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공공간에서 상호관계적 디지털미디어의 표현 방법 및 특성

        정선희(Jung, Sun Hee),서지은(Seo, Ji Eu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6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2 No.1

        최근의 디지털미디어는 쉽고 편리한 이용방식을 통해 현대인들과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고 소통하는데, 그 방식은 점차 일방향에서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쌍방향 소통방식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도시의 공공공간에도 활용되어, 공간을 이용하는 이용자에 의해 반응하고 그 반응을 통해 이용자의 여러 감각을 자극하는 디지털미디어가 도입되고 있다. 공공공간에 활용되는 디지털미디어는 사람들의 호기심과 흥미를 유발하여 공간으로의 접근성을 증대시키고 대중과의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활성화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공공간에서 상호관계적 디지털미디어를 적용한 사례를 조사하여 현황을 파악한다. 그리고 이를 대상으로 그 표현방법을 분석하고 표현특성을 도출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와 문헌을 통하여 디지털미디어의 개념, 특성 그리고 공공공간에 적용된 디지털미디어의 역할과 필요성을 살펴본다. 둘째, 선행연구를 통하여 디지털미디어의 표현유형과 디지털미디어의 표현 요소를 분류한 후, 이를 중심으로 상호관계적 디지털미디어의 표현방법에 관한 분석기준을 설정한다. 셋째, 선정된 사례를 대상으로 이용자의 영향 요소, 디지털미디어의 표현 요소 그리고 표현 유형을 중심으로 분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통하여 상호관계적 디지털미디어의 특성을 도출한다. 사례 분석은 최근 5년 이내로 소개된 공공공간에 설치된 디지털미디어 중 이용자의 영향을 통해 반응하는 쌍방향 지원의 디지털미디어를 대상으로 하였고, 이용자의 영향 요소와 디지털미디어의 표현 요소 그리고 표현 유형을 분석하였다. 표현 유형으로는 공공공간에서 디지털미디어의 역할과 설치목적을 중심으로 정보전달형, 예술표현형 그리고 엔터테인먼트형 3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표현 요소는 디지털미디어의 구성요소와 공간에서의 연출방법을 중심으로 이미지, 모션 그리고 사운드 3가지로 분류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보전달형 디지털미디어는 이용자의 터치나 움직임의 반복을 통하여 다양한 반응을 나타내면서 전달하고자하는 의미를 여러 사람이 공감할 수 있도록 표현하였다. 예술표현형 디지털미디어는 도구를 활용한 이용자의 행동을 통하여 지속적인 변화를 주면서 그것을 감상할 수 있도록 표현하였다. 그리고 엔터테인먼트형 디지털미디어는 이용자의 조작적 행동을 통하여 연속적이면서 다양한 변화를 제공하면서 이를 공감각적으로 체험하여 놀이로 인지할 수 있도록 표현하였다. 그리고 디지털미디어의 표현요소를 중심으로 본 특성은 다음과 같다. 빛을 활용하여 색상과 패턴이 변화되는 ‘이미지’와 ‘모션’을 통해 이용자에게 시각적인 자극을 지속적으로 주는 방법으로 표현되었고, 여러가지 음을 조화시킨 화음과 음의 변화를 주는 ‘사운드’를 통해 이용자에게 음악으로 제공하는 방법으로 표현되었다. 이는 디지털미디어의 ‘지속적인 변화’를 제공하는 표현요소가 이용자들의 감각을 끊임없이 자극하면서 이용자와 소통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향후 도시의 공공공간에서 이용자와의 적극적인 소통을 지원하기 위해 상호관계적 디지털미디어를 적용하고 응용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기대한다. Recently, digital media makes an intimate relationship with the people through easy and convenient way of using. The method has been gradually diverted from one-way to interaction way to exchange influence each other. This method is being used in the public space of the city, and comes in digital media that reaction by the user and the reaction is to stimulate the senses of users. Digital media is to increase the accessibility of the space by causing the curiosity and interest of the people and enable active interaction with the public space. Thus, this study examines the cases applying the Interrelative digital media in public space should grasp the current situation.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pression method in the target digital media and draw expression characteristics. The study methods are as follows. Firstly, the concept of digital media through preceding research and reference book, and examines the role and necessity of digital media applied to public spaces. Secondly, after classifying the expression type and expression elements of the digital media via a preceding research, to set the analysis standard concerning the expression method of the interrelative digital media. Thirdly, to target the selection of the cases, analyze effect element of users, expression elements and expression types of digital media, and through the results, draw expression characteristics. Case studies were aimed at supporting interactive digital media to react with the effect of a user of the digital media is installed in a public space, introduced within the last five years. And analyzed detail effect element of users, expression element of digital media and expression type. Expression types are classified into ‘information transmission type’, ‘artistic expression type’, and ‘entertainment type’, and expression elements are into ‘image’, ‘motion’ and ‘sou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type’ is expressed so many people can relate to indicating a means to convey a variety of reactions through repeated touch or movement. The ‘artistic expression type’ is expressed to appreciate digital media giving the lasting change through the actions of users using the tool. And the ‘entertainment type’ is expressed to offer a variety of changes through the manipulation of the user and the synesthetic experience as to whether the play. And characteristics of the expression elements in the digital media is as follows. Digital media has been constantly expressed in a way that the visual stimulus to the user through a change in the "image" and "motion" in the color and pattern utilizing lighting. And Digital media has been expressed in a way that provides the music to the user through the "sound" that changes the tone and chord. This can be seen by the expression elements of digital media to provide a "continuous change" are communicated with users through constant stimulates of the senses of the us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applying the Interrelative digital media to support the active communication with the user in the public space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부담을 가중시키는 공간에 관한 연구

