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V 드라마 <디어 마이 프렌즈>에 재현된 가부장 이데올로기 고찰

        윤복실 ( Yun Boksil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7 韓國思想과 文化 Vol.89 No.-

        효(孝)의 실천을 근간으로 하는 유가사상은 아직까지도 한국 사회에 영향을 주고 있다. 이는 일상을 재현하는 텔레비전 드라마를 통해서 확인이 된다. 하지만 사회를 지배하는 이데올로기는 시대에 따라 변주되는 것이다. 그래서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재현되는 드라마의 이데올로기는 과거 사회에서 풍미하였던 것이 아니라 현 시대의 담론이다. 그렇다면 텔레비전 드라마의 이데올로기에 대한 분석은 이데올로기의 흐름을 도출할 수 있는 유의미한 작업이 될 것이다. 텔레비전 드라마 <디어 마이 프렌즈>는 오늘날 한국사회가 직면한 가족의 문제를 다룬 작품이다. 이 작품을 집필한 노희경 작가는 드라마의 주제를 ‘꼰대들의 성장기’라고 하면서 노인 세대가 시대에 따라 변화된 가족 이데올로기에 적응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텔레비전 드라마에 재현된 가부장 이데올로기를 전통 사회의 가부장 이데올로기와 비교함으로써 가족이데올로기의 변주를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디어 마이 프렌즈>의 가부장 이데올로기 재현은 김석균이라는 인물을 통해서 이루어지는데, 김석균을 통해 재현된 가부장 이데올로기는 남녀차별과 가정경제권의 독점 그리고 여성의 헌신을 통한 제사봉사와 성역할의 철저한 구분 등을 통해 수행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김석균의 가부장 이데올로기는 17세기 이후 조선 후기에 완성된 유가사상의 효(孝)사상에 근거한 것으로 추론되었다. 하지만 김석균을 통해 재현된 가부장 이데올로기는 예(禮)를 중시하지도 않고 가정경제를 일정부분 여성에게 일임한 전통적 가부장 이데올로기와 차이를 보였다. The Confucian ideology based on the practice of filial piety influences the Korean society to this day. This is confirmed through television dramas that reproduce everyday life. However, the ideology that dominates the society is changed throughout generations. So the ideology of the drama shown in TV dramas is not a taste in the past society but rather a discourse of the current generation. Therefore, the analysis of the ideology of the TV dramas will be a meaningful work that can derive the flow of ideology. The TV drama < Dear My Friend > is a film about family problems the Korean society faces today. Author Noh Hee-kyung, who wrote this work, emphasizes that the elderly generation should adjust to the changed family ideology as the theme of the drama is called "the growth period of the elders." In this paper, we try to confirm the variation of family ideology by comparing patriarchal ideology reproduced in TV drama with patriarchal ideology of the traditional society.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can see that the patriarchal ideology of < Dear my Friends > is realized through the character Kim Seok-gyun, and the patriarchal ideology recreated by Kim Seok-gyun is formed with a strict separation of gender discrimination, monopoly of the family economic power, a thorough distinction of sex role, and sacramental service through the dedication of women. Also, Kim Suk - gyun 's patriarchal ideology was deduced to be based on the idea of filial piety which was completed in the late Choseon dynasty since the 17th century. However, the patriarchal ideology recreated through Kim Seok - gyun showed a difference from the traditional patriarchal ideology, which entrusted a part of the family economy to women and did not place much emphasis on filial piety.

      • KCI등재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의 모순과 상상적 봉합 -<복선화음가>에 대한 연구사 검토와 새로운 독법의 마련-

