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앙리 르페브르의 일상생활 비판 - 문화이론적 접근 -

        장세룡 호남사학회 2005 역사학연구 Vol.25 No.-

        What is everydaylife? What are its central and ambient qualities, properties and dynamics in ꡔCritique of Everyday Lifeꡕ of Henri Lefebvre? To response this questions I searched ‘everydayness’ in cultural study traditions of a critical approach to the analysis of everydaylife. The strategy of sociocultural critique through the ‘problematization’ or ‘defamiliarization’ of the habitualized character of everydaylife is one that is well-established in the literature, especially for adherents of various neo-Marxisms. However, in recent years, several prominent critics have taken issue with the concept of defamiliarization, arguing that habit-bounded, ‘distracted’ and routinized character of the everyday cannot be easily contrasted with, or superceded by, the exceptional or the extraordinary. Such a position, it is suggested, both denigrateds the integrity of dailylife and promotes a kind of incipient transcendentalism. The work of Henri Lefebvre is often taken to be representative in this regard, and various phenomenological-pragmatists are criticized to this position. In this article, I take by analyzing Lefebvre’s writings on such key points as his treatment of routine in everyday life, as well as his concept of totality, dialectics and critique. In summary, despite of many critics, Lefebvre does not promote a dualistic transcendentalism in which daily life is denigrated. But in his everyday utopianism in which routine and creativity, the trival and the extraordinary, are viewed as productively interwined rather than opposed. As such I seek to defend the notion of ‘critique’ of everyday and totality in Lefebvre’s Thought.

