self-strengthening theory thus saw ‘abilities as power’ It became the basis for an emerging nationalism that stressed the state and nation as being the root of sovereignty, rather than the individual. Ultimately, while Social Darwinism acted as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imperialism in the West, in Korean society of the Korean Empire period it was seen as an alternative by which to struggle against the loss of sovereignty at the hands of the Western powers and imperial Japan. It also exerted a not inconsiderable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nationalist ideas.

      • KCI등재

        사회진화론에 대한 비판과 ‘생명’ 인식의 변화

        안지영(Ahn, Ji Young) 한국현대문학회 2012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38

        사회진화론은 세계정세의 현실을 알리고 국가 근대화의 필요성을 계몽시키는 이론으로 한국에 소개되었고, 특히 20세기 초에는 국가유기체설과 결합되어 계몽적 지식인들로부터 선풍적 인기를 끌었다. 하지만 제1차 세계대전을 전후로 약육강식의 사회가 주는 개체의 공포감을 무한한 생명력으로 극복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기 시작하면서 사회진화론의 영향력은 급속히 감소해 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10년대 사회진화론을 둘러싼 담론을 살펴보면, 진화론적 세계관이 완전히 극복되지 못한 채 지속적인 영향력을 끼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제1차 세계대전의 영향으로 소수민족에 대한 배타적 분위기가 형성되면서 조선 민족의 운명을 걱정하는 견해가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무자비한 사회진화론의 논리를 비판하는 우화와 생존을 위한 투쟁을 정당화하는 우화가 『학지광』에 게재되었다. 이러한 우화를 통해 사회진화론과 생명관리정치의 관계를 유추할 수 있다. 사회진화론은 약육강식의 논리로 생명의 가치를 구분하는 포함과 배제의 논리를 작동시키는데, 이에 따라 생명을 조절하고 통제하며 통치할 수 있게 하는 생명관리정치(bio-politique)를 출현케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근대적 주체들은 언제 도태되어 살 가치가 없는 생명으로 배제될지 모른다는 공포에 사로잡히게 된다. 이에 따라 이 시기에는 사회진화론을 비판적으로 전유하려는 경향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들은 표면적으로는 낡은 도덕으로서의 유교를 극복한다는 명분을 내세우며 사회진화론의 개념들을 사용했으나, 그 수단으로 물질이 아닌 정신적 측면을 내세운다. 이러한 인식의 전환에는 니체, 베르그송 등의 생철학이 영향을 끼쳤다. 그 중에서도 최승구는 그동안 억압되었던 본능의 가치를 발견하고 이를 통해 개체와 공동체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새로운’ 도덕을 주장했다. 그리고 이러한 새로운 도덕을 선취하고 있는 것으로 자연이 호명되기도 하였다. 한편, 생명에 대한 물질과 정신의 이분법적 시선에서 벗어나기 위한 모색도 이뤄졌다. 생명에 물질적 측면과 정신적 측면이 모두 존재하며, 정신적 측면에서의 생명이야말로 불후의 생명이라고 주장이 나타났다. 이처럼 내적 생명이 강조되면서 예술, 철학, 종교의 가치가 발견되었다. 이들은 과학과 대비되는 것으로 내적 생명의 자각을 중시함으로써 물질과 정신의 이분법을 극복하고자 했다. Social Darwinism was introduced in 1890"s as a theory that could explain reality of Korea and enlighten Korean people about necessity of modernization. Although influence of Social Darwinism rapidly decreased around First World War, it still had continuous influence after 1910"s. This was because there were still many opinions that worry about Cho-sun"s destiny. For First World War, there were formed exclusive mood for minority race around the world. Accordingly two allegories published in 『학지광(Hak-Ji-Gwang)』. One criticized brutal logic of Social Darwinism and the other justified struggle for life. These two allegories make us analogize the relationship of Social Darwinism and ‘bio-politique’. Social Darwinism made the logic of inclusion and exclusion work, and this could bring ‘bio-politique’ into being, which control and rule living things. So subject could feel fear, because whenever they could rule out from human society. It was not natural selection, but social selection. For overcoming their fear, one tendency appeared at this time. They apparently justified their conduct in overcoming confucianism, however they actually insisted mental aspect not material as the means. This conversion of awareness about life was influenced by Lebensphilosophie. Especially, Choi-Sungu(최승구) discovered value of haman instinct and claimed that individual and community is related closely.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people who did seek for way to get out of dichotomy of material and mental about life. They insisted that only mental life is immortal. As emphasizing on mental life, the value of art, philosophy, religion was discovered also.

