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영활동의 효율성과 조세회피의 관련성

        원자연(Ja-Youn Won),유상열(Sang-Lyul Ryu),최혁(Hyuk Choi) 한국조세연구포럼 2016 조세연구 Vol.1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경영활동의 효율성과 조세회피 간의 관련성을 조사하는 것이다. 개별기업의 경영효율성은 자료포락분석(DEA)을 적용하여 기술적효율성, 순수효율성과 규모 효율성으로 나누어 산출하였다. 조세회피는 회계이익과 과세소득의 차이(BTD)와 Desai and Dharmapala(2006)의 방법에 따라 추정된 재량적 BTD로 측정하였다. 2002년부터 2013년까지 국내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기업 중 제조업에 속하는 표본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경영활동의 효율성이 높은 기업은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현금유출 항목인 조세비용을 최소화하는 세무전략을 수립할 것으로 보았으며, 효율성이 높은 기업일수록 조세회피 성향이 높을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경영활동의 효율성이 높은 기업일수록 조세회피 성향이 증가함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조세회피 측정치를 BTD와 재량적 BTD로 하였을 때 모두 동일하였으며, 기술적효율성, 순수효율성, 규모효율성으로 구분된 모든 효율성 측정치에서 같은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효율성이 높은 기업이 공격적인 조세전략을 수립한다는 실증적 증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실무적·학문적 공헌점이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firms’operational efficiency and tax avoidance. The sample comprises manufacturing firms listed on the Korean Stock Exchange Market over the period 2002 - 2013. To examine the tax avoidance propensity of firms, we rely on the measures of tax avoidance drawn from prior research. Specifically, we measure the tax avoidance propensity based on the residual book-tax difference suggested by Desai and Dharmapala (2006). Operational efficiency includes technical, pure technical, and scale efficiencies evaluated adopting nonparametric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We hypothesize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firms’operational efficiency and tax avoidance. The manager of an operationally efficient firm will minimize the cost of resources consumed in revenue-generating activities, and reduce cash expenses as much as possible. Managers will strive hard to save their firms’tax payment which is one of the major cash expenses. As expected, our empirical result shows that firms with higher operational efficiency are statistically associated with higher tax avoidance.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research stream by providing empirical evidence that firms" operational efficiency can affect the level of tax avoidance.

      • KCI등재

        시장형 공기업의 원가효율성 분석

        안형태(Hyoung-Tae An),심동희(Dong-Hee Shim),김재준(Jae-Joon Kim) 한국관리회계학회 2020 관리회계연구 Vol.20 No.3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공기업의 원가효율성을 자료포락분석을 통하여 측정하여 시장형 공기업과 준시장형 공기업의 원가효율성을 분석하고, 현행 공기업 경영평가지표와 DEA를 통한 원가효율성을 비교분석하는데 있다. 공기업에서 시행되고 있는 경영실적 평가방법은 경영관리범주와 주요사업범주로 구성된다. 이러한 경영실적 평가방법이 공기업의 소기의 경영성과를 가져왔다고 할 수도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경영평가지표 자체의 한계로 인해 경영평가 결과에 대한 신뢰성 및 수용성 문제가 종종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행의 경영평가 방법을 일부 보완할 수 있는 공기업 경영평가지표를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2018년도 기준 16개 시장형 공기업과 19개 준시장형 공기업을 대상으로 비모수적 방법으로 상대적 효율성을 측정하는 분석방법인 DEA 모형을 이용하여 원가효율성을 분석하였다. DEA 효율치 측정을 위한 투입요소로는 총자산, 인원수, 자기자본을, 산출변수로는 매출액을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CCR모형에서는 시장형과 준시장형 공기업 간에 원가효율성의 차이가 없었으며, BCC모형에서는 시장형 공기업의 원가효율성이 준시장형 공기업의 원가효율성 보다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기업 경영실적 평가시스템의 신뢰성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고자 공기업 경영실적 평가 결과와 DEA로 측정한 원가효율성을 비교한 결과, 기존 경영실적 평가 결과와 DEA 원가효율성 간의 일관성은 다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에서는 공기업에 대한 전반적인 경영효율성의 현실을 파악함으로써 원가효율성의 정책적 경영지원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현행 경영평가지표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부가적인 공기업 경영평가지표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current management evaluation indexes with cost efficiency measured through DEA for each market-type public enterprise and quasi market-type public enterprise. Current management evaluation indexes is consist of two categories which are business management and main business. Although these management evaluations have resulted in the expected results, such as promoting efficiency in the operation of public enterprise, the limitations of the management evaluation itself often raised the issue of accept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results of the management evaluation.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public enterprise evaluation method that compensated the shortcomings that current evaluation method has. [Methodology] This study analyze cost efficiency measured through DEA for each 16 market-type public enterprises and 19 quasi market-type public enterprises in 2018. Total assets, number of persons, and equity were selected as input elements for DEA analysis, and sales were selected as variables for calculation. [Findings] There was no difference in CCR model, while BCC mode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st efficiency of market-type and quasi market-type enterprises. In addition it was shown that there’s low consistency between existing management performance assessment and cost efficiency measured through DEA. [Implications] By grasping the reality of overall management efficiency for public enterprises this study provides guidelines for policy management support for management efficiency and at the same time proposing additional management evaluation index for public enterprises.

