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세대통합형 초고령사회 커뮤니티 조성을 위한 지역사회 고령친화정도 분석: 영등포구와 용인시를 중심으로

        윤현숙(Yoon, Hyun-sook),전현수(Jeon, Hyeon-Su) 한림대학교 고령사회연구소 2018 한림고령사회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초고령사회에 대응하기 위한 커뮤니티를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시작한다. 초고령사회에서는 20%의 노인이 아동, 청소년, 청년, 중장년 등 80%의 다양한 세대와 함께 어울려 살아간다. 이러한 초고령사회 커뮤니티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어르신들이 지역사회에서 AIP를 실현하며 편안한 삶을 영위함과 동시에 세대 간의 갈등이 없이 함께 교류하는 세대통합적 환경과 인식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WHO의 고령친화도시 가이드라인을 토대로 영등포구와 용인시를 중심으로 지역사회 고령친화정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인식과 태도, 노인의 사회참여, 시민참여와 고용, 존경과 사회적 통합 등의 항목에서 각 세대간 인식 차이가 나타났으며 영등포와 용인시 모두 보건복지서비스 영역의 평균점수가 가장 높았으며 시민참여와 고용 영역의 점수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대통합형 초고령사회 커뮤니티를 조성하기 위해 어르신들의 사회관계망과 사회참여 확대, 세대 간의 갈등조정 기제가 필요하며 이에 대한 제언으로 향후 초고령사회에 주역이 될 베이비부머 세대를 활용하여 지역사회 내에서 지역사회공헌, 재능기부, 갈등조정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세대통합형 지역사회를 모색해 볼 수 있겠다. This study begins with the perception that it is necessary to create a community to cope with a super-aged society. In a super-aged society, 20 percent of the elderly live together with 80 percent of the diverse generation, including children, teenagers, youth and middle-aged people. In order to create such a super-aged society community, it is essential for the elderly to realize AIP in their communities, to live a comfortable life, and to have an integrated environment and awareness of the generations in which generations interact without conflicts. In this study, based on WHO’s guidelines for the aged-friendly urban areas, the Yeongdeungpo and Yongin were surveyed on the level of age-related conditions in the community. The study showed that the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and attitude of the elderly, social participation by the elderly, employment and employment, respect and social integration, and that the average score in the health service sector was the highest in both Yeongdeungpo and Yongin. In order to create a super-aged community, we need to expand social relationships, expand social participation, and adjust conflicts among generations.

      • 중국 노인복지 현황과 향후 발전과제

        고춘란(Ko, Chun-Ran) 한림대학교 고령사회연구소 2014 한림고령사회연구 Vol.2 No.1

        고령화는 세계적 추세이다. 그러나 중국의 고령화는 다른 나라처럼 자연적으로 고령화가 이루어 진 것이 아니라 1980년대 부터 시작한 1가족 1자녀 인구정책으로 이루어 졌으며 부유하기 전에 준비와 대응이 없이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중국의 고령화 특징을 살펴보고 현재 시행하고 있는 노인 복지정책 중의 소득보장 즉 연금제도 발달과정과 향후 과제를 논의한다. 그리고 향후 중국에서 주요 이슈가 될 수 있는 노인장기요양 문제를 한국과 일본의 노인장기요양보험제 도 경험을 바탕으로 중국에서의 제도 도입의 필요성과 연구 과제를 제시한다. Population aging is global phenomenon. However, unlike other countries, population aging in china resulted from the artificial population policy which enforced 1 child in 1 family. In addition, unlike other industrialized countries, China entered into aging society without economic abundanc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situation of the Chinese welfare system for elderly and to discuss the challenges, especially in its pension policy. This work also discusses the necessity of adapting the insurance for elderly care in China based on the experiences of Korean long term care insurance systems.

