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여지도서』 전라도편 성격과 물산·진공 조항 분석

        변주승,김정화 역사실학회 2013 역사와실학 Vol.52 No.-

        Yeojidoseo is Geography is hooked up eupji collected from all over the country from 1757(Young-jo 33) to 1765(Young-jo 41). Sejongsillok geogrphy and DongkukYeojiseunglam was published in the former part of Choseon Dynasty but there was a part that does not meet the late part of Choseon Dynasty because of Japanese Invasion of Korea and the Manchu war. Because of it, Containing compensate, the society state of the late Choseon society and geography of the country for the purpose of publishing the compilation attempted but it did not published officially. However, Yeojidoseo which was published by a nationally eupji collected a certain period is the basis of the research of the late Choseon History of the late Choseon Dynasty followed donggukyeojiseungram as best of Humanities jiriseo. Yeojidoseo consisted of the entire 55 book and "Jeolla-do” consisted of 50-55 volumes. When Yeojidoseo was phototyprinted and published by two books at the time in 1973, only missing 40 of the 16 towns from the National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and edit the year closest compilation were complementary obvious the region Euljiro missing part the regiments. In Yeojidoseo, there were corporation and Jingong provisions on the economic related items. Corporation provisions set a price of facts materail in Supreme Local Government Office, Barrack and Naby from cetral government and this material is based on when it assigns to the jurisdiction of the towns of the souvenirs. Even spot goods disappered because of carrying out of Daedongbeop, Jingong provisions were considered such as the items listed in Jingong provisions that spot goods are still remained until the late Choseon. Its appearance can be found in Jeolla Province retention in the town of Jeonju, Gimje and Jeongeup. When compared of the provisions of the Jingong and the provision of Yeojidoseo of the Corporation, it described in the form of manufactured goods or processed products or goods that were identified in the provision of Corporation Jingong provisions have missing altogether from the provisions of the Jingong, which items are identified that all real products are not adopted by the corporation. In addition, due to the problem of corruption, specialties were bribed in the process toward the centeror and these became bribe in the form of processed goods or manufactured goods. The late Choseon Dynasty represent the geography that can be said, however, Yeojidoseo that is according to the economic relevance of the research can be determined by the financial operations of the substantial local social but, from this perspective, this study is going to be significant to attempt to take a look at one aspect of truth operating in Jeolla Province and these are production of goods and items on the status of truth through understanding Jeolla Province. In this paper, I am going to leave for further study about comparisons of other provinces and that I did not compare and analyze about the former and late Choseon Dynasty of comparison of geography.

