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제연합 해비타트 Ⅲ의 새로운 도시의제에 비추어 본 도시재생법제의 과제

        여경수 ( Yeo¸ Gyeong-su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일감부동산법학 Vol.- No.23

        본 연구는 유엔 해비타트 Ⅲ의 새로운 도시의제에 비추어 본 우리나라의 도시재생법제의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지난 2016년 에콰도르의 수도인 키토(Quito)에서는 주거와 지속가능도시발전회의(The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Housing and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 Habitat III)가 진행되었다. 해비타트 III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 파리기후협약의 연장선상에서 진행된 배경이 있다. 해비타트 III의 결과물로는 새로운 도시의제(New Urban Agenda)를 제시한다. 새로운 도시의제는 지속가능발전목표의 11번 과제인 지속가능한 도시개발과 관리(Sustainable Cities and Communities)와 밀접한 관련성을 지니고 있다. 지속가능발전목표의 11번은 주거환경에서 포용성, 안전, 복원력, 지속가능성을 중요한 가치로 제시하고 있다. 새로운 도시의제는 도시재생의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내용을 강조하고 있다. 첫째, 사회적 포용과 빈곤 종식을 위한 지속가능한 도시 개발(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for social inclusion and ending poverty)이다. 둘째, 모두를 위한 지속가능하고 포용적인 도시의 번영과 기회(Sustainable and inclusive urban prosperity and opportunities for all)이다. 셋째,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하고 복원력 있는 도시 개발(Environmentally sustainable and resilient urban development)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지난 2013년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 법이 제정되어, 운영되고 있다. 당시 도시재생법이 제정된 배경은 다음과 같다. 도시재생법을 제정하여, 공공의 역할과 지원을 강화하여 도시의 자생적인 성장기반을 확충하자는 취지이다. 또한 도시재생과정에서 지역의 공동체를 회복하여, 국민의 삶의 질이 향상되는 것에 이바지하는 것이 도시재생법의 목적이다. 정리하면, 우리나라의 도시재생사업의 목표는, ① 일자리 창출, ② 삶의 질 향상과 생활복지의 구현, ③ 적절한 정주환경의 조성, ④ 지역의 정체성에 기반한 문화적인 환경조성, ⑤ 주민역량의 강화를 통한 주민 공동체의 활성화이다. 우리나라의 도시재생법제는 새로운 도시의제와 지속가능한 발전목표의 원칙에 맞도록 운영되어야 한다. 특히 우리나라의 도시재생법제상 주거환경에서 포용성, 안전, 회복력, 지속가능성이 반영될 필요성이 있다. 새로운 도시의제를 통해서는 국제적인 도시재생의 법제의 방향성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우리나라의 도시재생법제의 현황을 객관적인 시각에서 파악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국제적인 기준에 맞는 우리나라 도시재생법제의 과제를 새로운 도시의제에서 모색할 수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review the process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legal review of urban regeneration in the light of the new urban agenda of habitat Ⅲ in Korea. UN-Habitat is the United Nations programme working towards a better urban future. Its mission is to promote socially and environmentally sustainable human settlements development and the achievement of adequate shelter for all. In October 2016, in Quito, Ecuador, at the UN Conference on Housing and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 Habitat Ⅲ - member states signed the New Urban Agenda. The New Urban Agenda (NUA) has defined a clear action plan for advancing development through urbanization. The HABITAT Ⅲ Conference has the convening power to bring together all relevant actors to address the complex challenges to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and to achieve the outlined objectives. Solutions can only be found by bringing together State actors, multilateral organizations, local governments, private sector and civil society. All together will shape and, hopefully, implement the New Urban Agenda. The UN-HABITAT Ⅲ conference enshrined the first Sustainable Development Goal (SDG) with an exclusively urban focus. SDG 11, as it became known, aims to make cities more inclusive, safe, resilient and sustainable through a range of metrics, indicators, and evaluation systems. When the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adopted the 2030 Agenda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2015, it identified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relating Urban Regeneration to including : Goal 11: Make cities and human settlements inclusive, safe, resilient, and sustainable. The rapid growth of cities ―a result of rising populations and increasing migration― has led to a boom in mega-cities, especially in the developing world, and slums are becoming a more significant feature of urban life. Making cities sustainable means creating career and business opportunities, safe and affordable housing, and building resilient societies and economies. It involves investment in public transport, creating green public spaces, and improving urban planning and management in participatory and inclusive ways. And the New Urban Agenda emphasizes the following policy directions: ①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for social inclusion and ending poverty, ② Sustainable and inclusive urban prosperity and opportunities for all, ③ Environmentally sustainable and resilient urban development. This study mainly covers the legislative process of the “Special act on promotion of and support for urban regeneration”, which was passed in the National Assembly in June 2013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act is to contribute to enhancement of the quality of life of the people, such as the expansion of the base for sustainable growth of cities, improvement of competitiveness of cities, and recovery of local community, by strengthening the public role and support for the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evitalization of cities. Urban regeneration means economic, social, physical, and environmental revitalization of a city which is declining due to depopulation, change of industrial structure, indiscriminate expansion of cities, deterioration of the dwelling condition, etc. Many cities around the Korea are facing acute challenges in managing rapid urbanization from ensuring adequate housing and infrastructure to support growing populations, to confronting the environmental impact of urban sprawl, to reducing vulnerability to disasters. UN-Habitat is applying its technical expertise, normative work and capacity development to implement the New Urban Agenda and Sustainable Development Goal 11 - to make cities inclusive, safe, resilient and sustainable.

