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복합레진 표면의 연마방법에 따른 표면조도

        민정범,조공철,조영곤 대한치과보존학회 2007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2 No.2

        본 연구는 복합레진의 종류와 연마방법, 복합레진 연마 후 레진전색제의 적용이 복합레진의 표면조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복합레진의 표면조도 측정과 FE-SEM 관찰을 통하여 상호 비교하였다. 미세입자형과 nanofill 복합레진을 이용하여 8×3×2 mm의 시편을 각각 100개씩 제작하였고, 연마방법과 레진전색제의 적용 유무에 따라 20개의 군으로 분류하였다. 복합레진의 종류에 따라 Micronew를 사용한 군은 M군, Filtek Supreme을 사용한 군은 S군으로 분류한 후, 연마방법에 따라 M1군과 S1군은 polyester strip만을 사용한 군, M2군 와 S2군은 Sof-Lex disc를 사용한 군, M3군과 S3군은 Enhance disc와 polishing paste를 사용한 군, M4군과 S4군은 Astropol disc를 사용한 군, M5군과 S5군은 carbide finishing bur를 사용한 군으로 다시 분류하였다. 또한 연마 후 Biscover 레진전색제를 적용한 군은 연마방법에 따른 각 군에 B를 추가하여 M1B군-M5B군 및 S1B군-S5B군으로 분류하였다. 제작된 모든 시편은 표면조도의 측정과 주사전자 현미경 관찰을 시행하기 전에 실온의 증류수에서 24시간 동안 보관 하였다. 표면조도측정기를 사용하여 각 시편의 상면과 하면 모두에서 각각 5회씩 측정하여 평균 표면조도 값을 산출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으며, 각 군에서 대표적인 시편 1개를 선택하여 FE-SEM에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복합레진의 표면조도 값은 polyester strip에 의해 형성된 모든 군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고, 레진전색제를 적용한 S군을 제외한 다른 모든 군에서 finishing bur로 연마한 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p < 0.05). FE-SEM 관찰에서 레진전색제를 적용하기 전의 표면은 polyester strip을 사용한 M1군과 S1군이 가장 평활한 표면을 나타냈고, finishing bur를 사용한 M5군과 S5군은 필러의 탈락에 의해 형성된 여러 개의 기포와 함께 울퉁불퉁한 표면을 보였다. 2. 복합레진의 종류에 따른 표면조도는 레진전색제를 적용하기 전에는 통계학적으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레진전색제를 적용한 후에는 Micronew가 Filtek Supreme보다 평활한 표면을 나타내었다 (p < 0.05). 3. 레진전색제를 적용하기 전에는 복합레진의 종류와 연마방법에 따른 표면조도 간에 상호 연관성이 있었으나, 레진전색제를 적용한 후에는 복합레진의 종류와 연마방법 간에 상호 연관성이 없었다. FE-SEM 관찰에서 레진전색제를 적용한 후의 표면은 모든 군에서 대체적으로 평활한 표면을 나타내었다. 4. 동일한 복합레진과 연마방법으로 처리된 군에서 레진전색제 적용 전과 후의 표면조도 값은 M1B군이 M1군보다, S1B군이 S1군보다 통계학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M4B군과 M5B군은 각각 M4군과 M5군 보다, 그리고 S5B군은 S5군 보다 통계학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p < 0.05). 본 연구를 종합하여 보면, 복합레진의 종류에 따라 표면조도의 순서는 다르게 나타났고, polyester strip 하에서 복합레진이 중합된 경우 가장 낮은 표면조도 값과 평활한 표면을 제공하였으며 전반적으로 finishing bur는 가장 높은 Ra 값과 거친 표면을 제공하였다. Enhance, Astropol, carbide finishing bur로 연마한 표면은 레진전색제의 사용으로 평활한 표면을 얻을 수 있었지만, polyester strip과 Sof-Lex disc로 얻어진 표면은 레진전색제의 사용으로 표면조도의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fference of surface roughness of composite resin according to composite resin type, polishing methods, and use of resin sealant. Two hundred rectangular specimens, sized 8 × 3 × 2 mm, were made of Micro-new (Bisco, Inc., Schaumburg, IL, U.S.A) and Filtek Supreme (3M ESPE Dental Products, St. Paul, MN, U.S.A.), and divided into two groups; Micronew-M group, Filtek Supreme-S group. Specimens for each composite group were subdivided into five groups by finishing and polishing instruments used; M1 & S1 (polyester strip), M2 & S2 (Sof-Lex disc), M3 & S3 (Enhance disc and polishing paste), M4 & S4 (Astropol), and M5 & S5 (finishing bur). Polished groups were added letter B after the application of resin surface sealant (Biscover), eg, M1B and S1B. After specimens were stored with distilled water for 24 hr, average surface roughness (Ra) was taken using a surface roughness tester. Representative specimens of each group were examined by FE-SEM (S-4700: Hitachi High Technologies Co., Tokyo, Japan). The data were analysed using paired t-test, ANOVA and Duncan's tests at the 0.05 probability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lowest Ra was achieved in all groups using polyester strip and the highest Ra was achieved in M5, S5 and M5B groups using finishing bur. On FE-SEM, M1 and S1 groups provided the smoothest surfaces, M5 and S5 groups were presented the roughest surfaces and voids by debonding of filler on the polished specimens.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a between Micronew and Filtek Supreme before the application of resin sealant, but Micronew was smoother than Filek Supreme after the application of resin sealant. 3. There was significant corelation between Ra of type of composite resin and polishing methods before the application of resin sealant (p = 0.000), but no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them after the application of resin sealant. On FE-SEM, most of composite resin surfaces were smooth after the application of resin sealant on the polished specimens. 4. Compared with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resin sealant in group treated in the same composite and polishing methods, Ra of M4B and M5B was statistically lower than that of M4 and M5, and S5B was lower than that of S5, respectively (p < 0.05). In conclusion, surface roughness by polishing instruments was different according to type of composite resin. Overall, polyester strip produced the smoothest surface, but finishing bur produced the roughest surface. Application of resin sealant provided the smooth surfaces in specimens polished with Enhance, Astropol and finishing bur, but not provided them in specimens polished with Sof-Lex disc.

