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열반 체험의 해석학적 - 현상학적 연구 - 아잔 차(Ajahn Chah)의 열반 체험을 중심으로 -

        윤동현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9 禪文化硏究 Vol.26 No.-

        This paper aims at finding out the essential meaning-structures of the living experiences of nibbāna through a hermeneutic - phenomenological study of it from early Buddhism. This paper thereby goes beyond the text - and logic - bound limitations of prevalent existing studies of nibbāna. Through this research, I hope that Buddhism as practice and Buddhism as theory could be mutually connected. In addition, I would like to suggest a new methodology of hermeneutic phenomenology in the field of Buddhist studies. Nibbāna is not only the most important concept, but also the ultimate practical goal in early Buddhism. Despite the importance of the concept, research on nibbāna has been very limited. This is due to the inherent limitations of existing research on nibbāna that focuses only on its scriptures, languages, and logical arguments. However, nibbāna lies beyond ordinary human logical - cognitive abilities. In other words, existing research on nibbāna is committing a fundamental categorical error of applying a logical-rational methodology to a research topic which is beyond logic and rationality.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of nibbāna-experiences from early Buddhism has the following steps. First, the doctrines of early Buddhism related to nibbāna are shortly reviewed. Then, a kind of hermeneutic-phenomenological research on some living experiences of nibbāna is conducted. Through a research on such living experiences, we can gain an understanding of the vivid reality of nibbāna (In this way, we can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ext- and logic-based existing studies on nibbāna). To this end, we take up the experiential data on nibbāna written by a noble Thai monk Ajahn Chah. Conducting a hermeneuticphenomenological study on such data, we grasp the essential meaning-structures of nibbāna. Then, the validity of such essential structures is again corroborated by the documented universality of the nibbāna-experiences drawn from the early Buddhist scriptures as well as from the latest Buddhist studies. In this study, the following three essential structures are discovered: (1) nibbāna is the state in which the mind (subject) is separated from the objects; (2) nibbāna is pure awareness; and (3) nibbāna is absolute emptiness (suññata). That is, nibbāna, phenomenologically speaking, can be regarded as a ‘transcendental discernment’ that is unaffected by secular perception. 본 논문은 초기불교의 ‘열반(nibbāna)’에 대한 해석학적-현상학적 연구를 수행하여, 기존의 문헌적·논리적 연구방법의 한계를 벗어나, 열반 체험의 본질적 구조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불교의 ‘실천적 수행’으로서의 영역과 ‘이론적 학문’으로서의 영역을 연결할 수 있기를 기대하며, 더 나아가 불교학연구 일반에 있어서 해석학적-현상학적 체험연구의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열반’은 초기불교에 있어 가장 중요한 개념이며, 궁극적 목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열반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며, 논란이 많다. 이는 인간의 일상적 인지능력을 넘어서는 열반을, 문헌과 언어와 논리만으로 연구하려는 기존 연구의 내재적 한계에 기인한 것이다. 즉, 연구대상과 연구방법간의 근원적인 범주의 오류가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초기불교의 ‘열반’의 특성을 찾아내기 위해, ‘열반’에 대한 초기불교의 교설을 검토하고, ‘열반의 체험’에 대한 일종의 해석학적-현상학적 체험연구를 진행한다. 체험연구를 통해 문헌적·논리적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여 생생한 ‘열반’의 실상에 대한 이해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 방법으로 태국의 고승 아잔차(Ajahn Chah)의 열반 체험을 기술한 자료를 바탕으로 해석학적-현상학적 체험연구를 진행하여, 열반 체험의 본질적인 구조를 파악한다. 이후 연구결과인 본질적 구조의 타당성을 체험의 보편성, 문헌적 타당성, 이론적 신뢰성의 측면에서각각 검토함으로써 보강한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3가지 본질적 구조가 발견된다. (1) 열반은 마음(주체) 에서 대상(객체)이 분리된 상태이다. (2) 열반은 ‘순수한 알아차림’이다. (3) 열반은 ‘절대적 텅 빔(空)’이다. 즉, 현상학적으로 열반은 세속적인 지각에 영향을 받지 않는 ‘초월적 인지(transcendental discernment)’라 볼 수 있다.