        남지현(Ji Hyun Nam) 한국장애학회 2022 한국장애학 Vol.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patial factors that aggravate the parenting burden of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a space centered on adults without disabilities, familie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xperience spatial difficulties in various dimensions, and this is highly likely to increase the burden of child rearing. However, the research related to disability-space in the past focused only on absolute space, preventing us from approaching the essential problem of spatial difficulties. In this context, considering both absolute and relational spaces,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space were examined and how spatial factors aggravate the burden of child rearing were analyzed. To this end, a phenomenological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conducted to examine spatial factors that aggravate the burden of child rearing. As a result of the study, three central themes were derived: ‘Living in unequal private space’, ‘Public space that does not consider the existenc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Relational space that places the responsibility of care on families and women’. In the end, the cause of aggravating the burden of care for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an be summarized as “an unequal absolute and relational space”. Due to the unequal absolute and relational space, the spatial experience, life range, and taste of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reduced. In addition, it was revealed that the mother and the child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recognized as a unit, emphasizing the responsibility of caring for the mothe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patial intervention plans were presented in detail by dividing them into micro-system, mid-range system, and macro-system. 본 연구는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부담을 가중시키는 공간적 요인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성인 비장애인 중심으로 조성된 공간에서 발달장애아동의 가족은 다양한 차원에서의 공간적 어려움을 경험하고 이를 통해 양육부담이 더 가중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그동안의 장애-공간 관련 연구는 절대적 공간에만 초점을 맞추어 공간적 어려움의 본질적 문제에 다가가지 못하게 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절대적 공간과 관계적 공간 모두를 고려하여 발달장애아동의 어머니가 겪는 공간에서의 어려움을 살펴보고 공간적 요인이 양육부담을 어떻게 심화시키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현상학적 질적 연구 방법을 수행하여 양육부담을 가중시키는 공간적 요인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불평등한 사적 공간 속에서의 생활’, ‘장애아동의 존재를 고려하지 않는 공적 공간’, ‘돌봄의 책임을 가족과 여성에게 지우는 관계적 공간’의 3가지 중심주제가 도출되었다. 결국,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돌봄부담을 심화시키는 원인은 “불평등한 절대적·관계적 공간”으로 정리해볼 수 있다. 불평등한 절대적·관계적 공간으로 인해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공간 경험과 생활 범위, 취향을 축소시키고 있었다. 또한, 발달장애아동과 어머니를 하나의 단위로 인식하여 돌봄의 책임을 어머니에게 강조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미시체계, 중범위체계, 거시체계로 나누어 공간의 개입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공간에 대한 인식과 표현, 미술교육