        하윤섭 ( Yunk Seop Ha ) 한민족어문학회 2013 韓民族語文學 Vol.0 No.63

        본 논문에서는 <복선화음가>에 대한 그간의 논의들이 여성의 치산 행위에만 주목하여 이를 봉건주의의 해체적 징후 내지는 근대전환기의 변화된 현상으로 파악해 왔던 것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이를 조선 후기 들어 강화되어 가는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와 연계시켜 해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본 작품에 대한 그간의 독법들을 차례 대로 살펴본 후, 이 작품이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에 내재한 그 자체의 모순을 의도치 않게 드러내고 있으며, 따라서 그러한 모순의 지점들과 이를 해결하는 나름의 방식에 주목해볼 것을 제안하였다. 3장에서는 여성에게 치산의 책무가 부과되어 가는 저간의 사정을 살펴보았다. 조선 전기와 달리 사대부 남성들의 ‘不治産業’은 양반 남성이 지녀야 할 주요한 덕목으로 간주되었고, 이는 현실적으로 그들 자신의 지위를 유지하는 데에 필수적인 사항이었다. 그런데 조선 후기 들어 강화된 종법적 질서의 전파에 따라 주자학적 제례의식의 준수 또한 그들에게는 필수적으로 요구되었던바, 치산하지 않는 것과 적지 않은 비용이 소요되는 주자학적 제례의식의 설행은 서로 상충되기 마련이었다. 이러한 모순을 타파하기 위해 치산의 책무는 여성에게로 전가되어 갔던 것이다. 4장에서는 <복선화음가>에 드러나는 치산하는 여성의 형상이 이러한 역사적 현실을 배경으로 나타난 것이며, 이에 따라 <복선화음가>는 福善이라는 관념적 논리를 바탕으로 하여 당대의 여성들로 하여금 가부장제의 모순에 대한 자각 없이 치산에 전념케 하려는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의 企圖가 그 이면에 깔려 있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뿐만 아니라 <복선화음가>에 나타나는 괴똥어미의 형상을 작자가 의도한 사회적 적대의 응축으로 파악하고, 이를 통해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의 모순을 은폐하고자 하는, 다시 말해 상상적으로 봉합하고자 하는 시도로 결론지었다. This study raises a doubt about the understanding of “BokSeonHwaEum Ga” which the women`s property management was considered as the symptom of feudal dissolution or the change of modern transition, and intends to relate that to the patriarchal ideology which had been strengthen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To this, after look into existing ways of reading to this book sequentially, I suggested that this book showed its contradiction in the patriarchal ideology unintentionally and it needed to figure out its contradiction and solution in Chapter 2. In Chapter 3, I examined the circumstances which assigned the responsibility of property management to women. Unlike early Joseon Dynasty, “not involving in the property management” was considered as significant virtue of nobleman and it was essential to keep his position in reality. But as the strengthened order of clan rules was spread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y were forced to perform the memorial services for the ancestors by the doctrines of Chu-tzu, so “not involving in the property management” was likely to collide with the high-cost performance of the memorial services for the ancestors by the doctrines of Chu-tzu. Therefore, the responsibility of property management was assigned to women more and more to solve this problem. In Chapter 4, I figured out the women`s property management described in “BokSeonHwaEum-Ga” was resulted from these historical circumstances, so “BokSeonHwaEum-Ga” seemed to have the intentional ideology of patriarchy which made women contribute to manage the property without the awareness of contradiction in patriarchy based on the ideological logic of Bokseon in “BokSeonHwaEum-Ga”. And I concluded it was a imaginary suture to try to cover the contradiction in the patriarchal ideology while understanding the image of Goettongoeumi in “BokSeonHwaEum-Ga” as the conglomerate of social hostility as the author intended.

      • KCI등재후보

        북한의 모성이데올로기 - 『조선녀성』의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이미경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004 한국정치외교사논총 Vol.26 No.1

