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ffect of Aniseikonia Induced by a Size Lens on Contrast Visual Acuity and Stereo Acuity and Eye-hand Coordination

        Ju-yeong Park,In-Chul Jeon 대한시과학회 2020 대한시과학회지 Vol.22 No.4

        목적 : 사이즈렌즈를 이용한 유발부등상시가 대비시력과 원·근거리 입체시, 눈과 손의 협응성에 미치는 영향 을 파악하고자한다. 방법 : 20~30대 일반인 30명을 대상으로 사이즈렌즈의 2, 4, 6%의 배율에 따른 고대비 및 저대비시력, 원거 리 입체시력, 근거리 입체시력을 측정하였다. 대비시력은 란돌트환으로 구성되어 있고 LogMAR 시력을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시표의 대비에 따라 고대비(100%) 및 저대비(25, 10%) 시력으로 나누었다. 원거리 입체시는 세막 대 검사를 이용하였으며, 근거리 입체시는 Random dot tes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눈과 손의 협응성은 t-wall 을 모티브로 제작한 기기를 이용하였다. 결과 : 대비시력은 2% 부등상시 유발 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4, 6%의 부등상시 유발 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감소하였다(p<0.050). 대비시력은 부등상시도가 증가할수록, 대비도가 저하될수록 감소폭이 크게 나타났다. 원·근거리 입체시는 2%의 부등상시를 제외한 4, 6%의 부등상시 유발 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감소 하였다(p<0.050). 눈과 손의 협응성은 부등상시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050). 결론 : 부등상시가 증가함에 따라 대비시력, 입체시 그리고 눈과 손의 협응성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임상에서 안경사가 부등시를 처방할 때 부등상시를 고려해야 한다. 그러나 미관을 고려하여 처방이 기피되는 경우 배율의 차이를 최소 2% 이내로 유도해야한다. 이를 통해 부등상시에 의해 생길 수 있는 일상 시 생활의 저하 요인 을 예방하여 시 생활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에 보탬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unequal vision induced by a size lens on contrast visual acuity, and distance and near stereo acuity. Methods : Thirty people in their 20s and 30s were involved to measure for high and low contrast visual acuity, distance stereo acuity and near stereo acuity according to the magnification of 2, 4, and 6% of the size lens. Contrast visual acuity composed of a Randolt ring was measured using LogMAR visual acuity, and it was divided into high contrast (100%) and low contrast (25, 10%) visual acuity according to the contrast of the target. The distance stereo acuity was measured using a three-rod test, and the near stereo acuity was measured using a random dot test. For eyehand coordination, a device made with a t-wall as a motif was used. Results : Contrast visual acuity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after 2% aniseikonia induction, bu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nd a decrease at 4 and 6% aniseikonia induction (p<0.050). Contrast visual-acuity decreased significantly as the degree of aniseikonia increased, and as the degree of contrast decreased. The distance and near stereo-acuit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nd decreased when the aniseikonia of 4 and 6% was induced, except for the aniseikonia of 2% (p<0.050). Eye-hand coordination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aniseikonia (p<0.050). Conclusion : It was identified that as the aniseikonia increased, contrast visual-acuity, stereo-acuity and the capability of eye-hand coordination were decreased. In clinical practice, aniseikonia should be considered when an optician prescribes aniseikonia. However, if the prescription is avoided in consideration of aesthetics, the difference in magnification must be induced to within 2%.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it will contribute to improving the health and quality of life by preventing the factors deteriorating daily life that can be caused by aniseikonia.