        이화식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3 미술교육연구논총 Vol.34 No.-

        The plastic arts involve the visual modeling in two, three or four dimensions of a space. In other words, the plastic arts use the method to form a specific shape in a space. This is the difference of the plastic arts compared to other fields of art. The plastic arts focus on how to design the spaces. Ultimately, this is the result from the awareness of space. The special awareness determines different types and forms of modeling. Therefore, the key to modeling is ultimately to be the spatial awareness, not the spatial organization. However, spatial awareness is a very complicated matter. Spaces are recognized different by individual. It will be different by time, region and culture, because it is a physical activity but much influenced by culture. Therefore, in terms of space, the existential analysis should be prioritized. In modern education, however, it is seemed that the spatial awareness (philosophy) and visual description of space (art) are separated matters. The awareness and visual description of a physical space is in an inseparable relation. The living space is not something to be divided,but to be united, recognized and described. Unfortunately, in reality, the schools educate students that the relation of the two concepts is separated. The matter of space should be dealt with upon the metaphysics of the humanities and physical science of the material representation combined. In this regard, the separated content of curriculum should be integrated by the common theme of “space” in the education system. 이 연구는 공간 교육을 총체적으로 제시한 것이다. 현재 우리는 공간 속에서 살고공간 속에서 죽는다. 공간은 불가분의 관계 속에서 우리 삶의 일부분이다. 공간에 대한 관점을 갖는 것은 세상을 보는 안목을 갖는 것과 다름이 없다. 이와 같이 공간은 우리 생활에서 중요하며 공간 교육에 중요한 요소이다. 하지만 우리 교육에서 공간 교육은 분절화되고 구분되어서 서로 다른 영역에서 교육되고 있으며 표면적으로 지도되고있다. 이것은 공간에 대한 바람직한 교육이 아니다. 공간교육은 총체적이고 통합적으로 교육되어야 한다. 그렇기 위해서는 먼저 공간을 인식과 표현으로 구분하였다. 또한공간의 형식을 절대적 공간, 상대적 공간, 관계적 공간으로 구분하였다. 먼저 공간에대한 인식에서 절대적 공간을 설명하기 위하여 아리스토텔레스와 뉴턴의 철학을 빌려제시하였고, 상대적 공간은 라이프니츠와 아인슈타인의 철학을 빌려 제시하였다. 그리고 관계적 공간은 하비와 뢰브의 철학을 빌려 제시하였다. 그리고 공간에 대한 표현에서 절대적 공간을 설명하기 위해 사실주의 미술을 소개하였고, 상대적 공간을 설명하기 위해 입체주의 미술을 소개하였으며, 관계적 공간을 설명하기 위해 표현주의 미술을 소개하여 공간 인식과 공간 표현의 연계성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관계적 공간 담론에서 바라본 유아들이 경험하는 교실공간의 의미

        강지애,조부경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2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7 No.4

        본 연구는 유아들이 경험하는 교실공간의 의미를 관계적 공간 담론을 토대로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S시에 위치한 Y 어린이집, H반 20명의 유아와 함께 교실공간 안내하기와 사진찍기, 머릿속 지도 만들기, 모둠별 교실모형 만들기와 같은 다양한 시각적, 참여적 연구 방법과 유아 면담과 참여관찰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교실은 다양한 유아들이 함께 생활하는 곳으로 이질적인 존재들의 삶의 얽힘이 공존하는 곳이었다. 둘째, 유아교실은 예측 불가능한 사건들이 끊임없이 일어나 다양한 분위기가 연출되는 역동적인 곳이었다. 셋째 이어짐의 공간으로 유아와 공간 내 존재하는 사물은 접속과 재배치를 통해 새로운 공간을 지속적으로 창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유아는 성인에 의해 주어진 공간에 머물러 있지 않고 탈주를 행하며 공간의 의미를 넘나드는 모습을 보였다. 이상의 관계적 공간 담론에 기초한 유아 교실공간의 의미 탐색은 공간을 토대로 살아가는 유아들의 다양하고 복잡한 경험세계를 보여줌으로써 유아가 갖는 존재론적 의미에 한 층 더 다가가는 기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여겨진다.

