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보육교직원의 자아수용과 긍정적 대인관계와 정서노동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

        박미영 ( Park Mi-Young ),김은혜 ( Kim Eun-Hye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21 사회복지경영연구 Vol.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직원의 자아수용과 긍정적 대인관계가 정서노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고, 보육교직원의 자아수용과 긍정적 대인관계가 정서 노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회복탄력성은 어떠한 매개효과가 있는 지를 검증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과 범위는 서울특별시와 인천광역시, 경기도에 위치한 어린이집 기관의 보육교직원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측정문항과 대상자에 대한 기술통계분석 및 가설검증을 위하여 사회과학조사프로그램인 SPSS를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직원의 자아수용과 긍정적 대인관계가 정서노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회복탄력성은 자아수용과 긍정적 대인관계에 유의미한 인과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회복탄력성은 보육교직원의 자아수용과 긍정적 대인관계를 높이고 정서노동을 낮출 수 있는 긍정의 심리적 자원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보육교직원의 자아수용과 긍정적 대인관계는 회복탄력성에 유의미한 인과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나 보육교직원의 정서노동을 낮추기 위해서는 회복탄력성을 높여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보육교직원의 자아수용과 긍정적 대인관계가 정서노동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은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지닌 것으로 확인되었다. 회복탄력성을 높이는 태도를 기른다면 보육교직원의 정서노동을 낮추고 자아수용과 긍정적 대인관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목적에 따른 기대효과는 보육교직원의 정서노동 요인을 해소하고, 자아 수용과 긍정적 대인관계를 높여줌으로서 보육교직원의 정신건강 증진과 심리적 안정, 건강한 삶의 질로 기관에서 긍정적 정서를 촉진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는데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effects of self-acceptance and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n the emotional labor of childcare teachers and also the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e on the process of self-acceptance and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fluencing their emotional labor. The subjects and scope encompass childcare teachers at daycare centers in Seoul Special City, Incheon Metropolitan City, and Gyeonggi Province. After conducting a survey with them, the investigator performed statistical treatment for collected data with the social science research program SPSS for th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of survey items and subjects and hypothesis testing.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self-acceptance and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emotional labor of childcare teachers. Resilience had significant causal relations with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resilience can be a positive psychological resource to increase their self-acceptance and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lower their emotional labor. Secondly, their self-acceptance and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had significant causal relations with their resilience, which indicates that childcare teachers need to enhance their resilience in order to reduce their emotional labor. Finally, resilience turned out to have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n the influences of their self-acceptance and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n their emotional labor. If childcare teachers develop an attitude of increasing their resilience, it will help to reduce their emotional labor and promote their self-acceptance and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ased on the objectives of the study, its findings are expected to generate such effects as resolving the emotional labor factors of childcare teachers and promoting their self-acceptance and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us serving to facilitate positive emotions as institutions through mental health, psychological stability, and healthy quality of life.