      • KCI등재

        공간 빅데이터 기반의 도시재생사업 성과 평가기법 개발

        윤병훈,성순아,이삼수 한국지역학회 2023 지역연구 Vol.39 No.1

        Entering the era of low growth due to changes in social and economic conditions, most cities across the country are actively promoting urban regeneration. Although urban regeneration is a project with huge national finances, a clear evaluation system has not yet been established. In order to ensure the sustainability of urban regeneration,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validity of urban regeneration policies and establish a reflux system to supplement the polic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comprehensive performance evaluation and to develop an improved urban regeneration policy comprehensive performance evaluation technique based on spatial big data. The urban regeneration comprehensive performance evaluation technique differentiated the areas affected by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and the surrounding areas based on the type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large cities and middle cities. The effects of urban regeneration were quantitatively verified through relative comparison between the areas affected by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nd the surrounding areas of population, society, economy, industry, physical and environmental evaluation indicators. 사회·경제적 여건 변화에 따른 저성장시대에 진입하며, 전국 대부분의 도시에서 도시재생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도시재생은 막대한 국가재정이 투입된 사업임에도 불구하고, 아직 명확한 평가시스템이 마련되지 못하였다. 도시재생사업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하기 위해 도시재생사업의 성과를 평가하고, 정책을 보완하기 위한 환류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재생사업의 성과를 평가하기 위한 공간 빅데이터 기반의 도시재생성과 평가기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시재생성과 평가기법은 도시재생사업 유형, 대도시·중도소시 여부 등을 기준으로 도시재생사업 영향권을 차등화하였다. 인구·사회, 산업·경제, 물리·환경 측면 평가지표의 도시재생사업 영향권 내부·외부 간의 상대적 비교를 통해, 도시재생사업의 성과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 KCI등재후보