      • KCI우수등재

        현대 과학의 공간 개념과 인문사회 학문에의 함의

        권오혁(Ohyeok Kwon) 대한지리학회 2018 대한지리학회지 Vol.53 No.3

        인문사회 학문에서 공간에 대한 논의가 혼란을 겪고 있는바 그것의 한 원인이 공간에 대한 과학적 이해의 부족에 있다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는 공간에 대한 현대 자연과학의 이론적 성과와 전망을 파악하는데 우선적인 목표를 두었다. 더하여 이러한 과학적 인식이 지역 관련 학문을 포함한 인문사회 학문의 공간 연구에 주는 함의를 논의하였다. 현대 과학의 공간 인식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현대 물리학은 공간의 실재성과 관련하여 공간이 물리적 실체라는데 공통의 인식을 가지고 있다. 둘째, 흔히 혼동되고 있는 관계적 공간과 상대공간은 개념적으로 명확히 구분된다. 셋째, 공간이 인간의 생활세계나 지구 환경으로서 경험될 때 뉴턴의 절대공간과 일치한다. 넷째,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과는 달리 현대 과학계의 공간 이해가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해석으로 완전히 통합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현대 과학의 공간 인식으로부터 본 연구는 인문사회 학문의 공간연구에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한다. 즉, 인문사회 학문이 인간사회와 공간의 관계를 탐구함에 있어서 관계적 공간이나 상대공간 개념에 얽매일 필요가 없으며, 뉴턴의 절대공간을 토대로 삼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절대공간의 성질에 대한 성찰과 함께 지리현상에의 영향에 대한 이해가 필요할 것이다. 더하여 지리학 등 인문사회 학문이 공간을 사회구성체의 주요 요소로 파악하여야 하며 그 연구의 중심을 공간 혹은 장소에 둘 필요가 있다. This research is firstly aimed to review the theoretical stand point of modern natural science on the concept of space and its prospect. Furthermore, it contemplates on how natural science’s understanding and perspective on space can affect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This research concludes that scholars of humanities and social studies need to go beyond the concept of relative theory and relative space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space, or human and environment. The difficulty to understand theory of relativity has been a barrier for scholars of humanities and social studies to study the concepts of space. It is my judgement that understanding space as having absolute property, contrary to relative theory, provides more insight to human and its environment, and that it should be prioritized.

      • KCI등재

        관계적 공간론의 관점에서 본 개성공단의 물리적 공간 형성과정

        홍승표 한국도시지리학회 2023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26 No.1

        This study analyze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KIC)formed as a result of microscopic interactions and agreements between the two Koreas from the perspective of ‘incorporate relational thinking of space’.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nteraction between the two Koreas exerted an absolute influence over all needs in the process of forming a physical space in the KIC. Second, new territorialization processes unexpected by North Korea’s existing system, such as spatial stabilization, inter-Korean mixed space creation, the emergence of new public transportation, and the spread of spatiality, were carried out at the KIC. Third, the KIC has created an electric charging facility, a shower room, and a laundry room, a buffer and mediating space, as a result of microscopic inter-Korean interactions that could not be imagined in the established system of the two Koreas. This study confirmed the absoluteness of interaction between the two Koreas in the spatial cooperation/creation project between the two Koreas, and at the same time, a new development path was formed by interaction between individuals and groups between the two Koreas beyond the authorities level. These results suggest that not only the physical space between the two Koreas but also the overall new spatiality such as social culture was formed in the KIC. 본 연구는 ‘관계적 공간론’의 관점에서 남북 간 미시적 상호작용과 합의 결과를 중심으로 개성공단의 공간적형성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개성공단의 물리적 공간형성 과정에 있어서 남북 간 상호작용은 모든 필요에 우선하는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둘째, 개성공단에서 공간적 안정화 과정, 남북 혼합적 공간 조성, 새로운 대중교통수단이 등장과 공간성 확산 등 북한의 기존 체제에서는 예상치 못했던 새로운 영역화 과정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세 번째로 개성공단은 남북 기성 체제에서는 상상할 수 없었던 미시적인 남북 간 상호작용의 결과로완충적이고 매개적인 성격의 공간인 전기 충전시설, 샤워실, 세탁실이 형성되었다. 동 연구는 남북 간 공간협력/조성 프로젝트에서 남북 간 상호작용의 절대성을 확인함과 동시에 당국 차원을 넘어 남북 개인과 집단 간 상호작용으로도 공간이 형성되는 새로운 발전경로가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개성공단에서 남북 간 물리적공간만이 아니라 사회문화 등 전반적으로 새로운 공간성이 형성되었을 것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연구논문 : 1990년대 이후 영국 노동당 정부의 로컬거버넌스 정책-헤게모니 문제와 시민참여민주주의 평가