      • KCI등재

        사회진화론의 수용과 변형

        이성철 동양사회사상학회 2024 사회사상과 문화 Vol.27 No.1

        사회진화론은 영국의 빅토리아 시대(1837-1901)를 역사적 배경으로 한다. 홉스봄은 이 시기 사상에서 두 개의 큰 조류가 철학을 과학에 종속시켰다고 말한다. 두 조류는 프랑스의 실증주의와 영국의 경험주의를 말한다. 이 조류들은 허버트 스펜서의 사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홉스봄은 이 당시 과학을 하나만 꼽는다면 단연 진화론일 수밖에 없다고 단언한다. 이는 스펜스 사상의 핵심이기도 하다. 빅토리아 시기의 영국 사회상황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산업혁명의 부정적인 면이 상대적으로 옅어지고 이에 따라 노동운동이나 급진주의의 확산도 약화 또는 소강상태였다. 이에 영국 정부는 수정궁 개방(세계박람회) 등을 통해 자신감을 한껏 드러낸다. 스펜서의 첫 저작( Social Statics, 사회정학)도 이즈음에 출간된다.(1851년) 이 시기 영국은 자본주의적 사회발전에 대한 자신감으로 고양되어 있었고, 이는 많은 사람들의 의식과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후 자본주의의 병폐가 나타나자 스펜서의 사상은 영국에서 퇴조의 기운을 보이기도 했지만, 유럽의 다른 나라들이나 특히 미국 등에서는 다종 다기한 모습으로 그 영향력을 확대해 나갔다. 본 글이 갖는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먼저 사회진화론과 관련된 특정 사상가의 논지를 집중적으로 분석하는 것은 이 글의 범위가 아님을 밝혀둔다. 이들의 이론이나 사상 등에 관한 국내의 선행연구들은 많다. (특히 역사학, 철학, 정치학 등) 그러나 사회학 분야에서는 사회진화론이 각종 사회학 개론 교과서에서 중요하게 취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이론의 전체적인 흐름에 관한 비판적인 논의 및 동아시아 사회에 미친 영향을 논의한 글들은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그러므로 이에 관한 비판적인 검토는 향후의 보다 분석적인 연구들을 예비하는 것이 될 것이다. 글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스펜서가 강조했던 사회진화론의 의미와 다윈의 진화론을 먼저 간단히 비교하고(2장), 스펜서 이론이 지니는 사회학적 특성에 대해 살펴본다.(3장) 그리고 4장에서는 당시의 사회진화론이 동양사회, 특히 한국, 중국, 일본에 미친 영향과 그 성격들에 대해 검토한다. 끝으로 마지막 장에서는 사회진화론이 현대사회에서는 어떠한 형태로 변모되어 여전히 큰 영향을 행사하고 있는 지에 대해 논의한다. Social evolutionism has its historical background in the Victorian era (1837-1901) in England. Hobsbawm says that two major trends in thought during this period subordinated philosophy to science. The two currents refer to French positivism and British empiricism. These currents are closely related to Herbert Spencer’s thoughts. Hobsbawm asserted that if one were to choose one science at that time, it could only be the theory of evolution, which became the core of Spence’s thought. The social situation in England during the Victorian period is summarized as follows. The negative aspects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became relatively lighter, and the spread of labor movements and radicalism weakened. Accordingly, the British government is showing its confidence to the world by opening the Crystal Palace (World Expo). Spencer’s first work ( Social Statics ) was published at this time. At this time, England was showing full confidence in social development, and this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consciousness and thoughts of many people. Spencer’s ideas showed signs of decline in England, but his influence expanded in various ways in other European countries and especially in the United States. The purposes of this article are as follows. There are many previous domestic studies on these theories and ideas (especially history, philosophy, political science, etc.). However, in the field of sociology, although social evolution theory is treated as important in various introductory sociology textbooks, there is little information about the overall flow of this theory. There are relatively few articles that discuss critical discussions and the impact on East Asian society. Therefore, a critical review of this will serve as a preliminary to more analytical studies in the future. The structure of the article is as follows. First, we briefly compare the meaning of Social Darwinism emphasized by Spencer with Darwin’s theory of evolution (Chapter 2), and then look at the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of Spencer’s theory (Chapter 3). And in Chapter 4, Social Darwinism at the time was used in Eastern society, especially comparing the impact and characteristics on Korea, China, and Japan. Finally, in the last chapter, we discuss how social evolutionism has been transformed in modern society and how it still exerts a great influence.

