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日帝强占期 古典唱劇 <金庾信> 檢閱臺本 硏究

        유춘동,김낙현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3 어문연구(語文硏究) Vol.51 No.2

        유춘동·김낙현, 2023, 일제강점기 고전창극 <김유신> 검열대본 연구, 어문연구, 198 : 315~328 이 글에서 검토한 것은 일제강점기 東一唱劇團에서 공연을 위해서, 사전에 조선총독부 경무국에 제출했던 古典唱劇 <김유신>의 검열 대본이다. 이 대본은 大東亞戰爭이 막바지에 이르렀던 1944년 11월에, 당시 연극계의 대표 극작가로 주목받았던 金健이 집필한 것이다. 한국 연극사에서 親日劇에 대한 연구는 공연 대본을 비롯한 관련 자료가 거의 남아 있지 않고, 여기에 참여했던 작가나 연출가가 내용 일체를 함구해 왔기 때문에 그동안의 연구는 제한적이었다. 창극 <김유신>은 1940년대 동일창극단에서, 음악과 무용을 가미한 소위, ‘신편 창극’이라 대내외적으로 홍보하며, 주요 레퍼토리로 공연되었던 작품이었다. 창극 <김유신>의 검열대본은 일제강점기 ‘친일극’의 실상을 보여주는 ‘공연대본’이자 ‘검열 대본’으로, 1944년 11월 6일에 당시 조선의 연극계의 핵심 기관인 조선연극문화협회를 통해서, 조선총독부에 제출되었다. 이 대본은 창극의 기획 의도, 창극 내용의 개관, 창극의 상세한 내용은 물론, 검열을 시행했던 조선총독부에서 이 창극에 대하여 어떠한 검열과 입장을 취했는지를 보여준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검열 대본의 실상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

        규장각 수탁본 학봉(鶴峯) 이명준(李明埈) 자료의 성격과 가치

        유춘동,우정훈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23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62 No.-

        In 2020, the Kyujanggak Institute of Korean Studie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received donations of various records collected by the late Hakbong Lee Myung-joon throughout his life. A total of 4,896 kinds of 9,283 books (points) were donated to Kyujanggak by his bereaved family. Among them, the ancient documents and modern literature are 7,628 books of 3,443 species, and this article examines the donated ancient documents of Hakbong Lee Myung-joon and the overall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modern literature. When the data are classified by the four-part classification method, it occupies the proportion in the order of the four-part classification method, including the four-part division, the housekeeping, the Gyeongbu, and other books. Among the ancient documents, rare books such as "Daeban Yabara Milda Sutra" are included. Modern literature is 1,757 books of 1,249 species, ranging from literature published in the modern period to books published until the 1990s. Among the modern literature, there are many rare modern literature materials such as Kim So-wol's Azalea Flower and the modern magazine Baekjo. Hakbong Lee Myung-jun was the 16th son of the Seonseong-gun family of Jeonju Lee Clan and served as the 10th to 11th chairman of the Seonseong-gun Daejonghoe. The data he collected through this history include various data related to the Seonseong-gun family, data related to the royal family of Joseon, and many related to the history of Joseon history. In addition, in the case of modern literature, important modern literary books, modern textbooks, modern magazines, and modern religious books were collected from literary history and publishers. The donated copy of Hakbong Lee Myung-joon was collected by the original owner while visiting old bookstores across the country. In particular, each data recorded a history of collection, and it is expected to be used in various fields of philology research in the future. In addition, since there are many rare copies of Hakbong Lee Myung-joon's donation, it will be used in various ways as basic data for research in fields related to Korean studies.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은 2020년에 학봉(鶴峯) 이명준(李明埈) 선생이 평생 동안 수집했던 장서(藏書)를 기탁 받았다. 이명준 선생은 전주(全州) 이씨(李氏) 선성군(宣城君) 가문의 16대 손으로서, 선성군 대종회의 10-11대 회장을 역임한 인물이다. 이러한 이력으로 그가 수집했던 자료는 선성군 가문과 관련된 직간접적인 자료, 특히 노저(鷺渚) 이양원(李陽元), 이능화(李能和) 선생 관련 자료, 조선 왕실(王室) 관련 자료, 조선사(朝鮮史)와 관련된 것들이 많다. 그리고 근대문헌의 경우, 문학사나 출판사(出版史)에서 중요한 근대 문학서적, 근대 교과서, 근대 잡지, 근대 종교 서적 등을 수집하였다. 이러한 기탁 자료의 총량은 4,896종 9,283책(점)이다. 이 글은 이 중에서 고문헌과 근대문헌인 3,443종 7,628책의 전반적인 특징과 의미 등을 살펴본 것이다. 고문헌은 사부분류법(四部分類法)으로 구분할 때, 사부(史部), 자부(子部), 집부(集部), 경부(經部), 기타(其他, 총서 포함) 순서이다. 고문헌 중에는 초조본(初雕本) 『대반야바라밀다경(大般若波羅密多經)』과 같은 희귀본이 포함되어 있다. 근대문헌은 1,214종 1,462책인데, 시기적으로 근대시기에 출간된 문헌에서부터 90년대까지 간행된 단행본 등으로 다양하며, 이중에는 김소월의 『진달래꽃』, 근대잡지 『백조』와 같은 근대문학 희귀본 자료가 다수 존재한다. 학봉 이명준 선생의 기탁 자료는 학봉 선생이 인사동을 비롯한 전국의 고서점을 찾아다니며 구입한 것인데, 각 자료에는 수집에 관한 이력을 자세히 기록해 놓았다. 이 기록은 문헌학 연구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아울러 학봉 이명준 선생의 기탁본은 희귀본이 많다. 차후에 한국학 관련 분야 연구의 기초 자료로서 다양하게 활용될 것을 보인다.