      • KCI등재

        중증 뇌병변 장애학생의 기능체력 향상 운동프로그램 적용효과

        김인애 한국특수체육학회 2020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8 No.3

        This study aimed at identifying the effects of the improving Functional Fitness program, which targeted at the students with severe brain lesions. We also purposed to provide the effective the exercise program for people with brain injury. For this reason, we modified the program after preliminary application of the functional fitness program on selected 5 subjects with severe brain lesions targeted. Further 18 sample(experimental 9, control group 9) were applied for twice weekly each 90 min for 18 weeks. For examining the functional fitness we measured the pinch strength as muscular performance, goniometer regarding elbow extension, forearm supination, shoulder rotation, knee extension as flexibility, finger to nose as coordination, modified functional reach as balance. Collected data were conducted to the analysis of interaction effects in two way repeated measure ANOVA. Overall it showed that muscular performance, flexibility(Forearm supination), coordination and balance hav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p<.05). The elbow extension, shoulder rotation and knee extension did not show to hav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p>.05). Functional fitness exercise programs must include activities that can increase flexibility, and various exercise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to satisfy the desire of severe brain lesion disorders. 본 연구는 중증 뇌병변장애인을 대상으로 개발된 기능체력 향상 운동프로그램(김인애, 김권일, 2020)의 적용 효과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중증 뇌병변 장애학생에게 효과적인 운동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중증 뇌병변 장애학생 5명을 대상으로 기능체력 향상 프로그램을 예비 적용하여 활동을 수정·보완하였으며, 중증 뇌병변 장애학생 18명(실험집단 9명, 통제집단 9명)을 선정하여 주 2회 90분씩 18주간 기능체력 향상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기능체력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된 검사로 근기능은 파악력(pinch strength), 유연성은 팔꿈치 신전, 전완 뒤침, 어깨 회전, 무릎 신전에 대한 관절가동범위(goniometer), 협응성은 손가락-코 짚기(finger to nose), 평형성은 기능적 팔 뻗기(modified functional reach)이다. 수집된 자료는 이원반복측정분산분석(Two-way repeated measure ANOVA)을 실시하여 집단 및 시기에 대한 상호작용 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근기능, 유연성(전완 뒤침), 협응성, 평형성은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으나(p<.05), 유연성 중 팔꿈치 신전, 어깨 회전, 무릎 신전은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따라서 중증 뇌병변 장애학생의 기능체력 향상 운동프로그램에 유연성을 강화할 수 있는 활동이 포함되어야 하며, 중증 뇌병변 장애학생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더욱 다양한 운동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반응 신경계 훈련이 초보 골퍼의 피치샷 정확성과 머리-클럽 헤드 협응성에 미치는 영향

        안종성 ( Jongseong An ),이승민 ( Seungmin Lee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8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9 No.1

        목적: 본 연구는 관성 과부하 원리를 활용한 반응 신경계 훈련에 따른 초보 골퍼의 머리와 클럽 헤드의 협응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중심축 이동 현상이 주로 나타나는 골프 입문자를 대상으로 골프 피치샷을 실험과제로 선정하였다. 반응 신경계 훈련 집단은 7kg 클럽벨을 활용하여 관성 과부하 동작을 피치샷 연습과 병행하여 실시하였으며, 최소 관성 부하 훈련 집단은 400g 아동용 T-배트를 적용하여 관성의 부하 정도를 최소한으로 제한하여 피치샷 연습과 병행하였다. 통제 집단은 별도의 추가적 훈련 없이 피치 샷 연습만을 수행하였다. 골프 수행력 평가는 피치 샷 정확성 점수판을 활용하였으며 3차원 영상 분석을 통해 머리의 좌우 이동 거리, 그리고 머리와 클럽 헤드의 상관계수를 도출하였다. 결과: 전반적으로 반응 신경계 훈련 집단이 비교 집단에 비해 우수한 수행력을 보였으며, 머리의 좌우 이동 거리와 머리-클럽 헤드의 협응 관계에서도 반응 신경계 훈련 집단이 월등히 향상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논의: 동작의 오류 극대화를 통해 올바른 협응 구조를 유도하는 반응 신경계 훈련은 운동 기술 학습의 새로운 접근법이다. 앞으로 더욱 창의적이고 다양한 반응 신경계 훈련을 통하여 자기주도 학습 환경을 제안하는 많은 후속 연구를 기대한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reactive neuromuscular training on head and clubhead coordination using inertia overloading. Methods: RNT has been shown to exaggerate performer error. To create a self-learning environment from these exaggerations, beginner golfers who had difficulty with head sway during golf pitch shots were selected as study participants. A 7kg clubbell was used for inertia overloading in the RNT group, whereas a 400g plastic T-bat was used for the minimum inertia loading(MIL) group. Both the RNT and MIL groups performed golf pitch shot practice combined with their respective inertia loading task. Control group practiced their golf pitch shot and did not receive any additional training. For data analysis, a pitch shot accuracy evaluation tool was utilized and 3-D motion analysis was used to calculate the head movement and head-clubhead coordination. Results: Golfers in the RNT group showed the most improvement in head movement and head-clubhead coordination and subsequently demonstrated better accuracy in their retention tests. Conclusion: The concept of RNT exaggerating performer error, is novel approach in motor skill learning. we expect to conduct many follow-up RNT studies to create self-learning environments in a variety of sports field.