      • KCI등재

        미국-멕시코 국경지대와 밀입국자: - ‘생명정치’ 개념과 연관시켜

        장세룡 부산경남사학회 2014 역사와 경계 Vol.91 No.-

        In U.S-Mexico borderlands are complex space where generating intensive monitoring of nation-state and nativism but at the same time we see ironical phenomenon to neutralize the power of state that as a virtual barrier where militarized patrol surveillance are forced and as such a millions of people coming and going everyday. Here is also hybridity space which race, gender and class relations creating mobility, exchange and production. At the same time that place stimulate questions and controversy on the role and functionality of border of the nation-stateThe complicity of this borderlands associated political treatment of violence and aesthetic treatment of technology coexistances the topography of cruelty as such patrol, surveillance, arrest and deportation and topography of civility as such salvation, cooperation and humanity. This space is also the realm of criminals and outlaws, especially drug traffickers, coyotes, robbers whose that linked to gangs assault border-crossers and committed to robbery, rape and murder. After 9/11 border patrol and surveillance has been strengthened with high-tech tool, in result to escape these area Arizona, in particular Sonora Desert emerged as a new center of border-crossing in which unfortunately much border-crosser undergo injury and death. The numbers are estimated as a each year 356-529 and total 3861-5607 from 1994-to 2009. Meanwhile Mexican government enforcement in a war against drug cartels, for example at border city Ciudad Juarez, 1,607 were murdered in 2008, which transformed that city to necropolis. Especially feminicide was diffused which kidnapped, tortured, rapes, mutilated poor young women's body in the vacant land on the outskirt of the city are spread. Feminicide expresses power relations as multi-layered ‘sexual vilolence which has political motivation’ on the body of gendered and racialized. as well as naturalized as way of social control of violence on women. Women as victims of social vilolence in failed state prefer to migration and tried to transgress for U.S.-Mexico border. While in that process they relied on sponsor of coyotes, friendship or family's service and also suffered disaster as such betrayal, attack of gangs, robbery, drowning, spoiler, and traffic accidents, or dismissed on desert in bad weather. This is not space of ‘bio-politics’ of Michel Foucault but space of working death ‘necro-politics’ of Achlle Mbembe. In recent, policy of criminalize on undocumented cross-border was more strengthened in U.S. Accumulative criminal record holder of undocumented migration or subjects of deportation who were arrested in borderlands are prisoned in camp during from 1 month to 1 year between. Recently, it seems that who were considered as a holder of collective ethnicity Mexican immigrants recognition was transferred to racialism by nationalistic denial and blame. But despite of danger confronted with in the process of border control, surveillance and transgression, the proportion of border-crosser and the dead does not decline. Almost every day in the Southwest borderlands deported more than 1,000 people to Mexico, but which expelled again they tried to transgression for circular migration. 미국-멕시코 국경지대는 인종, 젠더, 계급 관계가 연동되어 작동하는 혼종의 교류공간이며 생성공간이기에 국민국가의 ‘국경’ 기능과 역할 및 유용성에 의문과 논란을 증폭시키는 공간이다. 이 국경은 강고한 감시와 통제로 군사화 된 장벽인 한편 동시에 매일 백여만 명이 출퇴근 노동자로 왕래하여 국가의 경계가 실제로는 무력화 되는 가상의 장벽이기도하다. 이곳은 또한 많은 중남미계 밀입국자들이 월경을 시도하고 나아가 상해와 죽음을 겪는 공간이다. 특히 9/11 이래로 국경 순찰이 강화되고 첨단장비가 배치되면서 밀입국 통로는 애리조나 주, 소노라 사막이 월경의 요지로 떠올랐다. 폭력의 정치적 처리와 하이테크 테크놀로지의 미학적 처리를 결합한 이 공간에는 순찰과 감시, 체포와 송환이란 잔인함(cruelty)의 장소학(topography)과, 인도주의와 연대성라는 교양(civility)의 장소학이 공존한다. 그 결과 미셸 푸코의 ‘생명정치’, 조르조 아감벤의 ‘예외상태’, ‘벌거벗은 생명’ 등 개념들의 이론적 적용가능성을 시험할 여지를 제공한다. 미국-멕시코 국경지대는 국가 공권력이 첨예하게 행사되는 경계지이면서도 한편 폭력조직과 연계된 마약밀매업자, 밀입국 거래자, 강도들의 탈법이 자행되는 장소의 측면이 공존한다. 멕시코 정부의 마약 카르텔과의 전쟁에서 2008년 에 국경도시 시우닷 후아레스는 1,607명이 잔인하게 살해당해 망자의 도시(necropolis)로 변했다. 특히 가난한 젊은 여성을 납치․고문․강간․신체 절단을 자행하여 도시외곽이나 빈터에 내다버리는 여성살해(feminicide)가 확산되었다. ‘여성살해’는 여성에 대한 폭력이 사회통제 방식으로 자연화 된 정도만큼, 젠더화되고 인종화된 신체에 대한 중첩된 ‘정치적 동기를 가진 성적 폭력’으로서 권력관계를 표현한다. 사회적 폭력과 실패한 국가의 주요 희생자인 여성들은 미국으로 밀입국을 선호하고 그 과정에서 남성밀입국시도자와 마찬가지로 안내자의 배신․ 강도의 습격과 폭행․ 납치․ 익사․ 겁탈․ 역사(轢死)․ 악천후에 사막에 버려지는 참사를 겪는다. 이 연구는 ‘생명정치’의 공간인 동시에 아킬레 음벰베가 ‘시신의 정치’(necropolitics)라고 규정한 ‘죽음의 작업’(work of death)이 교차하는 공간으로서 미국-멕시코 국경지대의 현실에 주목한다.

      • KCI등재

        이탈리아 ‘북부문제’와 지역주의-로컬경제와 유럽연합의 지역정책과 관련시켜

        장세룡 대구사학회 2012 대구사학 Vol.107 No.-

        The Italian Regionalism has been so far focusing on the Mezzogiorno problem. This was mainly from the endogenous factors of the region and the state in establishing the modern national state. However, the Northern Question which appeared after the late 1980s is the more complex phenomenon which, beyond the problems of the region and the state, resulted from multi-layered structure of the endogenous localism and the exogenous EU and globalisa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valuate that the uprise of the Northern Question as a kind of phenomenon that Italy had failed to make modern national state and tried to restructure off state from the postmodern perspective. In this sense, we can think that regional populist party the Lega Nord is the an attempt to desperately seek the immediate survival of the entrepreneur and the labours of the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small and middle town Industry District that producing specialized consumer goods in periphery of the center against to the external pressures of globalisation which began to accelerate in the late 1980s. And the survival strategy of the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northeast industry that confront the collapse of the matrix of large enterprises in the north-west, Post-Fordism, and flexibility of labour caused the regionalism. When the Northern Question was highlighted as current issues, the interesting phenomenon was that as Mezzogiorno problem which had been key issues of the problem of italian regionalism was reevaluated, it was emphasized that the South itself has the endogenous competency of development. Even it has been said that the problem of Italian regionalism is returning to Mezzogiorno problem again. But, the fact that the northern regionalism still has its complex relationship with the EU is an issue. Meanwhile, Local Production Systems are also emerging in south Italia. But this is also the product of delocalization strategies by some leading enterprise in middle-north seeking more cheaper labour to increase competitive force in deepening international economy. This experience provided a spur for the problem of Italian regionalism to be newly observed throughout Italy without focusing on ‘Mezzogiorno problem’ or ‘Northern Question’. Especially, the anticipated Federalism discussion and its results can give the possibility to convert the region centered thinking into local(city) centered thinking.