        도시재생과 도시재생 거버넌스의 한계와 과제

        박범종 한국지방정치학회 2022 한국지방정치학회보 Vol.12 No.1

        This study is aim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in Korea and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in Busan, and to suggest future tasks. Specifically, it is an analysis that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being developed in need areas and is adequate support being provided? And, is the budget operation and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utilizing large-scale budget input and public enterprise investment and funds an effective and sustainable structure?. The actual leading force in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in Korea is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d it has become a project centered on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rather than a self-sustaining project through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In addition, sinc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re expensive, opportunities for project selection differed according to the capabilities of each local government. In particular, it can give a negative evaluation in terms of budget management and sustainability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erefore, in order to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to be successful, first, cooperative governance must be established by decentralization rather than the initiative of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Second, local governments should led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with the authority to establish plans and detailed project design, and the central government and public enterprises must be active participation and support to financial in the project. Third,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e financial support system and adjust the project cost ratio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local governments. Fourth, in order to enhance the sustainability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it is discovered a regional specialties and regional assets for selecting a project. Fifth, it is important to link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with the development of existing industries as well as improving the underdeveloped urban environment. 본 연구는 우리나라 도시재생사업과 부산의 도시재생사업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향후과제를 제시하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재생사업이 필요 지역에 전개되고 있으며 적정한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는가? 그리고 대규모 예산투입과 공기업 투자 및 기금을 활용하는 도시재생사업의 예산운영과 추진방식이 효과적이며 지속가능한 구조를 갖추고 있는가? 에 대한 분석을 한다. 우리나라 도시재생사업의 실질적 주도세력은 국토교통부이며, 지역주민의 자발적 참여에 의한 자생적인 사업보다는 중앙정부 및 지자체 중심의 사업이 되고 있었다. 또한 도시재생사업의 비용이 크기 때문에 지자체별 역량에 따라 사업선정의 기회도 달라지고있었다. 특히 도시재생사업의 예산운영과 지속가능성에 있어서는 부정적인 평가를 내릴 수 있다. 따라서 도시재생사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첫째, 국토교통부가 주도가 아닌 지방분권에 의한 협력적 거버넌스가 구축되어야 한다. 둘째, 도시재생사업은 지자체가 계획 수립 및 구체적인 사업설계 등의 집행 권한을 가지고 주도하고, 중앙정부의 행정·재정지원과 적극적인 공기업의 사업참여가 이루어져야한다. 셋째, 지자체의 여건에 따른 재정지원체제의 정비와 사업비용 비율의 조정이 필요하다. 넷째, 도시재생사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업선정 시 지역 특수성과 지역자산을 발굴해야 한다. 다섯째, 도시재생사업은 낙후된 도시환경을 개선하는 것뿐만 아니라 기존 산업의 육성과 연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 KCI등재

        거리 조각을 매개로 한 도시재생에 관한 연구- 조각의 Acupuncture와 Micro-implantation 개념 도입을 중심으로 -

        김언수,엄혁용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21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15 No.4

        도시의 역사와 건설 환경의 대 발전은 언제나 다음과 같은 딜레마에 직면해 있다. 온전한 역사적 보호인가 아니면 도시재생인가? 어반 아큐펀쳐는 도시의 고유한 분위기 유지와 도시의 전반적인 발전, 이 두 가지를 모두 충족할 수 있는 또 하나의 도시발전 전략이다. 어반 아큐펀쳐는 엄격한 정의와 보편적인 표준 패턴이 없이도 내포된 내용이 풍부하고 개방적인 도시 발전 전략으로서 상당히 다양한 해석과 이해를 가지고 있는데, 한국의 도시재생과 관련된 본 연구에는 마누엘 데 모랄레스의 개념이 큰 계기를 마련해주었다. 한국과 유럽, 중국의 다양한 문헌 자료 조사 연구를 통해, 문화와 환경의 관점에서 거리 조각을 도시 촉매로 삼아 지역의 발전 잠재력을 촉진하고 도시재생과의 관계를 탐구하는 연구는 많지 않다는 것을 발견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도시재생과 어반 아큐펀쳐에 대한 연구 및 그와 관련된 사례는 여전히 건축 및 구역의 개조, 공공 인프라의 업그레이드, 공공 공간 및 도로 교통의 최적화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문화적 측면에서도 도시재생과 어반 아큐펀쳐에 대한 연구 및 사례는 비교적 거시적일 뿐만 아니라 주로 도시설계에 관한 주제가 주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반 아큐펀쳐와 거리에 우뚝자리 잡고 있는 조각을 결합하고 이 조각을 통해 거리의 관건이 되는 혈점을 선택하여 소규모로 개입하거나 마이크로 임플랜테이션할 것을 주장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를 바탕으로 도시재생의 큰 틀에서 조각의 아큐펀쳐과 조각의 마이크로 임플랜테이션이라는 개념을 정련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를 계기로 도시재생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향후 도시재생의 실천에도 참고할 수 있는 사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어반 아큐펀쳐와 도시 내 조각품의 사례를 각각 분석하고 마이크로 임플랜테이션이라는 개념 아래에서 양자의 비교를 통한 결합 가능성을 모색함으로써 도시재생에 있어서 도시공학이나 도시디자인의 범주 아래에서 공공조형의 역할과 기능을 통합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The great development of urban built environment and the history of a city have been, historically, faced with such a dilemma at all times: intact protection of its history or urban renewal? Urban acupuncture provides another development strategy, trying to make the continuation of the original texture and the overall development of the city simultaneously. Urban acupuncture has no strict definition and universal standard model. It is a city development strategy with rich connotation and open denotation, and has quite a variety of interpretations and understandings. The idea of Manuel de Sola-Morales provides inspiration for this paper. Based on diverse literature from South Korea, Europe and China, street sculpture is found,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e and environment, to be used as urban catalyst to catalyze the regional development potential and influence urban regeneration. Through the research, we can find that the focus of the research and practice of urban regeneration and urban acupuncture from the perspective of environment is still the transformation of buildings and regions, the upgrading of public infrastructure, the optimization of public space and road traffic; the focus of the research and practice of urban regeneration and urban acupuncture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e is also very important Macro, mainly urban design. Therefore, this study boldly combines the urban acupuncture with the sculpture standing in the street, and advocates that the key acupoints of the street should be selected through sculpture for small-scale intervention or micro implantation. This paper attempts to refine the concepts of Acupuncture of sculpture and micro implantation of sculpture under the framework of urban regeneration. At the same time, it also tries to point out the new direction of urban regeneration. At the same time, it also provides some reference for the practice of urban regeneration.