      • KCI등재

        반응 신경계 훈련이 초보 골퍼의 피치샷 정확성과 머리-클럽 헤드 협응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심리학회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8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9 No.1

        목적: 본 연구는 관성 과부하 원리를 활용한 반응 신경계 훈련에 따른 초보 골퍼의 머리와 클럽 헤드의 협응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중심축 이동 현상이 주로 나타나는 골프 입문자를 대상으로 골프 피치샷을 실험과제로 선정하였다. 반응 신경계 훈련 집단은 7kg 클럽벨을 활용하여 관성 과부하 동작을 피치샷 연습과 병행하여 실시하였으며, 최소 관성 부하 훈련 집단은 400g 아동용 T-배트를 적용하여 관성의 부하 정도를 최소한으로 제한하여 피치샷 연습과 병행하였다. 통제 집단은 별도의 추가적 훈련 없이 피치 샷 연습만을 수행하였다. 골프 수행력 평가는 피치 샷 정확성 점수판을 활용하였으며 3차원 영상 분석을 통해 머리의 좌우 이동 거리, 그리고 머리와 클럽 헤드의 상관계수를 도출하였다. 결과: 전반적으로 반응 신경계 훈련 집단이 비교 집단에 비해 우수한 수행력을 보였으며, 머리의 좌우 이동 거리와 머리-클럽 헤드의 협응 관계에서도 반응 신경계 훈련 집단이 월등히 향상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논의: 동작의 오류 극대화를 통해 올바른 협응 구조를 유도하는 반응 신경계 훈련은 운동 기술 학습의 새로운 접근법이다. 앞으로 더욱 창의적이고 다양한 반응 신경계 훈련을 통하여 자기주도 학습 환경을 제안하는 많은 후속 연구를 기대한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reactive neuromuscular training on head and clubhead coordination using inertia overloading. Methods: RNT has been shown to exaggerate performer error. To create a self-learning environment from these exaggerations, beginner golfers who had difficulty with head sway during golf pitch shots were selected as study participants. A 7kg clubbell was used for inertia overloading in the RNT group, whereas a 400g plastic T-bat was used for the minimum inertia loading(MIL) group. Both the RNT and MIL groups performed golf pitch shot practice combined with their respective inertia loading task. Control group practiced their golf pitch shot and did not receive any additional training. For data analysis, a pitch shot accuracy evaluation tool was utilized and 3-D motion analysis was used to calculate the head movement and head-clubhead coordination. Results: Golfers in the RNT group showed the most improvement in head movement and head-clubhead coordination and subsequently demonstrated better accuracy in their retention tests. Conclusion: The concept of RNT exaggerating performer error, is novel approach in motor skill learning. we expect to conduct many follow-up RNT studies to create self-learning environments in a variety of sports field.