      • KCI등재

        근대국어 시기의 이두 문헌 『推案及鞫案』의 한글 요소에 대한 연구

        변주승,유경민 구결학회 2018 구결연구 Vol.40 No.-

        Korean language has maintained its tradition of using Chinese or I-DU not only when there were Korean letters, but also after the invention of Hangeul. Nevertheless, the research on the History of Korean Textual Characters has focused mainly on the dual structure of Chinese characters and Hangeul. This is an attitude neglecting the fact that I-DU was used in official documents and practical writings like mixed-script up to early 20th century. In the CHUAN GEUP GUKAN, mixed-script of Chinese characters, I-DU, and Hangeul is found. There are 55 types of Hangeul in the CHUAN GEUP GUKAN, and 8 kinds of duplicates. There is also a song written in Hangeul. Based on such fact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flect the History of Korean Textual Characters. The paper describes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the CHUAN GEUP GUKAN in Korean history. Also,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larify the writing of Hangeul that is not properly translated in the CHUAN GEUP GUKAN's translation. 문자가 없었던 시기는 물론 한글이 창제된 이후에도 漢字, 吏讀를 사용한 表記의 傳統은 오랫동안 지속되었다. 그런데도 한국의 문자생활사와 관련된 연구의 대부분은 한자와 한글의 이중 구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는 20세기 초까지도 이두가 國漢混用文 못지않게 공문서와 실용문에 널리 활용되었다는 역사적 사실을 간과한 것으로 보인다. 17세기~19세기에 걸친, 300여 년 동안의 기록문인 『推案及鞫案』에는 전체적으로 한문과 국문 구조가 혼합된 이두와 한글 표기가 혼재되어 있다. 본고는 國漢混用文에 치중되어 있는 한국의 문자생활사 연구에 대한 반성에서 출발하여 『推案及鞫案』의 표기 문자의 의의와 특징을 살펴 국어학계에 『推案及鞫案』의 연구 가치를 소개하는 것을 일차 목표로 한다. 『推案及鞫案』의 한글 표기가 갖는 의의는 한자 표기 중심의 문헌에서 부분적으로 사용되었다는 데에 있다. 이것은 조선 후기의 한문 중심의 관습적 공문서 양식에 한글이 쓰인 필연적인 상황과 한자, 이두, 한글의 혼용문이 만들어진 상황에 대한 이해를 가능하게 해주기 때문이다. 한편, 『推案及鞫案』의 이두가 갖는 의의는 경서 류의 언해나 『大明律直解』 류의 문헌과 달리 번역문이 아니라 직접 작성된 국가기록문에 쓰인 것이라는 데에 있다. 巨帙의 문헌임에도 다른 이두 문헌에서보다 적은 종류의 이두가 확인되고, 조사류는 거의 확인되지 않는 것은 구어 상황을 텍스트화한 『推案及鞫案』의 이두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또, 죄인들에 대한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어 이두식으로 표기된 노비명을 확인할 수 있다는 것도 『推案及鞫案』이 갖는 국어사적 의의 중 하나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推案及鞫案』이라는 문헌의 전반적 특징을 설명하고, 번역본(2014년 간행)에서도 대부분을 정확한 의미를 파악하기 어려운 대상으로 남겨 둔 채 번역한 한글 표기 부분을 집중적으로 설명한다. 이는 『推案及鞫案』에 대한 국어학적 연구의 필요성이 비단 이두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보이기 위함이며, 향후 『推案及鞫案』에 대한 다각적 연구를 가능하게 하고자 함이다.