      • KCI등재

        레진을 활용한 조형 예술 디자인 연구 : 현대 예술 장신구를 중심으로

        김영옥(Kim, Young-ock),조완희(Cho, Wan Hee)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2 한국디자인리서치 Vol.7 No.1

        현대 예술 장신구의 다채로운 매체 활용은 전형적인 조형 과정을 해체하고 자유롭고 유기적인 표현 방법의 확장을 보여준다. 또한, 이는 장신구의 의미와 형식의 다양한 가능성과 지각의 표현이자 감정을 표출하는 예술적 도구로서 미적 가치를 부각시키는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예술 장신구의 디자인 과정에서 활용되는 다양한 소재 중 레진(resin, 樹脂)을 중심으로 물리적 특성을 연구하고, 이를 활용한 조형적 표현 방법에 대하여 고찰한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레진이 현대 예술 장신구 작품에 활용된 사례를 통해 표현 방법 및 조형 예술 디자인의 다양한 적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본 연구 주제인 레진은 종류가 다양하여 활용 방법이 광범위하기 때문에 연구자의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기존의 활용 방법과 차별화된 시각적 효과를 연출할 수 있는 레진 종류를 3가지로 제한하여 물리적 특성을 연구한다. 이를 적용한 표면 표현 방법을 실험하고, 각각의 표현 방식이 예술 장신구에 활용된 예시를 통해 레진이 조형 재료로써 활용 가능성과 이를 활용한 표현 방법의 확장에 대해 증명한다. 본 연구에서는 에폭시 레진, 폴리우레탄 레진, 폴리에스테르 레진을 중심으로 물리적 특성을 분류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이를 활용한 표현 효과 방법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레진의 종류별 특성 중 습도가 높으면 기포가 발생하는 특징을 활용하여 기포를 활용한 반복적인 패턴 연출 방법을 서술하며, 레진의 경화 과정 중 물성의 변화를 연구하여 형태 성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을 분석하고 활용 방안을 제안한다. 그뿐만 아니라 불투명한 타 재료와의 융합으로 투명 또는 반투명한 레진의 특성을 부각시켜 심미적인 효과를 연출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레진은 이와 같이 색감 및 형태의 자유로운 표현과 작업 과정이 용이하고 다양한 조형 표현의 응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어 예술 분야뿐만 아니라 의료 기기 및 상업 용품 제작에도 많이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레진의 재료적 특성을 고찰하고 장신구의 조형 재료로써 활용 가능성과 이를 통한 입체적, 색감적, 질감적 다양한 표현 범위의 확장을 증진하여 다양한 조형 예술 분야의 활용성을 높이고자 한다. Diverse utilization of multimedia in Contemporary Art Jewelry dismantles typical formative process whilst offering expansion of various expressive methods that is free and systematic. Moreover, it serves a role of an aesthetical tool, that is capable of expressing emotions that amplify its aesthetical values while suggesting various possibilities of jewelry’s form and significance. Among diverse materials used when designing a piece of art jewelry, the current study examines resin and formative expression techniques based on its characteristics while offering its applicability based on the cases of various Contemporary Art Jewelry pieces. Using a characteristic of resin, formative expression method of creating a bubble-like shape was used as an example of its description; as bubbles are easily created with high level of humidity. Among various ways to process resin, change in properties was studied to explore ways to work on shaping with ease. Furthermore, by mixing it with other opaque materials, either transparent or opaque elements of resin can be highlighted; offering aesthetical visual effects. As resin provide creative and flexible customizations with its rich colours and forms, it also offers conveneint work processes and applications. Its positive attributes make resin a popular material used in various fields and industries including medical equipments and commercial product manufacturing. The current study examines material characteristics of resin and its potential as sculpture material while making sure to expand the range of various expressions.