      • KCI등재

        지체장애인의 장애수용, 긍정적 대인관계, 삶의 만족 간의 종단적 관계: 상호순환효과 검증

        최희철,김혜리,김영미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21 장애와 고용 Vol.31 No.4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s among acceptance of disability,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life satisfaction in people with physical diasbilities. The specific aims were twofold: First, this study examined longitudinal stability coefficients of acceptance of disability, positive interpersonal relatkonship, and life satisfaction. Second, this study examined the cross-lagged effects among acceptance of disability,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life satisfaction. Method: The data of each variables came from the 1st to 4th waves in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2nd Wave(PESD). The longitudinal stability coefficients and cross-lagged effects were analyz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First, the all longitudinal stability coefficientsthe of each variables were positively significant. Second, the all cross-lagged effects of the acceptance of disability on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future were significant in the positive. Third, the all cross-lagged effects of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on acceptance of disability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future were significant in the positive. Fourth, the all cross-lagged effects of life satisfaction on acceptance of disability and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the future were significant in the positive.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s among acceptance of disability,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life satisfaction were reciprocal. 연구목적: 이 연구는 지체장애인을 대상으로 장애수용, 긍정적 대인관계, 삶의 만족 간의 종단적관계의 상호순환효과를 알아보았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2가지였다. 첫째, 장애수용, 긍정적 대인관계, 삶의 만족의 종단적 안정성 계수를 알아보았다. 둘째, 장애수용, 긍정적 대인관계, 삶의만족 간의 교차지연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장애수용, 긍정적 대인관계, 삶의 만족의 자료는 2차 웨이브 장애인 고용패널 조사(PSED)의 1차, 2차, 3차, 4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장애수용, 긍정적 대인관계, 삶의 만족의 종단적 안정성 계수와 장애수용, 긍정적 대인관계, 삶의 만족 간의 교차지연 효과는 구조방정식 모델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각 변인의 종단적안정성 계수는 모두 정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장애수용은 장래의 긍정적 대인관계, 삶의 만족을 정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셋째, 긍정적 대인관계는 장래의 장애수용, 삶의 만족을 정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넷째, 삶의 만족은 장래의 장애수용, 긍정적 대인관계를 정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결론: 이 연구의 결과는 장애수용, 긍정적 대인관계, 삶의 만족의 종단적 관계가 상호순환적이란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

        정서 인식 명확성이 긍정적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마음챙김과 지각된 정서적 지지의 매개효과

        문화진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3

        The Effect of Emotional Clarity on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Mediating Effects of Mindfulness andPerceived on Emotional SupportHwajin Moon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mindfulness and perceived emotional support between adults’ emotional clarity and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o this end, 305 adult men and women in their 20s’ participated. Data was collected for a month in March 2022. Based on this data, the effect of emotional clarity on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as confirmed, and the each and double mediating effects of mindfulness and perceived emotional support were verified. As a result, both mindfulness and perceived emotional support partially mediated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 influence of perceived emotional support was relatively greater than mindfulness when they were put together. So, it can be important to promote one’s emotional clarity and objective understanding, positive awareness of support from significant others for form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more positively. Key Words: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Emotional Clarity, Mindfulness, Perceived Emotional Support, Mediating Effect 정서 인식 명확성이 긍정적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마음챙김과 지각된 정서적 지지의 매개효과문 화 진* 요약: 이 연구는 성인의 정서 인식 명확성과 긍정적 대인관계의 사이에서 마음챙김과 지각된 정서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대 성인남녀 305명을 대상으로 2022년 3월 한 달 동안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기반으로 먼저 정서 인식 명확성이 긍정적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다음으로 이 둘 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과 지각된 정서적 지지의 개별 매개효과 및 순차적 이중 매개효과를 검증했다. 그 결과, 마음챙김과 지각된 정서적 지지는 모두 정서 인식 명확성과 긍정적 대인관계 사이를 부분 매개했고, 두 변인을 순차적으로 동시에 투입했을 때 지각된 정서적 지지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긍정적 대인관계 형성을 위해서는 자신의 정서에 대한 명확한 인식과 객관적 이해, 중요 타인으로부터의 지지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증진하는 것이 중요한 선행 조건이 될 수 있다는 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핵심어: 긍정적 대인관계, 정서 인식 명확성, 마음챙김, 지각된 정서적 지지, 매개효과 □ 접수일: 2022년 5월 11일, 수정일: 2022년 6월 6일, 게재확정일: 2022년 6월 20일* 숙명여자대학교 교육학부 강의전담교원(Lecturer, Sookmyung Women’s Univ., Email: mhj961210@gmail.com)

      • 성인의 성취욕구, 자기 주도적 성격,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 및 긍정적 정서와의 관계

        남궁은하 ( Gung Eun Ha Nam ),서호찬 ( Ho Chan Seo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15 뇌교육연구 Vol.15 No.-