      • KCI등재

        동아시아 사회진화론의 수용과 그 계보-신소설 작가들의 사회진화론 인식론에 대한 서설(序說)-

        유봉희 ( Yoo Bong-hee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한국학연구 Vol.0 No.32

        이 논문은 신소설 작가들의 사회진화론 인식론에 대한 서설로, 동아시아 사회진화론의 수용과 그 계보를 거칠게나마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중국의 옌푸(嚴復)·량치차오(梁啓超), 일본의 가토 히로유키(加藤弘之)를 중심으로 살피기는 했지만, 이들과 유럽의 연쇄고리를 전제한 후 영국의 스펜서·헉슬리·키드와 독일의 블룬칠리·헤켈 등의 진화론사상을 동시에 포괄했다. 이를 통해 중국의 엄복·양계초, 일본의 가토 히로유키 등의 사회진화론사상의 뿌리를 확인하기도 했다. 즉 개인의 방임을 강조한 영국 발 사상이냐, 아니면 개인마저도 국가에 수렴하는 강력한 국가우위의 독일 발 사회진화론이냐, 하는 갈림길에 주목했던 것이다. 양계초는 영국 사상가들에게서, 가토 히로유키는 독일의 사상을 적극 수용했음을 알 수가 있었다. 당시 조선의 신소설 작가들 또한 자신의 사상적 바탕을 사회진화론에 두고 있었다는 사실을 인정하다면 양계초를 매개로 사회진화론사상을 받아들였는가, 아니면 가토 히로유키를 키워드로 수용했는가 하는 문제는 중요하게 다가올 수밖에 없을 터다. 그 결과 양계초와 카토 히로유키를 매개로 수용한 조선의 사회진화론은 그 성격을 달리했던 것이다. 이들로부터 영향을 받은 신소설 작가들 또한 작품의 지향점이 극명하게 갈리게 된다. 이 논문이 거듭 근대문학 해석에서 사회진화론을 상정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This is an introductory study on the epistemology of social evolution theory of new novel writers and aims to figure out the acceptance of East Asia social evolution theory and its genealogy in a broad manner. While Yenpu and Ryangchichao of China, and Kato Hiroyuki of Japan were focused in the study, the study also included the evolution theory of Spencer, Huxley and Kidd of England and Bluntschli and Hegel of Germany as well in the presupposition of their link to the Europe. In doing so, the study could find the root of social evolution theory of Eom Bok and Yang Gecho of China and Kato Hiroyuki of Japan. It means that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fork load between the idea of England that focused on individual rights and the idea of Germany that put strong national superiority over individual. Yang Gecho accepted the ideas of English thinkers and Kato Hiroyuki adopted the idea of Germany actively. If new noble writers in Joseon of the time were based on social evolution theory in their ideological foundation, it would be significant if they received social evolution theory via Yang Gecho or if they accepted Kato Hiroyuki as their key word. As a result,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evolution theory in Joseon were different by the media from Yang Gecho and Kato Hiroyuki. The orientation of novels of new novel writers was dramatically divided. That is the reason why this study focused on social evolution theory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modern literature.

      • KCI등재후보

        사회진화론과 만해의 사회사상 ― 『조선불교유신론』을 중심으로

        유승무 동양사회사상학회 2003 사회사상과 문화 Vol.8 No.-

        이 논문은 만해의 지적 배경으로 작용했던 사회진화론이 그의 실천 활동(불교개혁활동) 및 불교사상과 어떻게 각각 연관되는지를 밝힘으로써 그 사회사상적 함의를 도출해 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리는 만해의 불교 관련 대표 저서인 『조선불교유신론』을 자료로 삼아 그 내용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우리는 무엇보다도 먼저 만해가 어떤 경로를 통해 어떤 목적으로 사회진화론을 수용하게 되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주지하듯이 만해는 중국의 변법자강론자로 알려진 양계초를 통해 사회진화론을 수용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것을 수용하여 양계초의 유사한 목적 즉, 한국의 자강을 전개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로 활용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조선불교유신론』의 1장~4장의 서론 부분에서 잘 드러난다. 다음으로 제5장에서부터 제17장까지는 본론에 해당하는 부분인데, 이는 다시 다음과 같이 세 부분으로 크게 나누어진다: 첫 번째 부분은 불교사상에 기초하여 불교 현상의 유신을 주장하는 부분이며, 두 번째 부분은 불교사상과 사회진화론에 모두 의존하면서 불교유신을 주장하는 부분이고, 나머지는 전적으로 사회진화론에 기초하여 불교유신을 주장하는 부분이다. 이 세 부분에 포함되어 있는 각 항복의 세부적인 내용 분석은 본론을 참고하기 바란다. 『조선불교유신론』은 바로 이러한 사상적 근거에 기초하여 불교유신을 주장하는 내용이라는 점에서 크게 두 가지 근본적인 한계를 지니고 있다. 첫째는 사회진화론과 불교사상이 크게 세 가지 점에서 상호 대립각을 형성하고 있으며 그것이 적절하게 해소되고 있지 못하다는 점이다. 둘째는 사회진화론에 기초하여 불교유신을 주장하는 문제점이 그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만해의 『조선불교유신론』은 여전히 현재성을 지니고 있다. 그것은 오늘날 우리에게 주어진 사상적 과제와 실천적 과제가 만해의 당시의 그것에 비해 조금도 모자람이 없기 때문이다. 바로 그렇기 때문에 만해의 『조선불교유신론』은 아직도 우리의 주목을 받기에 충분한 가치를 지니는 명저로 남아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