      • 현상학적 질적 연구의 논리와 방법: Max van Manen의 연구방법론을 중심으로

        유혜령 숭실대학교 부부가족상담연구소 2015 가족과 상담 Vol.5 No.1

        이 연구는 상담학 분야의 질적 연구자에게 현상학적 연구의 철학적 기초와 방법적 원리를 상세히 소개함으로써 이에 대한 이해를 돕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실천적인 현상학적 연구 방법론을 개발한 Max van Manen의 관점을 중심으로 현상학적 연구의 성격과 연구 논리를 조명하였다. Husserl의 전통적인 현상학 이념과 주요 개념에 대한 간략한 소개와 함께, 이에 비교되는 van Manen의 인간과학적, 교육인간학적 배경과 연구방법론의 특징적인 면을 조명하고, 연구자를 위한 실제적인 안내를 제공하기 위해 연구 절차와 방법적 원리를 구체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van Manen의 현상학적 연구방법론은 인간과 언어에 관한 존재론적 해석학과 실존적 현상학의 토대를 지니고 있음을 밝히고, 그러한 특성이 연구자의 태도변경과 현상학적 문제의식 개발, 다양한 유형의 생활세계적 체험자료 수집, 그리고 일화분석과 글쓰기 등을 방법적 원리로 강조한 데서 나타남을 구체적으로 논의하였다.

      • KCI등재

        특수교육분야 현상학적 질적연구의 동향 분석을 통한 방향 탐색

        이원희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1 No.2

        [Purpose] Phenomenological research can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of study in special education in terms of philosophy or methodology, and qualitative research using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is also increasing in fact. In order to explore direction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I would like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applying philosophical background and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and suggest future direction. [Method] From 2005 to 2019, a total of 53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were selected using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It was examined how the research topics, research purposes, philosophical and methodological background,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and the application status of the phenomenological method were. [Results] First, when looking at the results of applying phenomenology to philosophical theory, most of the studies have explored the meaning of special education phenomena through participants’experiences or suggested directions for support. Only four studies applying phenomenology to philosophical theory. In the methodological aspect, many studies have not been clear about the background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Interviews were mainly used for data collection, and data analysis showed a tendency to apply the methods suggested by domestic and foreign scholars. It has been found that studies that provide concrete methods for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phenomenological reduction' are very insufficient. [Conclusion] The direction of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is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subject and purpose should be expanded based on the philosophical orientation of phenomenology. Second, a proper understanding of phenomenological reduction is necessary. Third, the hermeneutic circulation method should be applied to th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process. Fourth, various types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should be applied. [목적] 현상학적 연구는 철학이나 방법론적 측면에서 특수교육분야에 다양한 연구 형태로 적용할 수 있으며 실제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한 질적연구 또한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학적 질적연구의 방향을 탐색하기 위해 특수교육분야에서 현상학의 철학적 배경 및 방법론을 적용한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방법] 2005년부터 2019년까지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해 국내학술지에 발표된 질적연구 총 53편을 선정하여 연구주제, 연구목적, 철학적 배경, 방법론적 배경, 자료수집, 자료분석, 현상학적 연구방법 적용 현황을 살펴보았다. [결과] 먼저 현상학의 이론을 적용한 결과를 살펴보면, 참여자의 경험을 통해 특수교육 현상의 의미를 탐색하거나 지원방향을 제시한 연구가 대부분으로 현상학의 철학적 이론을 적용한 연구는 4편에 불과했다. 방법론적인 측면에서는 현상학적 질적연구를 실시한 배경이 명확하지 않은 연구가 많았다. 자료수집은 주로 면담을 이용하고 있었으며, 자료분석은 국내⋅외 학자들이 제시한 방법을 그대로 적용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현상학적 연구방법인 ‘현상학적 환원’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결론] 특수교육분야 현상학적 질적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면 첫째, 현상학의 철학적 지향을 바탕으로 연구주제와 목적을 확장해야 한다. 둘째, 현상학적 환원에 대한 바른 이해가 필요하다. 셋째, 자료수집 및 분석과정에서 해석학적 순환 방법을 적용해야 한다. 넷째, 다양한 현상학적 질적연구 유형을 적용해야 한다.

