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소설의 서사방식 변화와 필사 시기 추정의 상관성에 대한 시론

        한영균,유춘동 열상고전연구회 2016 열상고전연구 Vol.54 No.-

        이 글은 한글 필사본 고소설 중에서, 한글과 한자를 혼용하여 필사한 국한혼용문(國漢混用文) 고소설의 등장 배경, 서사방식(書寫方式)이 지닌 의미, 이후 필사본에 생긴 변화 및 생성 시기의 문제 등을 다룬 것이다. 국한혼용문 고소설은 크게 (1)한글과 한자를 혼용한 것(國漢文混用文), (2)한글과 한자를 병기하여 표기한 것(國漢文幷行文), (3)한자를 주로 사용하고 한글을 종(從)으로 사용한 것(漢文懸吐本)으로 유형을 나누고 있다. 고소설 전공자들은 이러한 유형의 국한혼용문 고소설의 존재를 잘 알고 있으며, 작품을 연구할 때 이본군(異本群)에 포함시켜 다루고 있다. 하지만 이 자료들을 단순히 후대에 필사되었다고만 언급하거나 생성 시기가 후대인 이유로 이본 연구에서 제외시키는 경우도 많다. 따라서 이러한 이본군의 서사방식이 지닌 의미, 언제, 어떠한 요인에서 산출되었으며, 이본으로서의 가치를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에 대한 시론적 연구인데, 요약하면 국한혼용문은 20세기 이전의 고소설 자료에서는 잘 보이지 않는 서사방식이며, 근대적 국한혼용문의 등장과 함께 이와 관련된 문학사(文學史) 관련 자료들이 등장 및 확산하면서 생긴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이본군이 필사되거나 산출된 시기는 대체로 1910년 이후로 보아야 하며, 이러한 사회, 문화적 분위기를 반영하여 자료의 가치를 부여해야 한다는 것이 필자들의 판단이다. 국한혼용문 고소설은 단순히 일반대중들의 독서물에만 그친 것이 아니라 현대적 국한혼용문의 형성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다고 여겨지는데, 이 글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본격적으로 다루지 못했다. 이 문제는 차후 과제로 남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matter of time for creation, and background of narrative in classical novels with the use of Mixed Scripts Korean and Chinese selecting classical novels transcribed in Hangeul. Generally, classical novels written in mixed Scripts can be classified into (1) those with mixed use of Hangeul and Chinese characters, (2) those using Hangeul accompanied with Chinese characters, and (3) those using Chinese characters primarily and Hangeul secondarily. Majorities of the researchers in classical novels are well aware of the presence of the classical novels with mixed scripts tend to include different versions, too, when they study the works. These materials, however, have been often transcribed by next generations just obscurely or become excluded from discussion. Therefore, we cannot discuss the meaning of narrative in those different versions or when exactly they were provided for which factors. Considering those issues, we are to examine the meaning, matter of time for creation, and background of narrative in classical novels in mixed scripts mentioned earlier. This study is based on a series of work regarding the formation of Contemporary Mixed Scripts of Korean, and the discussion proceeds by figuring out the amount of classical novels in mixed scripts which are relatively many now. In conclusion, the use of mixed scripts is not found in classical novels before the 20th century, and it appeared along with the appearance of materials related to history of literature in mixed scripts. Therefore, we think that the creation or production of the works group should be around that periods and also conclude that classical novels in mixed scripts play crucial roles in the formations of Contemporary Mixed Scripts. This study deals with introductory discussion about connection between classical novels with mixed scripts and Contemporary Mixed Scripts, and follow-up research will have to be done about this matter further afterwards.

