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기 성인기 발달장애인 자녀의 도전행동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과 경험

        윤선미,정이윤,양호정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2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 성인기 발달장애인 자녀의 도전행동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과 경험을 심층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전행동을 보이는 초기 성인기 발달장애인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6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고 주제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 어머니가 인지하는 자녀의 도전행동 양상, 2) 도전행동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과 감정, 3) 도전행동에 대한 어머니의 행동대응, 4)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하는 환경과 변화하는 어머니의 대응, 5) 정책 욕구가 주제로 도출되었다. 어머니는 자녀의 도전행동의 원인에 대해 잘 이해하지 못할 때 답답함, 당황스러움, 수치스러움, 화 등의 감정을 경험하기도 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도전행동 대응 노하우를 축적해 나갔다. 특히 공감과 칭찬, 자율성을 키워주는 긍정적 양육이 통제적 양육보다 도전행동 감소에 더 효과적이었던 경험을 보고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전행동의 원인과 대응방법에 대한 의문이 여전히 남아있고, 성인 자녀의 미래에 대해 커지는 염려가 있었다. 연구결과를 근거로 도전행동을 하는 자녀를 둔 양육자를 위한 교육내용 마련, 발달단계와 생활주기를 반영한 도전행동 대응 양육지원체계 확립 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이 종사자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종사자 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고은,김호신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2019 미래사회복지연구 Vol.10 No.3

        이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이 종사자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도전적 행동에 대한 종사자의 인식이 이를 조절하는지를 확인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지역 장애인주간보호시설 종사자를 대상으로 서베이를 실시하여 총 193부가 분석에 활용되었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그 영향력과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종사자의 업무 소진은 2.94점(5점 만점)이었고,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의 빈도는 종사자의 소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도전적 행동에 대한 종사자의 인식인 정서 인식과 통제가능성 신념이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과 종사자 소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도전적 행동빈도와 정서인식의 상호작용변수, 도전적 행동빈도와 통제가능성 신념의 상호작용 변수 모두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즉,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이 종사자의 소진을 높이지만 종사자가 도전적 행동에 대해 긍정적으로 정서를 인식하고, 이용인이 통제가능 하지 않은 상황이라고 인식하면 소진을 낮출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차이는 종사자의 도전적 행동에 대한 인식에 따라 소진의 수준이 달라짐을 보여주는 것으로,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으로 인한 종사자의 소진을 감소시킬 수 있는 관점이나 인식의 변화의 중요성을 바탕으로 실천적인 함의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자폐스펙트럼장애(ASD) 아동의 공존증상과 도전행동의 구조적 관계 탐색

        송재옥,전병운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2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자폐스펙트럼장애(ASD) 아동에게 나타나는 도전행동과 관련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여 도전행동의 예측 경로를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국내 특수학교와 초⋅중⋅고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6∼18세의 ASD 아동 668명이며, 설문은 이들을 6개월 이상 지도한 담임교사가 답하였다. 정보 제공자인 담임교사는 ASD 아동의 인구통계학적 정보, 자폐증상심각도, 표현언어능력, 불안, 우울,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수면문제, 도전행동 등에 관련된 온라인 설문에 답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폐증상심각도와 수면문제는 ASD 아동의 모든 공존증상을 직접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폐증상심각도가 수면문제를 매개로 하여 우울, 불안,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을 예측하는 경로도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표현언어능력은 ASD 아동의 도전행동을 부적(-)으로 예측하였으며, 불안, 우울,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은 ASD 아동의 도전행동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셋째, 자폐증상심각도는 도전행동을 직접적으로 예측하지는 않았으나 수면문제, 불안,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등의 공존증상을 매개로 하여 도전행동을 예측하였다. 또한 수면문제도 직접적으로 도전행동을 예측하지는 않았으나 불안과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을 매개로 하여 도전행동을 예측하였다. 모든 특정간접효과 경로에서 우울이 포함된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와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자폐범주성장애아동의 도전행동, Challenging Behavior, 예측변인 탐색연구