      • KCI등재

        간호학에서의 질적 연구 방법에 대한 현상학적 고찰

        정혜경,홍성하 한국현상학회 2001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18 No.-

        이 연구를 통해 간호학에서 현상학이 어떤 식으로 수용되고 있는가를 구체적인 사례로서 청소년의 흡연 문제를 다루어보면서 규명해보고자 한다. 현상학적 방법이 간호학의 연구방법론으로 원용되면서 받아들인 첫 번째 단계가 현상학적 괄호 치기다. 엄밀한 학이 되기 위해 무전제성을 표방했던 현상학처럼 간호현상학의 출발점도 연구자가 일상적으로 습득한 지식들을 버려야 하는 판단 중지를 수행해야 한다. 현상학적 괄호 치기를 통해 연구자가 연구 대상자에 대한 일체의 선입견을 배제함으로써 대상자에게 직접 접근하는 태도 변경을 수행하여 연구 참여자가 말하는 내용을 보고들은 그대로 수집할 수 있다. 이는 두 번째 단계로서 현상학적 자료 수집이라 한다. 자료 수집을 위해 채택하는 방법 중 하나가 인터뷰다. 다음은 수집한 자료들을 현상학적으로 분석하는 단계로서 연구 대상자의 주관주의적인 경험 세계를 수집하여 이 자료를 재차 현상학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현상을 현상으로 드러나게 하는 것이다.

      • KCI등재

        질적 연구를 위한 '교육학적 현상학'의 한계와 문제

        배상식(Bae, Sang-sik) 대한철학회 2014 哲學硏究 Vol.129 No.-

        본 연구는 국내의 교육학 분야에서 '현상학적 방법'을 활용하여 질적 연구를 수행할 경우에 나타나는 연구자들의 한계와 문제를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제시해 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주지하다시피 '교육학적 현상학'은 교육학 분야에서 현상학이나 현상학적 방법을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인간의 삶과 밀접한 교육의 문제를 과학주의나 실증주의의 접근방법이 아니라 그 문제 현상(사태) 자체에서 해명을 시도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그런데 국내 질적 연구자들에 의해 순수현상학(철학적 현상학)이 이러한 응용현상학(교육학적 현상학) 분야에 활용되면서 다양한 문제들이 나타나고 있다. 그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이 바로 질적 연구의 논리를 구성하고 있는 현상학에 대한 연구자의 충분한 이해가 부족하다든가 아니면 지오르기(A. Giorgi)나 반 매넌(M. van Manen) 등 외국학자들의 연구절차나 기법들을 무조건적으로 수용하는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현상학적 방법'을 활용하여 질적 연구를 수행할 경우에, 연구자는 연구논리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전제로 하여 단순히 고정된 연구절차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연구대상자에게서 나타나는 다양한 현상들을 연구자 자신의 삶과 결부시켜 그것의 본질을 분석하고 해석하는 통찰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imits and problems of researchers that appear in the papers of applied qualitative research by phenomenological methods. Using phenomenological methods in the field of Pedagogy, pedagogical phenomenology is not to approach pedagogical issue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human life through scientism or positivism, but to explain them in things themselves. The problem, however, is that cases misunderstood and distorted in the essential meaning of phenomenology are happening as domestic researchers are applying pure phenomenology(the philosophical phenomenology) to the field of phenomenology of practice(the pedagogical phenomenology). Especially, these researchers show some errors caused by lack of basic understanding about research logic and research techniques in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Thus if a researcher carry out a qualitative study by using phenomenological methods, she or he needs insights in analysing and interpreting the essence of the various phenomena appearing from the participants by comparing in with her or his own lives.

      • KCI등재

        간호연구에서의 현상학

        공병혜(Byung-Hye Kong) 한국현상학회 2004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23 No.-

