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화 활동과 질문유형이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송은주 한국아동교육학회 1994 아동교육 Vol.4 No.1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tory-reading activities and the types of questioning by teachers about the stories on the young children's creativity. The subjects for the study were 76 first graders in a public elementary school in a urban area near Teagu-city in Korea. They were randomly selected from 120 children of two classes, then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ree experimental conditions and one control group. "These four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on the pretest of creativity. The experimental conditions were : 1. divergent questioning after story reading, 2. convergent questioning after story reading ; 3. story reading only (no questioning). Children in each group participated in 10 story reading and questioning sessions, which were conducted three times a week over four weeks during the fall semester of 1993. In the divergent questioning group, children were asked to come up with their own ideas to the open-ended questions in regard with the story they read in each session. In the convergent questioning group, children were asked to respond in either `Yes' or `No' to the factual questions from the story they read in each session. For the noquestioning condition, there was no questioning after each story reading. For the control group, children were participated only in the pre-and post testing for the creativity. About one week after the experimental sessions, children's creativity were measured on the TTIC, which were adopted (by Cho, SungYeun, 1985) version of TTCT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The four groups were compared on the creativity scores of the post-test, using ANOVA and Tukey procedure. The results of the analyses were as follows 1. The creativity level of the divergent questioning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vergent questioning group. 2. Regardless of the types of questioning,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questioning activities after story reading showed significantly higher creativity scores than children who had no questioning activities after story reading. 3. The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story reading without questioning activity showed a higher level of creativity than children in the no-story (control) group. In conclusion, teachers' divergent questioning after story reading seemed to be more effective than convergent questioning for the enhancement of young children's creativity. Also, story reading activity alone seems to increase children's creativity, although the long-term effect was not investigated in the present study.

      • KCI등재후보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I-based Assessment Model for English Speaking Skills in Primary School

        송은주,심규남 한국영어평가학회 2020 영어평가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nglish speaking skills assessment model using AI chatbot. The model includes the tasks, the rubric for grading and the test results. Ten English teachers and 64 students were asked to report on the existing English speaking assessment to diagnose any potential problems. The assessment model is designed with four different tasks, which consider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and the literature research. The criteria of the assessment consist of content delivery, accuracy and task completion and it determines the score of achievement. Before applying the test, a pre-inspection was performed by ten English teachers to improve the validity and the practicality of the test. After taking the test, 64 students answered the questionnaire, which explored their reactions to the test. For the purpose of verifying reliability, the test was conducted with a time difference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ssessment model has a high validity and reliability. Additionally, the students’ reactions revealed that they had more confidence than the in-person interview. Furthermore, they enhanced their speaking proficiency by uptaking the given feedbacks. Finally, the pedagogical significance implicated that individualized learning and scaffolded assessment is possible.

      • KCI등재

        포스트휴먼 페미니즘과 정보이론 - N. 캐서린 헤일스의 사이버네틱스 연구를 중심으로

        송은주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3 人文科學 Vol.128 No.-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field of posthuman feminism by analyzing N. Katherine Hayles' cybernetic information theory from a gendered perspective. Hayles, a theorist who has received relatively little attention in feminism, deserves to be reevaluated for her emphasis on the embodiment of information and her critique of male chauvinist ideas that promote disembodiment. Assessing the gendered significance of Hayles's information theory can broaden and enhance posthuman feminist theorizing in the life sciences and computational technoscience. This article examines how Hayles explores the processes of disembodiment and decontextualization of information in her study of the history of Cybernetics. Information theorists Norbert Wiener and Claude Shannon, who were prominent in the first wave of Cybernetics, dematerialized and decontextualized information to quantify it as an object. This approach was rooted in the Western Platonic and Cartesian dichotomy, which asserts the dominance of the mind over matter and perpetuates the liberal humanist notion of subjectivity based on race, gender, and class distinctions. The disembodied view of information in Cybernetics has served as the foundation for the sexist practices evident in the development and use of AI today. However, this study reveals that this disembodied conception of information was not inevitable but rather a historical accident. It highlights Hayles's posthuman perspective, which emphasizes the intermediacy and complexity of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and matter, human and machine. This perspective aligns with materialist feminism and Posthuman feminism, including Karen Barad's Intra-actions. 본 연구는 N. 캐서린 헤일스의 사이버네틱스 정보이론을 젠더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포스트휴먼 페미니즘 연구에 기여하고자 한다. 헤일스는 페미니즘에서는 비교적 덜 관심을 받아 온 이론가이지만, 정보의 체현을 강조하면서 탈체현의 남성우월주의적 사상이 지닌 허구성을 비판해 온 점에서 재평가될 필요가 있다. 또한, 헤일스의 정보이론에서 젠더적 의의의 평가는 생명과학과 계산적 테크노사이언스를 양 축으로 삼는 포스트휴먼 페미니즘 이론의 범위를 확장하고 성과를 풍부하게 만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헤일스가 사이버네틱스의 역사를 연구하면서 정보의 탈체현과 탈맥락화의 과정을 어떻게 추적했는가를 살펴본다. 1차 사이버네틱스를 주도한 정보이론가 노버트 위너와 클로드 섀넌은 정보를 수량화할 수 있는 개체로 만들기 위하여 정보를 탈물질화하고 탈맥락화했다. 이는 물질에 대한 정신의 우위를 주장하는 서구 플라톤주의와 데카르트적 이분법에 기초한 것으로, 인종, 젠더, 계급적 차별에 기초한 자유주의 휴머니즘의 주체 개념을 계승한다. 이러한 사이버네틱스의 탈체현적 정보 개념은 현재 인공지능 개발과 이용에서 드러나는 성차별적 관행의 토대가 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탈체현적 정보 개념이 필연적인 것이 아니라 역사적 우연이었음을 밝히며, 정보와 물질, 인간과 기계 양자의 역동적 상호관계에서 발현되는 상호매개성과 복잡성을 강조하는 헤일스의 포스트휴먼 관점에 주목한다. 이는 캐런 바라드의 내부작용과 같이 유물론적 페미니즘을 비롯한 포스트 페미니즘과도 맥을 같이한다.

