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확장된 정보기술수용모델(TAM)을 기반으로 디지털교과서 수용 및 활용 탐색

        서순식 한국정보교육학회 2011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5 No.2

        이 연구는 초․중등 교원을 대상으로 혁신확산모형에서 제안하는 혁신 속성 변인들을 기반으로 디지털교과서의 수용을 결정하는 요인을 규명하고, 정보기술수용모형(TAM)을 보다 확장된 모형으로 제안하고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관찰가능성, 적합성, 주관적 규범을 외생변인으로, 유용성과 사용용이성, 사용의도를 내생변인으로 설정하는 연구모형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관찰가능성, 적합성, 주관적 규범은 교사의 디지털교과서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외재적 변인이며, 본 연구에서 제안한 확장된 정보기술수용모형은 적합함을 검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determined the adoption of digital textbook among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and to propose and validate a revis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he study was grounded in the innovation diffusion theory and the attribute factors proposed in the theory were used in the model. More specifically, observability, compatibility, and subjective norms were proposed as external factors and usefulness, easy of use, intention to use were proposed as internal factors in the proposed model. It was found that (a) observability, compatibility, and subjective norms were the main external factors that influenced the teachers’ intention to use digital textbook and (b) the revised TAM was validated.

      • 확산 모형을 활용한 온라인 게임의 수요확산 패턴 비교 분석

        최정욱,이승준,박종헌 한국경영정보학회 2007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7 No.-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게임을 크게 카드 게임, 플래시 게임, RPG 게임, 캐주얼 게임 등 네 가지 종류로 분류하고 그 중 캐주얼 게임과 MMORPG게임을 하나씩 선정 한 후, 확산 모형 중 Bass의 기본모형을 이용하여 각 장르별 특성을 반영한 수용주기모형을 도출하여 각 게임별 확산 패턴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캐주얼 게임 A는 광고 등의 외부효과가 강하게 작용하여 혁신수용자들의 수가 많았고 MMORPG게임 B와 같은 경우, 소비자들의 입소문이 확산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온라인 게임의 확산 패턴에 대한 연구를 통해 각 제품수용주기에 따라 변화하는 시장에 소비자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면 수용주기의 단계마다 달라져야 하는 마케팅 계획과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우수등재

        모바일 신용카드 사용자 만족 및 지속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정영훈(Young Hoon Jung),김건(Gun Kim),이중정(Choong C. Lee) 한국전자거래학회 2015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20 No.3

        스마트폰의 일상화로 모바일 중심의 라이프 스타일이 확산되면서, 모바일을 기반으로 하는 모바일 뱅킹, 쇼핑 등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최근 금융과 IT기술이 결합된 신조어인 Fintech(Financial + Technology)의 등장과 함께, IT기반의 금융시장은 더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서, 지급결제 수단으로서의 모바일 신용카드에 대한 기업 및 국가적 차원의 관심 및 투자가 증가하고 있으나, 소비자의 실제적인 확산 및 이용은 낮은 수준에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신용카드 이용 및 확산을 위한 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확산이론(Innovation Diffusion Theory)과 후기수용모형(Post Acceptance Model)을 바탕으로 연구모형을 구성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 자료를 수집하고, 연구모형을 분석한 결과, 인지된 용이성, 이미지, 적합성, 촉진의 4가지 요인이 사용자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모바일 신용카드에 대한 사용자 만족은 모바일 신용카드 지속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집단 간 비교연구에서는 플라스틱 신용카드보다 모바일 신용카드 이용금액이 많은 집단에서 촉진이 사용자 만족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대적으로 모바일카드 이용금액이 적은 집단에서는 인지된 용이성과 이미지가 사용자 만족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모바일 신용카드 활성화를 위한 정부 및 기업의 마케팅에 있어서의 전략적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하며, 또한 상대적으로 부족한 모바일 신용카드 연구에 초기 단계 연구로서의 가치를 지닐 것으로 기대한다. Due to the mobil-centered lifestyle following the wider use of Smartphones, Mobile services, including mobile banking and mobile shopping business have increased rapidly. Also with the emergence of “Fintech”, which finance combined with technology, IT based financial market is going to be highly promising. In this trend, interests mobile credit cards are increasing. But diffusion of the mobile credit card services is still in the low level. In this situation, to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ing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age intention on mobile credit card, this study applied innovation diffusion theory (IDT) and post acceptance model (PAM). To conducting this research, survey data were collected, and we used SmartPLS to analyze survey data. As a result of the study, perceived easy of use, image, compatibility and facilitation positively affect user’s satisfaction in mobile credit cards and that such satisfaction have a positive impact on continuous intention to use. The facilitation influences user satisfaction more strongly for those who use mobile credit cards more than plastic credit cards. Also, perceived of use and image influence user satisfaction more strongly for those who use plastic credit cards more than mobile credit card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be a guideline for credit card service providers and policy makers to invigorate mobile credit card business. Also it worths as a early-stage research on Fintech-related studies.