        이 연구는 일반 성인들이 느끼고 있는 주관적 삶의 질 요인인 삶의 만족과 긍정적정서를 높여주는 개인의 심리적이고 자아적 요인과 사회관계적 요인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주관적 삶의 질의 영향요인간의 상대적 영향력과 인과관계를 실증적 자료 분석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임의 표본 추출된 19세 이상 성인 348 명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기존의 정신건강, 자아관련 척도, 대인관계와 사회적지지의 척도를 토대로 얻어진 자료들을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연구주제와 관련된 척도를 재구성하고, 각 척도들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한 후 분석에 사용하였다. 주관적 삶의 질의 두 가지측면인 삶의 만족과 긍정적 정서를 관측하고자 이에 영향을 주는 성취욕구, 자기 주도적 성격,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사회적지지 변인들로 설정하였다 인구사회적 집단비교 결과, 윌소득은 500 만원 이상에서 자기 주도적 성격,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삶의 만족, 긍정적 정서의 변인에서 유의하게 평균점수가 높았고, 직업은 유의미한 요인이 없었다.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영향력을 미치는 정도를 알아본 결과, 삶의 만족의 경우 유의한 영향력이 있는 요인으로 자아존중감, 성취욕구, 대인관계, 사회적지지 순으로 나타났고, 긍정적 정서는 성취욕구,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순으로 영향력이 있었고, 자기 주도적 성격은 삶의 만족과 긍정적 정서에 유의한 영향력이 없었다. 회귀분석을 통한 모형분석은 삶의 만족 요인에 가장 높은 설명력을 가진 모형 6(46.2%) 의 경우, 자아존중감(B=.289) 이 가장 큰 영향력이 있었고, 긍정적 정서는 가장 높은 설명력을 가진 모형 6(44.7%)의 경우, 성취욕구(B=.354) 가 큰 영향력이 있었다. 이는 인간욕구와 관련하여 부족한 삶의 질 연구에서 특히 긍정적 정서에 유의한 영향력이 있는 요인으로 나타나 추후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되리라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possibilities of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subjective life in the satisfaction of life and positive emotion, which are the elements of subjective life quality that common adults feel. This research targeted 348 adults (over 19 years old) and carried out an element analysis by using data collected from advanced researches concerning personal relationships, social support, ego-related criteria, and mental health. For this analysis, I used data in statistical analysis after retain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each factor. This analysis considered the satisfaction of life and positive emotions which were two elements of the quality of subjective life as a dependent variable and also considered the need for achievement, self-esteem, self initiated character, personal relationship, and social support as an influential independent variable. The results of research are as follow: After researching the influence of the need for achievement, for self-initiated character, and self-esteem, for personal relationships, and social support as to the satisfaction of life and positive emotions, the order of relative importance for these factors was proved to be: self-esteem, need for achievement, personal relationship, and social support. The demographic factors concerned were monthly income and jobs. The need for achievement, for self-esteem, and for personal relationships in the order of importance were influential when it came to positive emotions. Levels of education and job were influential with regard to demographic factors. In addition, the measures of self-initiated character have no affect on the satisfaction of life and positive emotions. In conclusion, by means of regression analysis, it was shown that model 6 (46.2%) had the highest persuasive power with regard to the quality of subjective life, and had the biggest effect on self-esteem(B=.289). And in mode 16 (44.7%) which had the highest persuasive power on the positive emotions, the need for achievement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These results qualify as highly suggestive in this area in that it is precisely these factors that require greater research into the poor quality of life.