      • KCI등재

        레진전색제의 마모저항성에 대한 평가

        김수미,한세희,조영곤 대한치과보존학회 2007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2 No.3

        이 연구는 강화형 미세입자 복합레진인 Micronew에 BisCover 레진전색제를 적용한 후 칫솔마모시험을 시행하여 복합레진 표면의 조도와 현미경적 변화를 비교함으로써 레진전색제를 복합레진 표면에 재적용할 시기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리 가능한 알루미늄 판과 복합레진을 이용하여 8×3×2 mm크기의 복합레전 시편 200개를 제작하였다 복합레진 시편의 양쪽표면을Sof-Lex disc로 거친 입자에서 증간 입자까지 마무리한 후 실온의 증류수에 34시간 동안 보관하였다. 시편은 disc로 마무리만 시행한 F군 (n=10)과 마무리 후 레진전색제인 BisCover를 적용한 B군 (n=190)으로 분류하였다. B군은 다시 칫솔질을 가하지 않은 B-IM 군 (n=10)과 칫솔질을 가한 군 (n=180, B-1군에서 B-l8군)으로 분류하였다. 칫솔질을 가한 군은 칫솔마모검사기의 수조에 페리오 치약과 증류수를 무게 비 50 : 50으로 혼합하여 부은 다음 홈이 파진 알루미늄 블록에 각 군의 시편을 위치시키고 칫솔을 고정장치에 부착하여 전, 후 왕복운동을 가하여 칫솔질을 가하였다. 칫솔질은 B-1군에서 B-18군 까지 각각 900회씩 증가시켜 16,200회까지 시행하였다. 표면조도측정기를 사용하여 각 군의 복합레진 표면의 평균 표면조도 값 (Ra)을 산출한 후 통계적으로 분석하였고. 주사전자현미경하에서 각군의 대표적인 시편 1개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F군의 Ra는 0.898±0.145 ㎛, B-IM 군의 Ra는 0.289±0.142 ㎛를 나타냈으며, B-1군에서 B-18군까지의 Ra는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B-1 군에서 0.299±0.48 ㎛, B-18군에서 0.642 ± 0.313 ㎛까지 나타났다. 2. Ra 최종 군집중심은 군집 1 (B-IM∼B-7)에서 0.361 ㎛, 군집 2 (B-8∼B-14)에서 0.511 ㎛, 군집 3 (B-15∼B18)에서 0.624 ㎛를 나타내어 각 군집의 Ra 최종 군집중심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F=49.705, p=0.000) 3. B-IM군의 Ra 증감율은 F군에 비해 210.72%감소되었으며, B-8군과 B-15군의 Ra 증감율은 B-IM군에 비해 각각 35.49%와 51.35% 증가되었다. 4. FE-SSM 관찰에서 B-IM 군은 매우 평활한 복합레진 표면을 나타내었고, B-8군은 전체적으로 평활한 복합레진 표면을 보였지만 표면에 수직으로 아주 얕은 흠집을 나타내었다. B-15군은 복합레진 표면의 중앙에서 B-8군보다 더 넓고 불규칙 한 수직의 흠집을 나타내었고, B-18군은 복합레진 표면 전체에 넓은 흠집을 나타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brasion resistance of surface penetrating sealant which was applied on a composite resin restoration and to provide proper time to reapply sealant on composite resin surface. Two hundred rectangular specimens, sized 8×3×2 mm, were made of Micronew (Bisco, Inc., Schaumburg, IL, U.S.A) and divided into two groups F group (n = 10) was finished with coarse and medium grit of Sof-Lex discs and BisCoverwas applied B group (n = 190) after finishing with discs. B group was again subdivided into nineteen subgroups. From B-1 group to B-18 group were subjected to toothbrush abrasion test using a distilled water-dentifrice slurry and toothbrush heads. B-IM group was not subjected to toothbrush abrasion test. Average surface roughness (Ra) of each group was calculated using a surface roughness tester (Surfcorder MSE-1700: Kosaka Laboratory Ltd., Tokyo, Japan). A representative specimen of each group was examined by FE-SEM (S-4700: Hitachi High Technologies Co., Tokyo, Japan). The data were analysed using cluster analysis, paired t-test, and repeated measure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Ra of F group was 0.898±0.145 ㎛ and B-IM group was 0.289±0.142 ㎛. Ra became higher from B-1 group (0.299±0.48 ㎛) to B-18 group (0.642±0.313 ㎛). 2. Final cluster center of Ra was 0.361 ㎛ in cluster 1 (B-IM∼13-7), 0.511 ㎛ in cluster 2 (B-8 B-14) and 0.624 ㎛ in cluster 3 (B-15∼B-18).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Ra of three clusters. 3. Ra of B-IM group was decreased 210.72% than Ra of F group. Ra of B-8 group and B-15 group was increased 35.49% and 51.35% respectively than Ra of B-IM group. 4. On FE-SEM, B-IM group showed the smoothest resin surface. B-8 group and B-15 group showed vertically shallow scratches, and. wide and irregular vertical scratches on composite resin surface respectively. Within a limitation of this study, finished resin surface will be again smooth and glazy if BisCover would be reapplied within 8 to 14 months after applying to resin surface. [J Kor Acad Cons Dent 32(3):180-190, 2007]