      • KCI등재

        일제강점기 지역 선전매체 "부세일반(府勢一般)"의 구성과 시각화 전략

        유춘동,이혜은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19 철학·사상·문화 Vol.0 No.30

        This study investigates the visu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local propaganda media "Buseilban(府勢一般)", which was periodically published in "Bu(府)", the representative administration district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Buseilban" was a propaganda medium showing that the entire Joseon was developed through Japanese colonial rule. The photos emphasized the fact that Japanese colonial rule modernized the city, education, and sanitation. By showing the numerical value of various statistics about the state of development, it made the public feel that Joseon actually developed. The historical and cultural data showed that the history of Joseon was re-recognized by Japan and assimilated with Japan. Through this visualization strategy of the "Buseilban", they made the public believe in the legitimacy of its colonial rule.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부(府)에서 정기적으로 간행되었던 지역 선전매체 <부세일반(府勢一般)>의 서술 방식, 이 책에 내재된 시각적 특성과 의미를 살펴보는데 목적을 둔다. <부세일반>은 일본의 식민 통치로, 조선이 비약적으로 발전했음을 대내외적으로 알리는 대표적인 선전매체였다. 이를 위해서 이 책은 사진과 통계, 역사문화 자료를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사진은 일본의 통치로 도시, 교육, 위생 분야에서 근대화되었음을 강조하고 있다. 각종 통계 자료는 조선이 발전했다는 모습을 수치로 보여줌으로써 일반인들에게 조선의 발전을 믿게 만들었다. 역사문화자료는 조선의 역사가 일본에 의해 재인식·보존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 일본에 동화되어야 한다는 필연성을 보여주었다. 이 연구는 이러한 <부세일반>의 전반적인 특성을 다루었다. 차후 <부세일반> 전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 이 책에 수록된 사진, 통계, 역사문화 자료에 대한 실질적인 정리가 필요하다. 이는 후속 과제로 넘긴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호남(湖南)의 한글 조리서, 음식보(飮食譜)의 보론(補論)

        유춘동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22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Vol.- No.40