      • KCI등재

        도시재생 협업 거버넌스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 대전 도시재생지원센터를 중심으로

        김상광 ( Kim Sang-gwang ),김선경 ( Kim Sun-kyung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9 地方行政硏究 Vol.33 No.4

        본 연구는 도시재생 중간지원조직이자 협업 거버넌스의 플랫폼으로서 대전광역시 도시재생지원센터를 대상으로 계층분석법(AHP)을 통해 도시재생 협업 거버넌스가 도시재생의 성과를 창출하는 성공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도시재생 협업 거버넌스 성공요인으로 주민, 공무원, 전문가 모두 협업문화를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한편, 도시재생 성과요인으로 공무원과 전문가는 경제적 재생이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한 반면, 주민은 물리·환경적 재생이 중요하다고 제시하였다. 즉 주민은 경제적 재생보다 가로보행로 정비 등 물리·환경 재생이 보다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데, 이는 도시재생 성공경험 요인과 더불어 주민중심의 성과창출전략의 모색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둘째, 주민과 전문가는 협업문화 다음으로 협업제도가 중요하다고 인식한 반면, 공무원은 자치단체장과 도시재생지원센터장의 행정주도형 리더십이 협업제도 보다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이는 도시재생사업의 기획은 중앙부처가, 집행은 지방자치단체가 함으로써 지방자치단체의 운영자율성에 제약이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도시재생지원센터 행위주체간 성공요인에 대한 인식도 차이를 바탕으로 향후 협업 거버넌스의 설계 및 운영방안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요인이 무엇인지, 어느 요인에 우선순위를 두고 조정해야 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is analyzed for setting up success factors of urban regeneration collaborative governance through AHP(Analytical Hierarchy Process) survey of ‘Urban Regeneration Support Center(URSC) of Daejeon Metropolitan City’. Major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residents, public servants and experts all recognized that ‘collaboration culture’ is the most important success factor for the urban regeneration collaborative governance. However, as a performance factor of urban regeneration, residents answered ‘physical & environmental regeneration’ is the most important, while public servants and experts answered ‘economic regeneration’ is the most important. This result suggests that success experience strategy oriented to residents is needed to urban regeneration. Second, public servants recognized that administrative leadership factors like Daejeon Mayor and chief of Daejeon URSC are more important than collaborative system, which was caused by constraints of operation efficiency of URSC. Based on the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success factors among actors in URSC, these findings suggest implications of which factors should be prioritized for the design and operation of collaborative governance in the future.