      • 아동기 상실경험과 성인기 우울 : 긍정적 대인관계의 매개효과

        김경희(Kyunghee Kim) 한림대학교 고령사회연구소 2020 한림고령사회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아동기 상실경험이 성인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긍정적 대인관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2012년 한국종합사회조사[KGSS] 자료 1,396명을 대상으로 SPSS Process Macro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서 아동기 상실경험은 ETISR-SF, 우울은 PHQ-9, 긍정적 대인관계는 Ryff(1989)의 PWBS 중 긍정적 대인관계(positive relations) 척도를 사용하였다. 첫째, 아동기 상실경험은 우울에 정적인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기 상실경험이 많은 성인일수록 긍정적 대인관계의 수준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긍정적 대인관계는 우울에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동기 상실경험은 긍정적 대인관계를 매개로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아동기 상실경험이 우울에 이르는 경로의 메커니즘을 확인하였고, 아동기 상실경험에 대한 개입과 아동기 상실⋅애도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생사학(生死學)적 노력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According to the life course perspective, childhood loss can lead to negative adulthood mental health outcomes such as anxiety and depression. However, the pathways between childhood loss and adulthood depression have not been well investigated.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rela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loss and depressive symptoms in adulthood. The data were drawn from the 2012 Korea General Social Survey (KGSS), consisting of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of 1,396 Korean adults aged 18 or older. Childhood loss was measured with the Early Trauma Inventory Self-Short Form (ETISR-SF), depression was measured with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 and positive relations was measured with the Ryff’s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s (PW-BS). SPSS Process Macro was use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childhood loss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but this association was partially mediated by positive relations. This study confirmed one of the pathways between childhood loss and depression in adulthood. Since an individual can gain emotional stableness and sense of belongings, positive relationships may be an important coping resource for those who have childhood loss.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ed interventions for childhood loss and education on grief and bereavement in childhood.

      • 아동기 상실경험과 성인기 우울 : 긍정적 대인관계의 매개효과

        김경희 한국문화융합학회 2019 한국문화융합학회 전국학술대회 Vol.2019 No.4

        본 연구는 아동기 상실경험이 성인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긍정적 대인관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2012년 한국종합사회조사〔KGSS〕 자료 1,396명을 대상으로 SPSS Process Macro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서 아동기 상실경험은 ETISR-SF, 우울은 PHQ-9, 긍정적 대인관계는Ryff(1989)의 PWBS 중 긍정적 대인관계(positive relations) 척도를 사용하였다. 첫째, 아동기 상실경험은 우울에 정적인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기 상실경험이 많은 성인일수록 긍정적 대인관계의 수준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긍정적 대인관계는 우울에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동기 상실경험은 긍정적 대인관계를 매개로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아동기 상실경험이 우울에 이르는 경로의 메커니즘을 확인하였고, 아동기 상실경험에 대한 개입과 아동기 상실·애도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생사학(生死學)적 노력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지각된 불공정성과 자살위험의 관계에서 우울을 통한 긍정적 대인관계의 조절된 매개효과: 성별 분석

        양은정,노해림,박재현,전홍진,심은정 한국상담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1 No.2