      • KCI등재

        전북지역 항일 유림의 인적 교류 - 염재 조희제를 중심으로

        변주승 전북사학회 2018 전북사학 Vol.0 No.52

        염재 조희제는 임실군 덕치면 절골 산골에서 지내며 한말 의병운동과 독립운동 및 항일활동을 했던 애국지사들의 행적을 기록한 『염재야록』을 편찬했다. 그러나 1938년 임실경찰서에 강제 연행되면서 조희제가 소장하고 있던 자료를 모두 압수당해, 문집이나 일기 및 기타 자료는 거의 전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조희제를 중심으로 ‘전북지역 항일 유림의 인적교류’를 파악하기는 쉽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조희제와 동시대를 살았던 전북 지역을 중심으로 한 유림들의 문집 속에서 조희제와 교류 흔적이 담긴 서찰, 시, 제문, 만사 등등 자료를 통해 조희제의 인적 교류의 일부나마 살펴보았다. 먼저 조희제가 노사 기정진과 송사 기우만의 문하였다는 사실에서 기우만을 중심으로 형성된 호남 지역 전체 유림의 교유망에 조희제도 연결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비록 조희제의 교유관계에 대한 자료는 부족하지만 비슷한 사례인 전남 장성의 유학자 산암 변시연의 일기를 통해서 유학자의 교유관계를 알 수 있다. 또한 간재 문인들의 문집에 수록된 간찰과 만사 등을 근거로 이들과의 교류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염재야록』의 편찬은 결코 조희제 혼자의 힘으로만 이루어지지 않았다. 위험을 감수하고 서문을 썼던 최병심, 발문을 썼던 이병은, 교정을 보았던 김영한의 행적과 공로는 겉으로 드러난 것이다. 이밖에도 자료를 빌려주고 정보를 나누었던 김교준, 이태현 등 여러 유림들이 있었다. 이들은 송사 기우만과 간재 전우의 문인으로서 항일의식을 공유하고 이를 실천했던 전북지역 항일 유림들이었다. 이들 유림은 직접 무장투쟁이나 항일투쟁의 길에 직접 나서지는 않았지만, 학문을 통해 연마했던 유학 가치관을 몸소 지키면서 지역사회에서 자신의 삶을 영위하면서 항일의식을 공유하고 묵묵히 실천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염재 조희제를 중심으로 한 ‘전북지역 항일 유림의 인적 교류’의 일단이나마 밝혔다는 의의가 있다. Living in the mountainous district of Jeolgol, Deokchi-myun, Imsil-gun, Yeomje Jo Hui-je published Yeomjeyarok, the book which recorded the activities of the patriots involved in the 'Righteous Army' movement,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nd anti-Japanese movement at the end of the Great Han Empire. But taking Jo Hui-je to Imsil police station in 1938, the police seized all the data he owned. So collections, diaries, and other data were hardly handed down. Because of this, it is not easy to figure out the anti-Japanese Confucians' human interchange with Jo Hui-je as a central figure. This study reviewed the data such as letters, poems, funeral orations and so on regarding the exchange with Jo Hui-je in the collections from contemporary Confucians in Jeonbuk where he lived. Above all, given that Jo Hui-je was a pupil of Nosa Gi Jung-jin and Songsa Gi Woo-man, it was found out that Jo hui-je was involved in the social intercourse network of the Confucians in Honam area, which was formed around Gi Woo-man. Though the data about Jo Hui-je's social intercourse were insufficient,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Confucians' social intercourses through the diary of Sanam Byun Si-yeon, a Confucian in Jangsung, Jeonnam, a similar case. Also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exchange with Ganje writers based on the letters and funeral songs included in their collections of literary works. So Yeomjeyarok was not published only by Jo Hui-je. Choi Byung-sim wrote its preface taking a risk, Lee Byung-eun wrote its epilogue, and Kim Young-han proofread it. In addition, Kim Gyo-jun, Lee Tae-hyun and other Confucians shared data and information. As writers of Songsa Gi Woo-man and Ganje Jeon Woo, they were anti-Japanese Confucians who shared and fulfilled anti-Japanese spirit. They didn't participate in armed struggles or anti-Japanese struggles in person, but they lived their own lives while adhering to the Confucian values mastered through learning, shared anti-Japanese spirit and sought the way to fulfill it. Therefore this study has a signification in that it figured out some of human intercourse of the anti-Japanese Confucians around Yeomje Jo Hui-je in Jeonbuk province.

      • KCI등재

        조선후기 유민정책 연구

        변주승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1 民族文化硏究 Vol.34 No.-

        조선 후기 들어 농민층의 광범위한 유망 현상에 직면한 조선왕조 정부는 다양한 유민 대책을 모색했다. 정부의 직접적인 유민대책은 첫째, 유민을 통제하고 정착시켜 부세 수취체제내로의 재편입을 도모하기 위한 流民統制策, 둘째, 유민을 본적지로 되돌리기 위한 流民還送策, 셋째, 유민을 구호하고 정착을 지원하는 流民安集策으로 나눌 수 있다. 그런데 17세기 말 18세기초를 고비로 정부의 유민 정책은 직접적, 강제적인 규제와 통제 경향에서 점차 탈피해갔다. 이는 대규모로 발생한 유민을 모두 본적지로 환송하는 것은 실효를 거두기 어렵고, 농촌을 떠난 유민의 일부는 도시·광산 등지에서 새로운 직업을 갖거나 임노동으로 살아가고 있는 현실을 반영한 정책의 변화이었다. 요컨대 조선왕조 정부는 유민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제반 정책의 변화를 적극 도모했다. 하지만 근본적인 유민대책은 수립되지 못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19세기 들어 三政의 문란으로 불리는 부세 수탈은 더욱 심화되었다. 따라서 19세기에 이르면 몰락농민층은 유망을 통한 생존조건의 변화도 여의치 않고, 국가의 안집책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었다. 이 시기에 浮游集團의 증가에 따른 각종 폐단이 늘어가고, 民亂이 대대적으로 발생한 것도 이러한 상황과 무관하지 않았다. By the later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the government facing the widespread phenomenon of the life of the peasants who lost their land and left their villages tried to solve it in many ways. The government enforced the control programs such as Hopaebeop(號牌法) and Ogajaktongje(五家作統制) designed to prevent the peasants from abandoning the land they worked. However the peasants were totally unable to maintain their ground in this period, and it was an unavoidable selection for the poor peasants and ruined farmers to avoid the heavy burden of taxes and secure new means of livelihood. They were inevitably forced to leave their villages. Therefore the government's control-oriented policy was difficult to take effect. Meanwhile, the government tried every possible means to settle the yumin, but the settlement programs such as numerous relief measures and tax-cutting policy were of little avail. the settlement practices were differed from region to region, and time to time, and by the nineteenth century they became reduced little by little, together with the general withering of relief program. In brief, the Joseon dynasty confronting the growing tendency of the number of yumin was deeply concerned for the problem so that the government tried to change the policy earnestly. However, it did not alleviate the suffering of the peasants and the fundamental measures was not prepared yet.