      • KCI등재

        도시재생사업의 문화영향평가 타당성 및 실효성 확보를 위한 소고

        이경진(Lee, Kyeong Jin),안지현(An, Ji Hyun) 한국지적정보학회 2018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20 No.2

        「도시재생법」과 「문화기본법」을 비교하여 해석해 보면 도시재생사업은 문화영향평가의 대상이 된다. 또한 실제의 도시재생사업도 문화 및 국민의 삶의 질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을 뿐만 아니라 많은 사업들이 문화 활성화를 통한 지역 발전을 주된 재생전략으로 삼고 있기도 하다. 따라서 법적으로나 실상에 있어서나 도시재생사업은 문화영향평가의 주요 대상이 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혼란과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재생법」의 일부 조항을 개정함으로써 도시재생사업에 문화영향평가 도입의 법적 타당성을 확보하고 문화영향평가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우선, 법적 타당성 확보를 위해서는 「도시재생법」 제4조 국가도시재생기본방침에 ‘문화적 가치의 사회적 확산에 대한 기준(혹은 문화영향평가에 대한 기준)’을 추가하고 제12조 도시재생전략계획의 수립 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에도 ‘문화영향평가 실시’를 추가할 필요가 있다. 다음, 실효성 확보를 위해서는 「도시재생법」 제19조 도시재생활성화계획의 수립 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으로 ‘문화영향평가 실시’를 추가하고 도시재생전략계획에 대한 성과관리와 도시재생활성화계획에 대한 평가 및 환류단계에서 계획수립 시 수행된 문화영향평가 내용의 적용 여부, 적용 성과, 향후 관리 방안 등을 점검하도록 규정 할 필요가 있다. Comparing the Urban Regeneration Act(URA) with the Cultural Impact Assessment Act, urban regeneration projects can be interpreted to be the proper object of cultural impact assessment. In fact, the actual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re inseparably related to culture and citizens’ quality of life, moreover, most of the projects adopt regional development through cultural flourishing as a major strategy. Therefor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should be subordinate to the cultural impact assessment in both the legal side and the practices, nevertheless, lots of confusions and disputes over the point of law continu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give some suggestions to establish the legal legitimacy and effectiveness of cultural impact assessment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rough the revision of several articles and clauses of URA as follows; First, to establish the legal legitimacy, the paragraph of ‘social spread of cultural values’ is recommended to be inserted in the article 4 of URA and the text of ‘the performance of cultural impact assessment’ is needed to be added in the article 12. Second, to get the effectiveness, the text of ‘the performance of cultural impact assessment’ is proposed to be also contained in the considerations of urban regeneration activation plans.

      • KCI등재후보

        도시재생사업의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한 방향성 제고에 대한 연구

        김준연,남영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7 No.3

        도시화 및 산업화는 도시로의 인구를 급속히 유입시키면서 많은 도시문제를 야기시켰다. 특히 도시의 외연적 팽창으로 인한 위성도시의 생성은 교통문제와 구도심지의 공동화 현상을 초래시켰으며, 기존 도심기반시설의 노후화와 더불어 구도심의 도시재생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새재생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도시재생의 개념, 변천과정을 알아보았고, 해외 선진 도시재생사례와 국내 사례를 살펴보았다. 또한 문헌연구를 통해 도시재생의 주요관점을 추출하고 각 사례를 물리·환경적 측면, 사회·문화적 측면, 산업·경제적 측면에서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생활환경을 개선하고, 지역정체성을 확보하여, 도심경제의 활성화를 이루는 것이 도시재생의 중요한 요소인 것으로 파악하였다. 향후 도시재생의 방향은 주민 커뮤니티를 강화하는 도시재생이 되어야하고, 저소득층(원거주민)의 주거안정을 위한 정책적 보완 및 낙후된 중소 지방도시를 위한 도시재생도 고려해야할 것이다.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have caused many urban problems by having the population gravitated towards cities with rapidity. Especially, the generation of satellite cities due to the external expansion of cities led to the traffic problem and the hollowing phenomenon of the old downtown area. Along with the deterioration of existing urban infrastructures, the need for urban regeneration at the old downtown area has come to a forefront.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concept of urban regeneration and the process of its evolution through its theoretical investigation, and the overseas case of advanced urban regeneration and its domestic case as well. And it attempted to elicit the major perspective of urban regeneration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and evaluate each case in physical/environmental, social/cultural and industrial/economic terms. Evaluation showed that improving the living environment, securing the local identity and revitalizing the downtown economy is an important element of urban regeneration. The future direction of urban regeneration should be that to reinforce the local community and that for small-and medium-sized local cities for the residential stabilization of low-income brackets(native residents).