      • KCI등재

        레진 시멘트의 film thickness가 간접 복합 레진 수복물의 접착 효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상혁,최기운,최경규 大韓齒科保存學會 2010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5 No.2

        본 연구는 여러 레진 시멘트의 film thickness에 따른 상아질과 간접 레진 수복물 간의 미세인장 결합 강도를 측정하고, 각 레진 시멘트의 중합 수축 및 굴곡 강도, 탄성 계수를 비교 분석하며, 접착 계면 및 파단면의 주사전자 현미경 관찰을 통하여 레진 시멘트의 film thickness가 레진 간접 수복물의 접착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시행하였다. 복합 레진형 레진 시멘트인 Variolink II와 Duo-Link, 접착형 레진 시멘트인 Panavia F와 Rely X Unicem의 4가지 레진 시멘트를 사용하였고, 각각의 시멘트를 film thickness에 따라 < 50 μm (control)의 대조군과 50 μm (T50), 100 μm (T100), 150 μm (T150)의 실험군으로 나누어 총 16개의 군으로 분류하였다. 데이터는 ANOVA와 Duncan’s multiple comparison test (p < 0.05)를 이용하여 통계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Variolink Ⅱ는 모든 film thickness에서 접착형 레진 시멘트보다 높은 결합 강도를 나타냈지만(p < 0.05), Duo-Link는 대조군을 제외하고는 통계학적 유의차가 없었다(p > 0.05). 2. Film thickness가 증가할수록 복합 레진형 레진 시멘트의 결합 강도는 유의성 있게 감소(p < 0.05)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접착형 레진 시멘트는 통계학적 유의차가 없었다(p > 0.05). 3. Panavia F는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낮은 중합 수축량을 나타냈다(p < 0.05). 4. 굴곡 강도와 탄성 계수는 복합 레진형 레진 시멘트가 접착형 레진 시멘트보다 유의성 있게 높게 나타났다(p < 0.05). 5. FE-SEM 관찰 결과 결합 강도가 높은 복합 레진형 레진 시멘트는 균일한 접착층과 잘 발달된 resin tag 소견을 보였으나, 접착형 레진 시멘트는 불분명한 접착층과 resin tag 소견을 나타냈다. 파단면 관찰에서 복합 레진형 레진 시멘트는 혼합형 파괴 양상을 나타냈으나 접착형 레진 시멘트는 접착성 파괴 양상을 나타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film thickness of various resin cements on bonding efficiency in indirect composite restoration by measurement of microtensile bond strength, polymerization shrinkage, flexural strength and modulus, fractographic FE-SEM analysis. Experimental groups were divided according to film thickness (< 50 μm-control, 50 μm-T50, 100 μm-T100, 150 μm-T150) using composite- based resin cements (Variolink Ⅱ, Duo-Link) and adhesive-based resin cements (Panavia F, Rely X Unicem). The data was analyzed using ANOVA and Duncan’s multiple comparison test (p < 0.05).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Variolink Ⅱ showed higher microtensile bond strength than that of adhesive-based resin cements in all film thickness (p < 0.05) but Duo-Link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except control group (p > 0.05). 2. Microtensile bond strength of composite-based resin cements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increasing film thickness (p < 0.05) but adhesive-based resin cement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film thickness (p > 0.05). 3. Panavia F showed significantly lower polymerization shrinkage than other resin cements (p < 0.05). 4. Composite-based resin cem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flexural strength and modulus than adhesive- based resin cements (p < 0.05). 5. FE-SEM examination showed uniform adhesive layer and well developed resin tags in composite-based resin cements but unclear adhesive layer and poorly developed resin tags in adhesive-based resin cements. In debonded surface examination, composite-based resin cements showed mixed failures but adhesive-based resin cements showed adhesive failures.