        가부장제적 사회주의체제 속의 북한여성은 혁명과 건설의 역군으로서 사회활동에 참여하면서도 가정에서는 가사와 육아의 전담자로서 전통적인 성 역할수행을 당연시해왔다. 이런 북한여성의 현실은 여성의 사회활동과 가정생활의 병행을 합리화하는 모성이데올로기로 규명된다. 북한체제에서 모성은 여성의 가장 우선적인 역할로 간주되고 다면적인 역할수행을 전제로 하고 있다. 북한여성은 북한체제가 원하는 구성원의 양육을 위해 구성원으로서의 요건- 당과 지도자에게 충성을 다하고 집단주의 정신을 실천하며 혁명과 건설투쟁에 앞장서는 투사-을 갖춰야 하는 것으로서 가정과 사회생활의 성공적 병행이 요구된다. 이 같은 북한의 모성이데올로기는 유일 지배체제아래 가부장제적인 질서유지에 따른 성별분업구조의 잔존은 필연적이며 여기에 인구 절반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여성인력을 시기별 사회의 필요에 따라 동원하기 위한 현실적 요구에서 나온 것이라 할 수 있다. 사회주의 건설시기에는 여성의 사회경제활동의 참여가 권장되었고 경제난으로 각종사회보장이 개별 가족차원의 책임으로 넘겨진 후에는 희생과 봉사를 특징으로 하는 여성의 모성적 역할이 사회전체로 확대, 요구되었다. 이런 점에서 볼 때 모성을 여성본연의 임무로 간주하고 이를 여성에게 강요한 북한의 모성이데올로기는 국가의 필요에 따른 여성의 인력활용을 합리화하기 위한 것으로 여성억압과 가부장제적 질서유지에 기여하는 것이다. This paper is to examine what is the function of maternity ideology in the North Korea. In general, maternity ideology is functioning as the mechanism of oppression and restraint of realm of women s life. But The North Korea s maternity ideology do not impose restrictions on women s activity, because the North Korea s government encouraged and support the women s social activity in spite of considering and making account of maternity as what the women should do. The North Korea s women have to possessed all the requirements of a constituent of a the North korea s society in advance of bringing up a member of the North Korea s society. In this respect, maternity in the North Korea is on the assumption that women have to playa part in many fields. This intends to make the use of the North Korea s women s labour, do not for the good of self-realization of the North Korea s women. For this reason, the North Korea s maternity ideology is operated to make the best use of the North Korea s women s labour that the North Korea s government is need in of application timely. Also the North Korea s maternity ideology make a contribution to preserve order of the patriarchy.

      • KCI등재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가부장제 이데올로기 비판 양상

        김은경(Kim Eun-kyung) 국어국문학회 2010 국어국문학 Vol.- No.155

        This essay investigate the aspects of criticism against the Patriarchy Ideology in Park Wan Suh's Novel focus on Bad Year of City. Park Wan Suh have interested in the problem of the Patriarchal System from many different angels. Bad Year of City written in the early stage of Park Wan Suh's literature also shows a critical mind of author on the Patriarchal System. In this novel, the Patriarchal System is a vehicle to show the author's critical recognition of reality. This essay ultimately aims to reveal achievement of Park Wan Suh as realist through the aspects of criticism against the Patriarchy Ideology. In Chapter 2, I discuss that the popular belief about twins of brother and sister is a Symbol-system to internalize the Patriarchy Ideology. The writer suggest it in climax of the novel through the tale of great-aunt grandmother. The structure of the tale is identical with the myth of Oedipus to symbolize the desire of patricide. In Chapter 3, I investigate the characterization in view of the vital component of the Patriarchy Ideology which is Economical Domination and Sexual Regulation. The Characters of this novel show many relationships of between the Economical Domination and Sexual Regulation.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s, binary oppositions are revealed between the Characters. The binary oppositions between the women characters who actively embody the Patriarchy Ideology reveal the critical consciousness on the ‘Private Patriarchy’. The binary oppositions between men characters appeared through the metaphor of ‘mask’. They binary opposite inside and outside of the Patriarchy. This binary oppositions shows the critical consciousness on the ‘Public Patriarchy’ and the optimistic vision suggesting the possibility to overcome the Patriarchy Ideology. In Chapter 4, I discuss the possibility to establish the new Family Ideology through the twins walk of life. The family entertaining the superstitious belief are dissolved by them. They constitute new family through the union of spouses who have ‘natural healthy’. Park Wan Suh expose the inconsistency and false of the Patriarchy Ideology, which comes down to the criticism of the ‘Public Patriarchy’ represented the nation. Park Wan Suh criticise the reality by the medium of the Patriarchy Ideology characterizing the characters belong to different social groups as the poor concubine, the nouveau riche, and the unjust judge. So, the writer has just view of the realist.