      • KCI등재

        國漢 混用文 聖經의 定着 過程 -『簡易 鮮漢文 新約聖書(1913/1936)』를 중심으로

        유경민 국어사학회 2011 국어사연구 Vol.0 No.13

        본고에서는 한국어 번역 성경 중 國漢 混用文 聖經을 크게 두 유형 세 계열로 나누고, 먼저 이들의 간행 역사와 교체 과정을 정리한다. 이후 자료 조사 과정에서 새로 발견된 대한성서공회 소장의 『簡易 鮮漢文 新約聖書(1913/1936)』를 상세히 소개하고, 이 자료를 기존의 『新約全書 국한문(1906)』과 『簡易 鮮漢文 新約 改譯(1940)』 및 『簡易 國漢文 新約全書 改譯(1956)』과 대비하여 초기 국한 혼용문이 현대적 국한 혼용문으로 교체되는 과정에 새롭게 발견된 ‘簡易 鮮漢文 舊譯’ 계열의 자료가 미친 영향과 그것이 지니고 있는 국어사적 의의를 밝히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연구 대상으로 삼은 국한 혼용문 성경들의 저본 및 초간 연대와 관련된 문제를 정리한다. 2장에서는 국한 혼용문 성경의 간행사 및 보급과 관련된 문제를 다룬다. 우선 새로 발견된 『簡易 鮮漢文 新約聖書(1913/1936)』와 관련 자료들의 검토를 통해 ‘簡易 鮮漢文 舊譯’ 계열의 최초본 성경의 간행 시기가 앞당겨져야 할 것과 이 성경이 한국어 성경 번역사에서 지니는 위상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두 유형의 국한 혼용문 성경을 세 계열로 나누어 국한 혼용문 성경의 간행사와 간본별 특징을 현존본들을 중심으로 정리한다. 3장에서는 국한 혼용문 성경의 교체 과정을 세 시기로 나누어 살펴본다. 특히 한글 전용문을 국한 혼용문으로 다시 쓰는 방식과 국한 혼용문의 유형적 변화를 『新約全書 국한문(1906)』, 『簡易 鮮漢文 新約聖書(1913/1936)』, 『簡易 鮮漢文 新約 改譯(1940)』의 대비를 통해 설명한다. 4장에서는 『簡易 鮮漢文 新約聖書』(1913/1936)를 중심으로 한 ‘簡易 鮮漢文 舊譯’ 계열 성경의 간행과 보급이 지니고 있는 국어사적 의의를 검토한다. Korean Bibles in mixed scripts (i.e. using both native script Hangul and Chinese characters Hanja) can be categorized into two types and three series. Two types are Mixed script (國漢文) and Easy mixed script (簡易 國/鮮漢文), and three series are New Testament(NT henceforth) in Mixed Script (1906 version) (『新約全書 국한문 (1906)』), NT in Easy Mixed Script (Old Translation) (1913/1936 version) (『簡易 鮮漢文 新約聖書(舊譯) ( 1913/1936)』), and NT in Easy Mixed Script Revised Translation (1940 version) (『簡易 國漢文 新約全書 改譯 (1940)』). The aim of this paper (Section 1) is twofold. One is to trace the history of translations and publications of Korean Bibles in mixed scripts, and the other is to appreciate the role of NT in Easy Mixed Script (Old Translation version) in the evolution and settlement of writing systems in mixed scripts. In Section 2, two newly found versions of NT in Easy mixed script are introduced and it is argued that the date of first publication of NT in Easy Mixed Script should be pushed back to 1913. By closely examining the historical records, I rearrange the existing versions of Korean Bibles in mixed scripts. In Section 3, I investigate and trace the changes in mixed scripts employed in translating the Bible into Korean. The principles two types of Mixed-Script in re-writing the Hangeul text into texts mixed-script were compared and it is argued that the principle of re-witing in Easy Mixed Script has much influences on the writing system of modern mixed script. In Section 4,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NT in Easy Mixed Script (Old Translation version) is discussed.