      • KCI등재후보

        손해보험회사의 불편(不偏) 수익효율성 측정

        지홍민 한국보험학회 2002 保險學會誌 Vol.61 No.-

        본 연구에서는 손해보험산업을 대상으로 비용효율성 빛 기술효율성 뿐만 아니라 수익효율성을 함께 측정하여 보험산업의 분석에 있어 보다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측정 방법으로는 기존 DEA 효율성 측정치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Efron(1979)의 부트스트랩방법을 이용하여 DEA 효율성의 편의를 측정하고 편의가 조정된 수익, 비용 및 기술효율성을 측정하였다. 아울러 편의가 조성된 다양한 효율성 측정치를 이용하여 규모에 따른 효율성의 변동을 설명하고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적정 규모수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1997년을 기준으로 자산규모 U$ 1천만 이상의 564개 미국 손해보험사들에 대해 수행된 연구 결과 수익효율성은 비용효율성에 비하여 평균적으로 낮은 값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통적인 DEA 효율성 측정치의 값들은 불편 효율성에 비하여 상당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울러 수익, 비용 및 기술효율성의 모든 측면에서 자산규모 U$10억과 U$100억 사이의 손보사들이 평균적으로 가장 높은 효율성을 보이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Most insurance efficiency studies conducted in Korea estimate only input-orientation efficiencies, i.e., technical or/and cost efficiencies. Their results, however, may not provide complete information on the sustenance of insurers because output orientation efficiencies, such as revenue efficiencies, are ignored in these studies. This paper gauges the revenue efficiency of most US property-liability insurers along with technical and cost efficiencies and enriches the efficiency literature in the insurance industry. In order to overcome the weakness of DEA measures, this study also uses the newly developed Bootstrap technique and estimates the bias-corrected efficiency scores. The results imply that the traditional DEA efficiency scores are biased upward. The study also shows that the revenue efficiency as well as cost and technical efficiencies are the highest for the firms with assets between U$ 1 billion and 10 billions.

      • KCI등재

        DEA를 이용한 외식업체의 상대적 효율성 분석

        장동헌,나상균 한국산업경제학회 2012 산업경제연구 Vol.25 No.2

        DEA를 이용하여 외식업체의 기술효율, 순수기술효율 그리고 초효율성을 분석하였다. 이용자료는 FIS의 식품산업통계정보를 이용하였다. 그리고 투입변수는 자산총계, 종업원수, 판매관리비, 산출변수는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이다. 주요 분석결과는 첫째, 외식업체의 기술통계량은 평균적으로 서양음식점이 높았다. 둘째, 기술효율성(TE)은 0.6634, 순수기술효율성(PTE)은 0.7640, 규모효율성(SE)은 0.8741이며, 기술 효율성은 한식음식점과 그 외 기타음식점이 평균보다 낮았고, 기관구내식당업과 서양식음식점은 높았다. 셋째, 효율치가 1인 업체는 기술효율성은 10개, 순수기술효율성은 15개이며, 초율성 분석을 통해 효율치의 서열이 구분되었다. 넷째, 효율적인 외식업체는 자산총계, 종업원수, 판매관리비에서 비효율적인 외식업체보다 적게 투입되었다. 그리고 그룹간 효율성 비교에서 기술효율, 순수 기술효율, 규모효율은 기관구내식당업의 효율성이 높은 반면에 한식음식점은 낮았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외식업체의 경영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By using the DEA, technical efficiency, pure technical efficiency, and super-efficiency were analyzed. Food industry statistic information of the FIS was employed for the reference. Furthermore, input variables were total asset, number of employees, selling and administrative expenses and compute variables were sales, operating profits, and net profits. First, according to the primary analysis results, the descriptive statistics of the food service industry were higher in western restaurants on average. Second, the technical efficiency was 0.6634, the pure technical efficiency was 0.7640, and the scale efficiency was 0.8741. Moreover, the technical efficiencies of Korean food and other food restaurants were lower than the average whereas those of canteens and western food restaurants were high. Third, a restaurant which has an efficiency of 1 had 10 technical efficiencies and 15 pure technical efficiencies and an efficiency rank was classified by using a progressive marginal analysis. Fourth, efficient restaurant chains injected less amount into the total asset, number of employees, and sales and administrative expenses compared to inefficient restaurants. Also, in the group efficiency comparison, canteens had higher technical, pure technical, and scale efficiencies whereas Korean restaurants had lower efficienci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mplications for administrative improvement of the food service industry can be suggested.