        장세룡 ( Se Yong Jang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1 역사학연구 Vol.43 No.-

        이 연구는 영국의 로컬거버넌스에 주목하여, 밥 제솝과 닐 브렌너의 신그람시주의 전략관계적 접근이라는 비판적 메타이론으로 접근하였다. 전략관계적 접근에서 로컬거버넌스 공간은 지방자치와 지방분권의 이름으로 부단히 경쟁하고 움직이며 글로벌-국가-로컬이 상호영향을 끼치며 작동하는 공간이다. 로컬거버넌스 공간은 조절체계의 ``문화적`` 역동성 특히 자본 축적과 조절이 헤게모니 및 반-헤게모니적 구성으로 작동하며, 지배적인 사회정치적 힘 가운데서 집단적 사회적 행동과 투쟁의 우연적 산물이다. 특히 도시공간규모는 능동적 정치적 구성물로서 구조적이고 선택적 제도화가 추구되는 전략적 공간규모로서 탐구대상이다. 그러나 로컬거버넌스가 자치와 분권을 강조하지만 국민국가의 제도가 위계적 의미나 장악력을 상실한 것은 아니다. 기존 국가공간이 광범한 국가 기획 대상으로서 가변적이고 비결정적인 다중공간규모적 제도의 위계에서 작동할 뿐이다. 로컬거버넌스 담론에서 신자유주의 축적과 조절 전략은 다양한 표상적 담론 경쟁을 촉발시켰다. 그러나 거기에 신자유주의에 동조하는 표상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반-헤게모니적 저항 협상과 상호선택 담론 역시 표명된다. 국가구조와 사회세력이 통합적 국가를 형성하고 주형하는 과정에서 국가재조직과 경제재구조화에서 공간규모의 정치가 작동하는 양상과 의미에 관한 설명은 국가를 영토, 공간, 장소 및 관계망의 변증법적 상호작용으로 모순과 난관그리고 긴장을 내포한 실체 인식으로 수렴되는 경향을 보인다. 그것을 잘 표현하는 것이 국가-로컬의 내외적 관계 재구성을 위한 공간규모재조정 전략이다. 공간규모재조정에서 담론적 헤게모니는 강력한 행위자인 전지구화 자본과 국가 권력이 장악한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시민사회의 참여나 일상적 의회민주주의 역시 구체적 삶의 환경에서 상상력이나 상징들의 가치를 선택과 구성혹은 확산시킬 수 계기와 공간과 장소도 주어져 있다. 비록 전지구적 세계화라는 동력이 국가를 매개로 로컬거버넌스를 외부에서 추동하지만 그것 자체는 공간규모, 장소, 관계망이 함께 작동하며 부단히 경쟁하는 정치적 공간성의 장이다. 그러므로 특정 공간성이 더 우위에 존재하지는 않고 참여자들이 복잡하고 다양한 사회운동 방식으로 참여와 민주주의를 지향할 수 있다고 본다. 그러나 전략관계적 접근에서 로컬거버넌스 평가는 특정 담론 전략에 호의적이고 특정 정책 실천을 제시하며 헤게모니적 국가형식 출현에 주목하는 측면이 있다. 물론 그것이 메타이론인데서 온 결과이겠지만, 로컬거버넌스의 자율성과 헤게모니가 담론으로만 강조하는 측면이 많아서, 실제로 국가와 로컬이 헤게모니 전략관계로 작동하는지 의심의 여지도 있다. 그런 의문은 장차구체적 사례연구로서 검증할 필요가 있다. This article aims to analyse the problem of local governance in U. K focused with critical metatheory of the neo-Gramscian strategic-relational approach of Bob Jessop and Neil Brenner etc. The case of English local governance represents the politics and administration of local by subnational dimension based on regional community that promoting civil participation and economic growth. The local governance emphasizes the autonomy and decentralization, but in reality the nation state`s institution has not lost its hierarchical meaning and real power. Rather the nation state space becomes the object of multiple national project and is operating on the comprehensive restructuring by variable, non-determinative multiscalar system. The space of Local Governance is managed by hegemonic and counter-hegemonic composition of accumulation and regulation of neo-liberal global capital, and that is the production of occasional social action and struggle in dominant socio-political forces. Especially urban space is a kind of strategic scale which is in search of structural and selective institutionalisation as an interactive political constructions. And this strategy also has triggered multiple representative discoursal competitions. But in discourse of local governance, there re not all the representations aligned with neo-liberalism. But also the counter-hegemonical resistance and negation and inter-selective theories. Recently some explainations have stressed on the meanings and aspects of the reorganisation and restructuring of nation state in multiscalar scale politics of integral state that is composed by the national structure and social force. So it is inclined to the convergence of the notion of state as a reality involving the dialectical interacted contradiction, dilemma and string in multiscalar territorial spaces and networks. In the rescaling, process of multiscalr nation state, the discoursal hegemony is not grasped only by global capital or the power of nation state, but also selected and composed or dispersed the values of imaginations and symbols in the concrete circumstance by citizen participation of a society and the representative democracy. Although in local governance space, the driving force of globalisation intervenes through mediation, itself is a site of political spatiality where scale, place, network are operating and contesting. So the special spatiality is no more predominant, and then participants are directed toward participation and democracy by the method of complex and diverse social movement. The space of local governance is that which is in permanent competition and moving and operating in the interactive context of local-national-global. But the strategic relational approach implies the negative element suggesting administrative practice that is more favorable to explain the appearance of the mode of hegemonic relations. In reality, the autonomy and hegemony of local governance in Neo-Gramscian strategic relations are stressed only as discourses. So there are some doubts on the reality of the hegemonic relational approach between nation state and local.