        손소이 ( So Yee Son ),최예린 ( Yae Lin Choi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5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1 No.2

        본 연구는 자폐범주성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이하 ‘ASD’)아동들이 나타 내는 도전행동(challenging behavior)과 관련변인들(언어능력, 자폐정도, 감각능력, 치료시작연령, 부모의 양육태도)과의 관계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 충남, 강원지역에 거주하는 생활연령이 5∼12세인 도전행동을 나타내는 ASD아동 25명이었다. 이 아동들의 어머니에게 설문지를 배부한 후 회수하여 결과 를 분석하였다. ASD아동의 도전행동은 행동문제검사(The Behavior Problems Inventory; BPI-01)로 평가하였다. ASD아동의 도전행동과 언어능력, 자폐정도, 감각 능력, 치료시작연령, 부모의 양육태도유형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사 용하였고, 도전행동을 예측할 수 있는 주요 변인이 무엇인지를 설명하고자 다중회귀 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전행동은 치료시작연령이 느릴수록, 언어능력이 낮을수록, 자폐정도가 심할수록, 양육태도가 거부-통제형일수 록 높게 나타났다. 둘째, 도전행동을 예측할 수 있는 주요 변인은 치료시작연령과 언어능력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ASD아동의 도전행동을 예방하기 위해 서는 의사소통기술의 개발에 초점을 맞춘 조기중재가 실시되어야하며, 부모교육프로 그램 뿐만 아니라 양육행동에 필요한 다각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llenging behavior that the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here in after referred to as the “ASD") showed and the related variables like the language ability, autism degree, sensibility, beginning age of treatment, and parents’ children rearing attitude. The research subject was twenty-five children aged 5~12 as chronological age with ASD who showed the challenging behavior, who resided in Seoul, Gyeonggi, Chungnam, and Gangwon regions.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ults as an subject of twenty-five copies of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children’s mothers. The challenging behavior for the children with ASD was evaluated by ‘The Behavior Problems Inventory; BPI-01’. This study was to use the correlation analysis in order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ren with ASD’s challenging behavior and the language ability, autism degree, sensibility, beginning age of treatment, and parents’ children rearing attitude.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in order to explain what the major variable to predict the challenging behavior was. From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bove, it may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challenging behavior was, the slower the beginning age of treatment was, and the lower the language ability, and more the autism degree, and the more the children rearing attitude was refusal-control type. Second, this study has found out that the main variables to predict the challenging behavior were the beginning age of treatment and the language ability.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ensure the challenging behavior of the children with ASD needs to execute the early intervention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skills. Besides, parent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provided for parents and they should be helped from diverse angles to raise their children.

      • KCI등재

        원격수업 설계모형을 활용한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뇌병변장애 학생의 도전 행동에 미치는 영향

        류규태,박경옥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3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9 No.1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how individualized positive behavior support based on a remote learning design in inclusive environments affects challenging behaviors of a student with brain lesions. For this purpose, the study selected a student with brain lesions who demonstrated challenging behaviors during remote learning, and then structured and used multiple baseline across behaviors design. We aimed to observe positive changes in three challenging behaviors: Screaming, kicking and throwing objects. We also demonstrated individual positive behavior support, including intervention of background cases and previous cases, teaching alternative behaviors, and intervening with consequences. The maintenance was measured two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end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average frequency of the challenging behavior, immediacy of effect after the intervention, and the average rate between sessions continued to decrease constantly. Also, both the percentage of Nonoverlaping Data Points between the baseline period and the intervention period and the Improvement Rate Difference were analyzed as 100%. Moreover, the challenging behaviors remained decreased 2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This result proves that the remote learning design in inclusive environments is effective for challenging behaviors and maintenance of a student with brain lesion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experiment, the study has discussed characteristics and distinctiveness this study has, and suggested further developmental measures. 본 연구는 통합교육환경에서 원격수업 설계모형을 활용한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뇌병변장애 학생의 도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원격수업에서 도전 행동을 보이는 뇌병변장애 학생 1명을 대상으로, 소리 지르기, 발차기, 물건 던지기를 포함한 3가지 도전 행동의 긍정적 변화를 관찰하는 행동 간 중다 기초선 설계법을 계획하여 적용하였다. 중재는 원격수업 공간에서 3가지 도전 행동에 대한 배경/선행사건 중재, 대체 행동 교수와 후속 결과 중재를 포함한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을 실행하였고, 유지 측정은 중재 종료 2주 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도전 행동의 평균 빈도, 중재 실시 후 즉각성, 회기 간 평균의 지속적이며 일관된 감소, 기초선 기간과 중재 기간의 비중복비율, 기초선 대비 개선율이 100%로 분석되었고, 더불어 중재 종료 2주 후 도전 행동이 감소된 상태로 유지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통합환경에서 원격수업 설계모형의 활용은 뇌병변장애 학생의 도전 행동과 유지에 효과가 있는 방법임이 입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특성과 차별성을 논의하고 발전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시설거주 지적장애인들의 도전적 행동 발생유형 조사