      • 노인의 독거여부와 사회참여활동수준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이정은(Jung-Eun Lee) 한림대학교 고령사회연구소 2020 한림고령사회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노인의 독거여부와 사회참여활동수준에 따른 자살생각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만 65세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7년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변수의 결측치를 제외한 10,082명이 분석에 활용되었고, SPSS 25.0을 이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독거여부와 사회참여활동수준을 함께 고려하여 독립변수를 설정하였다(1=독거-사회참여활동 적음(reference), 2=독거-사회참여활동 많음, 3=비독거-사회참여활동 적음, 4=비독거-사회참여활동 많음). 독립변수만 모델에 투입한 결과(unadjusted model), 독거이면서 사회참여활동이 적은 집단이 다른 집단들에 비해 자살생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변수로 인구사회학적 변수와 건강관련 변수를 투입한 결과(adjusted model), 독거이면서 사회참여활동이 적은 집단에 비해 비독거이면서 사회참여활동이 적은 집단(OR=.461, p<.001)과 비독거이면서 사회참여활동이 많은 집단(OR=.538, p<.001)의 자살생각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자살생각을 줄일 수 있는 실천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effects of living alone and social participation level on suicidal ideation among older Koreans. For this purpose, data from the 2017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were used. After listwise deletion, a total of 10,082 people were used for the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was performed using SPSS 25.0. In this study, an independent variable was assessed with a set of categorical variables considering both living arrangement and social participation level (1=living alone & low social participation, 2=living alone & high social participation, 3=living with others & low social participation, 4=living with others & high social participation). In unadjusted model, living alone & low social participation group showed higher suicidal ideation than other groups. When socio-demographic and health-related variables were controlled, living with others & low social participation group (OR = .461, p <.001) and living with others & high social participation group (OR = .538, p <.001) had lower suicidal ideation than living alone & low social participation group. Based on study results, implications for elderly suicide prevention strategies were suggested.

      • 도시 지역사회 빈둥지 노인의 종합양로서비스 체계에 대한 탐구

        Guo Xiao Yan(郭晓,岩) 한림대학교 고령사회연구소 2016 한림고령사회연구 Vol.4 No.1

        중국은 급속한 고령화에 따른 빈둥지 노인의 비율이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빈둥지 노인에 대한 양로 서비스가 갈등적 초점과 연구과제로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 도시의 지역사회 빈둥지 노인을 대상으로 빈둥지 노인이 나타나게 된 원인과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 도시 지역사회 빈둥지 노인의 양로서비스 욕구 및 양로서비스 문제점에 대한 분석을 통해 종합적 양로서비스시스템 구축에 대한 제안을 하고자 한다. 최근 중국의 고령화 속도가 빨라지고 도시의 ‘빈둥지 가정’ 수도 계속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빈둥지 가정의 노인을 위한 서비스 및 서비스의 질에 대한 욕구가 높아지고 있으나 공급이 수요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도시 빈둥지 노인의 양로 서비스 문제는 이미 중국 사회 발전의 과정에서 긴급히 해결해야 할 중요한 문제가 되었다. ‘전국노령위 원회’가 발표한 통계자료에 의하면, 현재 중국의 빈둥지 노인 수는 약 1억 명으로 전국 인구의 7.5%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욕구에 대응하여 2003년 9월, 국무원은 <양로 서비스 사업의 신속한 발전에 대한 몇 가지 의견>을 발표하였다. 이는 <중국 노령사업 발전 ‘십이오’계획>, <사회양로 서비스 체계 건설계획> 이후 중국의 사회 양로 서비스체계 건설사업을 위한 또 다른 지도적 정책 문건이다, 이 문서는 2020년까지 ‘기능확충, 적절한 규모, 도시와 농촌을 적용대상으로 하는 양로서비스체계’를 전면적으로 수립한다는 것으로서, ‘가정 양로를 기초로 지역사회 서비스에 의지하고 시설서비스를 보충적으로 활용하는’ 종합적인 양로 서비스 체계 구축을 그 내용으로 하고 있다. 이는 도시 지역사회 빈둥지 노인 양로 서비스 체계의 방향성을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With the rapid aging of the Chinese population, the number and proportion of empty nest elderly also grew rapidly. Empty nester pension services become a focus and hot spot of contradictions. The research focus of this article is the problem of urban community empty-nesters in China. I start with the causes and influencing factors of empty-nesters, explore the demand for empty-nesters pension services in urban communities, analyze the existing problems of empty-nest elderly service in the urban community, and put forward a proposal that establishes a comprehensive pension service system.