      • KCI등재

        창의력 개발을 위한 경험 중심적 어린이 공간 연구

        김가영,김보우 한국기초조형학회 2010 기초조형학연구 Vol.11 No.5

        Children are gradually Intellectually developing existence that seeks new things at all times and faces a specific object through experiences at every moment. So children require a flexible and open-minded space that gives them a meaning and satisfies their curiosity. Also, children's all creative activities start with an accumulated experience, and are directly controlled by the richness and diversity of the past experiences. Thus diverse experiences in a space for children to reorganize their own thinking in the space have an important meaning. In this paper, we examined a more fluid and open space for children by recognizing the concept of a space as a high-dimensional space, not a simply physical environment, an intended 'relational space' enabling the development of composite and creative thinking through interaction between children and spaces, and a potential space able to organize a new and diverse interpretation meaningfully through various representation made of new experiences in a 'extraordinary space'. This experience-centered children's space is expected to help children are able to creative and open-minded thinking. 어린이에게 환경(공간)이란 어떤 의미이며 그들이 필요로 하는 환경(공간)은 과연 무엇일까? 어린이는 항상 새로운 것을 추구하며 특정한 대상을 접하게 되는 매순간의 경험을 통해 점진적인 지적 발달을 한다. 이에 어린이 스스로 공간에 대해 의미를 부여하고 호기심을 충족시키는 복합적인 사고가 가능한 공간이 요구된다. 또한 창의적 활동은 축적된 경험에서 시작되며, 과거 경험의 풍부함과 다양함에 직접 좌우되기 때문에 어린이가 공간에서 자신의 사고를 확장하고 재구성해 갈 수 있도록 새롭고 다양한 경험이 가능한 공간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학적 관점의 구성주의에 입각하여 공간과 학습자가 상호작용할 수 있는 ‘관계적 공간’, 경험 중심적 관점에서 공간경험, 특히 ‘비일상적 공간’이라는 개념을 도출하여 공간에서의 경험과 어린이 창의성 개발과의 연관성을 모색해 보았다. 결론적으로 ‘관계적 공간’은 정보가 풍부한 환경적 공간으로 어린이 스스로 공간과 상호작용하여 더욱 다양하고 복합적인 창의적 사고개발을 가능하게 하고, ‘비일상적 공간’은 일상적인 고정관념을 깨뜨리고 비일상적 경험이 가능한 공간으로 새로운 시각을 통해 상상의 소재가 되고 다양한 창의성 개발을 유도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경험 중심적 어린이 공간은 어린이의 무한한 상상력을 자극하고 어린이 스스로 공간의 주체가 되어 창의적인 발상 및 열린 사고를 할 수 있게 도울 것으로 기대가 된다.