      • KCI등재후보

        효율성을 이용한 지방의료원에 대한 실질적 구조조정에 대한 연구

        김병철 한국비영리학회 2019 한국비영리연구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of the practical restructuring of 29 regional public hospitals using radial and non-radial DEA model based on a single period in 2017. The efficiency analysis showed that the radial model compared to the optimal frontiers had 8.1 percent management inefficiency, while the non-radial model had 9.2 percent management inefficiency. If you look at the profit effects of scale, 15 of the 29 regional public hospitals showed that the optimal size status was not reached and Seoul regional public hospital efficiency value was the highest using the super efficiency model and Daegu regional public hospital was the lowest. Using a non-radial model, the optimal amount of input was calculated as a restructuring for optimal efficiency, and the efficiency measurement showed that the efficiency value of all regional public hospital was 1. Policy implications for restructuring on the problems of regional public hospital: First, thorough management of labor costs. Second, efficient promotion of manpower management. Third, the introduction of efficient management by objectives. Fourth, find ways to improve productivity. Fifth, establishing a low-cost, high-efficiency management strategy. Sixth, it was suggested that development of management innovation programs was necessary. 연구는 2017년 단일 기간 기준으로 29개 지방의료원을 중심으로 방사적, 비방사적 DEA모형을 이용하여 효율성 분석 및 최적 효율성 값 등을 통해 실질적 구조조정과 효율적 경영을 위한 경영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효율성 분석결과 기술효율성은 최적 프론티어 대비 방사적 모형은 8.1%의 경영 비효율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방사적모형은 9.2%의 경영 비효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규모의 수익효과를 살펴보면 분석대상 29개 의료원중 최적규모 상태를 나타낸 의료원은 15개로 나타났고, 초 효율성 모형을 이용하여 효율성 우선순위를 살펴 본 결과 서울의료원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대구의료원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비방사적 모형을 이용하여 최적 효율성을 위한 구조조정으로 최적 투입량을 산출하여 효율성 측정 결과 모든 의료원의 효율성 값이 1로 나타났다. 지방의료원의 문제점에 대해 구조조정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으로, 첫째, 인건비 관리 철저. 둘째, 인력관리의 효율적 추진. 셋째, 경영효율성 증대를 위한 목표관리제 도입. 넷째, 생산성 향상방안 강구. 다섯째, 저비용 고효율의 경영전략 수립. 여섯째, 경영혁신 프로그램 개발 등이 필요하다고 제시 하였다.