      • KCI등재

        도시재생과 건강의 연계성에 대한 개념화

        김은정 한국도시행정학회 2016 도시 행정 학보 Vol.29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도시재생사업과 지역주민의 건강에 대한 기존문헌의 결과를 토대로, 양자간의 관계성에 대한 이해의 틀을 구성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도시재생사업의 건강에의 영향을 분석한 외국의 다양한 선행연구들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였다. 분석 결과, ‘도시재생 사업 → 물리적 인프라 개선+ 사회적 자본 → 지역사회 맥락 → 건강영향’으로 연결되는 개념 틀(conceptual framework)을 제시하였다. 도시재생 사업은 주로 물리적 인프라 개선, 사회통합, 경제성장을 위한 목적의 프로그램들로 구성된다. 특히 물리적 인프라 개선으로는 주거용 건물 리모델링, 공공공간과 공원·녹지의 공급 및 개선, 주요편의시설 설치, 환경 기반시설 개선 및 설치, 보행 접근로 개선 등이 포함된다. 이와 같은 다양한 도시재생 프로그램들은 주로 지역사회의 주거 안정성 및 커뮤니티 안전성 보장, 커뮤니티의 편의시설 수준 향상, 커뮤니티의 보행친화성 제고, 주민공동체 복원 및 지역에의 소속감 증가 등의 지역사회 맥락(context)적 변화를 유도하게 된다. 이와 같은 맥락적 변화는 결국 그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신체적 건강, 심리적 건강, 그리고 사회적 건강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고, 이는 최종적으로 개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무엇보다도 그동안 건의 논의가 되지 않았던 도시재생과 건강, 그리고 건강도시의 연계 필요성을 제기했다는 점에서 시사점이 있다. 이 연구에서 도출된 개념 틀을 단초로 하여 도시재생에 건강도시를 덧입히고, 거주민의 건강과 삶의 질을 고려하는 주민밀착형의 다양한 도시재생 전략과 정책들이 수립되기를 기대해 본다.

      • KCI등재

        서울시 도시재생의 지역 공동체에 대한 비판적 고찰: 실천 공동체 개념을 중심으로

        김건(Kim, Kon) 한국도시설계학회 2021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2 No.5