      • KCI등재

        재일한국인2세 작품에 나타난 ‘무사도’

        이승진(Lee, Seung-jin)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5 아시아문화연구 Vol.38 No.-

        본고는 재일2세 문학을 ‘무사도’라는 유교이념의 근대주의적 확장이라는 측면에서, 재해석함으로써 일본의 제국주의화에 깔려 있는 정신적 기원을 해명하고, 그 발현 양상을 고찰해 보고자 한 것이다. 일본의 경우, 무사도적 유교이념은 ‘가족국가관’과 ‘천황제이데올로기’라는 근대적 사상, 그리고 그에 기초한 근대시스템 창출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가부장제적’집 질서 구조가, 신민과 국민을 이어주는 상상된 공동체로 발전해 가는 과정은 일본 근대 제국주의 형성에 주요한 근거로 작용했다. 한편 ‘천황제이데올로기’에 내재된 유교문화적 가치는 식민지 조선인, 그중에서도 종주국에서의 삶을 강요받았던 재일에게, 때로는 자신들의 생활원리를 지지하는, 때로는 그 생활원리 자체를 부정하는, 매우 이중적이며 모호한 모습으로 다가 온다. 고사명과 이회성의 작품에는 이러한 이데올로기적 작용이 상징적으로 그려지는데, 이들 작품에 전경화된 심상풍경은 그야말로 천황제이데 올로기의 이면에 감추어 있는 내밀한 확장 원리를 잘 보여준다. 그리고 여기에 주목할 때, 종래의 식민 · 피식민이라는 경직된 이분법적 구도에서 ‘민족성’의 회복이라는 단선적인 해석에 머물러 온 재일문학 연구에 새로운 시야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ims at identifying a mental origin of Japanese imperialism and examining its representational aspects by reinterpreting the 2nd generation Korean-Japanese literature in terms of the modern expansion of the Confucian ideology of the ‘Bushido’. In Japan, the Confucian ideology of Bushido had a critical effect on the modern ideas of the ‘Family-State’ and ‘Emperor System’ ideologies and also on the creation of a modernized system based on such ideologies. A process that "patriarchal" familial order structure developed into an imaginary community connecting the subjects and the people acted as a primary basis for establishing the Japanese modern imperialism. On the other hand, for the colonized Joseon people, particularly for Korean-Japanese who lived a forced life in a suzerain state, the Confucian cultural values inherent in the ‘Emperor System ideology’ were very dual and ambiguous ones sometimes supporting or sometimes denying their living principle. Such an ideological effect is shown symbolically from works by Ko Sa Myeong and Lee Hoe Seong. Mental landscape foregrounded from their works shows a secret expansion principle hidden in the back of the Emperor System ideology.

      • KCI등재

        성서 내러티브의 가부장적 이데올로기 읽기 - 「창세기」를 중심으로

        강옥선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21 문학과종교 Vol.26 No.3

        「창세기」 내러티브에는 가부장적 이데올로기가 포진해있다. 우선 창세기 12장에서의 하나님이 허락하신 아브라함의 언약이 이스라엘의 기원에서 선택적인 언약임을 알 수 있다. 「창세기」 내러티브에서 화자가 드러내는 가부장적 사회의 지배적인 담론은 창세기 17장에 등장하는 할례와 22장의 희생 제사이다. 이는 여성의 생물학적 출산에 저항하여 남성 사이의 연대를 강화하고자 하는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이다. 「창세기」 내러티브에서 여성 인물 사라와 하갈은 처첩 관계로서 남성지배적인 담론에 호응하여 아들의 출산에 의존하는 등, 경쟁 관계에 몰두해있다. 가부장제 사회에 순응한 사라와 하갈은 심리적 정서적으로 고립당하고 결국 무력한 존재로 남는다. 여성을 계급으로 철저하게 분리하고 여성의 동맹을 차단시키는 방식으로, 가부장제는 서구권에서 2,000년 이상 오랫동안 유지해왔다. 향후 「창세기」 내러티브의 가부장적 담론에 등장하는 다양한 여성 인물들을 중심으로 여성의 존재와 정체성을 탐색하여, 페미니스트 신학적 전망을 읽을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atriarchal ideology in the biblical narrative. “The Book of Genesis” represents the Patriarchal ideology as part of an androcentric narrative. Since motherhood is biologically verifiable, patriarchy requires a few strategies to affirm a father’s parental claim to his sons. One of these strategies is circumcision, found in “Genesis” Chapter 17, which creates physical evidence of blood ties between men. Like sacrifice, circumcision functions as an intergenerational continuity for males, giving privilege to the father by suppressing the mother’s natural biological right to the son. Another strategy is the division of women. Sarah, Abraham’s first wife does not compromise with the slave concubine Hagar. The patriarchal narrator in “Genesis” exploits Sarah’s sterility as a means of keeping women divided from each other. The patriarchal ideology contributes to preventing women from forming cross-class alliances among themselves.