      • KCI등재

        가치기반수용모형 기반 AR기술의 사용-확산에 관한 실증적 연구: 긍정적 기술준비도의 조절효과 검정

        오종철 국제e-비즈니스학회 2017 e-비즈니스 연구 Vol.18 No.5

        Recently, with the increasing use of sm art phones,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augmented reality(AR) technology. Services using smart phone-based AR technologies are being applied to vario us industries such as video, broadcasti ng, education, military, manufacturing, and medical care. In this study, we try to analyze what factors and characteris tic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use and diffusion of AR technology. Fir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influence factors of AR technology acceptance through extended value-b ased acceptance model(VAM). Seco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use and diffusion of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through empirical analysis based on the use-diffusion(UD) theory suggested by Shin and Venkatesh(2004).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enefit components(perceived e njoyment and presence) and sacrifice components(technicality) of AR techno logy were related positively to perceived vlaue of AR technology. Second, sacrif ice components(perceived cost) of AR technology was related negatively to p erceived value of AR technology. Third, percieved value was related positively to rate of use(usage intention) and vari ety of use(diffusion intention). Also, from the consumer’s tendentious view, posit ive technology readiness index had sig nificant moderating effect to pass from sacrifice components(technicality, perc eived cost) to perceived value of AR technology. The results of this study co ntribute to the literature as a new attem pt to examine the effect in the AR tech nology area. 최근 스마트폰 이용의 증가와 더불어 증강현실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스마트폰 기반의 증강현실 기술을 바탕으로한 서비스가 영상, 방송, 교육, 군사, 제조, 의료 등 다양한 산업에 적용되고 있다. 본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이 주요한 기술적 트랜드 중 하나로 성장하고 있는 증강현실 기술을 사용하고 확산함에있어서 어떠한 요소와 특징들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증강현실기술 수용의 영향 요인을 Kim et al.(2007)의 가치기반수용모형 확장을 통해 도출하는 것이며 둘째, Shin and Venkatesh(2004)의 사용-확산이론을 근거로 증강현실 기술의 사용과 확산에 대한 검정이라는 목적을 갖는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증강현실기술의 혜택요인(지각된 즐거움, 프레즌스)과 희생요인(기술성)은 지각된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증강현실기술의 희생요인(지각된 비용)은 지각된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가치는 증강현실기술의 사용량과 사용다양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소비자관계는 브랜드 애착과 애호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끝으로 개인의 성향의 관점에서긍정적 기술준비도는 증강현실기술의 희생요인과 지각된 가치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온라인 증강현실기술 분야에서 소비자의 사용-확산의 영향을 검정한새로운 시도로의 시사점을 갖는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ICT 활용교육의 수용과 확산을 위한 탐색적 연구 : 현장 중등교사의 관점을 중심으로