      • KCI우수등재

        인문학적 관점에서 본 4차 산업혁명 담론과 교육의 방향- 일본과 독일의 사례를 중심으로-

        송은주 인문콘텐츠학회 2019 인문콘텐츠 Vol.0 No.52

        by the governmental policies and Japan and Germany demonstrate similar tendency.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role of the humanities in construct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discourses and policies is important in providing critical viewpoints and analyze the cases of Japan and Germany. The Japanese government declared the robot industry would be the core engine to lead the fo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has concentrated on promoting it. Also, it expects the robot industry will offer the solution for the social problems such as population aging and manpower shortage. However, it reveals excessive dependence on technologies and technological determinism. Educational policies have the limitation of elitism to focus on cultivating top-level talent and dependence on the technologies without careful consideration of its social influences. The German government has launched the policies to prepare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efore Davos forum in 2016 to deal with crisis from the third countries' pursuit. Germany has tried to overcome their challenges by introducing Cyber Physical System, which could improve the efficiency of manufacturing by connecting cyber space with physical workplace. German policies feature bottom-up and democratic decision-making processes under the influence of the social market economy. The tendencies are found in educational policies as well. Therefore Germany tries to enhance the digital education like Japan, but includes the humanities viewpoints to consider both its negaive and positive effects on students. Besides, duel system aims to balance the demand of enterprises and the supply of school, the work and the life. These differences between two countries are based on their historical backgrounds and the competency of democratic civil society. It is a crucial element to decide whether the forth industrial revolution will succeed or fail. Education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hould endeavor to develop it. 본 연구는 현재 4차 산업혁명 담론의 주류를 이루는 ‘산업적 담론’과 ‘생존기술의 담론’의 자본 편향적 논리를 극복하고, 기술혁신과 인간적 가치의 구현 사이의 균형을 맞추는 대안적 담론을 탐색하기 위하여 우리와 유사한 사례인 독일과 일본의 4차 산업혁명 정책과 교육정책을 인문학적 관점에서 분석한다. 두 나라는 국가 주도의 정책으로 4차 산업혁명의 변화에 대응하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나라와 유사하지만, 각기 사회적, 문화적, 역사적 배경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일본의 경우 비교 우위를 갖고 있는 로봇 산업에 집중 투자하고 있으며, 산업 발전 뿐 아니라 고령화와 인력부족 등 사회문제까지도 휴머노이드와 감성형 로봇의 개발로 해결할 수 있으리라 기대하고 있다. 교육개혁에서도 로봇을 교육현장에 적극 도입함으로써 교육의 효율을 높이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이 기술결정론적 시각과 기술을 둘러싼 사회적 함의를 충분히 고려하지 않은 채 기술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는 점에서, 로봇의 윤리적 문제들에 대한 인문학적 성찰이 요구된다. 독일의 경우는 기술 혁신과 활용이 인간적인 삶과 노동의 가치 실현이라는 목표를 지향해야 한다는 사회적 합의를 바탕으로 인더스트리 4.0과 아르바이텐 4.0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교육정책에서도 디지털화를 추진하면서도 인문학적 융합 교육을 시도하며 노동과 삶, 기업의 수요와 학교의 공급 사이의 균형을 맞추는 듀얼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실행하고 있다. 양국의 차이는 민주주의적 시민 사회의 역량의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분권화와 수평적 사회구조를 지향하는 4차 산업혁명의 성격상 민주적 시민의식을 함양하는 교육이 4차 산업혁명을 위한 교육 정책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대학건강증진을 위한 대학구성원들의 체육활동 참여 실태 및 수요 분석과 활성화 방안