      • KCI등재

        장지연 문장에서의 국한 혼용문의 위치

        황재문(Hwang, Jae-moon) 한국현대문학회 2021 한국현대문학연구 Vol.- No.65

        국문과 한문 또는 한글과 한자를 섞어 쓰는 ‘국한 혼용문’은, 전범이 부족하고 어문규정이 미비한 채로 근대 전환기의 우리 어문생활에 다시 등장했다. 독자를 고려하면서 ‘국문’ 또는 ‘한문’으로 글을 쓰던 당시의 지식인들 가운데에는 우리어문을 연구하면서 스스로 새로운 문체를 만들어내기 위해 노력한 이들도 있었지만, 국문의 가치를 높이 평가하는 시대적 흐름과 국문 사용과 관련된 법령이나 국문 또는 국한 혼용문을 사용하는 매체의 등장과 같은 환경 속에서 복수의 문체로 힘겹게 글을 써야 했던 이들도 적지 않았다. 장지연은 다양한 문체로 많은 글을 써서 후자를 대표할 만한 인물로 판단되는데, 이에 본고에서는 장지연의 국문론과 어문생활을 개관하고 국문 및 국한 혼용문으로 쓴 글들을 검토함으로써 한문 교양을 배경으로 한 전통적 지식인이 어문생활의 과도기에서 어떠한 글쓰기를 양상을 보이는지 검토한다. 장지연은 한문 이외에도 여성에게 보내는 서간의 경우와 같은 국문 글쓰기의 전통에도 익숙했는데, 고전소설의 형식과 문체, 표기방식과 어긋나지 않는 『애국부인전』이나 ‘국문전간’으로 발간 되는 『해조신문』의 논설과 같이 순국문으로 작성한 저술 및 신문기사에서 그러한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다. 특히 『해조신문』에 수록한 일부 기사의 경우에는 순국문에서 유래한 국한 혼용문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한편 국한 혼용문으로 간행한 다수의 저술에서는 한문과의 친연성이 주로 확인되기는 하지만, 그 가운데 『신정동국역사』의 교정 사례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은 한문과 어느 정도 거리를 두는 ‘국한 혼용문’의 지향과 시도도 발견할 수 있다. 다만 그 결과로 일관된 문체를 만들었다고 말하기는 어려우며, 『만국사물기원역사』 의 사례에서처럼 과도적인 면모를 보이는 것이 사실이다. 장지연이 국문 또는 한문과의 관계에서 다양한 면모를 보이는 ‘국한 혼용문’을 작성한 이유로는 그러한 문체 자체의 효용성을 들 수 있을 것인데, 이때의 효용성은 당시 독자의 상황으로부터 찾을 수 있을 것이다. Kughanhonyongmun(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in combination), which is a style of writing mixed with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reappeared during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with insufficient canonical example and incomplete normative grammar. Until then, intellectuals had to write by selecting Korean or Classical Chinese depending on the reader. They had to write in a variety of unfamiliar styles under an environment requiring use of Korean character. Jang Ji-yeon, who wrote a lot of writings in various styles, is considered to be a representative intellectual in this situation. This paper examines traditional intellectual’s diversity of writing style in that transitional period by reviewing Jang Ji-yeon’s case. In addition to classical Chinese writing, Jang Ji-yeon was also familiar with the tradition of vernacular Korean writing such as letters. Such meaningful traces can be found in novels and newspaper articles written in Korean, such as Aegugbuin-jeon(a story of Patriotic Woman) and articles of Haejo-sinmun(Haejo Newspaper). In particular, the case of the latter is judged that it implies the possibility of a style in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in combination derived from the vernacular Korean writing. His works written in Kughanhonyongmun mainly show the relevance or similarity to classical Chinese writing. Among them, the direction of his writing style of Kughanhonyongmun, which is somewhat distant from classical Chinese writing as found in the proofreading trajectory of Shinjeong-Donggukyeoksa(Revised version of Korean History). However, it is difficult to say that a consistent writing style was created as a result, and it is true that it shows an excessive aspect.

      • KCI등재

        9世紀 漢字 가타카나 混用文의 오코토点 使用에 대하여

        山本?吾(Yamamoto Shingo) 구결학회 2009 구결연구 Vol.23 No.-

        9세기의 漢字 가타카나 混用文에서, 가티카나와 오코토点의 混用을 볼 수 있다. 이 兩者의 選擇 意圖를 중심으로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漢字 가타카나 混用文의 語順은, 日本語式과 漢文式이 때때로 混在하고 있다. 따라서, 述語 위에 主語가 오는 것이 있는가 하면 目的語가 오기도 하여 일정하지 않다. 그러한 경우에 가타카나 혹은 오코토点으로 ‘ハ’(주제 표시)나 ‘ヲ’(목적어 표시)를 나타내어, 문장의 成分을 명확하게 하고 있다. (2) 가타카나 混用에 의해서 本文의 構文의 큰 범위가 나타난 문장에 대해서, 보다 정확성을 기하기 위해서, ?句의 後句(내지는 前句)에 같은 附屬語를 보충하는 등, 오코토点을 보충 조치로서 이용하는 일이 있었다. (3) 오코토点으로도 ‘ハ’나 ‘ヲ’를 표기하는 것이 가능했지만, 複數의 附屬語를 承接시킬 때 그 接續의 순서가 문제가 된다. 이러한 부속어 상호의 접속 관계는 오코토点으로는 特定할 수 없기 때문에, 가타카나 표기가 선택되었다.