        김미량,최정희 한국교원교육학회 2003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0 No.2

        본 연구를 통해 아직까지도 많은 교사들이 ICT 활용수업방식에 대해 그리 긍정적이지 않은 경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육정보화 및 ICT 활용수업의 성공적 정착을 위해 국가가 인프라 구축에 심혈을 기울여 막대한 재정적 지원을 해 온 것을 감안하면 이는 매우 심각한 문제상황이라고 아니할 수 없다. 이는 ICT 활용수업을 주도적으로 이끌어가야 할 교사들의 입장과 어려움에 대한 이해를 도외시해 온 결과가 반영된 것으로 추정된다. 향후에라도 이러한 교사들의 어려움이 적극적으로 해결되고 ICT 활용수업의 효과가 검증되어 보다 적극적으로 확산될 수 있는 방법론적 대안의 모색이 필요하다고 하겠다.많은 경우, 교사가 ICT를 활용한 수업을 전개하기 위해서는 정도의 차이는 있겠으나 최소한 컴퓨터와 프로젝터 등 각종 교단 선진화 기자재의 능숙한 작동 및 활용이 필수적인데, 문제상황이 돌발했을 때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교사는 극히 드물다. 때문에 네트워크를 통한 바이러스 감염이나 컴퓨터 하드웨어의 에러 등이 발생하면 교육정보부 소속 교사나 컴퓨터에 능숙한 교사들은 대가없는 자기희생을 강요받을 수밖에 없다. 이러한 교단의 상황은 컴퓨터를 잘 다룰 수 있는 교사들조차 교육정보부 근무를 기피하도록 하는 상황에까지 이르게 하므로 이와 같은 제 문제들을 근원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다면적 방법이 시급히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실제로 ICT 교수-학습 자료를 활용하는 수업활동이 그렇지 않았던 전통적 교육방법에 비해 교수-학습의 수월성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은 그나마 다행스러운 일이나, 결국 이러한 도구적 환경이 어떤 목적에 따라 누구에 의해 어떻게 활용되는가의 문제는 교사와 학습자의 몫으로 남게 된다. 본 연구의 과정에서도 다수의 교사가 ICT 활용수업이 교육의 질적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고 공감하면서도 이러한 수업을 전개하기 위해서 교사 개인의 솔선적 희생이 따라야 하는 상황에 대해서는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게다가 교단선진화 기자재는 소비재이기 때문에 계속적인 업그레이드와 유지, 관리에 세심한 주의가 요청된다. 수업의 시간이 제한되어 있고 그 제한된 시간 내에 다루어야 할 수업의 내용이 있는데 성능이 떨어지는 컴퓨터로 네트워킹 환경에 접속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거나 에러가 나서 수업의 흐름을 끊어버리는 상황이 반복적으로 발생해서는 원활한 수업이 전개되기 어렵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ICT를 활용하는 수업이 교사들에게 보다 긍정적으로 인식되고 그 효과성이 검증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론적 대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대안을 기대하면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KCI등재