        <Eum Sik Bo> is a pure Korean recipe book and is known to academia and the general public that it was written in the early 1700s. However, there are several missing facts to date and the process of introducing this book for the first time. In other words, it is the same as the owner of this book and the situation of transmission, the expulsion of the original book, and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original book. This book is the epitaph of Seokae Munjung of the Changaegongpa of Naju Pungsan Hong Clan. And this book was named Eum Sik Bo, but the original book says <Eum Sik Bo & Obokje Hapbu>. Therefore, this book should be called <Eum Sik Bo & Obokje Hapbu>. Previous studies focused on the contents related to the food contained in this book, and only dealt with the contents related to 'food' contained in this book. However, in addition to this content, this book contains a variety of things such as "Gwi Trading Company", "Obokje", and "Yutjeom". In order to understand the exact reality of this book, it is necessary to link it with this content. Previous studies saw this book as transcribed in the 1700s. However, the transcription period of this book can be confirmed in consideration of the transcription period of the text and the raw death date of the transcription. The manuscript of this book is Jinwon Oh, the uncle, and it is said that he transcribed it to Byeongja in his manuscript. Therefore, this book was first transcribed in 1756. And the book was later rewritten in 1805 when it was transferred to Jinju Jeong, the uncle of his daughter-in-law, Seok-ae's wife. Therefore, this book should be said to be the material of the Pungsan Hong Clan Naju Seokae family written in the 18th to 19th centuries. 음식보 는 학계와 일반인들에게 “1700년대 초반, 전라남도 광주광역시에서 만들어진 순 한글 조리서”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책은 처음 소개되는 과정에서 ‘음식/조리서’에만 초점을 두다 보니, 정작 이 책과 관련된 사항, 예컨대 소장자/소장처, 전래의 상황, 원 제목, 음식/조리 이외의 내용에 대해서는 알려지지 못했다. 이 글은 이러한 내용을 보완하고자 하는 취지에서 쓴 것이다. 먼저, 이 책의 원 소장자는 나주 풍산(豐山) 홍씨(洪氏) 창애공파(蒼崖公派) 석애문중(石崖門中)이다. 선행 연구에서는 소장자/소장처를 미상(未詳)이라고 했는데 이를 분명하게 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이 책은 ‘음식보’로 제명이 알려져 있지만 원 제목은 ‘음식보 오복제 합부(飮食譜五服制合部)’이다. 그리고 이 책은 ‘음식/조리서’로 알려져 있어 내용이 ‘음식/조리’만 기술되어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이 책에는 <귀거래사>, <오복제>, <윷점>, <가족에게 당부하는 글>과 같은 글들이 수록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이 책은 “1700년대 초반에 필사된 것”이라고만 알려져 왔다. 하지만 이 책의 본문을 보면 이 책의 필사자, 필사의 목적, 필사 시기 등이 적혀있어 관련 내용을 구체화할 수 있다. 이 책은 홍봉주(洪鳳周, 1725∼1796)의 모친인 숙부인(淑夫人) 진원 오씨(珍原吳氏)가 처음 책의 내용을 쓴 뒤에, 며느리 숙부인 진주 정씨(晉州 鄭氏)가 이어받아 다음 내용을 기술한 것이다. 문제는 그 시기가 언제인가 하는 것인데 책의 본문을 보면 ‘병자(丙子)’, ‘을축(乙丑)’이라고 되어 있다. 해당 시기는 문중의 가계(家系) 등을 고려한다면 1756년에 처음 필사된 뒤에 1805년에 다시 필사된 것이다. 따라서 이 책은 단순한 ‘음식/조리서’가 아니라, 18세기에서부터 19세기까지 양반사대부 한 집안 내의 시부모와 며느리 사이의 전승된 중요한 문화유산이라고 측면에서 이 책의 위상을 재평가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책의 성격, 제작 배경, 이 책에 수록된 ‘음식/조리’의 내용은 이러한 사실과 연계해서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일본 교토대학 소장, 세책 고소설의 서지적 연구