        2013년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이 도입되면서 한국의 도시정비정책은 기존의 전면 철거형 도시재개발에서 지역 기반형 도시재생으로 패러다임의 전환을 맞게 된다. 도시재생의 핵심은 지역 공동체 역량 향상을 통해 의사결정과정에서 힘의 균형을 행정과 전문가 중심에서 지역 공동체로 옮기려는 변화에 있다. 하지만 정부의 재정지원으로 단기간 추진되는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이러한 힘의 균형을 재정비하는 것이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도시재생의 한계를 밝히고 논의를 확장하고자 도시재생의 지역 공동체가 지속 가능한 조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어 있는지 살핀다. 이를 위해 창신·숭인 도시재생선도사업을 사례로 지역 공동체의 성장과정을 실천 공동체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도시재생에서 형성된 지역 공동체가 관료주의적 시간제약, 하향식 정부지원금 경쟁, 보수적 국가법령의 규제로 인해 충분한 자생력을 확보하지 못한 채 중앙집권적으로 통치 가능하면서 관리 가능한 실천 공동체 조직으로 길들여질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도시재생 과정에서 형성된 새로운 사회적 관계망과 경험들은 지역 공동체가 사업이 완료된 후에도 비공식적인 방법을 통해 상향식 활동을 지속하면서 집단역량을 향상하는데 원동력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Since the enactment of the Urban Regeneration Act in 2013, South Korea has experienced a paradigm shift in its urban development policy from wholesale urban redevelopment towards community-based urban regeneration. Central to this urban regeneration is a transition of power in decision-making from the state and its technocratic apparatuses to local community through community development. However, it is a challenge to achieve the power transition through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implemented with limited public fund in the short term. This article aims to identify and discuss this challenge by examining the existing basi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ies in the recent urban regeneration in Seoul. To this end, it critically reviews how the local community in Changsin-Sungin’s urban regeneration has grown by using the concept of community of practice. The critical review suggests that the local community can be restricted as a centrally governable or manageable community of practice due to the bureaucratic time frame, competitive state funding and conservative national legislation. Despite such limitations, at the same time, it also argues that new social networks and experiences from the urban regeneration can serve as the impetus for local communities to continue bottom-up practices and improve collective capabilities in informal as well as formal ways.

      • KCI등재

        도시재생사업 과정에서 본 기존 주민의 사회적 재생 - 서울시 “다시 세운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서정원(Seo, Jeong-Won),오상헌(Oh, Daniel) 한국도시설계학회 2021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2 No.6

        2013년 제정된 도시재생법은 기존 도시공간의 물리적 재개발에서 경제ㆍ사회ㆍ문화적 활기를 되찾는 총체적인 도시재생으로의 전환점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물리적 재생과 더불어 비물리적 즉 사회적 재생이 함께 제고되어야 하지만, 물리적 환경개선에 비해 사회적 재생은 가시적이지 않아 측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는 사회적 부문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도시재생사업 전 과정에 걸쳐 사회적 재생이 적절히 진행되고 있는지 점검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보았고, 이에 사회적 재생이 환경적ㆍ경제적 재생에 미치는 영향까지 파악할 수 있는 경제기반형 도시재생 사업지인 세운상가를 대상으로, 사업 초기와 1차 사업 완료 이후 두 번에 걸쳐 기존 주민의 관점에서 네트워크 변화를 관찰하고 도시재생사업의 활용도 및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도시재생사업을 전후해 기존 네트워크가 유실되고 도시재생 세부 추진사업에 대한 기존 주민의 활용도 및 만족도가 높지 않다는 결과를 얻었으며, 도시재생 세부사업이 목표했던 바가 사회적 재생으로 원활히 이어지지 못하였음을 파악하였다. 특히 현 사업은 외부인과의 사회적 연결 및 협업을 장려하는 공간운영과 프로그램에 편중되어 있으나 기존 주민의 입장을 통해 보았을 때 이 부분이 활성화되지 못했으며 사회적 연결망의 해체로 이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적 재생을 위해서는 기존 주민들의 최소한의 사회적 연결망 확보를 보장하는 한편, 도시재생의 주체가 되는 주민들의 일상을 보전하고 생업을 발전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추가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e Urban Regeneration Act enacted in 2013 provides a turning point from the physical redevelopment of existing urban spaces to holistic urban regeneration that restores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vitality. Thus, social regeneration is one of the key drivers and the ultimate indicator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However, social regeneration is hard to monitor as physical improvements, making it difficult to measure. This study focused on the analysis of the existing perspectives of residents and store owners on the changes in social networks and interactions throughout the Dasi Sewoon Project. Social network changes were surveyed at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e project from the perspective that existing residents included the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of the project. The research found that the existing social network suffered a noticeable shrinkage and, in some cases, a complete loss left many residents to vex over not having a safety net. Like many other urban regeneration projects, Dasi Sewoon Project focused on new common space creation and management to encourage new social connections and collaborations with outsiders. However, this research provided a ground for providing the minimum safety net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o safeguard and protect the existing residents" liveliho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