        농업인의 혁신기술 수용 및 지속적 사용 변수간의 관계

        정구현,최영찬,장익훈,박흔동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0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2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the critical factors influencing pig farmers' adoption of new technology for pig night soil treatment. Survey for this study was implemented targeting pig farmers in Korea. The research model was built based on DoI(Diffusion of Innovation) and TAM(Technology Acceptance Model) to figure out the effect of individual innovativeness, education support quality and technology support quality on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which lead intention to use and user satisfaction. Result from PLS is, first, individual innovativeness, education support quality, and technology support quality work as antecedent variables of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Second, education support quality has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of new technology and perceived usefulness has positive effect on user satisfaction of the technology. Finally, this study found that technology support quality doesn't have significant impact on perceived usefulness whereas it has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ease of use. These results give an implication that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education program require major effort since adoption and intense to use of the new technology in pig farm is most affected by education support quality. 이 연구의 목적은 농업인의 혁신기술 수용 및 기술의 지속적 사용에 미치는 주요한 선행요인을 밝히기 위한 것으로 2002년부터 시작된 ‘양돈분뇨처리기술 시범사업’을 통해 가축분뇨처리 신기술을 도입한 농가에 대해 실시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모형은 혁신확산이론(DOI)과 기술수용이론(TAM)을 기반으로 도출되었으며 농업인 개인의 특성인 혁신성과 기술보급의 주체이자 변화주도자의 역할을 하고 있는 농업기술센터의 특성인 교육지원품질, 사후 기술지원품질 요인이 기술에 대한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용이성, 그리고 한 단계 더 나아가 기술에 대한 만족과 지속적인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PLS를 이용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혁신확산이론과 기술수용모형을 수정한 정보시스템 지속적 이용 모형에 관한 연구를 바탕으로 신기술의 지속적 이용에 영향을 주는 선행요인으로 개인의 혁신성과 교육지원 품질, 기술지원 품질이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용이성의 선행변수가 됨을 도출하였다. 둘째, 교육지원품질은 신기술에 대한 유용성 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인지된 유용성은 사용자의 기술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또한, 기술만족은 지속적 사용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실증하였다. 셋째, 기술지원품질은 인지된 유용성에는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지 못하나 인지된 용이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의 주요 시사점은 농가의 신기술 도입 및 지속적 사용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농업기술센터의 교육품질로 앞으로 농업기술센터와 같은 지도기관의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에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게 해준다.

      • KCI등재

        핀테크 지급결제 서비스 수용 요인 연구: 혁신확산이론과 성과기대 모형 관점에서

        황신해,김기수,김정군 한국경영교육학회 2018 경영교육연구 Vol.33 No.1

        [Purpose] Fintech payment service, a convergence service of finance and information technology, has been introduced and is expected to lead digital innovations of conservative financial industry. Despite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fintech payment service in Korea, empirical studies explaining users’ acceptance factors of fintech payment service are very limited and related studies has failed to provide sufficient understanding on fintech user behaviors. [Methodology] In this study, we construct a research model by classifying user acceptance factors as individual, social, performance expectation factors based on innovation diffusion theory and performance -expectation model. The proposed model was empirically verified using PLS(Least Square) based structural equation model. [Findings] Data analysis results show the influence of performance expectation was the strongest on users’ acceptance intention of Fintech payment service adoption. Personal innovativeness and social influence we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performance expectation was influenced by convenience and economic benefit, but both psychological and security risk were not significant. [Implications] Economic benefi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performance expectancy which is a crucial factor for user’s fintech payment service. Thus, the role of economic benefit in the service adoption should not be neglected, especially in the early adoption stage. [연구목적] 최근 금융과 정보통신기술의 복합 서비스인 핀테크(Fintech) 지급결제 서비스가 도입되고 있으며 보수적인 금융산업의 혁신을 이끌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국내 핀테크 지급결제 서비스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핀테크 지급결제 서비스의 사용자 수용요인을 설명하는 실증연구는 매우 제한되어 있으며 관련된 선행연구 역시충분하지 않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개인 사용자의 핀테크 수용 영향요인을 혁신확산이론과 성과기대모형을 기반으로 사용자 수용 요인을 개인적, 사회적, 성과기대 요인 및 성과기대 영향요인으로 분류 후 연구모형을 구성하고 이를 PLS(Partial Least Square) 기반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여 타당성을 실증하였다. [연구결과] 자료 분석 결과 사용자의 핀테크 수용의도에 성과기대의 영향력이 가장 강했으며 개인 혁신성과 사회적 영향력 역시 유의한 영향을 보였다. 성과기대 영향요인은 핀테크 지급결제 서비스 혜택인 편리성과 경제성이 모두 유의한 영향을 보였지만 위험요인인 심리적 위험과 보안위험은 모두 유의한 영향을 보이지 않았다. [연구의 시사점] 성과기대에 미치는 영향력은 경제성이 가장 크게 나타는데 이는 다수의핀테크 지급결제 서비스가 사용의 편리성을 중심으로 사용자에게 접근하고 있지만 초기보급 단계에서는 경제적 혜택의 제공이 중요함을 보여준다.