        정병록 대한작업치료학회 2017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5 No.3

        목적:본 연구는 거주시설에서 생활하는 지적장애인들을 대상으로 도전적 행동의 발생빈도와 손상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강원지역 사회복지 거주시설 13개 기관에서 생활하는 지적장애인 419명을 대상으로 도전적 행 동을 조사하였다. 도전적 행동 측정은 한국형 문제행동 평가척도(Korean version of Behavior Problem Inventory; KBPI-01)의 평가도구를 사용하여 자해행동, 상동행동, 공격/파괴행동으로 구분하 여 각 행동별로 발생 빈도(frequency)와 손상정도(severity)를 측정하였다. 결과:전체 대상자 중에서 도전적 행동의 행동발생 빈도는 자해행동이 53.2%, 상동행동이 68.3%, 공격/파괴 행동이 54.7%로 최소 월 1회 이상 나타났다. 또한 도전적 행동의 손상정도는 자해행동이 53.2%, 상동행동 이 67.8%, 공격/파괴행동이 54.7%로 보고되어 행동빈도와 손상정도가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 타났다. 지적장애의 손상수준이 가장 심각한 최고도(profound) 지적장애 그룹이 자해행동과 상동행동의 발생빈도와 손상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공격/파괴행동은 명시되지 않는(unspecified) 지적장애 그룹은 공격/파괴행동에서 가장 높은 발생빈도와 손상정도가 나타났다. 연령이 낮은 그룹(3~20세)에서 자해행동 이 59.4%, 상동행동이 73.5%로 가장 높은 발생빈도를 보였고 공격/파괴행동은 51~74세 그룹에서 64.0% 로 가장 높게 보고되었다. 결론:본 연구는 장애인거주시설에 생활하는 지적장애인들의 도전적 행동을 자해행동, 상동행동, 공격/파괴 행동으로 구분하여 각 행동별 발생빈도와 손상정도를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지적장애인들이 보이는 도 전적 행동의 심각성에 대해 인식하고 이를 중재할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 지원 서비스 도입이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prevalence rate and severity of challenging behaviors among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living in institution settings. Methods: 419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living thirteen institution settings where were in Gangwondo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challenging behaviors. Utilizing the KBPI-01, three areas of challenging behavior (self-injurious, stereotyped, and aggressive/destructive) were assessed to frequency and severity. Results: A total of 53.2% showed self-injury, 68.3% stereotyped behavior, and 54.7% aggressive/destructive behavior, at a rate of at least once per month. The results showed severity of challenging behavior that a total of 53.2% showed self-injury, 67.8% stereotyped behavior, and 54.7% aggressive/destructive behavior. These correlations suggest that the frequency and the severity scales were highly. The profound level group was the most prevalent of self-injurious and stereotyped behavior and the unspecified level group was the most prevalent of aggressive/destructive behavior. In a low age group (3~20 years) was the most prevalent of self-injurious and stereotyped behavior. The 51~74 years group showed the most prevalent of aggressive/destructive behavior.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e need for enhanced understanding of seriously challenging behaviors among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are important for analyzing the therapeutic service systems.