      • KCI등재

        신물질론과 포스트-휴먼 기획 : ― 여성주의 물질론을 중심으로

        장세룡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7 로컬리티 인문학 Vol.0 No.18

        근대 및 탈근대 사회구성주의가 공유해온 인간주의적 주체 관념과 자연/문화, 재현/물질 이원론을 넘어 물질성에 근거한 ‘포스트-휴먼 주체’로 ‘변신’을 사고할 계기를 제공하는 신물질론의 기초를 확인한다. 신물질론은 탈근대주의 ‘포스트’ 구성주의와는 달리 비-토대주의도 비-상대주의도 아닌 제3공간에서 변신의 형태학(morphology)을 탐색한다. 여기에 존재론적인 잠재적 ‘정동’의 능력이 작용하는 관계성의 권력 모델을 강조한 들뢰즈와 가타리의 ‘정동적전환’(affective turn)을 계승하여 성적 차이를 넘어 평등을 실현하는 확장된 젠더 이론을 모색한 여성주의 물질론의 역할이 중요하다. 다나 해러웨이의 물질론적 여성주의를 선두로, 사회적 구성보다는 사회적 생산에서 ‘행위자적 물질’의 상호작용을 강조한 카렌 바라드의 존재-인식론, 로지 브라이 도티의 실재론적 존재론과 포스트-휴먼 개념, 마누엘 데란다의 사회의 조직 및 배치물 이론은 기호와 물질, 담론성과 물질성을 혼종적 일원론으로 사유하며 신물질론의 기초를 제공한다. 그것은 추상적 경험론인 ‘실재론’에 입각하여 물질적 실체와 힘들을 기존 학문 분류방식을 탈영토화하여 ‘살아있는 힘’으로서 물질 뿐 아니라 물질-담론 및 물질-기호를 연결시킨다. 특히 ‘행위자’의 능력, 곧 사회적 세계를 생산하는 행동들을 인간에서 비-인간 및 무생물까지 확장시켜 비-일선적 방식으로 연결하고 관계들을 배치한 장소의 지형도(topography) 생성을 촉구한다. 변화하는 세계에서 상호 영향을 끼치는 물질적인 것과 사회적인 요소의 상호작용을 인정하고 미시적 행위자의 경험의 배치물에 초점을 두는 신물질론은, 4차 산업혁명론의 특징인 혼종적 물질성과 연관 가능성을 시론 할 계기를 제공한다. 주제어: 신물질론, 실재론, 정동적 전환, 여성주의 물질론, 4차 산업혁명론