        This study examined whether depress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injustice (PI) and suicide risk (SR), and whether this relationship differs based on gender and positive relationships. Data from 1,396 participants in the 2012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KGSS) were analyzed. Measures included KGSS PI items, the MINI suicidality module, the PHQ-9, and the Positive Relations with Others subscale of the PWBS. PROCESS Macro analysis indicated that while depression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I and SR in men, it only partially mediated it in women. In men, positive relationships did not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I and depression or between depression and SR, while it moderated both relationships in women. Finally,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positive relationships was only significant for women. The results suggest that PI and gender should be considered in depression and suicide intervention, and that promoting positive relationships could mitigate some of the negative effects of PI on mental health. 본 연구는 지각된 불공정성이 우울을 매개하여 자살위험으로 이어지는 관계가 긍정적 대인관계에 따라 달라지는 지와 이 관계가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012년 한국종합사회조사(KGSS)의 1,39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변인은 KGSS 공정성 문항, MINI(The Mini International Neuropsychiatric Interview)의 자살성 모듈, 우울증 선별척도(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그리고 심리적 안녕감 척도의 긍정적 대인관계 하위 척도로 평가하였다. PROCESS macro로 검증한 결과, 첫째, 남성의 경우 우울이 지각된 불공정성과 자살위험의 관계를 완전 매개한 반면 여성의 경우 부분 매개하였다. 둘째, 남성의 경우 지각된 불공정성과 우울, 그리고 우울과 자살위험의 관계에 대한 긍정적 대인관계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반면 여성에서는 조절효과가 모두 유의하였다. 셋째, 지각된 불공정성과 자살위험의 관계에서 우울을 통한 긍정적 대인관계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여성에서만 유의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지각된 불공정성을 우울 및 자살위험 개입에서 고려해야 하며, 긍정적 대인관계를 증진하는 개입이 지각된 불공정성이 정신건강 문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완화하는데 효과적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아버지의 공감 능력과 중학생의 긍정적 대인관계가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고태순,김민화 한국독서치료학회 2018 독서치료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중학생들의 학교생활 지원을 돕는 독서치료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아버지의 공감 능력과 중학생 자녀의 긍정적 대인관계 및 학교생활 만족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들의 관계를 반영하여 중학생의 학교생활을 돕는 프로그램의 개발에 대한 함의를 구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중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262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빈도분석, 상관분석, 단계적 회귀분석, 조절효과 분석을 활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상관관계 분석결과, 아버지 공감 능력의 하위요인 중 정서지각, 관점수용, 공감 정서와 중학생의 긍정적 대인관계 및 학교생활 만족도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 중학생의 학교생활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아버지의 관점수용과 정서지각 및 중학생의 긍정적 대인관계였다. 조절효과 분석결과, 중학생의 긍정적 대인관계는 아버지의 공감 능력이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절효과가 없었다.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를 토대로 볼 때, 중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아버지의 정서지각 능력과 관점수용 능력을 높이려는 노력과 더불어 동시에 중학생의 긍정적 대인관계를 높이려는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긍정적 재평가, 객관화 재평가가 대인관계 외상 경험자의 반응적 공격성과 긍․부정정서에 미치는 영향

        황화정,김근향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24 인지행동치료 Vol.24 No.1

        본 연구는 인지적 재평가의 두 가지 전략이 대인관계 외상 경험자의 반응적 공격성과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대구 경북지역에 거주중인 20대 성인 중 대인관계 외상 경험자를 선별하였다. 선별 과정에서 성관련 외상 경험자, IES-R-K 25점 이상, 외상 경험이 3개월 이내 또는 10년 이상 전 경험자는 제외하여 총 46명을 선별하였으나 각 집단에서 3명씩 탈락하여 객관화 재평가집단 20명, 긍정적 재평가집단 20명을 무선할당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Kivity와 Huppert(2016)의 프로토콜을 수정하였으며, 참가자에게는 ‘지금까지 타인으로 인해 경험했던 고통스러운 사건에 대한 다른 관점으로 생각하는 글쓰기’라고 소개하였다. 연구는 1) 대인관계 외상 회상 2) 재평가 교육 3) 7일간 일기 작성 4) 사후 검증 순서로 진행되었으며, 1)과 2) 절차는 대면/비대면으로 진행하였고 3) 절차는 온라인으로만 진행한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긍정적 재평가와 객관화 재평가에서 반응적 공격성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긍정적 재평가는 유의한 부정정서의 감소와 긍정정서 증가가 나타났으며 객관화 재평가는 유의한 부정정서 감소가 나타났으나 긍정정서에는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대인관계 외상을 경험한 사람 중에 반응적 공격성을 보이는 사람에게 인지적 재평가 두 가지 처치를 모두 사용하여 공격성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긍정정서가 낮은 사람은 긍정적 재평가를 사용하여 긍정정서를 높이고 부정정서가 높은 사람은 객관화 및 긍정적 재평가 처치를 사용하여 부정정서를 감소시키도록 개입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selected interpersonal trauma experiences among adults in their 20s living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to determine the impact of the two strategies of cognitive reassessment on the responsive aggression,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of those who experienced interpersonal trauma. A total of 46 people were selected during the screening process, excluding those with sexual trauma experience, IES-R-K score of 25 or more, and those with trauma experience within 3 months or more than 10 years ago, but 3 people were eliminated from each group, and 20 people in the detached reappraisal group and 20 people in the positive reappraisal group were random assignment. In this study, the protocol of Kivity and Huppert (2016) was modified and participants were introduced to “writing that thinks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on a painful event that has been caused by another person.”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1) interpersonal trauma recall 2) re-evaluation training 3) diary for 7 days 4) post-verification, 1) and 2) procedures were conducted face-to-face/non-face, and 3) procedures were analyzed online only. As a result of the study, reactive aggression significantly decreased in positive reappraisal and detached reappraisal. In addition, the positive reappraisal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negative emotions and an increase in positive emotions, and the detached reappraisal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negative emotions, but no significant change in positive emotion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predicted that both cognitive reappraisal measures can be used for those who have experienced interpersonal trauma who show reactive aggression. In addition, people with low positive emotions may be able to intervene to increase positive emotions by using Positive Reappraisal, and those with high negative emotions can intervene to lower negative emotions using Positive Reappraisal and Detached Reappraisal treatment.