      • KCI등재

        부트스트랩 DEA를 이용한 공기업 효율성 분석

        박만희(Man Hee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5

        본 연구에서는 부트스트랩 DEA를 이용하여 2013년 14개 공기업의 경영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단절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부트스트랩 편의조정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와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트스트랩 DEA모형을 적용한 효율성 분석결과에 따르면 평균 기술효율성이 0.3182, 평균 순수기술효율성이 0.4994, 평균 규모효율성이 0.6585로 나타났으며, 기술비효율성의 주된 원인이 순수기술비효율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CRS 가정과 VRS 가정하의 일반 DEA모형을 적용한 TE와 부트스트랩 DEA모형을 적용한 TE 순위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효율원인 분석에서는 평가대상 14개 기관 중 11개 기관의 비효율원인이 순수기술에 더 크게 기인하고 있고, 3개 기관이 규모효율에 의해 비효율이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단절회귀분석에서는 규모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유의수준 10%에서 인건비, 영업이익, 매출액, 자기자본수익률, 종원원수 순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measures the managerial efficiency of Koreas 14 public enterprises using bootstrap DEA in 2013. In addition, it examines the factors that affect on the bootstrap bias-corrected efficiency using truncate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using bootstrap DEA model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ean technical efficiency was 0.3182, the mean pure technical efficiency was 0.4994 and the mean scale efficiency was 0.6585. The main cause of technical inefficiency was due to pure technical inefficiency. Second, rank test between technical efficiency of general DEA model and bootstrap DEA model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under CRS and VRS assumption. Third, the main cause of the inefficiency in 11 DMUs among 14 DMUs were mainly due to the pure technology and three DMUs were because of the scale efficiency. Finally, in the truncated regression analysis, cost of labor, profit, sales, return of equity, and the number of employees appeared as factors affecting the scale efficiency at the 10% significance level.

      • KCI등재

        자료포락분석을 활용한 신기술 분야 교육훈련 운영기관의 효율성 분석

        진인선,이영민 한국직업교육학회 2023 職業 敎育 硏究 Vol.4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s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ions that operate education and training in the new technology field by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DEA).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analyzed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ions’ operational efficiency through the CCR model, the CCR Super-CCR model, the BCC model, and the Super-SBM model. For the analysis of relative efficiency, the number of training courses, training hours, average training cost per person, total training cost, number of trainees, number of graduates, number of employees, and overall satisfaction were set as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17 institutions, 30.4% of the total 56 institutions, were confirmed to be more efficient than other institutions. It was confirmed that 4 institutions were used as reference institutions more than 10 times when comparing efficiency. Also as a result of the scale efficiency analysis, 32 institutions were found to be related to size as well as technical factors for inefficiency, an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scale aspect to improve efficienc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ggested to need to improve the training supply method, the need for efficiency-oriented training quality management away from the rank-and-file performance management method, and need to sharing of the best practices. 이 연구의 목적은 신기술 분야 교육훈련기관을 대상으로 자료포락분석(Data Envelopment Analysis)를 활용하여 운영 효율성을 분석하는 것으로 자료포락분석 모형 중 CCR 모형, CCR 초효율성(Super-CCR) 모형, BCC 모형, 여유분 초효율성(Super-SBM) 모형을 통해 규모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교육훈련기관의 상대적 효율성 분석을위해 훈련 과정 수, 훈련 시간, 인당 평균 훈련비, 총훈련비, 훈련 인원, 수료 인원, 취업 인원, 전반적 만족도를변수로 설정하였다. 기술효율성 분석 결과, 전체 56개 기관 중 30.4%인 17개 기관이 다른 비교 기관들에 비해운영 효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 중 4개 기관은 효율성 분석에서 10회 이상 참조 기관으로 활용되었다. 또한, 규모 효율성 분석 결과, 비효율적 원인이 기술적 요인뿐만 아니라 규모와 연관 있는 기관은 32개 기관으로나타나 효율성 개선을 위해 규모적 측면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교육훈련기관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서는 훈련공급방식을 개선하고, 서열화된 성과관리 방식보다는 효율성 중심의 훈련품질 관리를 실시해야 하며, 상대적으로효율적인 교육훈련기관을 통한 우수사례를 확산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 KCI등재