      • KCI등재

        중고령 여성의 게이트볼 참여자의 체력에 관한 연구

        박일규,배영훈 한국자료분석학회 2008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0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that middle-and-old women's playing gateball has on physical strength. For this, with 80 middle-and-old women who have played gateball three times a week for five years and their counterparts who hardly do exercis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analyzed using t-test after selecting 14 items of seven fields of strength. The findings show that the exercise group tends to have greater physical strength in terms of all the items. First, for muscular strength, all women in their pre 61-65s and 70s of the exercise group have greater grip strength; all women in their 60s and pre 71-75s of the same group have greater back strength. Second, for muscular endurance, all women of the exercise group could bend the upper arm better; all women in their 60s and post 76-80s of the same group could stand and sit from a chair better. Third, for agility, all women in their 70s of the exercise group recorded less foot reaction time, while women in their post 76-80s of the comparison group recorded shorter bar reaction time. Fourth, women in their pre 61-65s and pre 71-75s of the exercise group showed more flexibility in raising an arm. Fifth, women in their pre 61-65s of the exercise group balanced well on one leg with eyes open, and all women of the same group could stand stretching a leg forth better. Sixth, for coordination, all women of the exercise group could get up from a supine position better; women in their 70s of the comparison group were better in walking around two chairs in a figure of 8. Lastly, for cardiovascular respiratory endurance, women in their pre 61-65s and post 76-80s of the exercise group could hold breath longer, and all women of the same group showed higher vital capacit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by age using one-way ANOVA, physical strength decreases with age. However, the exercise group has been found to be stronger physically than the comparison group. It shows that constant exercise helps slow the weakness of physical strength. 본 연구는 중고령 여성의 게이트볼 운동이 체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5년 이상 주 3회 게이트볼 게임을 실시하고 있는 중고령 여성 80명과 운동을 하지 않은 중고령 여성 80명 전체 160명을 대상으로 체력 7개영역 14항목을 선정하여 집단간의 차이를 t-tes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근력에서 악력은 61-65세군과 70대 전체, 배근력은 60대 전체, 71-75세군에서, 근지구력에서 상완굴 신력은 전체가 의자에서 일어섰다 앉기는 60대 전체, 76-80세군에서 운동군이 높다. 민첩성에서 봉반응시간은 76-80세군에서 비교군이 높았으며, 발반응시간은 61-65세군, 70대 전체에서 운동군이 높다. 유연성에서 팔 들어올리기는 61-65세군, 71-75세군에서 운동군이 높다. 평형성에서 눈뜨고 외발서기에서 61-65세군, 서서 두발 앞으로 뻗기에서 전체 운동군이 높다. 협응성에서 누운 자세에서 일어나기 전체는 운동군이 8자보행 70대는 비교군이 높다. 심폐지구력에서 숨참기는 61-65세군, 76-80세군, 폐활량은 전체가 운동군이 높다. 연령별에 대한 차이를 one-way ANOVA,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연병별에 대한 차이에서는 전체적으로 연령이 늘어날수록 체력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운동군은 비교군에 비해 체력이 높은 것으로 꾸준한 운동은 체력의 저하를 늦추어주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한국 교육발전경험에 대한 KEDI 보고서 분석연구