      • KCI등재
      • KCI등재

        멕시코 오아하카(Oaxaca) 주 원주민의 남캘리포니아 이주와 트랜스로컬 연대

        장세룡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人文硏究 Vol.- No.67

        This study examined the background of changing sociocultural conditions and political activities of Oaxacan indigenous migrants of Mexico in Southern California who expressed progressive solidarity and activism in teachers strike of 2006. After NAFTA agreement in 1993, migrations of illegal or legal and settlement of Mexican which almost tend to be institutionalized have not only changed topography of labour and politics of American society but also provided the basis for emergence of new political cultural elements, policies of the dual nationality and neo-federalism in Mexico itself This was carried out in the following order overlap a series of events from 1990s, 1) Weaken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agricultural labour market after NAFTA 2) Economic crisis-especially crisis of Peso currency after in 1994, 3) Resurrection of Zapatista and discussion of constitutional amendments on status of indigenous in Mexico, 4) The changes of migrants policy in America and the reinforcements of Mexico-California border guard for illegal transborders, especially after 9/11 tightening up security in the war against terrorism, 5) The approval of the right to vote for Mexican citizens abroad and dual nationality policy-making, 6) Economic crisis that is represented by the sub-prime crisis in America. After NAFTA dismantling the commonland(ejido) and deepening economic crisis that are represented bean prices drastic decline caused high-rate illegal immigration especially in Zapotec and Mixtec etc indigenous communities of Massif Central Oaxaca The young men who migrated by illegal transborder to South California and LA via Baja California were employed as low-paid and unskilled workers and they were placed in harsh work process and ethnical discriminatory environment cause of language problem. So they are despised by Mexican mainstream Mestizo who come earlier and exploited as undocumented labours by American employer. However such undergoing hardship and difficulties provided stimuli in their self-consciousness and ethnical identity formation, and migrants who search for self-consciousness and settlement established the satellite communities composed with hybrid culture on area at the intersection of migration network. Evaluations on sharply increased indigenous migration are divided into one that is deplete labour force and brain and the other remitted funds is useful in the reconstruction of the homeland community. In fact, indigenous communities of Oxacan suffered by human resource deficiency is faced nearer dependency model than development one. But in respect of political culture, collective activities of migrants influenced by Chicao movement transformed American public sector, and established hybrid solidarity of trans-local community civil rights which generate politics of identity between satellite community and native community. This concept of civil rights beyond the notion of cultural citizenship to recognized the differences, leads to the emergence of the concept of community citizenship that emphasizes solidarity and integration. So this has republican civil right concept which oriented integration by enlarged identity. This aspect operates as an element which stimulates homeland community development. In the course of solidarity and political consciousness newly formed, most important thing is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binational indigenous organizations. Rrpresentatively Frente Indigena de Organizaciones Binacionales (FIOB) which is continually extended based on the solidarity of Zapotec and Mixtec is product of migration movement. Which performed local politics participation through solidarity operation in 2006 teachers strike between Oaxaca and LA. The idea of translocal community which provides the stages for this activity derived from civil and religious cargo and servio as mutual aids by the custom laws established before and through colonial age. This law system demands compulsory participati... 2006년 여름에서 가을까지 멕시코 오아하카 주 오아하카 시에서 벌어진 교사파업시에 미국 특히 LA로 이주한 가족 및 친척과 양국원주민전선(FIOB)을 비롯한 조직원들이 본향의 사회운동에 적극 참여했다. 그 배경에는 1993년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의 발효로 멕시코 경제의 신자유주의화와 경제통합의 가속화가 초래한 경제위기에 내몰린 오아하카 주 중부산악계곡 원주민 사포텍(Zapotecos)부족과 믹스텍(Mixtecos) 부족 공동체 구성원들이 불법 월경 이주를 거쳐 남캘리포니아 특히 LA와 샌 디에고 인근에 정착하여 통칭 ‘히스패닉 아메리칸 인디언'으로 불리는 현실이 작용한다. 이들은 출신지역과 종족적 정체성에 바탕을 두고 위성공동체를 형성하여 본향 공동체와과 사회경제는 물론 정치문화적 연결망을 유지하고 순환이동하며 본향의 로컬거버넌스와 정치문화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필자는 이들이 멕시코의 주류국민 메스티소와 같은 초국가적(transnational) 층위의 정체성을 일정하게 인정한다. 그러나 동시에 위성공동체와 본향공동체가 문화의 혼종화와 ‘정치문화적 정보와 교통과 참여행동의 연결망’ 공간을 형성하고 양국간 조직을 통하여 원주민 종족성을 확장하는 현실에 주목한다. 특히 원주민 공동체의 관습법에 따라서 본향의 로컬거버넌스에 제3공간 구성원으로 참여하여 본향의 로컬리티를 재구성하고 이중국적 개념의 발전을 자극한 것을 트랜스로컬(translocal) 이주 현상으로 재평가를 시도한다.

