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도시정비사업을 통한 서울강북지역의 공간구조변화 및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남영우,김준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7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는 1970년대 이후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인해 대도시를 중심으로 인구가 집중하였다. 특히 서울의 강북지역에서는 체계적인 계획이 없이 무분별하게 주거지가 형성되어 40여년이 지난 현재에는 정비가 시급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진행되어온 정비사업의 사업방식을 살펴보고 향후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서울강북지역의 노후주거지를 대상으로 재개발 사업을 분석대상으로 한다. 이에 따라 시기별 재개발사업방식의 변화를 기준으로 합동재개발사업과 뉴타운사업, 주민참여형 재생사업 등으로 구분하여 살펴본다. (결과) 분석결과 각 사업방식은 각각의 장점과 단점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향후 재개발사업 시 지역의 특성에 맞는 차별화된 적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향후 주택시장의 변화를 고려하여 추가 부담금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정비사업방식의 개발하고 기반시설확보에 대해서 지방정부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는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Background and Purpose)The population has gravitated towards large cities due to rapid economic growth in Korea since the 1970s. Especially, the residential areas in the Kangbuk district of Seoul have been formed indiscriminately without any systematic planning, and their improvement is urgently needed at this point in time when 40 years or so have passed.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method of the improvement project conducted thus far and present the future improvement scheme. (Method)This study adopted the dilapidated residential area of the Kangbuk district in Seoul as the object of analysis for the redevelopment project. Accordingly, it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redevelopment project method by dividing it into the joint redevelopment project, the new town project, the human town project and the like on the basis of its changes by period. (Result)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each project method had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nd so its differentiated application suited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region is needed to a future redevelopment project. In addition, presented a plan for developing an improvement project method that minimizes additional charges and induces local governments to take active part in securing the infrastructure in consideration of the changing of the housing market.
남영우 한국도시지리학회 2017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20 No.3
We are in the midst of a rapidly changing international situation in the 21st century. At this time, we are ready to prepare for the 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of the 20th anniversary of the Korean Urban Geography Society and firmly establish the identity and position of geography as a field of study. It seems to have reached the point of time when it is done. Therefore, it is meaningful to see the geographical knowledge actively used in all fields of humanity and nature at the 20th anniversary of the founding society, but it has problems in the whole geography. Urban geography tends to focus on identifying urban structures and urban system. Of course, urban geography includes urbanization, urban system theory, global city theory, urban economy theory, urban ecology, urban landscape theory, etc.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urban geography is a field that can be directly linked to civilization, since it is the city that created human civilization. 우리는 21세기 급변하는 국제정세 속에서 지리학이 많은 도전 앞에 시련을 견디고 있는 시점에 20주년을맞이한 한국도시지리학회가 중심이 되어 통일을 준비하고 학문분야로서 지리학의 정체성과 위상을 확고하게 다져할 시점에 이른 것 같다. 그러므로 본 학회 창립 20주년에 즈음하여 지리학적 지식이 인문, 자연 모든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용되는 모습을 보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지만 지리학 전반에 걸쳐 문제점을 안고 있다. 도시지리학은 도시구조를 규명하는 데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다. 물론 도시지리학은 도시구조론 이외에도 도시화 및 도시체계론을 비롯한 도시입지론, 세계도시론, 도시경제론, 도시생태론, 도시경관론 등의 각론을 포함하고 있지만, 무엇보다도시구조론과 도시체계론이 중요하다. 가장 중요한 과제는 인류의 문명을 창출한 곳이 도시이므로, 도시지리학은문명론과 직결될 수 있는 분야라 할 수 있다.