      • “유가와 묵가의 상호 보완” -현대 사회 친자윤리 사상 재건이 길-

        Xue Bai Cheng(薛栢成) 한림대학교 고령사회연구소 2016 한림고령사회연구 Vol.4 No.1

        혈연(血緣)에 기초한 가족애의 양로(養老)모델(가족 부양)은 유가(儒家)에서의 효친을 기반으로 하는 “추애(推 愛)”적 윤리이고 개인의 자유와 독립 그리고 사회적 수요를 기반으로 하는 양로(養老)모델(사회적 부양)은 묵가(墨 家)의 “겸애(兼愛)”적 윤리이다. 유가의 “추애(推愛)” 사상은 현대 사회 친자윤리 사상 재건의 기초이지만 경직화되어 있고, 묵가의 “겸애(兼愛)” 사상은 현대 사회 친자윤리 사상을 재건하는 방향이지만 상당히 이상적이라는 한계를 지닌다. 따라서 혈연(血緣)에 기초한 가족애의 양로모델(가족 부양)과 개인의 자유와 독립 그리고 사회적 수요를 기반으로 하는 양로모델(사회적 부양)의 유기적 결합은 “유가(儒家)와 묵가(墨家)의 상호 보완”이라는 윤리적 사상이다. 또한 유가와 묵가의 문화적 상호보완을 제기하는 것은 현시대 친자윤리 사상 재건에 있어 보편적 내용을 담고 있는데, 이는 가족부양과 사회적 부양의 미흡한 부분을 보완할 뿐만 아니라 오늘날 제기되고 있는 사회적 부양에 대해 동아시아 문화권의 윤리적 지도(指導) 역할을 할 수 있다. Elderly care models relying on blood ties are based on the extension of love between children and parents which Confucianism understands as natural. Elderly care models which rely on society and which stress social needs as well as the independence and liberty of individuals, could be based on Mohism, in which the core value is universal love. Although Confucianism could be the basis for revitalizing the norms of children-parent relationships, it is too rigid to apply in modern society. Although the universal love which Mohism stresses could be an adequate basis to rebuild the norms of children-parent relationships, it is too utopian to apply in modern society. This article proposes an ethical theory in which Confucianism and Mohism complement each other in order to balance the burden of elderly care between society and families. By revitalizing the norm of children-parent relationships, this combined ethical theory may provide ethical guidance for the social care of the elderly.

      • 현 시대 중국 노인의 사회복지보장 문제에 관한 연구

        Wang Xiao Jie(王晓,杰) 한림대학교 고령사회연구소 2016 한림고령사회연구 Vol.4 No.1

        중국은 현재 빠른 속도로 고령화 시대를 맞이하고 있으며, 수억 명에 달하는 노령인구의 복지 수요를 해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고 현실적인 문제로 등장하고 있다. 중국의 효 문화는 중국 전통문화의 핵심 부분으로서 중국 사회의 윤리적 버팀목이자 도덕적 기초이다. 또한 효 문화는 중국 사회의 안정과 가족통합의 기반이기도 하다. 중국 사회는 고령화와 핵가족화의 진전으로 말미암아 노인 빈곤과 빈둥지가정, 독거노인 등의 노인문제가 증가하고 있으며, 노인의 소득지원, 정서적 지지 및 일상생활 돌봄과 관련된 사회적 욕구 역시 날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이러한 중국 사회의 고령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대응과 구체적인 해결방안이 필요하다. China is now facing a rapidly aging population. The welfare demand of hundreds of millions of elderly people in China poses serious social problems. The Hyo (norm of filial piety) culture is an ethical prop and moral basis of Chinese society as it is an integral part of Chinese traditional culture. Hyo culture is also the basis of Chinese society s stability and family integration. With an aging population and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nuclear families, problems like elderly poverty and the empty nest syndrome become serious, and the social needs for economic and emotional support and day care services are also increasing. To solve the problems due to population aging, active policy involvement and concrete solutions are needed.