        송은주,박성률 한국열린교육학회 2018 열린교육연구 Vol.26 No.1

        이 연구는 대학구성원들의 체육활동 참여 실태와 수요 그리고 건강관련 생활양식을 파악함으로써 대학건강증진을 위한 체육 및 복지 정책 자료 도출과 더불어 대학구성원들의 체육활동 참여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전국 소재 4년제 대학의 교직원과 대학생을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전국 대학 분포 규모에 따라 지역별 표본 Quota 산정 후 층화집락추출(대학생 530명, 교직원 220명)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우리나라는 대학 당국의 대학체육 및 대학건강증진 사업에 대한 관심 부족과 프로그램 지원 정책 및 자원 부족, 전략적 기획 과정의 부재, 프로그램 기획·관리·평가를 위한 전문 인력의 부족 등으로 인해 건강한 대학환경 조성에 어려움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대학체육 및 대학건강증진 사업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 부족하고, 인식, 요구도, 인프라 등에 관한 파악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향후 대학건강증진을 위해 각 대학들은 대학체육 및 대학건강증진 사업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역량과 자원을 집중할 필요가 있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대학체육 및 대학건강증진 사업 모델을 개발 및 관련 분야에 대한 학문적 관심/담론들을 활성화하여 건강한 대학문화 조성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data for physical exercise and welfare policies for university health promotion, and to suggest a plan to revitalize the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of university members by understanding the status and demand of the physical activity of university members and the lifestyles related to health. For this, the university teaching staff and students of four-year universities all over the country were established as a population, and after calculating regional sample quota according to the national university distribution scales, stratified cluster sampling (530 university students, 220 teaching staff) was performed. As for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SPSS 12.0 program was used for statistical treatment. The results highlighted that there is insufficient interest of universities in university physical exercise and university health promotion projects. Also, there are insufficient program support policies, resources, and an absence of strategic planning courses. In addition, there is insufficient professional manpower for planning, managing, and evaluating programs. This means that our country has difficulties in preparing for a healthy university environment. Moreover, academic interest in university physical exercise and university health promotion projects and data for recognition, demand and infrastructures are not made. In conclusion, each university is required to improve the problems of university physical exercise and university health promotion projects and to concentrate on competence and resources for the future university health promotion. Universities should put all efforts to prepare for healthy university cultures by developing various university physical activities and university health promotion business models, and revitalizing academic interest in and discussion about related fields.

      • 건식쌀가루를 이용한 품종 및 입도에 따른 증편의 품질특성

        송은주,최소라,송영은,한현아,이송이,신소희,이기권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17 학술대회 및 심포지엄 Vol.2017 No.11

        한국쌀가공식품협회에 의하면 쌀가루 시장은 2008년 만톤, 2012년 5만톤으로 5배 성장하였으며, 2017년은 10만톤 2500억 규모로 쌀가루 시장은 급속히 성장하여 쌀 가공제품 생산에 이용하고 있다. 또한 쌀 사용량 현황은 55,794톤이며, 총매출액은 12,380억원에 이르고 있으나 현재 대부분의 떡 제조업체에서는 쌀을 물에 불려 빻아서 쓰는 습식제분법을 여전히 사용하고 있어서 시간과 노력이 많이 투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건식 쌀가루를 이용하여 각종 가공품 제조를 위한 연구를 시도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떡 종류별 사용기준이 명확히 없어 이의 기준설정이 필요하여 본 연구는 건식제분한 쌀가루를 이용하여 발효떡인 증편을 만들기 위한 조건설정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험을 실시하였다. 공시품종으로는 2016년에 재배된 한가루, 삼광, 다산1호, 한아름2호, 보람찬 등 5품종을 사용하였고, 제분기 Air mill(AM, Nara Machinery Co., LTD, Japan)을 사용하여 쌀가루 입도를 50, 100, 150㎛ 수준으로 각각 제조하였고, 대조구로는 관행의 습식제분한 쌀가루를 사용하였다. 시험결과 색도는 대조구 대비 품종별로는 명도(L)가 낮고 황색도(b)가 높았으며, 입도별로는 입도가 작을수록 명도가 높아지고 황색도가 낮아져서 대조구에 가까운 색도를 나타내었다. 호화특성으로는 대조구 대비 건식쌀가루 품종에서 호화온도에 이르는 시간이 짧았으며, setback(노화도)이 낮은 경향이었고, 품종별로는 한가루> 보람찬> 삼광> 다산1호, 한아름 1호의 순으로 노화가 덜 되는 경향이었으며, 입도별로는 큰 차이가 없었다. 대조구 대비 pH는 높고 산도는 비슷하였으며, 당도가 낮은 경향이었다. 당도는 입도가 작을수록 높았는데, 이는 발효과정 중 당화에 의한 영향으로 판단되었다. 색도는 대조구보다 명도는 낮고 황색도는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물성은 대조구 대비 경도, 응집성, 점착성이 입도 50~100㎛간에는 비슷한 경향이었고, 입도 150㎛에서 경도와 점착성이 높아서 떡이 딱딱하게 굳는 경향이었다. 품종별로는 보람찬과 다산 1호가 부착성이 커서 달라붙는 정도가 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