      • KCI등재

        일반논문 : 조일 역관의 의사소통에 사용된 언어,문자의 특성

        김주필 ( Joo Phil Kim ) 반교어문학회 2015 泮橋語文硏究 Vol.0 No.41

        역사학계에서는 왜관에서 활동한 조선과 일본 역관들의 의사소통은 어떠한 상황에서나 조선어로 이루어진 것으로 주장해 왔다. 당시 왜관의 정황을 살펴보면 구어적 상황에서 조일 역관 간 의사소통은 원칙적으로 조선어로 이루어졌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상황에 따라 조선어는 일본어와 수시로 코드 전환이 이루어지며 사용되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와 달리 공식적 상황에서 역관들은 외교 의례에 따라 통역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 외교 사절 중에는 조선어를 구사하지 못하는 인사도 있었을 뿐 아니라 봉진연에 관한 기록이나 <동래부사접왜도>에 그려진 참석자들의 위치는 외교 의례에 따라 행사가 진행되었음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문어적 상황에서 역관들은 공식적으로 한문이나 조선식 한문 또는 이두문으로 문서를 작성하여 교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공식성이 떨어지는 상황에서는 한글로 문서를 작성하여 주고받은 것으로 보인다. 근래 발견된 대마도 종가문고 소장 조일 역관들의 실무문서는 국한혼용의 한글로 작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들 문서는 주로 2음절의 자립적인 한자어를 한자로 표기한 국한혼용의 문장이라는 점이 특징인데, 이러한 특징은 당시 문서 작성에 사용된 조선식 한문이나 이두문에 한글로 조사나 어미를 붙여 만들어졌기 때문에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조일 역관들의 문어적 의사소통에 사용된 국한혼용체의 한글 문장은 국어생활사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경서의 한문학습 방법에 유래하는 대한제국이나 일제시대 공문서의 국한문체와 달리, 조선식 한문이나 이두문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국한혼용체의 문장이 조선시대에 이미 사용되고 있었음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앞으로 이러한 국한혼용체의 한글 문장이 경서의 한문 학습 방법에 유래한 일제시기의 국한문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면서 현대국어 문장을 형성하게 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In history, it had been insisted that Chosun-Japanese translators who had worked in Waegwan (Japanese office in Chosun) had communicated in Korean language. On the basis of several circumstances, their usual communication was assumed to be in Korean language. Yet in an official situation their communication were believed to be translated in accordance with the rite, since there were several Japanese diplomats who never speak Korean language. However some records were found that the Japanese diplomats had lead some ceremonies in Bongjin Yeon or others had been showed that who attended <Dongrae Busa Jeopwae Do> followed diplomatic rite of both countries. Their formal style of communication was reflected in their Bunryu Kisa Daekang. The translator`s documents were mostly written in Idu, yet other records of documents written in Hangul were rarely seen. This is almost similar to the documents from Japanese government owned. In this regards we could assume that there was a high possibility of using Idu in the official communication between the translators. However when it was less official situation, it sometimes communicated in Hangul. It is recently found that around 110 sheet of letters and kakseo documents, the correspondence between Chosun-Japanese translators, and those documents were almost written in kukhan honyong style(sentence of Hangeul with Chinese characters), which was the writing style of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in combination. The letters of kukhan-honyong style housed in Soga Bungo in Tsushima Japan have used a lot of two syllabled independent Chinese characters. This characteristics are seem to be based on the trends of writing in Idu in the official documents by translators. We can also find some papers were mixed among those documents having one or two postpositions or endings added at the end of Idu as so called kukhan-honyong. It has significant meanings in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life. Since it shows that the kukhan-honyong style is used from quite early, other than the times of Korean Empire when the way of reading Chinese writing of Confucian classics or kukhanmun style, Korean and Chinese writing style in Japanese colonial period. It is expected to study in depth on these field how those two different styles of documents are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how they form a modern Korean language.