      • KCI등재

        발달장애 아동·청소년의 도전적 행동이 음악치료사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자기 효능감과 소명의식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최안나,황은영 한국음악치료학회 2023 한국음악치료학회지 Vol.2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challenging behavior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n the psychological burnout of music therapist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and sense of calling between the relationship.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54 music therapists with experience in treatment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a test tool, K-CSCB(Korean Comprehensive Scale for the Assessment of Challenging Behavior in Developmental Disorders) scale was used to measure challenging behavior, the MBI(Maslach Burnout Inventory) scale was used to measure psychological burnout, the CAT-SES(the Creative Arts Therapist Self-Efficacy Scales) was used to measure self-efficacy, and the sense of calling scale was used to measure the sense of call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music therapis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allenging behavioral experience, psychological burnout, self-efficacy, and sense of calling, and psychological burnou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hallenging behavior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efficacy and sense of calling. Second, Second, among the sub-variables of challenging behavior, self-harm, aggressive, unresponsiveness, and hyperactivit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psychological burnout.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allenging behavior and psychological burnout,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a sub-variant of self-efficacy, and the sense of calling, a sub-variant of awareness of mission, showed a moderating effect.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developing internal resources such as the music therapist's self-efficacy and sense of calling prevents and alleviates the psychological burnout of music therapists caused by challenging behavior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field. This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help develop music therapists' education and programs to lead to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treatment results. 본 연구는 발달장애 아동·청소년의 도전적 행동이 음악치료사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과 그 관계 사이에서 자기 효능감과 소명의식의 조절효과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발달장애 아동·청소년 대상 치료 경험이 있는 음악치료사 154명이다. 검사 도구는 도전적 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K-CSCB(Korean Comprehensive Scale for the Assessment of Challenging Behavior in Developmental Disorders)척도를, 심리적 소진을 측정하기 위해 MBI(Maslach Burnout Inventory)척도를, 자기 효능감 측정을 위해 CAT-SES(The Creative Arts Therapist Self-Efficacy Scales)를, 그리고 소명의식을 측정하기 위해 소명의식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치료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도전적 행동 경험, 심리적 소진, 자기 효능감, 소명의식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심리적 소진은 도전적 행동과는 정적 상관관계를, 자기효능감과 소명의식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도전적 행동의 하위영역인 자해행동, 공격행동, 비반응성행동, 과잉행동이 심리적 소진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도전적 행동과 심리적 소진 관계에서 자기 효능감의 하위변인인 치료관계가, 소명의식의 하위변인인 천직의식이 조절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치료사의 자기 효능감, 소명의식 같은 내적 자원의 개발은 임상현장에서 발달장애 아동·청소년의 도전적 행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음악치료사의 소진을 예방 및 완화시키고 이로 인해 보다 효과적이며 효율적인 치료 결과를 이끌어 내기 위한 음악치료사의 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전문가와 부모가 협력한 긍정적 행동지원이 자폐성장애 성인의 도전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선희 ( Lee Surn Hee ),이원희 ( Lee Weon Hee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21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7 No.1