남영우 대한부동산학회 2024 대한부동산학회지 Vol.42 No.3
우리나라의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은퇴자 등의 노후소득에 대한 관심과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주택연금은 경제활동기간 내 집 마련을 위해 많은 투자를 해온 고령층과 예비고령층에게 매우 중요한 제도라고 할 수 있다. 정부에서도 이러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주택연금 가입대상을 확대하고 세제혜택을 부여하는 등 다양한 인센티브를 부여하고 있다. 하지만 가입가능 주택가격이 공시지가 기준 12억원 까지 확대되면서 가입자간 형평성에 대한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택가격에 따른 수혜수준의 차이가 어느 정도 수준이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은 무엇인지를 제안하였다. 먼저 주택가격에 따른 수혜수준은 주택가격이 높을수록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주택연금의 조건을 조정하여 가입가격에 따른 수혜수준의 평형성을 맞출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격이 낮은 주택의 이자율을 낮추거나, 가격이 높은 주택의 이자율을 높여서 가격 간 형평성이 확보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주택연 금의 형평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가격이 낮은 주택에 대해서는 정부의 지원을 통해서 기존 보다 낮은 이자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As Korea experiences rapid population aging, concerns regarding retirement income for retirees and the elderly are increasing. In this context, the reverse mortgage system, or "housing pension," is a crucial program for both current and future retirees who have made significant investments in homeownership during their working years. Recognizing its importance, the government has expanded the eligibility criteria for the housing pension and provided various incentives, including tax benefits. However, the recent increase in the maximum eligible home price for participation, now set at 1.2 billion KRW based on the officially assessed value, has raised concerns about equity among participants. This study examines the extent of the disparity in benefits according to housing prices and proposes measures to address these inequities.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level of benefits increases with higher home values, leading to a widening gap. Therefore, adjustments to the housing pension conditions are necessary to ensure fairness in benefit levels across different home prices. The study suggests reducing interest rates for lower-priced homes or increasing interest rates for higher-priced homes to balance the benefit distribution. To improve equity in the housing pension system,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additional support to offer lower interest rates for homes with lower values.
성체조배를 위한 경당의 이상적인 조명 밝기에 관한 연구
남영우,정강화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4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4 No.1
빛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사물의 형태를 비추어 지각하게 하는 것이다. 이 외에도 빛은 여러 가지 역할을 한다. 그 중의 하나가 보이는 것을 통해서 보이지 않는 것을 바라보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특징은 종교건축 안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시대에 따라 그 빛은 신과 직접적으로 동일시되기도 했고, 인간의 내면을 비추어 자신을 돌아보게 만드는 역할도 했다. 이런 바탕에서 본 논문은 가톨릭교회의 기도 공간 중의 하나인 경당의 조명 환경에 대해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경당의 조명은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보게 하는 빛에 해당하는 것으로, 너무 밝거나 혹은 너무 어두워도 공간의 목적이 흐려지기 쉽다. 그렇다면, 과연 이 공간을 이용하는 사람들로 하여금 가장 편안하게 기도에 몰입할 수 있도록 하는 빛의 밝기는 어느 정도인지를 알아보려고 하는 것이 본 논문의 과제이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 실험조사를 실시하였다. 우선, 공간을 정하고, 조도를 측정한 다음, 필요한 조명기구를 설치하였다. 다음으로, 조광기를 사용하여 이용자가 직접 기도하기에 가장 편안하다고 느껴지는 빛의 밝기를 조절하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그 빛을 측정해서 얻어진 결과를 정리한 것이 본 논문의 내용이다. 연구범위와 내용은 먼저 실험을 위한 장소로 수도원 한 곳의 협조를 구했다. 결과로는 평균이 되는 산술적 수치를 기대했지만, 흥미롭게도 실험에 함께한 대부분의 참가자들은 밝은 조명을 필요로 하지 않았다. 그것보다는 감실을 밝히고 있는 조그마한 불빛만으로 편안해 하였다. 이는 빛의 밝기보다 빛의 의미에 가까운 결론이라 하겠다. 가톨릭 전통 안에서 그 빛은 구세주의 현존을 의미한다. 우리나라의 종교건축 분야에 있어 실험 데이터가 많지 않은 현실에서 본 실험을 시작으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해 나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