      • 고령화연구패널의 조사 개요 및 주요 결과

        남기성(Nam, Ki Seong) 한림대학교 고령사회연구소 2013 한림고령사회연구 Vol.1 No.1

        고령화연구패널조사는 급속한 고령화 진행에 따라 횡단면 조사로 파악하기 어려운 고령자의 사회적, 경제적, 육체적, 정신 적 삶 전반에 걸친 포괄적인 자료를 종단면 자료로 구축하여 생산 및 제공. 한국의 중고령자의 노동경제학, 재정, 사회학, 사회보장 및 사회복지, 건강, 가족관계, 심리학, 주거, 노년학 등에 관한 미시자료를 패널조사로 확보하여 정부의 중고령층 고용정책 수립을 지원 및 중ㆍ고령화와 관련한 다양한 분야의 연구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하는 조사이다. 제3차 기본조사는 전국의 고령화 패널을 대상으로 2010년 10월 1일부터 시작되어 11월 30일에 실사가 종료되었다. 조사방법은 기 본조사의 경우 노트북 컴퓨터를 이용한 대인면접방법으로 실시하여 8,229명(생존자 7,920명, 사망자 309명)에 대한 면접조사 성공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성별 추이에서 조사가 경과됨에 따라 남성의 비율이 점차 줄어들고 있으며, 일상생활 활동 능력을 평가하는 지표인 ADL 수치와 만성질환 보유 비중 추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현재 평균 생존 자녀수는 2.7명이 며, 손자녀는 평균 3.0명, 30세 이상 자녀 중에서 부모와 동거 비율은 12.7%로 분석되었다. 건강상태 변화에서 전체 응답자 가운데 67.3%가 2차 조사 때에 비해 자신의 건강상태가 나빠졌다고 인식하고 있다. 고용에서 취업자의 비중은 47.3%(임금 근로자 22.1%, 자영업자 20.4%, 무급가족종사자 4.8%)로 2차 조사에 비해 다소 감소하였다. According to the rapid growth of aging,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aims to provide broad research sources which are hard to understand by cross-sectional analysis. It provides longitudinal data which include the elders’ social, economical, physical, and psychological aspects. In this study we also use the micro panel data in order to understand the Korean elders’ labor economics, finance, sociology, social security and social welfare, physics, family-relations, psychology, housing, and gerontology to provide based information to other research fields. The third data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1, 2010, to November 30, 2010. We conducted Face-to-Face Survey analysis by personal lap-top. 8229 individuals (7,920 survivors 309 dead), participated in this survey. According to the gender progress, as the survey progressed, the rate of females declined, and the ADL (Activities of Daily Living) figure and chronic disease possession status consistently increased. The current average number of survived children is 2.7, and the average number of grandchildren is 3.0. The rate of living together with parents is 12.7% for those over age 30. As for the change of physical condition, 67.3% of respondents perceived their physical condition has lowered since the 2nd data survey. In employment the rate of those employed is 47.3% (22.1% laborer, 20.4 % self-employed, 4.8% unpaid family worker). It has declined since the 2nd data survey.