        이 연구는 전문가와 부모가 협력하여 실시한 긍정적 행동지원이 자폐성장애 성인의 도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D시의 한 장애인부모회에서 운영하는 자립생활 체험 홈에서 생활하는 자폐성장애 성인 3명으로 선정하였고, 대상자간 중다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대상자의 도전 행동에 대한 긍정적 행동지원을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도전 행동인 자해행동, 부적응행동, 폭식행동, 이탈행동에 대하여 중다 요소 중재인 배경사건 및 선행사건 중재, 대체기술교수 중재, 후속결과 중재를 자립생활 체험 홈에서 실시하였다. 긍정적 행동지원을 적용한 결과, 자립생활 체험 홈과 가정에서 자폐성장애 성인의 도전 행동이 감소하였고, 중재 후 유지기간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모가 적극적으로 참여한 대상자의 경우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의의는 비교적 연구가 활발하지 않은 자폐성장애 성인을 대상으로 긍정적 행동지원을 실시한 것과 전체적인 행동지원 과정에 부모가 참여한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conducted by experts and parents on challenging behaviors of adul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elected as 3 adults with ASD living in an independent living training home run by the parents' association for the ASD in city D. The study design was used a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in order to positive behavior support for the subjects' challenging behaviors. Background and setting event strategies, alternative behavior strategies, and consequence strategies were conducted at independent living training home in order to support the subjects' challenging behaviors such as self-harm behavior, maladjustment behavior, binge eating behavior, and churn behavior. As a result of applying the parental participation positive behavior support, the challenging behaviors of adults with ASD at home and independent living training home decreased. It was shown that the intervention also had positive effects on the maintenance period. In particular, we found that the effects were better when parents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interven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emphasize on the importance of providing PBS to adults with ASD and involving parents in the intervention process.

      • KCI등재후보

        생태학적 사정에 기반한 선행사건 중재가 미술수업에서 지적장애학생의 도전행동에 미치는 효과

        김선옥(Kim Sun-Ok),채수정(Chae Soo-Jung) 한국행동분석학회 2018 행동분석․지원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학교생활 중 수업참여에 있어서 도전행동을 보이는 지적장애학생들에게 생태학적 사정에 기반한 선행사건 중재가 도전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특수학교 중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학생 3명이었고, 독립변인은 생태학적 사정에 기반한 선행사건 중재이며, 종속변인은 대상 학생의 도전행동이었다. 직접관찰, 기존 기록 검토, 면담, 설문, 기능분석 등의 생태학적 사정을 통해 연구대상학생들의 개인변인과 환경변인, 교사변인 등을 파악하고 이 정보에 근거하여 선행사건 중재를 시행하였다. 연구설계는 단일대상연구 방법 중 대상자간 중다기초선설계를 사용하였으며, 기초선, 중재, 유지의 순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종속변인인 도전행동은 자리이탈 행동, 소음발생 행동, 과제방해 행동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해서 부분간격기록법으로 관찰하여 기록하였다. 연구 결과, 생태학적 사정에 기반한 선행사건 중재는 미술수업시간에서 지적장애학생의 도전행동을 기초선에 비해 중재 구간에 유의미하게 감소시킬 수 있었다. 대상학생 모두 도전행동의 평균값이 크게 낮아졌으며 PND 값 100%, Tau-U 값 -1.00로 중재의 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지효과를 알아본 결과, 기초선과 비교해보면 기초선과 유지 구간 간 PND 값이 100%로 중재효과가 유의미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함의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tecedent-based intervention in the ecological assessment process on the maladaptive behavior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participants were second-grade middle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are enrolled in a special school. The subjects personal, environmental, and teacher-related factors were analyzed using ecological assessment- direct observation, reviews of existing records, interviews, questionnaires, and functional analysis. The antecedent-based intervention was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of ecological assessment. There were three types of challenging behaviors: seat breakaway, noise generation, and task interruption. These behaviors were observed and recorded using the partial interval recording method(20-second intervals comprising 17-second observations with 3-second recordings). Multiple-baseline research design, a type of single-subject design, was employed across three participants for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phas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ix visual analysis methods: level of data, trend, distribution of data, immediacy effect, percentage of non-overlapping data, and persistence of data. These methods were recently suggested by What Works Clearinghouse (Kratochwill et al., 2013) as quality indicators for single-subject research designs. The results showed that antecedent-based intervention in the ecological assessment process significantly decreased the challenging behavior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during art class through a comparison of the intervention interval. The mean value of challenging behaviors was significantly less in all subjects, the percentage of non-overlapping data (PND) value was 100%, and Tau-U value was -1.00, indicating that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were significant. Compared to the baseline value, the PND value between the baseline and maintenance was 100%, indicating that the intervention effects were significantly consistent. These analyses were discussed in terms of educational implications to apply in special education pract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