        유춘동 한국서지학회 2017 서지학연구 Vol.69 No.-

        This study deals with classical novels for rental which Kyoto University has in Japan. The classical novels for rental which Kyoto University has in Japan were collected by Kawai Hirodami [河合弘民, 1873-1918] from Gyeongseong (present Seoul) in 1907 when he was appointed as a teacher and assistant administrator in Gyeongseong Branch School of Dongyang Association Technical School. His collected editions we can find now are total 11 kinds and 28 pieces. He bought them in Ahyeon Book Rental Shop located in Ahyeon-dong of Gyeongseong (Seoul) then. The classical novels for rental include Geumhyangjeonggi, Gimssihyohaengrok, Namjeongpalnangi, Baekhakseonjeon, Samoksamjujeon, Janggukjinjeon, Jangbaekjeon, Janghanjeolhyogi, Jeonunchijeon, Jegalmuhujeon, and Jingsebitaerok, and among them, the originals of three kinds, Baekhakseonjeon, Jangbaekjeon, and Jegalmuhujeon, are only found in Kyoto University. The classical novels for rental in Kyoto University are not very different from rental books found in other book rental shops in Gyeongseong (Seoul) from the late 19th until the early 20th century in their looks. They give us a variety of information, for example, thick covers and inners used to bind the books to reduce damage while being rent, emptying one letter or two on the last line to prevent the damage of text, scribbles made by those renting the books, and information about the book rental shops. Therefore, we can say that the looks of the classical novels for rental existing then were quite typical. However, the rental books of Ahyeon book rental shops found in Kyoto University are characterized by that they brought banggakbon novels and bound and transcribed them as two to three pieces for rental. This reveals a crucial fact that those book rental shops made rental books on their own, but they also used banggakbon previously made to operate a book rental shop. This helps us understand their relationship with those making banggakbon who admitted the way. This study is going to deal with the contents in order. 이 글은 일본 교토대학[京都大學]에 소장되어 있는 세책 고소설(貰冊古小說)에 대한 연구이다. 이 세책 고소설은 가와이 히로다미[河合弘民, 1873-1918]가 1907년에 동양협회전문학교(東洋協会専門学校) 경성분교(京城分校)의 교사 겸 간사로 경성(서울)에 부임하여 체류하면서 수집했던 것이다. 현재 확인할 수 있는 세책 고소설은 11종 28책으로, 당시 경성(서울) 아현동에 있었던 아현세책점(阿峴貰冊店)에서 모두 구매했다. 세책 고소설은 『금향정기』, 『김씨효행록』, 『남정팔난기』, 『백학선전』, 『삼옥삼주전』, 『장국진전』, 『장백전』, 『장한절효기』, 『전운치전』, 『제갈무후전』, 『징세비태록』으로, 이 중에서 『백학선전』, 『장백전』, 『제갈무후전』은 현재까지 교토대학에서만 확인된다. 교토대학에 있는 세책 고소설은 19세기말에서 20세기 초, 경성에 있었던 다른 세책점의 세책과 외형적인 면에서 큰 차이가 없다. 하지만 아현 세책점의 세책본은 구활자본 고소설의 저본(底本)이 되었다는 점, 세책업자가 방각본(坊刻本)을 베껴 세책으로 만들어 사람들에게 대여했다는 점에서 특성이 있다. 교토대학의 세책 고소설을 통해서 세책점에서 독자적으로 세책을 제작하는 한편, 방각본을 활용하여 세책점을 운영했다는 중요한 사례를 볼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교토대학 소장, 세책 고소설의 서지와 특성 등을 다루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한글연행록의 수집 현황과 활용 방안