      • KCI등재

        EFFECT OF PRE-HEATING ON SOME PHYSICAL PROPERTIES OF COMPOSITE RESIN

        진명욱,김성교 대한치과보존학회 2009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복합레진의 광중합 전 열처리가 복합레진의 일부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우식이 없는 여든 개의 발거된 치아를 사용하였다. 네 가지 온도의 복합레진, 즉, 냉장 보관되어 있던 4℃ 복합레진 상온 17℃의 복합레진, Calset"를 이용하여 48℃까지 전열처리한 복합레진. 그리고 56℃까지 전열처리한 복합레진을 사용하였다. 복합레진의 물성으로서 치질과의 전단결합강도, 미세경도 그리고 이중결합 전환율을 측정하였다. 법랑질과 상아질에서 공히 4℃, 17℃, 48℃, 그리고 56℃의 온도 중에서 56℃까지 전열처리한 복합레진이 가장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였으며 , 복합레진의 온도가 높을수록 더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나타내었다. 복합레진의 온도가 높을수록 더 높은 미세경도를 나타내었다. 복합레진의 온도가 높을수록 이중결합의 전환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제한된 여건에서 행해진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볼 때, 냉장고 또는 실온에 보관되어 있던 복합레진을 미리 열처리하면 치질과의 전단결합강도, 복합레진의 미세경도 및 이중결합 전환율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임상에서 복합레진을 사용 시 복합레진의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레진을 미리 열처리하는 것을 추천할 수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pre-heating on some physical properties of composite resin. Eighty extracted. noncarious human molars were used in the present study. Four different temperatures of composite resin were used: 4℃, 17℃, 48℃, and 56℃. The 4℃ and 17℃ values represented the refrigerator storage temperature and room temperature respectively. For 48℃ and 56℃ composite resin was heated to the temperatures. Us physical properties of composite resin shear bond strength. microhardness and degree of conversion were measured. The data for each group were subjected to one-way ANOVAs followed by the Tukey's HSD test at 95% confidence level. Both in enamel and dentin, among composite resin of 4℃, 17℃, 48℃, and 56℃, thc pre-heated composite resin up to 56℃ revealed the highest shear bond strength, and pre-heated composite resin to thc higher temperature revealed higher shear bond strength. Microhardness value was also higher with composite resin of higher temperature. Degree of conversion was also higher with composite resin of the higher temperature In this study, it seems that pre-heating composite resin up to the higher temperature may show higher shear bond strength. higher microhardness value and higher degree of conversion Therefore when using composite resin in the clinic preheating the composite resin could be recommended to have enhanced Physical properties of it.

      • KCI등재

        간접수복용 복합레진과 자가 접착 레진 시멘트의 전단결합강도에 레진코팅법이 미치는 영향

        홍지연,박철우,허정욱,방민기,류재준,Hong, Jee-Youn,Park, Cheol-Woo,Heo, Jeong-Uk,Bang, Min-Ki,Ryu, Jae-Jun 대한치과보철학회 2013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1 No.1

        연구 재료 및 방법: 본 연구에서는 간접 레진 수복시에 상아질 접착제와 저점도 레진을 이용한 상아질 레진코팅법을 자가 접착 레진 시멘트에 적용해 전단결합강도가 증가하는지 비교하고 기존의 레진 시멘트와의 전단결합강도 차이가 어떠한지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 사람의 발거된 건전한 구치 36개의 치관부를 삭제하고 상아질을 노출시킨 후 3개의 군으로 분류하였다. 1군과 3군은 상아질에 아무런 처리 과정을 거치지 않고 2군만 Clearfil SE bond와 Metafil Flo를 사용해 상아질 레진코팅법을 시행하였다. 24시간의 임시수복 기간을 둔 후 Tescera를 이용하여 제작한 레진 인레이 블록을 1군과 2군에는 Unicem, 3군에는 Panavia F를 사용해 접착하였다. 그 후 증류수에 48시간 동안 보관한 후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전단결합강도는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 Tukey method를 이용하여 multiple comparison를 시행하였다. 결과:상아질에 레진코팅법을 시행한 경우의 Unicem의 결합강도가 상아질에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은 대조군의 결합강도보다 높게 나타났고(P<.0001), 레진코팅을 하지 않고 Panavia F로 접착한 실험군의 결합강도보다 높게 나타났다(P<.0001). 결론: 상아질 레진코팅법은 자가 접착 레진 시멘트의 접착 강도를 증가시켰다. Purpose: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effect of a resin coating on the shear bond strength of indirect composite restoration bonded to dentin with a self adhesive resin cement and to compare the shear bond strength with that of a conventional resin cement. Materials and methods: The occlusal enamels of thirty six extracted noncarious human molars were removed until the dentin flat surfaces of the teeth were exposed. Then, they were divided into 3 groups. The dentin surfaces of group 1 and 3 were left without any conditioning, while the dentin surfaces of group 2 were resin-coated with Clearfil SE bond and a flowable resin composite, Metafil Flo. After all specimens were temporized for 24 hours, indirect composite resin blocks fabricated by Tescera were bonded to dentins by Unicem for group 1 and 2, and by Panavia F for group 3. After 48 hours of water storage, shear bond strengths were measured. The data was analyzed with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multiple comparison test (Tukey method). Results: The shear bond strengths of Unicem applied to resin coated dentin surfac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Unicem and Panavia F used to uncoated dentin surfaces (P<.0001). Conclusion: Application of a resin coating to the dentin surface significantly improved the shear bonding strength of a self adhesive resin cement in indirect restoration.