      • KCI등재

        1990년대 이후 영국 노동당 정부의 로컬거버넌스 정책-헤게모니 문제와 시민참여민주주의 평가

        장세룡 호남사학회 2011 역사학연구 Vol.43 No.-

        This article aims to analyse the problem of local governance in U. K focused with critical metatheory of the neo-Gramscian strategic-relational approach of Bob Jessop and Neil Brenner etc. The case of English local governance represents the politics and administration of local by subnational dimension based on regional community that promoting civil participation and economic growth. The local governance emphasizes the autonomy and decentralization, but in reality the nation state's institution has not lost its hierarchical meaning and real power. Rather the nation state space becomes the object of multiple national project and is operating on the comprehensive restructuring by variable, non-determinative multiscalar system. The space of Local Governance is managed by hegemonic and counter-hegemonic composition of accumulation and regulation of neo-liberal global capital, and that is the production of occasional social action and struggle in dominant socio-political forces. Especially urban space is a kind of strategic scale which is in search of structural and selective institutionalisation as an interactive political constructions. And this strategy also has triggered multiple representative discoursal competitions. But in discourse of local governance, there re not all the representations aligned with neo-liberalism. But also the counter-hegemonical resistance and negation and inter-selective theories. Recently some explainations have stressed on the meanings and aspects of the reorganisation and restructuring of nation state in multiscalar scale politics of integral state that is composed by the national structure and social force. So it is inclined to the convergence of the notion of state as a reality involving the dialectical interacted contradiction, dilemma and string in multiscalar territorial spaces and networks. In the rescaling, process of multiscalr nation state, the discoursal hegemony is not grasped only by global capital or the power of nation state, but also selected and composed or dispersed the values of imaginations and symbols in the concrete circumstance by citizen participation of a society and the representative democracy. Although in local governance space, the driving force of globalisation intervenes through mediation, itself is a site of political spatiality where scale, place, network are operating and contesting. So the special spatiality is no more predominant, and then participants are directed toward participation and democracy by the method of complex and diverse social movement. The space of local governance is that which is in permanent competition and moving and operating in the interactive context of local-national-global. But the strategic relational approach implies the negative element suggesting administrative practice that is more favorable to explain the appearance of the mode of hegemonic relations. In reality, the autonomy and hegemony of local governance in Neo-Gramscian strategic relations are stressed only as discourses. So there are some doubts on the reality of the hegemonic relational approach between nation state and local. 이 연구는 영국의 로컬거버넌스에 주목하여, 밥 제솝과 닐 브렌너의 신그람시주의 전략관계적 접근이라는 비판적 메타이론으로 접근하였다. 전략관계적 접근에서 로컬거버넌스 공간은 지방자치와 지방분권의 이름으로 부단히 경쟁하고 움직이며 글로벌-국가-로컬이 상호영향을 끼치며 작동하는 공간이다. 로컬거버넌스 공간은 조절체계의 ‘문화적’ 역동성 특히 자본 축적과 조절이 헤게모니 및 반-헤게모니적 구성으로 작동하며, 지배적인 사회정치적 힘 가운데서 집단적 사회적 행동과 투쟁의 우연적 산물이다. 특히 도시공간규모는 능동적 정치적 구성물로서 구조적이고 선택적 제도화가 추구되는 전략적 공간규모로서 탐구대상이다. 그러나 로컬거버넌스가 자치와 분권을 강조하지만 국민국가의 제도가 위계적 의미나 장악력을 상실한 것은 아니다. 기존 국가공간이 광범한 국가 기획 대상으로서 가변적이고 비결정적인 다중공간규모적 제도의 위계에서 작동할 뿐이다. 로컬거버넌스 담론에서 신자유주의 축적과 조절 전략은 다양한 표상적 담론 경쟁을 촉발시켰다. 그러나 거기에 신자유주의에 동조하는 표상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반-헤게모니적 저항 협상과 상호선택 담론 역시 표명된다. 국가구조와 사회세력이 통합적 국가를 형성하고 주형하는 과정에서 국가재조직과 경제재구조화에서 공간규모의 정치가 작동하는 양상과 의미에 관한 설명은 국가를 영토, 공간, 장소 및 관계망의 변증법적 상호작용으로 모순과 난관 그리고 긴장을 내포한 실체 인식으로 수렴되는 경향을 보인다. 그것을 잘 표현하는 것이 국가-로컬의 내외적 관계 재구성을 위한 공간규모재조정 전략이다. 공간규모재조정에서 담론적 헤게모니는 강력한 행위자인 전지구화 자본과 국가 권력이 장악한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시민사회의 참여나 일상적 의회민주주의 역시 구체적 삶의 환경에서 상상력이나 상징들의 가치를 선택과 구성 혹은 확산시킬 수 계기와 공간과 장소도 주어져 있다. 비록 전지구적 세계화라는 동력이 국가를 매개로 로컬거버넌스를 외부에서 추동하지만 그것 자체는 공간규모, 장소, 관계망이 함께 작동하며 부단히 경쟁하는 정치적 공간성의 장이다. 그러므로 특정 공간성이 더 우위에 존재하지는 않고 참여자들이 복잡하고 다양한 사회운동 방식으로 참여와 민주주의를 지향할 수 있다고 본다. 그러나 전략관계적 접근에서 로컬거버넌스 평가는 특정 담론 전략에 호의적이고 특정 정책 실천을 제시하며 헤게모니적 국가형식 출현에 주목하는 측면이 있다. 물론 그것이 메타이론인데서 온 결과이겠지만, 로컬거버넌스의 자율성과 헤게모니가 담론으로만 강조하는 측면이 많아서, 실제로 국가와 로컬이 헤게모니 전략관계로 작동하는지 의심의 여지도 있다. 그런 의문은 장차 구체적 사례연구로서 검증할 필요가 있다.