      • KCI등재

        스페인 몬드라곤 협동조합 복합체의 로컬리티와 글로컬리티

        장세룡,류지석 호남사학회 2010 역사학연구 Vol.39 No.-

        몬드라곤(Mondragón)은 스페인 바스크 지방(pays basque)의 소도시로 1956년 5명으로 시작한 소규모의 사업체가 현재 4개 대륙에서 10만명의 노동자를 고용하는 대기업으로 성장한 협동조합 그룹의 본사가 자리 잡고 있는 곳이다. 몬드라곤 협동조합 그룹은 독특한 언어와 문화를 가진 바스크라는 로컬에 고유한 내재적 원리를 작동시켜 자본 집중적 생산과 노동존중 그리고 신 인간 계발을 지향한 독특한 형태의 경영사례로 주목받았다. 이 논문은 국가 자본주의의 대안으로서의 몬드라곤 협동조합의 역사와 경영이념을 분석하면서 협동조합운동의 가치를 재조명하려한다. 먼저 협동조합운동이 자본의 일반성과 보편성에 맞서 로컬의 정체성과 맞물리게 재편성하고 경계를 설정하는 과정을 검토한다. 이것은 협동조합 내부 구성원들이 노동운동을 전개하고 대외적으로 기술 발전에 직면하였을 때 참여와 고용을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 검토하는 것이다. 두 번째로 ‘몬드라곤’ 협동조합 그룹이라는 경계 지워진 조직이 유럽통합과 신자유주의 세계화라는 자본의 보편 운동 앞에서 어떻게 대응하고 있으며, 협동조합이 세계화될 때 어떤 방식으로 대안적인 글로컬한 경영을 성취할 수 있는지 검토한다. 끝으로 협동조합 운동이 좌우파 양쪽으로부터 공격받는 상황에서 새로운 후기 자본주의 시대에 작업장은 물론이고 로컬에 민주적인 정치질서를 만드는데 어떤 방식으로 시금석 역할을 할 수 있는지 묻는다. 우리가 특별히 ‘몬드라곤’ 협동조합 그룹에 주목하는 이유는 로컬에 바탕을 두는 사회적 자본이면서도 지금까지 가치에 바탕 둔 끊임없는 기술 및 경영 혁신에 성공했다는데 있다. 그러나 전지구화의 물결앞에 ‘몬드라곤’ 협동조합체도 변화를 추구하게 되고 협동조합 기업의 국제적 배치를 통한 전략적 변신은 노동자의 고용과 경영 참여 그리고 지역 발전에 참여라는 협동조합의 가치를 구현하려는 본래의 정신과 어떤 관계를 가지는가는 중요한 문제이다. 글로벌화는 산업공장들의 국민적 또는 로컬적 구조를 깨트려버렸다. 산업자본 기업들의 특징은 원가절감과 시장 확대를 위하여 해외공장 설립에 성공하면 경쟁에 대처하는 전략적 대안으로서 모기업의 규모를 축소나 폐쇄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기업의 탈-로컬화 현상은 그 산물이다. 그러나 현재 기업활동과 고용의 로컬화를 주요 가치로 삼는 ‘몬드라곤’ 그룹은 바스크 지방에 설립한 모(母) 협동조합들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그들은 글로벌화가 몬드라곤에 가져올 불고용으로부터 로컬 공동체를 방어하는 해결책으로 국제적 다-로컬화를 지향하는 해외 직접투자를 채택 하였다. 문제는 여기서 발생하였다. 몬드라곤 협동조합 복합체가 로컬을 자유와 정의 및 연대에 바탕둔 사회로 변화시키는데 관심을 기울인 사실은 의문의 여지가 없다. 또한 글로벌화 시대에 역습으로서 대안글로벌화를 모색하는 것이 불가피하며 그 전제조건으로서 협동조합이 복합적인 변화에 상응하는 작업장 민주주의와 로컬 경제에 착근을 성취하면 여전히 자본주의에 맞설 중요한 대안이 될 것이라는 신협동조합주의 전망도 여전히 강력하다. 그러나 ‘몬드라곤’의 글로컬화는 대안글로벌화를 통해서 자본주의에 대안을 모색하는 측면과, 로컬 공간에서 포스트포드주의적 생산으로서 글로벌 자본주의를 실천하고 그 가능성을 검증할 과정을 제공 ... Mondragón is a town in Basque province of Spain, which is known mainly as the place of origin of the Mondragón Cooperative Group, the world's largest worker cooperative, whose foundation is linked to the activity of a modest technical college and a small workshop producing paraffin heaters. The case of Mondragón Cooperative Group is a remarkable management success of capital concentrated production, respect of labor value and new human development, making the most of the intrinsic local value of Basque region which have its proper language and culture. This paper intends to analyse the history and management doctrine of Mondragón Cooperative Group as an alternative of the national scaled capitalism in order to revaluate the cooperative mouvement. First, we examine the process of reorganizing the mouvement and resharing the borders with the extended capital power. It brings to study how to solve the problem of participation and empolyment when happen labor dispute of copartners and technology development inside and outside. Secondly, we examine how this cooperative system responds against the European Union and the capital mouvement in the context of neoliberalistic globalization and also persues an alternative glocal administration with the globalisation of its own system. Finally we ask how it serve for touchstone to establish a democratic political order not only in a workshop but also in the local when the cooperative mouvement is attacked by the both sides of right and left wings in the new era of post-capitalism. We take notice of Mondragón's experience because of its technological and administrative innovation obtained by the social capital cooperative based on the local. The global transformation of MCG's strategy like M&A of foreign enterprise and delocalization, raised the problem of preservation of cooperative mission rooted in some principles, cooperation, participation and social responsibility by means of contribution to the local development. The so called globalization has weaken considerably the national and local based structure of industrial business. In general promoting expansion aboard produce the reduction or closedown of domestic and local manufacturing by the delocalization. But MCG preserve and strengthen employment in the cooperatives of Basque region adopting multi-localization strategy by the direct investment setting up the production plant in a number of countries to respond to the growing globalization process. Evidently the business culture of Mondragón Cooperative Group is inspired by some ideological rules like liberty, social justice and solidarity to change the society. It seems necessary to looking for an alternative globalization strategy and its premiss could be new cooperative perspective of democratization in workshop and economical development rooted in local to confront the savage capitalism. The glocalization of Mondragón have double aspects, the one as alter-globalization and alter-capitalism, the other as practice of global capitalism by the postfordian production in local space. The future of MCG depends on finding the spatial and political solutions between the business pragmatism to increase competitiveness and the confidence of workers to correct the desequilibrium and between worker-owners in the cooperative system and non cooperative workers.