      • KCI등재

        유동성 복합 레진을 적용한 예방적 레진 수복물의 미세 누출 양상에 관한 비교 연구

        박헌정,김종수,김용기 대한소아치과학회 2000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7 No.3

        성인에 비해 치료를 견딜 수 있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은 소아 환자에 있어 시술 시간은 치료 결과의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게 된다. 최근 소개된 유동성 복합 레진을 예방적 레진 수복술에 사용하게 될 경우 전색재 도포 과정을 생략할 수 있어 시술 시간의 단축, 편의성 등의 장점이 인정되나 미세누출 등에 관한 연구 결과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소개된 유동성 복합 레진을 사용한 예방적 레진 수복물과 기존의 복합 레진과 전색재를 사용한 예방적 레진 수복물 간의 미세누출 및 기포발생 정도를 비교하고자 함이었다. 교합면이 건전한 상악 소구치 60개를 대상으로 고속용 1/2 round bur를 이용하여 교합면 열구를 따라 길이3.0 ×폭0.7 ×깊이2.0mm의 Ⅰ급 와동을 형성하고 각 군 당 20개씩 무작위로 시편을 배분하고, 제조자의 지침에 따라 본딩재인 Scotchbond Multipurpose □ (3M dental product, U.S.A.)를 적용하고 유동성 복합 레진 수복군인 Ⅰ,Ⅱ군에는 각각 Revolution □ (Kerr, U.S.A.)과 Arabesk Flow(VOCO, Germany), 대조군인 Ⅲ군(통상적 예방적 레진 수복군)에는 Restorative Z-100 □ (3M dental product, U.S.A.)과 Concise □ (3M dental product, U.S.A.)를 제조자의 지시에 따라 충전, 적용하였다. 3,000회의 열 순환 및 색소 침투 후 시편을 절단하여 컴퓨터에 영상을 입력하고 색소의 침투 길이 및 침투 비율을 계산하고 미세누출 평가 기준을 이용하여 각 시편에 대한 미세누출 정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각 군별로 특징적으로 나타난 기포의 발생 양상을 별도의 평가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미세누출은 수복재와 법랑질의 계면부에 국한되어 관찰되었고, 와동 내부까지 침투된 경우는 없었으며, 유동성 복합레진 수복군(Ⅰ, Ⅱ군)이 기존의 예방적 레진 수복군(Ⅲ군)에 비해 낮은 미세 누출 정도를 나타냈다(p〈0.05). 미세누출 결과 외에, 대부분의 충전물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기포가 발견되었으며, Ⅰ, Ⅱ군 표본에서 Ⅲ군에 비해 크기가 큰 기포가 더욱 많이 관찰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microleakage pattern of preventive resin restoration using conventional composite resin and allowable composite resin that recently developed. 60 sound premolar teeth were allocated to three groups. Flowable composite resin was used for the experimental groups(GroupⅠ,Ⅱ) and conventional resin for the control group(Group Ⅲ) . After composite fi11ing and sealant application. all teeth were thermocycled and evaluated for microleakage under light microscope. Additionally, a variety of voids formed inside restorations were also evaluated. Data were analyzed statistically using Kruskal-Wallis test and/or Mann-Whitney U-test.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11ows . 1.Microleakage found in all samples was only limited to the interface o( restoration margin and enamel. 2.The flowable composite resin groups (GroupⅠ, Ⅱ) generally showed less micoleakage than control groups (conventional preventive resin restoration) (p〈0.05) 3.Various types of voids were observed in most specimens. Especially, there was a tendency for more and larger voids to be found in group Ⅰ, Ⅱ than group Ⅲ (p〈0.05).

      • KCI등재후보

        고강도 할로겐광으로 중합한 복합레진 수복재의 경도

        박종석,이광희,김대업,김성형,안호영 대한소아치과학회 2001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8 No.3