      • KCI등재

        가정폭력, 가족간살인, 그리고 판결문속의 가부장적 이데올로기 읽기

        박미랑(Mi Rang Park) 한국공안행정학회 2013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2 No.3

        2013년 미디어들은 가정폭력의 심각성을 알리기 위하여 수면아래 감춰져 있던 가정폭력의 다양한 면모를 수면 위로 끌어올리고, 이에 대응이라도 하듯 경찰은 다양한 가정폭력 관련 대응 매뉴얼을 발표하고 있다. 그러나 아무리 제도가 정비된다 하더라도 최종 판결권을 가진 법원의 여성에 대한 인식과 가정폭력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지 않으면 제도들은 무용지물이 될 것이다. 이러한 인식적 변화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판결문에 들어난 법조계의 가정폭력에 대한 시선을 읽으려고 한다. 이러한 모색의 한 방편으로 본 연구는 가정폭력의 가장 심각한 형태인 살인으로 이어진 사건들의 판결문 분석을 통해 가정폭력이 살인으로 이어지는 정황과 가해자-피해자 특징, 그리고 형사사법체계의 가정폭력에 대한 가부장적 시선을 읽어내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최근 3년간 가정폭력과 연결된 살인사건의 판례가 내용분석을 통해 이루어졌고, 제한적인 자료의 특성을 고려하여 통계 분석이 필요할 경우 비모수적 Mann-Whitney t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에 따르면 피해자가 남성일 경우 여성이 피해자인 사건에 비하여 최종 형량이 높아졌고, 판결문에서는 남성 중심적 단어의 사용뿐만 아니라 성역할에 대한 선입견, 그리고 피해 여성에 대한 비난과 가해자 남성의 가정 안정성에 대한 용어들이 발견되었다. 가정폭력 척결을 위한 사회의 다양한 응답(response)뿐만 아니라 법조계의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에서 벗어나려는 노력이 가정폭력을 해결하는데 있어 실질적인 차이를 가져올 것이다. 더욱 구체적인 내용들은 본문에서 논의하도록 한다. Since "Family Violence Special ACT" has started in 1998, the media actively has been reporting various criminal cases of domestic violence to declare its seriousness to publics. Also, the police has updated proactive strategies and manuals to response against domestic violence. However, the stunning success on combating domestic violence cannot be expected without the cognitive change on the attitude by citizens and the criminal justice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ad patriarchal ideology throughout legal precedents of domestic homicide by family members. To provide the qualitative test, I analyzed 15legal precedents which contained homicide case with domestic violence by family members from 2009 to 2012 to explore indicators of a patriarchal ideology, I also performed nonparametric Mann-Whitney t-test to compare the sentence length of domestic homicide cases by gender. The result are very consistent with previous researches which were done in Western society, and it says that the patriarchal ideology still works and affects judges' final decision on cases of domestic violence and domestic homicide. However, the finding shows that the sentencing outcomes are harsher on the case with male victim than female victim. Also, present study found the evidence that the drawbacks of patriarchal ideology may affected some men as well as women, in a negative way. The detailed policy implications will be discussed on the context.