        이종규,장지순 한국교육개발원 2015 한국교육 Vol.42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ppropriate elements and meaningful implications in the field of international education cooperation. Design/Methodology/data/Approach: The authors explored three research questions, using data from the KEDI policy report and the ODA consulting panel of P national university. First, the study investigates elements within the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experience that can be appropriately applied in developing countries. Second, identifies cultural themes through a semantic relationship analysis from the data discovered in the first question. Third, the meanings and the nature of the cultural themes are explored to get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theme. Findings/Results: Four concepts were identified as appropriate elements in the contents analysis: respect for the teacher, egalitarianism, a sequential bottom-up approach and cooperative correspondence. Additionally, the New Village Movement and the National Education Charter were additional elements deemed to be appropriate concepts for application based on peer review. In the analysis of cultural themes, a middle-range theory was developed as an “effective means of building national consensus through promotional efforts.” In the hermeneutic dialectic analysis, the cultural themes were interpreted as a “consciousness of crisis” and a “historical recovery of education.” Effectively building national consensus through promotional efforts was identified as a key concept for developing countries’ educational development. Value: The value of this study is that it can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developing countries in terms of their education and national development strategies. 이 연구는 개발협력에서 적극 활용하고 있는 한국의 교육발전경험이 개발도상국에 함의를 주는 요인은 무엇인지를 KEDI 보고서 분석을 통해 검토하였다. 개발도상국에 필요한 한국의 교육발전경험 중에서 현지에 적합한 적정기술과 같은 개념을 발견하기 위해 단어의 빈도 및 인과관계를 분석하는 내용분석, 이를 기반으로 민족지학(ethnography) 방법의 일부인 범주분석, 언어적 분석을 통한 문화주제 도출, 그리고 전문가 토의를 통해 한국교육경험의 의미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추구하였다. 연구 결과 “국가주도” 등 여덟개의 개념을 발견하였다. 개념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압축 성장”이 최종개념이 되고 나머지 개념은 그에 연계되는 인과관계에 있었다. 그리고 도출된 문화주제는 “발전에 대한 공감의 효과적 주도”였고, 이를 현상학적으로 해석하면 “위기의식”과 “역사적 회복”으로 이해되었다. 그리하여, 개발도상국에 대한 현지적합요인으로 볼 수 있는 개념은 “교원우대, 평등주의, 순차상향접근 및 협응성”으로 판단되었고, 동료검토에서는 “새마을 운동”과 “국민교육헌장”이 두 개념을 보충하는 요소로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문화주제 분석에서 도출된 “역사적 회복”과 “위기의식”도 개도국이 응용 가능한 개념으로 분석되었다. 다만, 문화주제로 제시된 “발전에 대한 공감의 효과적 주도”라는 개념은 교육발전경험을 개발협력에 적극 활용하고 기여하기 위해서는 향후 일반이론(grand theory)으로 정교화 하기 위해 추가연구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피겨 스케이팅 선수의 동적 균형 기능, 근 신경 협응력 및 하지 근 파워가 스텝 시퀀스 수행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안나영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24 코칭능력개발지 Vol.26 No.5

        본 연구의 목적은 피겨 스케이팅 선수들의 피겨 스케이팅의 경기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동적 평형성, 근 신경 협응력, 하지 근 파워를 측정하여 실제 시합 시의 스텝 시퀀스의 기술수행을 분석하여 체력과 경기력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 대상자는 피겨 스케이팅 선수 11명이었다. 연구방법은 Y-Balance test(YBT), 소리 반응 시간, 버티컬 점프 스쿼트, 원 레그 스쿼트 등을 측정하였으며, 전국규모대회의 스텝시퀀스 점수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평균 연령 17세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의 스텝 시퀀스 점수는 평균 4.99±0.66 점 이었으며, 스텝 레벨은 평균 3.85±0.15로 나타났다. YBT 결과 왼쪽다리는 83.93±4.32, 오른쪽 다리는 84.45±3.98로 나타났으며 양쪽 다리 모두 스텝 시퀀스와 유의하게(p<.05) 정적 관련성을 있어 평형성 유지는 스텝 시퀀스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리 반응 시간도 스텝 시퀀스와 유의하게(p<.05) 역상관이 나타나 스텝 시퀀스 점수가 높을수록 소리반응이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피겨 스케이팅 선수들은 스텝 시퀀스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근신경 훈련 및 반응시간등의 훈련을 통하여 근파워, 평형성 및 협응성을 향상시켜 전체적인 경기력을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nhance the competitive performance of figure skaters by measuring dynamic balance test, neuromuscular coordination, lower limb muscle power and analyzing the technical elements of steps sequence during actual competition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fitness and performa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1 figure skaters. The research method measured the Y-Balance test (YBT), sound reaction time, vertical jump squat, and one-leg squat, and analyzed the step sequence score of the national competi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mean step sequence score of figure skaters with an average age of 17 was 4.99±0.66 points, and the step sequence level was 3.85±0.15 on average. The Y Balance test (YBT) results indicated that the left leg scored 83.93±4.32, and the right leg scored 84.45±3.98, showing a significant (p<.05) correlation between balance maintenance and step sequence performance for both legs. Additionally, there was a significant (p<.05)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tep sequence performance and sound-reaction time, indicating that higher step sequence scores were associated with faster sound-reaction time. Therefore, to improve the overall performance of figure skaters by enhancing step sequence proficiency, it is necessary to improve neuromuscular training, reaction time, and coordination through training.