        복합레진의 광중합시간 단축과 관련하여 최근에 개발된 고강도 할로겐광 중합기를 기존의 중강도 할로겐광 중합기와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세 종류의 광중합용 복합레진을 두께가 2, 3, 4, 5mm인 스테인레스 스틸 몰드에 충전하고, 레진 상면을 중강도 할로겐 광은 (1) 400mW/cm²으로 40초간, 고강도 할로겐광은 (2) 10초동안 100mW/cm²부터 1000mW/cm²까지 출력량이 증가하면서 중합하고 다음 10초동안 1000mW/cm²로 중합하는 ramp 모드로 20초간, (3) 1000mW/cm²의 boost 모드로 10초간. (4) 850mW/cm²의 표준 모드로 20초간 조사하고. 상면과 하면의 표면경도를 미세경도측정기로 측정한 후 실험군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레진 상면의 경도는 중합광의 강도와 중합시간 및 레진 두께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유의수준 0.05, 이하 동일). 레진 하면의 경도는,두께 2mm의 중강도군(1)을 제외하고,상면의 경도보다 낮았다. 레진 하면의 경도는 두께 2mm에서 중강도군(1)이 ramp군(2) 및 boost군(3)보다 높았고 중강도군(1)과 표준군(4) 간 및 ramp군(2)과 boost 군(3)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두께 3mm에서 중강도군(1)이 가장 높았고 표준군(4)이 boost군(3)보다높았다. 따라서, 복합 레진의 중합 깊이 측면에서 볼 때. 1000mW/cm²의 고강도 할로겐 광을 10초간 조사한 것은 400mW/cm²의 중강도 할로겐광을 40초간 조사한 것에 미치지 못하였으며, 레진 두께 2mm이내인 경우에는 850mw/cm²의 고강도 할로겐 광을 20초간 조사함으로써 400mw/cm²중강도 할로겐 광을 40초간 조사한 것과 대등한 중합을 일으킬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 of the high intensity halogen light (850∼ 1000 mW/cm²) with that of the conventional halogen light (400 mW/cm²) on the hardness of composite resin. Three resin com-posites (Z-100, 3M, U.S.A ; Tetric Ceram, Vivadent, Liechtenstein : Surefil, Dentsply, U.S.A.) were filled in the stainless steel moulds which were 4mm in diameter and 2, 3, 4, and 5 mm in depth, respectively. They were cured under the four different modes : (1) conventional mode,40 seconds at 400 mW/cm²; (2)'ramp'mode, 10 seconds at 100 to 1000 mW/cm² plus 10 seconds at 1000 mW/cm²: (3)'boost'mode, 10 seconds at 1000 mW/cm²: and (4) 'standard'mode, 20 seconds at 850 mW/cm² The surface hardnesses of the top and the bot-tom of the resin samples Were measured with a microhardness tester (MXT70, Matsuzawa, Japan) . The top surface hardnes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curing modes . The bottom surface hardness was gen-erally the highest in the conventional mode and the lowest in the high intensity boost mod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ottom surface hardness between the conventional mode and the high intensity standard mode in 2mm depth.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curing time of the high intensity halogen light (850 mW/cm²) should be at least 20 seconds to produce the equal level of the bottom surface hardness of 2mm resin composite as compared to the hardness produced by the conventional halogen light (400 mW/cm²).

      • KCI등재

        간접 복합레진 합착 시 자가부식형과 자가접착형 레진시멘트의 상아질에 대한 미세인장 결합강도

        박재구,조영곤,김일신 大韓齒科保存學會 2010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5 No.2

        본 연구는 간접 복합레진 수복물을 1종의 자가부식형 레진시멘트와 3종의 자가접착형 레진시멘트를 이용하여 상아질에 합착하였을 때 각 레진시멘트의 미세인장 결합강도와 결합계면의 차이를 평가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발거된 상.하악 대구치 교합면 측 상아질에 Tescera 복합레진 블록을 레진시멘트(PA 군: Panavia F 2.0, RE 군: RelyX Unicem Clicker, MA 군: Maxem, BI 군: BisCem)를 이용하여 합착하였다. 증류수에 24시간 동안 보관한 후, 합착된 면의 단면적이 1.0 × 1.0 mm인 막대모양의 시편을 제작하여 각 시편에 분당 0.5 mm의 crosshead speed로 인장하중을 가하였다. 각 군의 미세인장 결합강도는 one-way ANOVA와 Tukey의 HSD 방법을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FE-SEM 하에서 모든 파절편의 상아질 쪽 파절양상과 레진시멘트-상아질 및 레진시멘트-복합레진의 계면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간접 복합레진 블록을 레진시멘트로 상아질에 합착할 때 PA 군과 RE 군은 MA 군과 BI 군보다 높은 결합강도와 긴밀한 접착 및 레진테그가 관찰되었고, 복합레진과 레진시멘트 간에는 간극이 관찰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icrotensile bond strength (μTBS), failure modes and bonding interfaces of self-etching and three self-adhesive resin cements to dentin and indirect composite resin. Cylindrical composite blocks (Tescera, Bisco Inc.) were luted with resin cements (PA: Panavia F 2.0, Kuraray Medical Inc., RE: RelyX Unicem Clicker, 3M ESPE., MA: Maxem, Kerr Co., BI: BisCem, Bisco Inc.) on the prepared occlusal dentin surfaces of 20 extracted molars. After storage in distilled water for 24h, 1.0 mm × 1.0 mm composite-dentin beams were prepared. μTBS was tested at a cross-head speed of 0.5 mm/min. Data were analyzed with one-way ANOVA and Tukey’s HSD test. Dentin sides of all fractured specimens and interfaces of resin cements-dentin or resin cements-composite were examined at FESEM(Field Emission-Scanning Electron Microscope). In conclusion, PA and RE showed higher bond strength and closer adaptation than MA and BI when indirect composite blocks were luted to dentin using a self-etching and three self-adhesive resin cements.