      • KCI등재

        긍정적 평가 두려움이 사회불안 경향군의 자기 평가와 대인관계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다인,임종민,장문선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3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how fear of positive evaluation affects interpersonal attitudes in people with social anxiety disorder. A survey including 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 and fear of positive evaluation scale was conducted targeting 399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and three groups were formed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he social anxiety group was composed of people with interaction anxiety score of moderate or higher, and the normal control group (19 persons) was composed of people with less than mild level. In addition, within the social anxiety group, individuals who exceeded the cutoff point for fear of positive evaluation were selected as the high social anxiety and positive evaluation fear group (19 persons), and those below that were selected as the social anxiety and positive evaluation low group (15 persons). Next, the Implicit Association Task and the Visual Ratio Scale were used to examine the implicit and explicit self-assessment aspects in the two dimensions of dominance and affiliation, which can explain the personality and interpersonal aspects of individual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group with high fear of positive evaluation did not implicitly evaluate themselves low, but explicitly evaluated themselves low, and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even when fear of negative evaluation was controlled. These research results show that even within social anxiety, those with high fear of positive evaluation do not implicitly evaluate themselves low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ut in fact, fear of retaliation or disappointment from others, it seems that they keep placing themselves in a low position. Finally,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사회불안장애의 대인관계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학생과 대학원생 399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척도와 긍정적 평가 두려움 척도를 포함한 설문을 실행하고, 설문 결과를 토대로 세 집단을 구성하였다. 상호작용 불안 점수가 중등도 이상인 사람들로 사회불안 집단을 구성하였으며, 경도 수준 이하인 사람들로 정상 통제집단(19명)을 구성하였다. 또, 사회불안 집단 내에서 긍정 평가에 대한 두려움 점수의 절단점을 초과한 개인을 사회불안 및 긍정적 평가 두려움 고집단(19명), 그 이하를 사회불안 및 긍정적 평가 저집단(15명)으로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개인의 성격 및 대인관계 양상을 설명해 줄 수 있는 지배성과 친애성 두 차원에서 암묵적, 명시적 자기 평가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암묵적 연합 과제(SC-IAT)와 시각적 비율 척도(VAS)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높은 집단은 암묵적으로 자신을 낮게 평가하고 있지 않았으나, 명시적으로는 자신을 낮게 평가하였으며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을 통제하였을 때도 그 차이는 유의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사회불안 내에서도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높은 이들이 암묵적으로는 대인 관계상에서 자신을 낮게 평가하지 않으나 사실은 타인의 보복 또는 타인의 실망이 두려워 자꾸만 자신을 낮은 지위로 자리매김하는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한계 및 후속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