      • 한림고령자패널: 노인의 삶의 질에 대한 종단 조사

        김영범(Kim, Young Bum) 한림대학교 고령사회연구소 2013 한림고령사회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2003년 시작된 한림고령자패널의 설문, 표본 및 조사 방법 등을 설명하고, 그 주요 결과를 인구학적 변인을 중심 으로 살펴본 후 한림고령자패널의 조사 경험을 바탕으로 향후 패널조사에 대한 함의를 기술하는 것이 목적이다. 한림고령 자패널은 2003년 1차 조사 이후 2005년, 2007년, 그리고 2009년에 걸쳐 총 4차의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패널조사의 표본은 45세 이상 장노년층으로 1차 조사 시 2,529명에서 시작하여 사망, 건강상태 악화, 조사 거부 등에 따라 2009년에는 1,155명 으로 축소되었다. 본 조사의 설문은 크게 인구사회적 배경, 건강, 심리, 사회복지, 그리고 사회관계 및 활동으로 나누어 구 성되었으며, 각 영역별로 전문가가 참여하여 설문을 구성하였다. 본 조사는 면접원과 응답자가 1대1로 대면한 상태에서 표 준화된 질문지를 통해 이루어졌다. 본 자료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최초의 노인 대상 패널자료로서 이후 노 인관련 패널조사를 확대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둘째, 노인관련 패널 조사의 다양한 문제를 제기함으로써 이후 진행된 패 널조사를 위한 선행 연구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셋째, 패널자료를 활용하여 다양한 연구 성과를 발표함으로써 노인의 삶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이해하는데 기여하였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questionnaire, sample, and survey method of the Hallym Aging Panel Data (HAPA), and to show its important findings. The first survey for HAPA started in 2003 and was repeated in 2005, 2007, and 2009. The sample size of HAPA was 2,529 persons in 2003 and the age of the sample started from age 45. However, because of death and health problems of the respondents, the sample size shrank to 1,155 by 2009.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5 domains including demographic background, psychology, heath, social welfare and activity, and support. There are three significant factors of HAPA. First, it is the first panel data for elderly in Korea. Second, as with previous research, it shows various problems and solutions facing panel data collection. Third, by analyzing HAPA, it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the various changes of elderly life.

      • 고령화사회 지원을 위한 복지기술 체계와 복지용구산업 발전모델

        원병희(Won, Byeong-Hee) 한림대학교 고령사회연구소 2014 한림고령사회연구 Vol.2 No.1

        고령화에 따른 가장 큰 과제는 지속가능한 사회의 구축과 구성원의 삶의 질 향상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복지기술과 복지용구산업의 발전 필요성을 재인식하고 이를 토대로 기술과 산업 두 중심주제의 체계를 구체 화하여 발전모델을 구조화해서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복지기술은 전통적으로 비교되거나 혼용되고 있는 보건의료기술과 는 차별적이고 독립적인 목적과 내용을 담고 있는데 보건의료기술이 주로 질병과 장애의 극복을 위해 의료바이오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비해 복지기술은 1차적으로 쾌적한 일상생활 지원과 2차적으로 생기 넘치는 삶을 위한 사회활동 지원으로 계층화하여 이해할 수 있다. 여기서 일상생활 지원은 주로 신체적 노화와 노인성 질환을 배경으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 는 자립지원과 수발부담 경감이라는 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회활동 지원은 고령자의 건강상의 변화 보다는 일과 여가라는 사회적 역할을 중심으로 복지기술의 적용 차원에서 새로운 문제해결의 접근이 필요하다. 또한 복지용구산업의 발 전을 위한 조건의 구조화를 바탕으로 산업의 이해당사자인 정부공공, 공급주체, 수요주체 및 중개인력들 각각의 올바른 역 할 인식과 균형된 발전이 필요하다. 이는 4-휠 드라이브 자동차가 원하는 목적지로 갈 수 있기 위해 방향을 조종(정부 및 공공부문)하고 균형 잡힌 전륜(공급주체; 제조기업 및 유통기업)과 후륜(수요주체; 가정 및 시설)에 올바르게 동력이 전달(중 간사용자)되서 원하는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는 것과 같다고 할 수 있다. 산업육성을 촉진하기 위해 인프라, 기술개발 및 시장활성화 측면의 정책과제들이 서로 연계하여 시너지를 낼 수 있도록 다각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추가적으로 고령자용 제품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과학적인 근거기반의 기술발전을 위한 방안으로 사용성평가의 적용과 검증이 유효한 방법의 하 나이다. The task for an aging society is to construct a sustainable society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the members. Recognizing these fact as basis, this research is to provide a new understanding on the necessity of development for welfare technology and assistive device industry. From this foundation, structuralize the development model to understand technology and industry system. Welfare technology is traditionally compared to and mixed with health (medical) technology. However, welfare technology has independent purpose and content from health technology. Health technology is mainly composed of Med-Bio to overcome disease and disability. whereas welfare technology is composed firstly, support of comfortable everyday live, and secondly of support of social activity for a vital life. The everyday life support here can be interpreted to self-support and to reduce the care burden occurred by physical aging and geriatric illness. Also, social activity support needs a new approach on problem solution more focused on work and leisure rather than the health change of the senior. For the development of the assistive device industry the stakeholder such as government and public sector, supplier, consumer, and intermediary needs to have the proper understanding of their role and balanced development. This is, for example, for a 4-wheel drive car to get to its destination, you need to control the direction (by government and public sector), balanced front-wheel-drive (by supplier; manufacturer and distributer), balanced back-wheel-drive (consumer; home and institution), and proper transmission of engine power to wheels (intermediary). To promote the industry we need to link together to make a synergy between infrastructure, technology development, and government policy to make vitalize the market. Additionally,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elderly products, applying a usability test is a valid way of a scientific basis for technology development plan.