      • KCI등재

        Bulk-fill 복합레진과 전통적 복합레진의 물성비교

        노태환,송은주,박소영,표애리,권용훈,김지연,김신,정태성,Noh, Taehwan,Song, Eunju,Park, Soyoung,Pyo, Aeri,Kwon, Yonghoon,Kim, Jiyeon,Kim, Shin,Jeong, Taesung 대한소아치과학회 2016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3 No.4

        치아우식증을 치료할 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수복재료 중 하나는 레진이다. 하지만 레진은 중합수축, 긴 작업시간, 수분 및 오염에 민감하다는 단점들이 존재하고 어린이를 치료할 때 더 두드러진다. 이러한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bulk filling이 나타나게 되었고, 이를 가능하게 하는 bulk-fill 복합레진이 개발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적 복합레진과 bulk-fill 복합레진의 물성을 다양한 방법으로 평가 및 비교하기 위함이다. 전통적 복합레진 3 종류(Filtek Z-350 (Z-350), Unifil Flow (UF), Unifil Loflo Plus (UL)), bulk-fill 복합레진 2종류 (SureFil SDR flow (SDR), Tetric N-Ceram bulk fill (TBF))를 사용하였다. 광중합기는 light-emitting diodes를 사용하였고, 한번 중합할 때 20초간 시행하였다. 재료들의 미세경도는 비커스경도기로 측정하였고, 중합도 측정은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을 사용하였다. 중합수축량은 컴퓨터로 제어되는 linometer를 이용하였다. 굴곡강도 및 굴곡계수는 3점 굽힘 시험법으로 측정하였고, 압축강도 및 압축계수와 함께 Universal testing machine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통계분석은 ANOVA를 사용하였고, Scheffe의 사후검정을 하였다. 미세경도는 상면에서 Z-350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고, 하면은 TBF가 높은 값을 나타냈으나 UL은 상하면 모두에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상면과 하면의 미세경도 값의 비는 SDR, TBF가 높았다. 중합도는 bulk-fill 복합레진과 유동성 복합레진 상하면 모두에서 높게 나타나고, Z-350는 상하면 모두에서 55% 이하로 나타났다. 압축강도는 Z-350이 가장 높았으며 SDR이 낮게 나타났으나 UL과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압축계수는 Z-350이 높게 나타났고, UL이 가장 낮았다. 굴곡강도 및 굴곡계수는 Z-350이 가장 높았다. UL은 굴곡강도 및 굴곡계수 모두 가장 낮게 나타났다. UL이 가장 높은 중합수축을 보였고, Z-350이 가장 낮은 중합수축 값을 나타냈다. 유동성 복합레진이 비유동성 복합레진보다 중합 수축 양이 많았다. 결론적으로 bulk-fill 복합레진의 물성은 전통적 복합레진보다 떨어지지만 bulk filling할 때 중요한 상하면의 미세경도비 및 중합도는 높게 나타나 어린이의 치아우식증 수복치료 시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Composites are the most useful restorative material. However, composites have some disadvantages such as polymerization shrinkage, long working time, and susceptibility to water and contamination, which are stood out more especially when treating children. To solve these problems, bulk-fill composites have been develope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mechanical properties of bulk-fill and conventional composites. Bulk-fill composites (SureFil SDR flow (SDR), Tetric N-Ceram bulk fill (TBF)) and conventional composites (Filtek Z-350 (Z-350), Unifil Flow (UF), Unifil Loflo Plus (UL)) were used. The Vickers hardness tester was used to measure the microhardness of materials, and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was used to measure the degree of conversion. Polymerization shrinkage was measured by using a linometer. Flexural and compressive properties were measured by using the universal testing machin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ANOVA and Scheffe's post hoc test. The level of significance was set to p < 0.05. Most conventional composites showed higher microhardness than bulk-fill composites. However, bulk-fill composites showed a higher top/bottom microhardness ratio than conventional composites. Bulk-fill composites showed a higher top/bottom degree of conversion ratio than conventional composites. The polymerization shrinkage was highest in UL and lowest in Z-350. The polymerization shrinkage of flowable composites was higher than that of non flowable composites. The compressive properties were highest in Z-350 and lowest in SDR and UL. In terms of flexural properties, Z-350 was the highest. However, none of the bulk-fill composites exhibited mechanical properties as good as those of conventional composites. Nonetheless, the ratio of microhardness and degree of conversion, which are important properties of bulk filling, were higher in bulk-fill composites. Therefore, the bulk-fill composites might be considered suitable restorative materials in pediatric dentis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