      • KCI등재

        심리운동을 통한 운동협응성 중재가 발달협응성장애를 보이는 지적장애 아동의 협응성 및 적응행동 향상에 미치는 영향

        송호준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3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2 No.4

        발달협응성장애는 지적장애 아동을 비롯한 대다수 장애 아동에게 흔히 보이는 공존 장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애의 고유 특성으로 파악돼 교육과 치료의 우선 순위에서 빠지기 쉽다. 하지만 발달협응성장애는 지적장애 아동의 정서 행동 발달에 중요성을 갖는다. 본 연구는 발달협응성장애를 보이는 지적장애 아동에게 심리운동을 통한 운동협응성 중재를 실시하였을 때, 지적장애 아동의 협응성 및 적응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것으로, 발달협응성장애를 보이는 3명의 지적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심리운동을 통한 협응성 중재를 주 2회기 60분씩 총 32회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로 아동의 행동을 회기별로 관찰하고, 협응성 및 적응행동의 변화를 기록하고 아동별로 행동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심리운동을 통한 운동협응성 중재가 발달협응성장애를 보이는 지적장애 아동의 협응성과 적응행동에도 긍정적 변화를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심리운동을 통한 협응성 중재 프로그램에 고안된 동작(점프, 뒤로 걷기, 팔돌리기 등)과 교구(리본, 호스, 패달로)가 협 응성 향상에 도움을 주었고, 또한 협응성 향상이 수업참여 및 수업방해 행동의 감소에 유의한 효과를 주었다. 하지만, 본 연구는 단일사례 연구로 일반화에 한계를 가지며, 앞으로도 장애 특성뿐만 아니라 발달협응성장애를 고려한 운동 교육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DCD) is characterized by being detected its prevalence Mental Retardation Children and may negatively affect on emotional behavior development of the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effects of Psychomotor using Coordination Intervention, which was designed to take body motion(sergeant jump, back-walk, swing arm around, et al) and using teaching tools(pedelo, hose swing with sound, gym-ribbon, et al) for Three Mental Retardatio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Motor Coordination and adjustment Behaviors who participated in a total of 32 sessions running for 60 minutes twice a week. This study used a multiple probe across participants design and average and range was measured in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The data were suggested optically with graph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as follows: First, Psychomotor using Coordination Intervention programs were effective to increase the motor coordination for the Mental Retardatio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Motor. Second, Psychomotor using Coordination Intervention programs were effective to increase the adjustment Behaviors for the Mental Retardatio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Motor.

      • KCI등재

        ADHD 아동의 운동협응성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송호준,최은영,홍영근,양일모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0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9 No.3

        본 연구는 과잉행동으로 병원, 클리닉 및 복지관에 의뢰되어 과잉행동의 중재를 받고 있는 102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ADHD 평가척도(K-ARS), 아동운동성평가(MABC-2체크리스트), 정신건강평가(강점ㆍ난점 체크리스트)를 활용하여 연령에 따른 운동협응성과 정신건강의 상관 및 각 영역들간의 상관을 알아보고 ADHD 아동의 운동협응성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ADHD 연령증가에 따라 운동협응성의 향상은 보이지 않았고, 정신건강과도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또한 아동의 운동협응성 및 정신건강의 하위 영역은 대체로 높은 상관을 보였지만, 친사회성과 과잉행동 및 부주의, 자조기술과 부주의는 상관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운동협응성의 하위 영역 중 공기술과 교실 내 자조기술이 정신건강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ADHD아동의 운동협응성은 정신건강과 상관을 갖고, 정신건강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요약된다. 본 연구를 통해 학령기 및 아동 전기의 교실 내 자조기술 평가가 필요하고, 운동협응성의 영역 중 공기술이 정서에 많은 영향을 주는 바, 운동특성에 따른 치료적 요인에 대한 구체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제언할 수 있다. This research was studied on 102 children who were requested to hospitals, clinics and community in relief centers for intervention on ADHD. Relations between motor coordination by age, mental health and each domain were examined using the Korean ADHD rating scales (K-ARS), the children movement assessment (MABC-2 checklist),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strengths and difficulties questionnaire(SDQ-Kr). Also, factors that motor coordination affects ADHD children’s mental health were examined. From the research, improvement of motor coordination by growth was not found nor relation with mental health. Children’s motor coordination and low domain of mental health are highly related, but relation between prosocial behavior and hyperactivity, and inattention was not found nor relation between self-skill and inattention. Especially, ball skill of motor coordination’s low domain and self-skill in classroom are the variables that effect on mental health. To conclude, this study can be summed up that motor coordination of ADHD children is related to mental health, and it affects mental health. This study propose that evaluation on self-skill of school age childhood and pre-childhood in classroom is needed as well as more detailed study on Therapeutic factor on Motor Characteristics since ball skill of motor ability influences emotions a lot.