        중소호텔산업의 효율성 제고와 성과측정지표의 적용가능성

        송동섭 한국중소기업학회 2003 中小企業硏究 Vol.25 No.1

        본 연구는 중소호텔산업의 호율성을 측정함으로써 호텔산업의 현실을 파악하고 내재되어 있는 비효율의 원인을 파악하며 이러한 비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전통적 성과평가의 대표적인 측정치로 활용되어지고 있는 ROI와 효율성 측정치와의 관계를 분석하고, 이러한 효율성은 어떠한 재무적 특성은 가지고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호텔 등급별 상대적 효율치를 분석한 곁과 특2급 호텔은 67.71%, 1급 호텔은 34.38%로 나타나 1급 호텔보다 특2급 호텔의 효율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호텔산업의 연도별 효율치를 우리나라의 최대 금융위기였던 IMF구제금융을 전후로 분석한 결과 특2급 호텔의 경우 IMF구제금융전투의 효율치는 각각 69.03%, 69.28%로 일정하게 유지되었고, 1급호텔의 경우 IMF구제금융이전은 38.27%, IMF구제금물이후는 41.95%로 나타나 큰 차이는 보이지 않으나 IMF구제금융이후의 효율치가 약간 높게 측정되었다. 셋재, 호텔 등급별 비효율성의 원인을 회귀계수에 의해 분석한 결과 특2급호텔의 경우 객실수가 1급 호텔의 경우 종업원수가 가장 비효율적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넷째, 생산효율성에 의한 성과평가와 전통적 성과평가의 대표적 측정치로 활용되고 있는 ROI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특2급 호텔의 경우 투자수익률과 DEA에 의한 효율치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발견할 수가 없으며, 1급 호텔의 경우 투자수익률과 효율성 측정치간에는 정(+)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1%이내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중소호텔산업의 효율성을 분석하고 실무에서도 활용가능한 성과평가 측정치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 둘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d and measured the efficiency of hotels in Korea by using the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models, and suggest a new model which can improve their performance.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theoretical and empirical approaches were used. The empirical research was conducted by selecting valid samples for 22 the Deluxe hotels, and 22 the First hotel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efficiency has some differences among the hotels, and the Deluxe hotels show the higher efficiency rate. Also the Deluxe hotels had the highest annual efficiency in 1995, and the First hotels had the highest annual efficiency in 1998, The Deluxe hotels and First hotels have been increased the efficiency Since IMF. Second this Study Provides the Causes of hotel's inefficiency and specific value to rid of the inefficiency, and the efficiency measurement using DEA model is suggested for the new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provide the empirical evidence useful to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hotels in Korea.

      • 비효율적 손해보험회사의 실질적 개선방안

        김병철 한국전문경영인학회 2018 한국전문경영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8 No.04

        본 연구는 2017년 기준 10개 국내 손해 보험 산업의 효율성을 방사적 모형과 비방사적 모형을 이용하 여 효율성을 살펴보고, 효율성 향상을 위해 효율성 분해와 회귀분석 등 실증분석을 통해 구조조정 및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보험 산업의 효율성은 20%이상의 비효율성이 존재함을 보여주고 있으며, 그 원인은 규모의 비효율성이 큰 원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효율성 분해 방법을 통해 살펴보면 혼합 효율성의 비효율성이 크게 나타나 투입요소 비율의 개선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회귀분석 결과 인건비 비율과 순사업비율은 모든 효율성에서 부(-)의 관계를 보여주고 있고, 운용자산비율은 규모효율성을 제외한 다른 모든 효율성에 대해 정(+)의 관계를 보여준다. 경과손해율은 CCR기술효율성과 규모효율성을 제외한 다른 효율성에서 부(-)의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넷째, 투입요소 별 비효율성을 살펴보면 임직원과 순사업비의 2가지 투입요소 모두 비효율적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국내 손해 보험회사들이 2가지 투입요소에 대해 효율적 관리를 하지 못하고 있음을 나타내며 이로 인해 비용의 낭비가 과다함을 보여주고 있다. 다섯째, 가상 효율성 값을 이용하여 최적 투입량과 산출량 을 살펴본 결과 효율적인 손해 보험사가 되기 위해서는 임직원과 순사업비 관련해서 삼성, 농협사를 제외한 모든 손해 보험사가 모두 비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대폭 축소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순사업비와 관련 메리츠사는 41.33% 감축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임직원은 롯데가 66.34% 감축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산출요소로 수입보험료는 롯데, 흥국사만 증대가 요구 되며, 운용자산은 메리츠, 한화, 현대, KB, 동부사만 증대시켜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비효율성 감축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으로 적정규모 유지, 순사업비 절감, 자산운용 투자처 개발, 차별화 및 특화전략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iciency of non-life insurance industry by using the radial model and non-radial model and suggested structural adjustment and policy measures through efficiency analysis such as efficiency decomposition and regression analysis. The empirical testing results, First, the efficiency of the non-life insurance industry showed that there was more than 20% inefficiency, which was caused by the inefficiency of the scale. Second, through efficiency decomposition, it was showed that the inefficiency of mixing efficiency was required to be improved . Third,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labor costs ratio and the net business ratio showed a negative (-) relationship with all efficiency, and invested insurance asset ratio shows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all other efficiencies except scale efficiency.The earned-incurred loss ratio showed negative (-) relationship with other efficiencies except for CCR technology efficiency and scale efficiency. Fourth, both input factors of employees and net business expenses were ineffeciency. This indicates that domestic non-life insurers are not able to efficiently manage the two input factors, resulting in excessive waste of expenses. Fifthly, we have examined the optimal input and output value using the virtual efficiency value.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all non-life insurers excluding Samsung and Nonghyup were ineffectively managed. Meritz should cut 41.33% of its net business expense, while Lotte executives and employees should reduced 66.34%. Finally, the policy for the inefficiency reduction suggested to maintain optimal size, reduce net business costs, develop investment asset management, differentiate and specialized strategy.