        유춘동 열상고전연구회 2016 열상고전연구 Vol.50 No.-

        이 글은 한글 연행록을 대상으로 한 공동연구에서, 지금까지 수집한 한글 연행록 자료의 현황과 차후 과제 및 활용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표를 둔다. 연행록은 그동안 임기중, 소재영, 김태준, 최강현, 조규익,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과 기타 연구자들에 의하여 꾸준한 자료 발굴과 그에 따른 연구가 이루어져 현재까지 대략 200여 편에 연구 성과가 제출된 상황이다. 연행록 연구의 대부분은 한문본 연행록을 대상으로, 연행록 제작자의 탐색, 연행의 과정, 연행록을 통해서 제시한 중국 체험의 양상, 연행록에 나타난 양국의 문화사 및 교류사, 연행록에서 볼 수 있는 공연 예술, 박지원(朴趾源)을 비롯한 북학파(北學派)들의 연행록의 특성 등을 다루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국내 연구자만이 아닌 중국학계와 일본학계에서 이루어진 연행록 연구의 성과가 더해지는 상황이다. 이처럼 그동안 연행록에 대하여 많은 성과가 있었다. 그러나 미흡한 부분은 ‘한글 연행록’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점이다. 한글 연행록으로 알려진 김창업의 『연행일기』, 홍대용의 『을병연행록』, 박지원의 『열하일기』를 제외하면 나머지 연행록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한글 연행록에 대한 연구가 이처럼 미진한 이유는 무엇보다 발굴된 자료의 양이 적은 탓도 있고, 자료에 대한 분석과 연구 방향이 충분히 논의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이러한 ‘한글 연행록’ 문제에 착안하여, 국내외 기관이나 도서관에 존재하는 한글 연행록을 발굴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그 결과 학계에 소개되지 않은 새로운 한글 연행록 자료도 확인할 수 있었고, 앞으로 이 자료를 어떻게 다루어야 할 것인지에 대한 방향도 생각해 보았다. 이 글은 이러한 내용들을 다룬 것으로, 먼저 그동안 확보했던 자료들을 제시하고, 차후 이 자료들을 특히 고전문학사, 구비문학사, 국어사에서 각각 어떻게 활용하고 연구할 것인가를 제시해 보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current status of Hangul Yeonhaengrok(燕行錄) materials collected up until now in collaborative research on Hangul Yeonhaengrok and what to be dealt with and how to use them afterwards. Yeonhaengrok materials have been constantly discovered and released by Im Gi-jung, So Jae-young, Kim Tae-jun, Choi Gang-hyeon, Jo Gyu-ik, Daedong Institute of Korean Studies, and other individual researchers. Based on that, a lot of study results of up to 200 theses have been submitted so far. Most of the research has focused on Chinese character-edition Yeonhaengrok to figure out the meaning of yeonhaeng, history of culture and history of exchange between the two countries found in Yeonhaengrok, aspects of experience in China through yeonhaeng, performing art found in Yeonhaengrok, and also the characteristics of Yeonhaengrok written by Bukhakpa(北學派) including Pak Ji-won(朴趾源). Also, lately, research on Yeonhaengrok conducted by academic circles in China and Japan is being added as well. There have been a lot of study results on Yeonhaengrok, but unfortunately, not much research on ‘Hangul Yeonhaengrok’ has been performed yet. Among the Hangul Yeonhaengrok, aside from Kim Chang-eop’s 『Yeonhaengilgi』, Hong Dae-yong’s 『Eulbyeong Yeonhaengrok』, and Pak Ji-won’s 『Yeolhailgi』, the rest have hardly been studied so far. Research on Hangul Yeonhaengrok is not enough like that because the materials discovered are few, and above all, it has not been fully discussed how to analyze and study those materials. Noticing such problems of ‘Hangul Yeonhaengrok’, this author studied the current status of Hangul Yeonhaengrok existing in both Korean and overseas institutions and libraries. As a result, this researcher has found there are Hangul Yeonhaengrok materials not yet introduced to academic circles and also how to deal with those materials afterwards. This study is going to handle the contents. First, this author will present the materials that have been secured and also how to study and utilize those materials afterwards especially in terms of history of classical literature, history of oral literature, or history of Korean.

      • KCI등재

        『一樂亭記』의 異本, 『徐卿忠孝誌』 硏究

        유춘동,이대형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8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6 No.2

        This article deals with the Characteristic and meaning of Seogyeongchunghyoji, The Different Versions of Iillagjeonggi. This novel was only known for the title, but it has not been confirmed As a result of reviewing Seogyeongchunghyoji, It was the same as the Classic novel Iillagjeonggi and New possibilities for novel distribution can also be. There are three species of Iillagjeonggi known to date. This novel is largely classified into Kyujanggakbon(奎章閣本) series and Kim Dongwookbon(金東旭本)/Kangjeonsupbon(姜銓燮本) series. The Seogyeongchunghyoji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two series. Therefore, the Iillagjeonggi can not be determined only by two series, but can be divided into at least three series. Next,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this novel was called as Iillagjeonggi or Seogyeongchunghyoji from the beginning. It is not easy to find out the name of Iillagjeonggi in the list of the existing novels or in the bibliography of Maurice Kouran, but we can see more Seogyeongchunghyoji. Considering this point, it is more likely that this novel was called Seogyeongchunghyoji. In this article, we discussed these issues in turn. 이 글은 새로 發掘한 長篇 漢文小說 『一樂亭記』의 異本 『徐卿忠孝誌』의 性格과 意味를 살펴본 것이다. 자료 검토를 통해서 확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서경충효지』는 장편 한문소설 『일락정기』와 同一 작품이며, 題名을 다르게 불렀던 것임을 확인했다. 둘째, 이 자료의 筆寫者와 筆寫 時期는 裏面에 있는 日記를 통해서 1850년대 公州에 居住했던 坡平 尹氏 윤상열 집안의 人物이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서경충효지』와 『일락정기』의 검토를 통해서 지금처럼 『일락정기』를 두 계열로만 볼 수 없고, 적어도 세 계열 이상의 이본이 존재했으며, 두 계열을 아우르는 先本/善本의 존재도 생각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일락정기』와 『서경충효지』의 先後 문제, 처음 命名한 작품의 題名을 推論해 보았다. 현재로서는 이 문제의 結論을 내릴 수 없었다. 하지만 『서경충효지』의 서문에서 필사자가 ‘일락정기’가 의미하는 내용을 지운 것이나 『일락정기』와의 관계 등을 본다면 『일락정기』라는 제목을 처음에 쓰다가 후대에 와서 『서경충효지』로 改名되어 사람들에게 읽혔던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한창기 선생이 수집했던 조선시대 출판문화 관련 자료들