      • 자유민주주의 민족주의론 비판

        장세룡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5 人文硏究 Vol.- No.48

        Critiques to Liberal-Democratic Nationalism 본고의 목표는 윌 킴리카, 야엘 타미르 그리고 데이비드 밀러의 자유민주주의 민족주의론의 명제를 검증하는 것이다. 킴리카는 문화민족 공동체의 구성요소들 사이에 그리고 개인과 공동체 사이에 강한 정체성 관계를 성립시켰다. 그는 소수자의 문화를 다수 구성원의 문화로 동화시키는데 반대하고, 자유로운 사회에서 문화적 유산의 구성적 차원에 근거하여 소수자의 사회문화를 보존할 권리를 강조하였다. 게다가 그는 한 개인을 다른 문화로 통합시키는데 어려움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그는 개인의 자율과 정체성에 안정된 토대를 제공하는 문화적 정체성에 근거한 민족적 정체성을 고찰하였다. 그러나 사실은 킴리카와 타미르는 본질주의적 민족문화주의로부터 탈피하지 못했다. 비록 그들은 자율적 자치를 강조하는 자유주의자들이긴 하지만 개인적 세계관과 윤리적 판단에 따라서 자율적으로 민족 공동체를 선택할 가능성은 고찰하지 않았다. 그들은 개인적 정체성을 확립하는 과정에서 합리적이고 윤리적인 판단으로 모든 삶의 양식을 자율적으로 선택할 가능성을 무시하였다. 그 결과 그들의 입장은 자유주의의 기초로서 가치다원주의를 손상시킨다. 민주적 절차에 의해서 민족의 신화를 강조하는 밀러의 민주주의적 민족주의에서 역사적 진실은 중요하지만 사회정치적으로 유일한 비판기준으로 기능하지는 않는다. 밀러는 민족의 신화의 사회적 유용성은 사회공동체의 구성원들에게 도덕 및 역사적 정체성을 제공하는 것이라고 제시한다. 밀러의 진술에는 몇가지 문제가 있다. 첫째 그는 만일 역사적 신화가 진실이라면 그것이 더욱 큰 가치를 수반하리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두 번째 그는 신화의 진실로부터 독립적으로 봉사할 수 있는 민족의 신화의 도구적 가치를 제시하지 않는다. 끝으로 그는 신화의 도구적 가치가 인권과 같은 민주적 가치를 압도함 없이 민족의 목적에 봉사할 수 있는 방법을 말하지 않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