      • KCI등재

        제품효율성 분석을 통한 친환경자동차 시장의 활성화 방안 연구

        이동우(Dongwoo Lee),오인하(Inha Oh) 한국혁신학회 2021 한국혁신학회지 Vol.1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DEA(Data Envelopment Analysis)를 활용한 제품효율성 분석을 통해 국내 친환경자동차 시장의 활성화 제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자동차의 대상을 전기자동차와 하이브리드, 플러그인하이브리드 그리고 LPG자동차로 정하고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자료는 한국자동차산업협회의 생산판매통계를 통해 2015년부터 2018년까지 국내 시장에서 판매된 일반 승용차와 2019년 일반인 판매대상의 LPG차량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투입변수는 차량가격이며, 산출변수로는 환산연비, 엔진성능, 차체크기 그리고 가솔린, 하이브리드, SUV를 나타내는 더미변수가 사용되었다. 연구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첫째, 제품효율성 측정지표의 유용성 검증을 위해 기술적 효율성과 배분적 효율성 모델을 비교 분석하였는데, IV로짓 모형을 활용한 2SLS(Two-Stage Least Squares) 분석을 통해 소비자에게 주는 효용의 가중치를 추정하고 배분적 효율성 측정에 활용하였다. 둘째, 국내 자동차 시장의 소비유형별 배경변인에 따른 제품효율성 차이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비모수 검정을 실시하였다. 셋째, 투입 및 산출변수의 각 측정지표별 비교자료를 추출한 후, 시장점유율이 가장 높은 내연기관 가솔린 차종과의 상세 비교를 통해 각 친환경 차종과의 경제적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효율성 측정지표로서 배분적 효율성을 활용한 제품효율성이 국내 자동차 시장의 효율성을 설명하는데 보다 유용한 척도임을 검증하고, 이를 통해 제품의 소비자 관점에서 효율성을 분석하였다는 점에 의의를 둘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product efficiency with the domestic eco-friendly vehicles to which attention is paid as next-generation vehicles, utiliz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and present measures for securing the development direction and competitiveness of the domestic eco-friendly vehicle industry through this. This study included eco-friendly vehicles, including electric vehicles, hybrid vehicles, plug-in hybrid vehicles, and Liquefied Petroleum Gas (LPG) vehicles for the analysis. As for research data, with the domestic cars sold in the South Korean vehicle market, this study added and utilized data on general passenger cars sold from 2015 through 2018 and LPG vehicles sold for ordinary people in 2019 through the production and selling statistics of the Korea Automobile Manufacturers Association (KAMA) for the analysis. The input variable used for DEA analysis was car price. As output variables, converted fuel efficiency, engine power, and car body volume were used, and dummy variables indicating gasoline, hybrid, and Sport Utility Vehicle (SUV) were used.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o verify the usefulness of the indicator for measuring efficiency for the evaluation of the product efficiency of eco-friendly vehicles, this study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echnical efficiency model and allocative efficiency model based on the DEA model. To do so, this study estimated the weighted value of the efficacy given to consumers through Two-Stage Least Squares (2SLS) analysis utilizing the IV Logit model and utilized that in the measurement of allocative efficiency. Second, to examine if there is any difference in product efficiency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 by the type of consumption in the domestic vehicle market, a non-parametric approach was made. Third, This study extracted data by each measurement indicator of the input variable and output variables for the comparisons of all models of vehicles in detail by class and type and then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rices in detail with the gasoline models occupying the largest proportion of sales as internal combustion vehicle models in the domestic vehicle market, utilizing them. Through this, this study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conomic differences with gasoline models by each model of eco-friendly vehicles.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that it verified if the product efficiency utilizing the allocative efficiency of the DEA model would be a more useful scale to explain the efficiency of the domestic vehicle market and analyzed the efficiency from the consumer point of view through tha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