      • 소양강댐 주변지역 노인의 삶의 질

        허미숙(Heo, Mi Sook) 한림대학교 고령사회연구소 2015 한림고령사회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초고령사회에 이미 진입한 춘천시 신북읍과 소양강댐 건설로 고립된 북산면 지역 거주 노인의 삶의 질을 파악하여, 지역 맟춤형 복지제도와 서비스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삶의 질은 건강, 경제, 사회, 심리, 환경의 5개 차원으로 구분하여 65세 이상의 신북읍과 북산면 거주 노인 각 100명을 대상으로 2014년 8월 한 달 동안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소양강댐 주변 거주 노인이 전국의 읍면부 거주 노인에 비해 독립적으로 생활하기 더 어렵고, 더 빈곤한 상태이며, 사회적 지원이 부족하며, 지역사회의 시설들을 이용하기에도 더 불편함을 겪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리고 북산면 거주 노인의 삶의 질이 신북읍 거주 노인의 삶의 질에 비해 더 열악하였다. 따라서 소양강댐 주변지역에 거주하는 노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복지제도의 개선과 서비스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여야 함을 재확인하였다. 이와 동시에 신북읍과 북산면 거주 노인들이 더 나이가 들더라도 자신이 살던 곳에서 계속 머물러 살면서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Aging in Place를 가능하게 하는 방향에서 노인복지 제도와 노인복지서비스 개발과 확대를 모색하여야 함을 제안하였으며, 본 연구가 이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This research attemp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local-customized welfare system and service in the Shinbuck-town and Bucksan-township-a districts, which are isolated due to the construction of Soyang River Dam and which have reached the level of a super-aged society. For the research, a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whole month of August 2014 among the elderly over 65 years old residing in Shinbuck-town and Bucksan-township. The quality of life of the survey respondents was examined in five dimensions: health, economy, social activity and social support, psychology, and community environment. Overall,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living around Soyang River Dam was inferior to that of the elderly living in the other rural areas in South Korea. Moreover,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living in Bucksan-town was lower than that of the elderly living in Shinbuck-township. Therefore, it was acknowledged that there is a definite need for a local-customized welfare system and service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living in both regions. It was also found that the elderly living in Shinbuck-town and Bucksan-township need “aging in place” support through the local-customized welfare system and service.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d basic data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living in Shinbuck-town and Bucksan-town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