      • IPTV2.0 진화에 기초한 IPTV 수용-확산 영향요인 연구

        심진보,김유진 에스케이텔레콤 (주) 2009 Telecommunications Review Vol.19 No.2

        IPTV는 커뮤니케이션, 인포메이션, 엔터테인먼트 수요를 통합하는 융합미디어 플랫폼으로 진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IPTV2.0으로의 기술적 진화가 반드시 소비자들의 수용과 시장 확산을 이끌어 낼 것이라는 낙관적 전망을 내리기는 쉽지 않다. 기술적 혁신이 시장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고객의 니즈에 대한 고려가 병행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연구는 기술수용모형(TAM)과 혁신확산이론(DIT)을 기반으로 IPTV의 수용과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IPTV의 오락성, 신뢰성, 경제성이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을 통해 소비자의 수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IPTV가 시장에서 확산됨에 따라 혁신수용자 범주별로 경제성, 기능성, 신뢰성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Early Adopter 단계에서는 경제성이, Early Majority 단계에서는 기능성이, Late Majority 단계에서는 신뢰성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 KCI등재

        통신 결합서비스 채택 요인 분석에 따른 마케팅적 함의

        박용석(Yong Suk Park),강경철(Kyung Chul Kang),이상우(Sang Woo Lee)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0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27 No.4

        ??현재 국내 통신시장은 포화상태를 넘어, 생존과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사업자간 치열한 격전장이 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통신사업자들은 소비자들의 지속적인 통신요금 인하요구에 부응하고 동시에 매출 및 이윤을 증대시키기 위한 차별화된 전략을 수립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들을 경쟁적으로 출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통신서비스의 핵심으로 자리 잡고 있는 통신 결합서비스를 새로운 정보기술의 일환으로 정의하여 통신 결합서비스의 채택의도와 지속사용의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정보기술의 채택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연구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던 사용되었던 개혁확산 이론, 기술수용 모형, 사회적 영향력 접근 및 기대가치 이론, 후기수용 모형의 주요 변수들을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통신 결합서비스에 대한 태도, 채택의도 및 지속사용의향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연구 모형 및 가설을 수립하였다. 분석 결과, 인지된 유용성, 사회적 임계점, 요금 기대가치, 서비스 기대 가치가 결합서비스에 대한 태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결합서비스의 대한 태도는 결합서비스 지속 사용의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용자집단과 비사용자집단으로 나누어 분석 한 결과, 결합서비스 비사용자들의 채택의도에는 인지된 유용성, 사회적 이미지, 요금 기대가치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결합서비스 사용자들의 지속적 사용의도에는 인지된 유용성, 사회적 임계점, 요금과 서비스 기대가치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Bundling service is highlighted as a strategy to meet consumer demand, such as discounted rates, and create new revenue when the domestic telecommunications industry is saturated. Bundling service is a customer management system designed to create new customers by focusing on economic benefit and simultaneously prevent customer departure. Under such circumstances, this study judged bundling service as the core of recent communication services in the early stages of fixed mobile convergence, and defined this service as part of new information technology.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which factors influenced consumers’ intention to continuously use bundling service from the user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five major variables are set as follows; the diffusion of innovation theory, a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hen, this study set the attitude towards bundling service, the intention to adopt and the intention of continuous use as dependent variabl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perceived usefulness, social critical point, rate expectancy-value and service expectancy-value had positive (+) influence on the attitude towards bundling service. Moreover, the attitude towards bundling service had positive (+) influence on the intention of the continuous use of bundling service. In addition, this study found that the perceived usefulness, social image and rate expectancy-value had positive (+) influence on the intention of non-users to adopt the bundling service, and perceived usefulness, social critical point, rate and service expectancy-value had positive (+) influence on the intention of continuous use of the bundling service us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