      • KCI등재후보

        문윤성의 『완전사회』(1967) 연구 : 과학소설로서의 면모와 지배이데올로기 투영 양상을 중심으로

        이숙(Lee Suk) 국어문학회 2012 국어문학 Vol.52 No.-

        This study discusses Mun Yun Seong's 『Complete Society』(1967) which is known as the first genuine science fiction (SF) in Korea. Its pioneering aspects were emphasized many times, but studies have been hardly conducted for it. Thereupon, this article examines the work focusing on its features as a science fiction, popularity, political aspects, and also satire. Author Mun Yun Seong used "extrapolation", one of the meta-methods for science fiction to be equipped with genuine features as a science fiction. In the field of literature during the 1960's, 『Complete Society』 is not only related with the other works but differentiated from them as well. First of all, the author chose the genre of science fiction and showed that he had internalized anti-Communist ideology, the ruling ideology of that time. As a selection in the competition of a weekly magazine, 『Complete Society』 also reflects the limitations of media and also patriarchal ideology mingled in it. However, what the author really wanted to say that was to give hope and encouragement to the readers and public dreaming of Utopia and to recognize the absurdity of reality. Concretely speaking, the work deals with the criticism about technopia (science civilization), criticism on politicians and the totalitarian system, and criticism on sexual issues. Therefore, the satire shown in 『Complete Society』 leads to critical meditation on the uniform and violent structure of that time through the view of Yu Sun Gu, the main character, who is the deputy of the real author and also implied author. 본고에서 살펴본 문윤성의 『완전사회』(1967)는 한국 최초의 본격 과학소설(SF)로 알려져 있다. 작품의 선도성에 대한 강조는 누차 이루어졌지만, 본격적인 연구는 드물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작품이 지닌 과학소설적 성격과 대중성, 정치성, 풍자의 양상에 주목하여 살펴보았다. 작가 문윤성은 과학소설의 메타 기법인 외삽법을 활용하여 본격 과학소설로서의 면모를 갖추었다. 1960년대 문학의 자장 안에서, 『완전사회』는 여타 작품들과 연계성뿐 아니라 차별성도 갖는다. 우선 작가는 과학소설이라는 장르를 선택함으로써 당대의 지배 이데올로기인 반공 이데올로기를 내면화한 모습을 보인다. 주간지 공모 당선작으로서 『완전사회』는 매체에 의한 한계와 맞물린 가부장적 이데올로기 또한 투영되어 있다. 그러나 궁극적으로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유토피아에 꿈꾸는 일반 독자, 대중을 향한 희망과 격려이며, 현실의 부조리에 대한 인식이다. 구체적으로 작품 속에서는 테크노피아(과학문명)에 대한 비판, 위정자 및 전체주의적제도에 대한 비판, 성문제에 대한 비판적 언급을 하고 있다. 결국 『완전사회』가 보여주는 풍자는 실제작가의 대리인이자 내포작가인 주인공 우선구의 시선을 통해 당대 현실의 획일적이고 폭압적 구조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이끈다.

      • KCI등재

        권력의 공포와 모성 이데올로기의 붕괴 -<분신사바> <신데렐라> <령> <여고괴담4: 목소리>를 중심으로

        박진 ( Park Jin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07 국제어문 Vol.39 No.-