      • KCI등재

        염재 조희제와 『염재야록』

        변주승(邊柱承) 한국국학진흥원 2009 국학연구 Vol.15 No.-

        『염재야록』은 전북 임실의 유학자 조희제가 항일운동을 펼친 이들의 행적을 수록한 책이다. 조희제는 1938년 ?『염재야록』편찬 사실이 발각돼 임실경찰서로 끌려갔다가 집으로 돌아온 뒤 울분을 참지 못하고 자결했다. ?『염재야록』은 1950년에 석판 인쇄로 간행되었는데, 편집 과정에서 일부가 누락되기도 하고 일부 내용이 추가되기도 했다. 이후 누락된 부분을 보완하고 조희제가 작성한 일부 문건을 수록해 1990년에 영인 간행했다. 『염재야록』은 권6으로 구성되어 있다. 권1은 을미사변 전말과 유인석 등 의병장의 전기를 수록하고, 권2는 을사조약 전말과 민영환 등 충신의 행적을 수록했다. 권3은 1907년과 1908년의 의병전쟁을 개관하고, 민종식 등 의병장의 행적을 수록했다. 권4는 한일합방 전말과 이에 맞서 스스로 목숨을 끊거나 식민통치를 거부하며 은둔한 이들의 행적을 수록했다. 권5와 권6은 애국지사들이 작성한 상소문ㆍ격문 등을 수록했다. 이러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는 『염재야록』은 『매천야록』ㆍ『기려수필』과 함께 독립운동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Yeomjaeyarok written by Jo Hui-je, a Confucian in Imsil, Jeollabuk-do, traces the lives of those who waged anti-Japanese movement. In 1938, he was pulled along to the Imsil police station when he was found to have written the book. After he was released and came back home, he committed suicide out of unbearable resentment. In 1950, Yeomjaeyarok was lithographically printed. While editing it, some parts were omitted from or added to the original version. Later in 1990, the book was photoprinted, containing the parts omitted in the previous version and some documents by Jo Hui-je. Yeomjaeyarok is composed of six volumes. Volume 1 offers a full account of the brutal assassination of Queen Myeongseong and the biographies of the leaders of righteous armies called Uibyeong like Yu In-seok. Volume 2 covers the Treaty of 1905 and the lives of faithful subjects like Min Yeong-hwan. Volume 3 contains an overview of the 1907~1908 righteous armies movement and the lives of the leaders of righteous armies like Min Jong-sik. Volume 4 covers the Japan-Korea Annexation Treaty and the lives of those who killed themselves or chose a reclusive life in resentment against Japan's rule of Korea. Volume 5 and 6 contain leading dissidents' letters to the king. Yeomjaeyarok including all of these contents, along with Maecheonyarok and Giryeosupil, is considered an important material in research on the history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