        간호학에서의 현상학은 현상학적 운동이 미국으로 건너가 간호학문에 수용되어 응용된 현상학이다. 그러나 간호현상학은 주류현상학과의 직접적인 대화와 토론을 통해서 간호학문에 수용한 현상학이라기보다는, 미국으로 건너간 주류현상학이 이미 사회학, 심리학, 교육학 등 다른 학문분야로 이식되면서 인본주의 심리학과 사회탐구의 여러 유형과 결합되어 형성된 현상학을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인 것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특히 후설의 현상학적 환원, 판단 중지, 형상적 환원 등의 개념이 본래의 의미대로 연구절차에 사용되지 않는 배후 에는 바로 일인칭의 기술에 의한 개인의 주관적인 경험에 대한 이해를 중요시하는 인본주의 심리학이 간호연구에 들어와 있기 때문인 것이다. 또한 하이데거식 현상학적 간호연구에서 발견되는 특정으로서 개인들이 공유하고 있는 환경과 문화적 관행에 대한 이해는 바로 사회적 상호작용에 의해 자아가 형성된다는 사회탐구의 유형에 영향을 받았음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이글은 간호에서의 현상학적 연구들을 후설과 하이데거의 현상학에 근거하여 비판적으로 검토해 보고, 본래의 현상학적 특징이 살아있는 간호연구의 길잡이 역할을 위한 현상학적 보기(phenomenological seeing)와 글쓰기를 제안해 보고자 하였다. There are some criticism that phenomenology in nursing research reflects the American intellectual tradition far more than any features of main stream of phenomenological movement. The reason is that in being transplanted to the North America continent, phenomenology experienced significant mutation and was applied to fields such as psychology, sociology, and nursing. It can be said that nursing researchers used new phenomenological methods, which were influenced by the American intellectual tradition such as pragmatism, humanistic psychology and social symbolic interactionism. Specially according to Crotty and Paley, nursing researchers largely misunderstood Husserl's central idea, and as a result, their version of his philosophy beared little resemblance to the original. For that reason, humanistic psychology played a very significant role in determining how phenomenological nursing research was understood. Futhermore, Benner's Heideggerian phenomenology focused on 'a shared background of common meanings' in nursing research, it owed nothing to the phenomenological movement, but related to the symbolic interactionism as a form of social inquiry emanating from the thought of Mead.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some critique regarding the phenomenological nursing research and then suggests a stepwise method for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that use the lived experience of nursing as an example.

      • KCI등재

        한국 체육학에서의 현상학적 연구와 방법적 적합성

        김홍식 한국체육철학회 2017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5 No.1

        본 연구는 한국 체육철학 영역에서 발표된 현상학적 연구, 혹은 현상학적 접근에서 발견되는 방법론적 성향과 난점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영미권 스포츠철학에서 제기되어 온 현상학적 연구에 대한 비판적 반성에서 제기된 문제점을 종합하였다. 이 과정에서 스포츠 연구에서의 현상학적 접근은 심리적 주관주의, 소박한 실재주의라는 문제를 안고 있음을 종합하였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우리 체육철학 영역의 현상학적 연구에서 확인하였다. 첫째, 우리의 현상학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현상은 후설 현상학에서 말하는 현상에 부합하지 않으며, 단순히 스포츠 상황에서 경험하는 심적 사실에 의존하고 있다. 둘째, 대다수의 현상학적 연구들은 심적 사실을 담은 기술, 또는 면담 자료를 수집하고 그러한 자료들이 담고 있는 공통점을 본질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이는 후설이 현상학을 통하여 비판하고 있는 실증과학의 일반화 태도를 반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우리 체육철학 영역에서의 현상학적 연구는 방법적으로 정당화되기 어렵다. This study is aimed to reflect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es in the field of sport philosophy in Korea. This essay have two main parts. Firstly, I reviewed three articles which criticized phenomenological researches in USA, and Europe; Daniel S. Kerry and Kathleen M. Armour (2000), Irena Martínková and Jim Parry (2012), Jan Halák, Ivo Jirásek, and Mark Stephen Nesti (2014). Secondly, I analysed phenomenological researches of Korean sport philosophers. As a result, I insisted that phenomenological researches in the field of Korean sport philosophy have serious problems in method. Sport phenomena in their researches are not phenomena of Husserl, but only mental facts(phenomenalism). Especially, we can't find phenomenological description based on the epoche, or bracketing, and eidetic reflection in the articles.