      • 화이트헤드의 관계적 공간개념에 대한 비판적 분석

        임진아 ( Jin A Yim ) 한국화이트헤드학회 2014 화이트헤드 연구 Vol.28 No.-

        공간개념은 고대 그리스 철학뿐 아니라 오늘날의 현대 과학에 있어서도 가장 중요한 기본 개념이다. 왜냐하면 인간의 모든 지적 활동은 시간과 공간의 구조에 절대적인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간이 지닌 여러 특징들은 인간이 자연을 관찰하고 이해하며, 법칙을 만드는데 있어서 절대적인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는 것은 결코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런데 시간에 비해 공간에 대한 이해와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비한 것이 사실이다. 그래서 공간개념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 다양한 분야에서의 공간개념을 소개하고자 한다. 철학에서는 실재론과 관계론이라는 측면에서, 과학에서는 시간, 공간, 물질의 관계를 독립적으로 본 뉴턴역학을 극복하고 새로운 시공간론을 제시한 아인슈타인의 공간 개념을 살피고자 한다. 그리고 관계론적 공간을 주장하는 라이프니츠와 화이트헤드 두 학자의 공간개념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논의하고, 어떤 한계가 있는지에 대해서 살펴볼 것이다. The absolutization space concept of the Newton is deterministic, and it will not be the story that was so different even if it is said that it lays the foundation in support of a mechanism-like view of the world. It examined space concept of Whitehead, Leibniz, Einstein. In particular Leibniz and white head criticize absolutization space concept in spite of being a scientist at a scientific edge, and it is big to have insisted on space concept of the relations loans; think that have a meaning. As for the space concept of the loan of Leibniz and white head of relationships, there are the derivative concept that space is not substance and a common point thinking about first. Newton understands space in an element of existing nature. Leibniz and Whitehead think that the space is not real. Second, Leibniz and Whitehead derives space concept through a relationship. Leibniz thinks that space concept is recognized through the existence order of monads, and white head thinks that space concept is formed by a continuum of the extension of association methods such as the realistic ens. Because space concept is constructed through the order of things or extension, the order of the relations end is important to the third, space concept of the loan of relationships. The order of the end of relationships was a phenomenon and insisted that it was not the existing actual situation, but on the other hand, as for Leibniz, in whitehead, the space admitted that it was the existing actual sit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