      • KCI등재

        유도조르기 기술에 의한 온목동맥 차단이 심박수, 안면 혈류변화 및 인지ㆍ협응성 능력에 미치는 영향

        조인호,박정배,김석규,전승훈,정현택,김창근 한국운동과학회 2003 운동과학 Vol.12 No.3

        조인호, 박정배, 김석규, 전승훈, 정현택, 김창근 유도조르기 기술에 의한 온목동맥 차단이 심박수, 안면 혈류변화 및 인지ㆍ협응성 능력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제12권 제3호, 399-406, 2003. 유도의 조르기 기술은 (choking technique)은 올림픽 종목 중 연습이나 시합상황에서 많이 사용되는 기술로 상대방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조르기 동작이 유일하게 인정되는 종목의 기술이다. 그러나 이 기술은 유도 연습이나 시합 상황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 연구는 조르기 기술의 잠재적인 위험요인들을 구명하기 위하여 유도선수 6명을 대상으로 조르기 시 안면온도의 변화 및 실신 전, 후의 인지능력과 협응성 능력의 변화정도를 관찰하였다. 이 연구에서 실신 때 까지의 조르기 시간은 평균 17.5±2.2초 였으며 심박수가 안정 시 수준으로 회복될 때 까지의 시간은 45.1±11.0초, 그리고 실신 시 안면온도는 안정시보다 약 0.8℃ 감소되었다. 한편 실신 후 심박수가 안정 시로 되돌아온 직 후 측정한 인지능력은 유의하게(p<.05) 감소하였으며 협응성 능력 역시 유의한 수준은 아니지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본다면 조르기 기술은 성장기의 어린선수들에게 더 큰 인지적 손상을 초래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선수들뿐만 아니라 현장의 지도자들 역시 조르기 기술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잠재적인 대뇌의 손상에 대하여 심각하게 인식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Cho, I.H., Park, J.B., Kim, S.K, Jeon, S.H., Chung, H.T., Kim, C.K. The effect of occulusion of carotid artery by choking technique on heart rate, facial temperature, recognition and coordination in judoka. Exercise Science, 12(3): 399-406, 2003. Choking technique in judo is an unique technique to possibly threaten to other life among olympic sports events. But choking is widely used in the situation of judo training and competition. To investigate potential risks of choking technique, judokas(3-4dan)who experienced choking were choked by Okuri-Eri-Jime. We observed facial thermography, recognition test and coordination test in before and after unconscious time. The choking time till unconsciousness was at average 17.5±2.2sec, and the recovery time of heart rate was 45.1±11.0sec, and facial thermography on unconsciousness was decreased about 0.8℃ . By recognition test and coordination test immediately after heart rate recovery, recognit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also coordination had a tendency to be decreas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we assume that choking technique might be caused more damage of recognition to the younger judoka. Therefore not only players but also coaches have need to seriously recognize the potential risk to brain damage induced by choking techniq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