      • KCI등재

        普照禪의 禪的 체험구조에 대한 해석학적-현상학적 연구 − 『修⼼訣』의 ‘觀⾳⼊理之門’을 중심으로

        윤동현 한국불교학회 2019 韓國佛敎學 Vol.92 No.-

        This research clarifies the essential structures of the Seon (禪) experience of the Bojo Seon (普照禪) through a hermeneutic-phenomenological study. For this aim, the description of the “Gongjeok Yeongji (空寂靈知)” experience revealed in the anecdote of ‘the Entrance to Enlightenment by Hearing Sound (觀音⼊理之門)’ of the Susimgyeol (修 ⼼訣) is utilized. This study also experimentally suggests a novel methodology based on a hermeneutic-phenomenological approach in the field of Korean Buddhist studies. The essential structures of the “Gongjeok Yeongji” are as follows: (1) an individual can arrive at epoché through focusing on phenomena’; (2) epoché leads to phenomenological reduction, an awareness of vivid subjective phenomena without a discriminating mind; (3) the phenomenological reduction retains the subtle divergence between a subject and an object, in other words, between the transcendental subject and the appearance of things; (4) based on the subtle divergence between a subject and an object, an individual can realize pure awareness, that is the transcendental subject; and (5) seeing the pure awareness makes an analysis of the experience possible, and this analysis is called an eidetic reduction. This result suggests a perspective that can grasp the core of the Bojo Seon in achieving the Enlightenment through “Hoegwang Banjo (回光返照).” 본 논문은 보조 지눌의 수심결 의 ‘관음입리지문’에 나타난 공적영지(空寂靈 知) 체험의 기술에 대한 해석학적-현상학적 연구를 통해 선적 체험의 본질적 구조를 밝혀낸다. 특히, ‘회광반조(廻光返照)를 통한 공적영지의 자각’이라는 보조선 (普照禪)의 체험구조를 규명한다. 또한, 한국 불교학 연구의 장(場)에 해석학적-현 상학적 체험연구의 방법론을 실험적으로 제시한다. 순수경험인 선적 체험과 언어와 추론을 초월한 공적영지를 문헌적·사변적 연구 방법을 통해 연구하는 것은 근원적인 방법론적 한계를 함의한다. 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는 접근으로, 본고는 해석학적-현상학적 체험연구라는 방법론을 통해, 보조 선의 선적 체험의 본질적 구조를 파악하는 연구를 진행한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5가지의 본질적 구조가 발견된다. ① ‘대상에 대한 집중’ 은 ‘무분별[판단중지]’ 상태를 유도하며, ② ‘무분별[판단중지]’은 ‘생생한 주관적 현상의 무분별적 자각[현상학적 환원]’을 이끈다. ③ ‘생생한 주관적 현상의 무분별적 자각[현상학적 환원]’에는 ‘주객의 미묘한 분화[현출과 초월론적 주관]’가 존재하며, ④ ‘주객의 미묘한 분화[현출과 초월론적 주관]’에 기반하여 ‘순수한 알아차림[초월 론적 주관]’를 직관한다. ⑤ ‘순수한 알아차림[초월론적 주관]’의 직관에 기초하여 이를 ‘분석[형상적 환원]’할 수 있다. 즉, 이를 통해 일념회광(一念廻光)을 통해 견성(⾒性)에 이르는 보조선의 핵심을 파악할 수 있는 관점을 제시한다.

      • KCI등재후보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의 방법론적 탐구

        정상원 한국질적탐구학회 2018 질적탐구 Vol.4 No.1

        Many researchers in South Korea showed strong interest in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In particular,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has been applied as a traditional methodology of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to explore various themes. However, methodological research on the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is not sufficient. Therefore, this research is set to conceptualize the traits of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The research identified 4 key traits of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first, an emphasis on anecdote unveiling its meaning; second, a revelation of the essential meaning structure of the experiences as an objective of research; third, an emphasis on interpretation and hermeneutics circle during the process of analysis; fourth, the actualization of phenomenological reduction as a trait of methodological process. This research focusing on the traits of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is expected to help researchers who adapt his methodology to implement researches, apply more adequate and traditional hermeneutic phenomenology.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은 현상학적 질적 연구의 한 전통으로 여타의 현상학적 질적 연구들과 마찬가지로 많은 연구자들이 이를 통해 다양한 주제들을 탐구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해석학적 현상학에 대한 국내 학자들의 방법론적 논의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van Manen의 저작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그의 해석학적 현상학의 특징을 탐구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 그의 해석학적 현상학은 다음의 네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그것은 첫째, 의미를 드러내는 일화의 강조. 둘째, 탐구의 목적으로서 체험의 본질적 의미구조 밝히기. 셋째, 분석에 있어서 해석과 해석학적 순환 강조. 넷째, 방법적 과정의 특징으로서 환원의 구체화 등이었다. 이러한 그의 해석학적 현상학의 특징에 대한 탐구는 그의 방법론을 적용하고자 하는 연구자들로 하여금 더욱 해석학적 현상학의 특징이 잘 드러나는 해석학적 현상학적 접근을 시도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간호학에서의 ‘돌봄’(caring)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홍성하(Seong-Ha Hong) 한국현상학회 2011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50 No.-