        이 논문에서는 최근 한국 공포영화 가운데 <분신사바>, <신데렐라>, <령>, <여고괴담4: 목소리>에 나타난 권력의 양상과 모성의 형상을 검토해본다. 이 네 편의 공포영화는 모두 여고생들을 주요 등장인물로 하여 친구 관계와 모녀 관계를 통해 권력의 문제를 이야기한다. 특히 모성을 형상화하는 이 영화들 각각의 관점은 가부장제와 가족주의 이데올로기에 대한 서로 다른 입장을 대변해준다. <분신사바>는 `피억압자-약자-원귀(寃鬼)`의 상투적인 공식에 따라 권력관계를 평면적으로 그려낸다. 또한 딸에 대한 엄마의 지배를 모성애로 미화하고 생물학적인 모성의 의미를 신비화하는 등, 체제 순응적인 모성 이데올로기를 표방한다. <신데렐라>는 모성애에 내포된 권력의 성격과 그 나르시시즘적 속성을 폭로함으로써 모성의 신화를 탈신비화한다. 그러나 혈연주의적 배타성의 한계 속에서 보수적인 가족 이데올로기를 드러내기도 한다. 한편 <령>에서는 상호 공포 관계로서의 권력의 본질과 권력의 복합적인 메커니즘이 효과적으로 형상화된다. 특히 모녀 사이의 몸 쟁탈전을 통해 가족을 권력 투쟁의 장소로 그려내는 이 영화의 관점은 주목할 만하다. <목소리>에는 애착 관계와 지배 관계의 밀접한 연관성과 끝까지 `살아남고자` 하는 권력의 끈질긴 욕망이 묘파되어 있다. 반면에 전도된 모녀 관계와 사랑이 결핍된 가족 관계를 불길한 공포와 연결시키고 있다는 점에서는 가족 이데올로기를 재소환하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이처럼 공포영화는 누가 귀신이 되는가, 가해자와 피해자는 어떤 관계인가, 그들 사이의 권력 관계는 어떻게 묘사되어 있는가, 모성이나 가족을 바라보는 관점은 어떠한가 등을 통해 지배 이데올로기에 대한 각기 다른 입장을 드러낸다. 공포영화의 서사적 의의는 미학적 가치나 카니발적인 효용성 이외에도 이와 같은 이데올로기적 관점의 차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런 차이들에 주목하면서 공포영화에 내재한 전복의 에너지를 적극적으로 찾아내는 독법은 사회문화적인 텍스트로서의 대중 서사물이 지닌 가능성을 확장시키는 의의를 지닌다고 하겠다. In this paper we will take a look at aspects of power and image of maternity in four recently released Korean horror movies namely < Bunshinsaba >, < Cinderella >, < Dead Friend >, and < Whispering Corridors 4: Voice >. These four movies center on high school girls and weave tales about their relations with their friends or mother thereby presenting the problem of power. In particular, each of these movies depicts maternity from different perspectives which in turn show different viewpoints on patriarch and family ideology. < Bunshinsaba > in accordance with a cliche formula of `the oppressed - the weak - the vindictive spirit` depicts simple aspect of power. In addition, it masks mother`s dominance over daughter in the name of maternity and mystifies the meaning of biological maternity thereby advocating maternal ideology that conforms to the establishment. < Cinderella > discloses the aspect of power hidden in maternity and its narcissist side thereby de-mystifying the myth of maternity. Though limited by the exclusiveness of blood ties, the film reveals the conservative family ideology. Meanwhile, < Dead Friend > effectively depicts the essence of power as an element of correlation with horror and the complex mechanism of power. In particular, the fight over a body between mother and daughter is noteworthy in that it interprets family as a venue of power struggle. On one hand, < Whispering Corridors 4: Voice > dissects the close relations between love and dominance and the desire of power to `survive` to the end. On the other hand, it recalls family ideology in that it links reversed relation between mother and daughter with lack of love in a family. Thus, each horror movie shows a different perspective of the dominating ideology by presenting its version of answers to questions such as who becomes the ghost in a horror movie?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the aggressor and the victim? How is power depicted in their relation? What is the view of maternity and family? The narrative significance of horror movies lies within aesthetic value and carnival-like effectiveness but this narrative significance can also change depending on the ideological perspective. Active reading looking for subversive power that lies in horror movies takes on significance in that it expands the possibility of popular narrative as a socio-cultural text.

      • KCI등재

        60년대 여성 정신병의 재현과 히스테리 : 젠더권력으로서의 의학지식과 성애화된 ‘내면’