      • KCI등재

        근대(近代) 어문교육(語文敎育)에서 문식성(文識性)의 성격과 변천 과정

        김혜정(金惠貞) ( Kim¸ Hye-jeong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0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8 No.4

        이 논문은 근대의 문자 생활을 살펴보고, 당시 한글 보급과 교육이 사회적 문식성을 충족할 수 있었는지를 고찰함으로써 국문 문식성의 교육적 한계와 의의에 대해 논하였다. 언문일치에의 노력과 문자보급 운동으로 압축될 수 있는 근대 어문교육은 주로 글자를 전혀 모르는 문맹자들을 대상으로 한 ‘한글 교육’이었다. 그러나 당시 식자 사회는 한자 문식성 사회였기 때문에 한글을 떼었다고 하더라도 사회가 요구하는 제도적 문식성, 즉 적어도 중학교 이상의 교육을 수행하거나, 신문, 출판서적, 공적 기관의 공문서 등을 읽기 위해서는 한자 식견이 더 필요했다. 대표적으로 근대의 관보, 전보, 신문, 서적류의 경우, 조사와 어미, 고유어를 제외하고 주요 대상이나 개념을 뜻하는 거의 모든 단어는 한자로 표기된, 한주국종체가 대부분이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봉건 신분 사회를 공고히 했던 한자가 뒤안길로 멀어지고 한글이 ‘국문’으로서 지위를 부여받았지만, 실제 문자 생활은 그것과 괴리가 있었다. 그러나 한글 문식성은 1890년대 후반의 한글 신문과 전보, 소설 등을 읽는 도구로서 역할하며 최소한의 문맹을 벗어나도록 함으로써 근대적 자각으로의 인식 변화를 주도했다. This paper discussed the educational limitations and significance of Korean literacy by examining whether the dissemination and education of Hangeul could satisfy social literacy in the modern literary life. Modern language education such as consistency between speech and text, Hangeul movement and so on, was mainly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illiterates who did not know any letters. However, the literacy community at the time was a Chinese-literary society, so even if the Korean alphabet was learned, it needed more Chineselanguage knowledge to carry out the institutional literacy required by society, at least middle school, or to read newspapers, publications, and official documents. In the case of modern government gazette, telegram, newspaper, and books, almost all the words meaning the main subject or concept were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except for postpositional particle, ending of a word and native words. As such, the Chinese characters that consolidated the feudal status society were separated and Hangeul was given status as national characters, but the real literary life was different from that. However, Hangeul literacy played a role as a tool for reading Korean newspapers, telegrams, and novels in the late 1890s, leading to a shift in perception toward modern awareness by allowing them to escape the least illiteracy.

      • KCI등재

        현대 한국어 성립기의 설정과 하위 구분 - 현대 한국어 문체 형성사의 관점에서-

        한영균 ( Young Gyun Han ) 한민족어문학회 2015 韓民族語文學 Vol.0 No.70

        이 글은 현대 한국어의 성립 과정을 밝히기 위한 기초 작업의 하나로 후기 근대 국어시기와 현대 한국어 사이에 ‘현대 한국어 성립기’를 설정할 필요성이 있음과, ‘현대 한국어 성립기’를 태동기, 확립기, 안정기의 세 시기로 하위 구분할 것을 제안하고, 각 시기의 문체 상의 특성을 밝혀 제안의 근거로 삼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한 논의의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장에서는 개항 이후 약 90년 사이에 일어난 언어문화사적 변혁이 지니는 의의를 정리하고 그를 바탕으로 현대 한국어 성립기를 설정할 필요성이 있음을 논하였고, 2장에서는 문체의 변화를 검토하는 데에 서사방식(書寫方式)과 사용역(使用域)의 두 가지를 검토의 축으로 삼을 필요가 있음을 보였다. 3장에서는 후기 근대 국어 시기와 현대 한국어 태동기를 구분해 주는 문체 특성으로 ① 한글의 위상 변화와 한글 사용의 확산, ② 다양한 유형의 국한혼용문 사용, ③ 순한글 텍스트와 국한혼용문 텍스트의 공존 및 병존, ④한글과 한자 병기 방식의 등장이라는 네 가지를 들어 정리하였고, 4장에서는 태동기와 확립기를 구분해 주는 문체 특성으로 ① 한글 및 한자 병기 방식의 확산, ② 현대적 국한 혼용문체의 등장이라는 두 가지를 확인하였다. This paper aims to suggest the needs for ‘Setting up stage of Modern Korean’ and to subdivide the era into three stages, namely ‘beginning period’, ‘settling period’ ‘stabilizing period’, and show the linguistic, stylistic evidences for the suggestions. The discussions in this paper may be summurized as follows. In chapter 1, based on the linguistic-cultural revolutions in this period, the author argued that there are necessities for the term to distinguish this period from the traditional ‘Late Modern Korean(from 17th century to 19th century)’ and ‘Modern Korean(from 1960 up to now)’ and to subdivde this period. In chapter 2, the author proposed two axises for the study of the linguistic styles of the period, ways of transcriptions and register. In chapter 3, the author showed the stylistic charicteristics in ‘beginning period’. ① Change of the status of Hangul and spreading of the use of Hangul in various register ② The use of various kinds of Mix-scripts ③ Co-existence and parallel existence of the texts in Pure Hangul texts and Mixed-scripts ④ The appearence of the texts which shows co-use of Hangul and Chinese characters. In chapter 4, the author showed the stylistic charicteristics in ‘settling period’. ① The spreading of co-use methods of Hangul and Chinese characters ② The appearence of Morean Mixed-scripts texts which differ from the Mixed-scripts in ‘beginning period’.