        현상학이 간호학 등 다른 학문 분야에서 방법론으로 응용되고 있다는 점은 널리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은 크게 두 부분으로 구분되는데 전반부에서는 간호학과 현상학의 관계, 즉 간호학이 현상학을 어떻게 연구 방법론으로 응용하고 있는가를 다루게 된다. 간호학에서 질적 연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현상학 역시 하나의 연구방법론으로 수용된다. 실험이나 통계적인 분석, 표준화된 관찰을 토대로 이루어지는 양적 연구와는 달리, 질적 연구는 현상학이나 해석학적 방법, 근거이론, 사례연구 또는 역사연구와 같은 방법들을 통해 수행된다. 간호연구자는 현상학적 방법을 통해 연구대상자인 환자나 보호자, 혹은 간호사들이 겪는 경험의 의미를 근원적으로 밝히고자 시도한다. 후반부에서는 간호의 핵심개념인 돌봄의 근원적 의미를 생활세계적 지평에서 현상학적 방법을 통해 밝히고자 한다. 과학화나 전문화 이전에 이미 돌봄은 생활세계에서 일상적이고 자연적으로 수행되었다는 점에서 현상학적 방법을 통한 돌봄의 근원적 의미를 밝힐 수 있다. 돌봄은 무엇보다 한국인의 오랜 전통과 함께 이어 내려오는 ‘정’개념을 통해 해명된다. 한국문화의 특징을 ‘정’의 문화라고 규정할 수 있을 만큼, ‘정’은 한국인의 생활방식이나 사고방식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개념이다. ‘정’은 타자와의 관계를 드러내는 중요한 요소라는 점에서 타자와의 관계적 구조를 지닌 돌봄의 의미를 밝히는 데 있어서 주목해야 할 현상이다. 아무리 전문적인 간호행위를 수행한다 할지라도 ‘정’이 담겨져 있지 않은 돌봄을 통해 환자나 보호자는 정서적 만족감이나 위안을 얻을 수 없다. 그러므로 돌봄은 근원적으로 대인관계의 토대를 이루는 ‘정’의 표현이며 ‘정’은 궁극적으로 하나가 됨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돌봄은 돌봄을 행하는 사람과 돌봄을 받는 사람의 구분이 사라지면서 하나가 되는 통일적 경험이다. It is well known that an ever-increasing number of disciplines have turned to phenomenology for methodological inspirations. This paper will unfold in a way that focuses on the following two main topics; first, the meaning of phenomenology as a research method in nursing science; and second, the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caring as a core concept in nursing science. The former is about a method of qualitative research.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are focusing on laboratory experiments, formal methods and numerical methods, whereas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developed in the social sciences to enable researchers to study social and cultural phenomenon. Among the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es most frequently used in social sciences are ethnographic research, historical research, critical social research, case study, grounded theory and phenomenology. The latter takes the form of shedding a phenomenological light on the traditional Korean meaning of caring. Phenomenology helps reveal the nature of caring itself through procedures geared toward an understanding of a phenomenological encounter between caregivers (nurses) and patients or their caretakers (e.g., members of family). In Korean society, jeong brings the members of a group together to the point where a collective and communal inclination among the members is readily perceptible. Understanding the significance of jeong is almost a prerequisite for understanding the nature of human emotions and its role in family and social structures in Korea. Caring means not simply a meeting between individual subjects: patient and nurse, but the practice of jeong as an ultimate foundation of personal relationship, with the object of becoming ‘one’ A separation between care-providers and care-recipients would disappear if jeong took hol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s and pat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