        송인화 한국여성문학학회 2020 여성문학연구 Vol.51 No.-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way women’s mental illness in the 60s is represented in literary works in relation to contemporary medical knowledge with the subject of the novel 『Carousel』, which was elected by the Hankook Ilbo in 1962. This is to find out how psychoanalysis as dynamic psychiatry, eugenic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patriarchal theology superimposedly regulated and regulated women in the work of the 60s, when the discourse on psychosis was expanded due to the systematization and popularization of psychiatric knowledge. In the work, women are overly sexualized as a threat to the community, and women with mental illness are represented as immature anomies that are not managed by the superego. It also emphasizes the necessity of eugenic punishment by defining psychosis as a sin inherited through generations. The inner part of women was recreated as an object of fear that threatened the family, the basic community during the industrialization period in the 1960s. Eugenic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psychoanalysis, the latest Western medical knowledge, intervened in a double way to suppress women. Furthermore, in the cause and remedy of female psychosis, psychoanalysis attacks women in combination with patriarchal theology. By presenting the cause of psychosis as a result of love with a cousin who violated the taboo and focusing the problem on the breakdown of paternal ethics, not pathological disease, the sin of deviating from the tradition and group order is transferred to women in the manner of retribution of psychosis. The son’s sense of guilt, who betrayed the voice of the father and practiced personal love and marriage, is at work, and by transferring the cause of the sin to the woman, the identity of a woman is defined as excess eros. Psychoanalysis is combined with patriarchal theology to sexualize as an eros that seduces women, and this gender discrimination is also confirmed in the salvation method.Unlike women who only preserve life through suicide, murder, death of a soldier, or self-denial that confines themselves in a convent, men are suggested to create culture and art by appropriately suppressing and sublimating guilt. Through this, men are presented as mature cultural creators who manage libido, and women are presented as immature anomies of excess eros that threaten the family community. The immature, sexually filled woman’s interior is always subject to surveillance and punishment threatening the community. 이 글은 1962년 한국일보 현상모집에 당선된 장편소설 『회전목마』를 대상으로 60년대 여성 정신병이 문학작품에서 재현되는 방식을 당대 의학지식과의 관계속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정신의학지식의 체계화와 대중화로 정신병에 대한담론이 확장되었던 60년대 작품에 역동정신의학으로서의 정신분석과 일제 식민지기 우생학, 그리고 가부장이데올로기가 여성을 어떻게 중첩적으로 규율하고 단속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작품에서 여성은 공동체를 위협하는 대상으로 과잉 성애화 되고 정신병을 가진 여성들은 초자아에 의해 관리되지 못한 미성숙한 아노미로 재현된다. 또한 정신병을 세대를 통해 유전되는 죄로 규정함으로써 우생학적 처벌의 필연성을 강조한다. 여성이 60년대 기초 공동체인 가족을 위협하는 공포의 대상으로 재현된 것으로 일제 시기 우생학과 최신 서구 의학지식인 정신분석이 이중으로 개입하여 여성을 억압한다. 나아가 여성 정신병의 원인과 구제 방식에서도 정신분석이 가부장이데올로기와 결합하여 여성을 공격한다. 정신병의 원인을 금기를 어긴 사촌과의 사랑 때문인 것으로 제시하고 문제의 초점을 병리적 질병이 아닌 부계 윤리의 파계에 맞춤으로써 전통과 집단의 질서를 이탈한 죄를 정신병의 응징이라는 방식으로 여성에게 전가한다. 낭만적 사랑에 의해 아버지를 배반하고 개인적 사랑과 결혼을 실행한 아들의 죄의식이 작동한 것으로 죄의 원인을 여성에게 전가함으로써 여성의 정체성은 과잉 에로스화 된다. 정신분석학이 가부장이데올로기와 결합되어 유혹하는 에로스로 여성을 성애화하는 것으로 이러한 성차별은 구제 방식에서도 확인된다. 여성이 자살, 살해, 병사로 죽거나 수녀원에 스스로를 가두는 자아 부정을 통해 생명을 보존하는 것과달리 남성은 죄의식을 적절하게 억압하고 승화시킴으로써 문화와 예술을 창조하는 고뇌하는 지성으로 나타난다. 남성은 리비도를 관리하는 성숙한 문화적 창조자로, 여성은 가족 공동체를 위협하는 에로스 과잉의 미성숙한 아노미적 존재로 재현된다. 미성숙하고 성애로 채워진 여성의 내면은 언제든 공동체를 위협하는감시와 처벌의 대상이 되는 것이고 정신의학은 가부장이데올로기, 우생학 등과 중첩적으로 결합하여 젠더화된 과학/지식으로 체계적으로 개입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