      • KCI등재

        근대국어 시기의 이두 문헌 『推案及鞫案』의 한글 요소에 대한 연구

        변주승,유경민 구결학회 2018 구결연구 Vol.40 No.-

        Korean language has maintained its tradition of using Chinese or I-DU not only when there were Korean letters, but also after the invention of Hangeul. Nevertheless, the research on the History of Korean Textual Characters has focused mainly on the dual structure of Chinese characters and Hangeul. This is an attitude neglecting the fact that I-DU was used in official documents and practical writings like mixed-script up to early 20th century. In the CHUAN GEUP GUKAN, mixed-script of Chinese characters, I-DU, and Hangeul is found. There are 55 types of Hangeul in the CHUAN GEUP GUKAN, and 8 kinds of duplicates. There is also a song written in Hangeul. Based on such fact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flect the History of Korean Textual Characters. The paper describes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the CHUAN GEUP GUKAN in Korean history. Also,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larify the writing of Hangeul that is not properly translated in the CHUAN GEUP GUKAN's translation. 문자가 없었던 시기는 물론 한글이 창제된 이후에도 漢字, 吏讀를 사용한 表記의 傳統은 오랫동안 지속되었다. 그런데도 한국의 문자생활사와 관련된 연구의 대부분은 한자와 한글의 이중 구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는 20세기 초까지도 이두가 國漢混用文 못지않게 공문서와 실용문에 널리 활용되었다는 역사적 사실을 간과한 것으로 보인다. 17세기~19세기에 걸친, 300여 년 동안의 기록문인 『推案及鞫案』에는 전체적으로 한문과 국문 구조가 혼합된 이두와 한글 표기가 혼재되어 있다. 본고는 國漢混用文에 치중되어 있는 한국의 문자생활사 연구에 대한 반성에서 출발하여 『推案及鞫案』의 표기 문자의 의의와 특징을 살펴 국어학계에 『推案及鞫案』의 연구 가치를 소개하는 것을 일차 목표로 한다. 『推案及鞫案』의 한글 표기가 갖는 의의는 한자 표기 중심의 문헌에서 부분적으로 사용되었다는 데에 있다. 이것은 조선 후기의 한문 중심의 관습적 공문서 양식에 한글이 쓰인 필연적인 상황과 한자, 이두, 한글의 혼용문이 만들어진 상황에 대한 이해를 가능하게 해주기 때문이다. 한편, 『推案及鞫案』의 이두가 갖는 의의는 경서 류의 언해나 『大明律直解』 류의 문헌과 달리 번역문이 아니라 직접 작성된 국가기록문에 쓰인 것이라는 데에 있다. 巨帙의 문헌임에도 다른 이두 문헌에서보다 적은 종류의 이두가 확인되고, 조사류는 거의 확인되지 않는 것은 구어 상황을 텍스트화한 『推案及鞫案』의 이두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또, 죄인들에 대한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어 이두식으로 표기된 노비명을 확인할 수 있다는 것도 『推案及鞫案』이 갖는 국어사적 의의 중 하나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推案及鞫案』이라는 문헌의 전반적 특징을 설명하고, 번역본(2014년 간행)에서도 대부분을 정확한 의미를 파악하기 어려운 대상으로 남겨 둔 채 번역한 한글 표기 부분을 집중적으로 설명한다. 이는 『推案及鞫案』에 대한 국어학적 연구의 필요성이 비단 이두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보이기 위함이며, 향후 『推案及鞫案』에 대한 다각적 연구를 가능하게 하고자 함이다.