        유춘동 열상고전연구회 2014 열상고전연구 Vol.41 No.-

        이 글은 한창기 선생이 수집했던 조선시대 출판문화와 관련된 자료 중에서, 경판본 고소설 『월왕전』의 책판, 언문반절표의 책판, 다양한 서목이 기재되어 있는 책가도, 책을 보관했던 책궤, 액막이를 위한 부적 책판을 검 토하면서 이 자료들이 지닌 의미를 다루어 보았다. 경판본 『월왕전』의 책판은 총 여섯 판이 남아있는데, 현재까지 알려진 경판본의 책판으로는 유일하다. 이 책 판에는 “油洞新刊”이라는 간기가 새겨져 있어, 현재 을지로 부근으로 추정되는 지역의 경판본 방각소였던 유동 에서 책판이 제작되고 간행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 책판은 경판본 『월왕전』<3권3책(63장본)>의 <하 19장>의 책판으로 확정할 수 있다. 언문반절표의 책판은 삼성출판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책판만 확인되었는데, 이 박물관에도 소장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책판은 간기 부분이 지워져 있어서 정확한 제작연대를 알 수 없지만 정축신간반절표(丁丑 新刊反切表, 1877)와 기축신간반절표(己丑新刊反切表, 1889)가 간행되었던 무렵에 제작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여덟 폭으로 구성된 책가도에는 당시에 인기 있었던 28종 책들을 기재해 두었던 것이 특징이다. 이 서목에는 사서삼경 이외에 『삼국지』, 『수호전』, 『서상기』와 같은 중국소설이 존재한다. 책가도를 통해서 중국소설이 인기등을 시각적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책궤를 통해서는 상층 사대부 집안에서 책이 어떻게 보관되고 관리되 었는지를 살펴보았다. 박물관에는 삼두매 부적 책판이 소장되어 있다. 이 부적은 삼재(三災)를 막아주는 액막이로 현재까지도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이 책판은 삼두매 부적의 제작 과정, 기원과 역사를 가늠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is writing examines prints of Seoul wood block printed book ‘Wolwangjeon’, prints of the Korean alphabet, scholar's accoutrements listing various book titles, book boxes storing books and prints of talisman preventing misfortune among materials related to the publishing culture of the Joseon dynasty collected by the scholar, Han Chang-gi, to review their significance. The summary of the content covered is as follows. A total of six prints of Seoul wood block printed book ‘Wolwangjeon’ remain, which are confirmed to be the only prints of Seoul wood block printed book known so far. This prints have an imprint of “YuDongShinGan( 由洞新刊)” to show that they were produced and published by a Seoul wood block printed book publishing company “YuDong(由洞)” located near current Euljiro. These prints were determined to be the second 19 chapter of the 63 collection of books upon review and Hannambookstore(翰南書林) took over the prints after to continue to publish them until the early part of Daejeong Yeongan. The prints of the Korean alphabet were the prints housed in Samsung Museum of Publishing so far with new discovery of prints owned by the museum. These prints had the imprint erased failing to reveal an exact date of production. However, they are estimated to date back to Jeong Chuk Shin Gan Alphabet Table(1877) and Gi Chuk Shin Gan Alphabet Table(1889) that include imprints and carry similar content and formats. The 8-fold scholar's accoutrements notably list 28 books that were popular at that time. The book titles include the seven Chinese classics that were the required reading for the learned as well as Chinese novels such as the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Su Ho Jeon and the Story of the Western Wing. The books listed in the scholar's accoutrements demonstrate the popularity of Chinese novels at that time in a factual and visual manner. Additionally, the scholar's accoutrements show how books were maintained and stored in a family of noble class back then. The museum also possess SamDu(三頭) Mae prints of talisman in the Korean alphabet. This talisman was widely used by people of that time to prevent three kinds of misfortune. Only books in print were found so far while these prints provided new information related to how they were publish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