      • KCI등재

        藤原忠実『殿暦』の漢字仮名交じり表記 -平安時代和化漢文の学習過程という側面から-

        柳原?津子(Etsuko, Yanagihara) 한국일본어학회 2021 日本語學硏究 Vol.- No.68

        후지와라노 다다자네(藤原忠実)의 일기 『덴랴쿠』(『殿暦』)는 다른 옛 기록물들처럼 ‘일본제한문’(和化漢文)이라는 문체로 기록되어 있다. ‘일본제한문’이란, 일본어 화자가 쓰고 일본어 화자가 읽기 위해 간략화 및 일본어화한 한문체를 말한다. 『덴랴쿠』는 헤이안시대의 다른 옛 기록물과 비교했을 때 상당수 가나(仮名)를 혼용해서 사용했다고 널리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덴랴쿠』에서 볼 수 있는 모든 한자가 나 혼용 표기례를 분류 및 정리하고 나아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른 변화를 관찰한다. 『덴랴쿠』에서 볼 수 있는 한자가나 혼용 표기는 1105년(長治2)경을 경계로 연차순으로 감소하였으며 이로 미루어볼 때 기주(記主)의 한문체로 글을 짓는 집필 능력이 점차 향상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자립어를 포함한 한자가나 혼용 표기, 그중에서도 단락 및 문장의 범위에 이르는 가나 혼용 표기례도 1105년(長治2)경까지의 전반기에 많았으며, 한문체로 짓지 못했던 내용이 많았던 상태에서 한문체로 지을 수 있는 내용이 늘어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한자에 조사와 조동사(주로 격조사) 및 어미 등을 덧붙여 써넣는 형식의 가나 혼용 표기례는 권말까지 일정한 빈도로 지속해서 사용되었다. 기주에게 있어서 용법(措辞) 및 조사(助辞)류(‘於’ 등)만으로 정확한 격 관계의 표현은 어려웠다는 측면을 엿볼 수 있다. "Denryaku, "Fujiwara no Tadazane"s diary, was written in the style of "Wakakanbun," like other ancient records. "Waka kanbun" is a Chinese writing style written by Japanese people and simplified and translated into Japanese for Japanese readers It is widely known that kana was more widely used in "Denryaku" than in other ancient records of the Heian period. In this paper, we classify and organize all examples of kanji-kana mixed notation found in "Denryaku" and observe changes over time. The kanji-kana mixed notation found in the "Denryaku" had been decreasing year by year since around the 2nd year of Choji,i.e.(1105), and in this respect, we can understand that the writing ability of writer in Chinese writing was gradually improving. In addition, there were many examples of kanji-kana mixed notation including “jiritugo”,independent words, especially kanji-kana mixed notation covering a range of clauses and sentences in the first half of the period(until around Choji 2nd year), and there were many contents that could not be spelled in the Chinese writing style. However, we can see that the content that can be spelled in the Chinese writing style increased after around Choji 2nd year. On the other hand, cases of mixed kana notation in which particles, auxiliary verbs (mainly case particles), and verb endings added to kanji continued to appear at a certain frequency towards the end of the book. It is possible for us to get a glimpse of the aspect that it was difficult for the writer to accurately express the case relation only with word order and Chinese particles (such as "於").

      • KCI등재

        그래픽노블을 통한 다중문식성의 발달

        윤은자 ( Eun Ja Yun ) 한국영어영문학회 2010 영어 영문학 Vol.56 No.4

        The modes of narratives and communication have expanded due to social and cultural changes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Thus texts have become multimodal and media hybridities and media crossover have been increasing as well. Multimodality requires new literacy to understand and interpret those multimodal texts other than existing traditional literacy approaches. The New London Group (2000) argues that multiliteracies are needed to serve today`s changing multimodal texts. Kress (2003) also argues, visual texts have been prevailing, being mingled with other modes of texts such as linguistic, audio, gestural, and spatial modes. Literary texts are not exception in this trend of multimodality. The recent renaissance of comics, in particular, the new light on graphic novels can be interpreted in this historical vein. In comparison to comics, no consensus has been made in defining graphic novels, however, many studies have been recently conducted in order to look into the potential of graphic novels in building multiliteracies. In this paper, the graphic novel as a literary genre are explored from a histocial perspective and the definition of graphic novels was attempted to be made. In the light of multiliteracies, this paper presented cases that show how graphic novels can be utilized to build multiliteracies. Lastly, the use of graphic novels for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was introduced as well. The author hopes that at the age of multimodality, the potential graphic novels have in language and literacy education can be taken into account by language teachers and students in expanding their territory of liter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