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사회에서의 ‘한국 전통음악’의 역할

        최성환(Sung-hwan Choi),이진아(Jin-a Lee)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2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2

        이 연구는 다문화사회에서 개방적인 정체성 확립을 위한 ‘한국 전통음악’의 역할에 대한 고찰이다. 우리는 다문화사회에 직면하여 과거 혈연중심의 단일민족주의와 서구문화에 대한 편향적 태도에서 벗어나 다원주의적 입장에서 세계를 인식하고, 다인종?다문화 세계에 살아갈 청소년 세대들을 위한 새로운 다문화 교육이 요청되고 있다. 음악을 포함한 문화예술 활동은 다양한 문화적 유산과 자원이 서로 평등하게 공존하고 소통할 수 있으며, 다양성이 인정되고 실현될 수 있는 연결고리로 작용할 수 있다. 레비스트로스(Levi-Strauss)는 “다양성이 없이는 인류가 진정으로 살아갈 수 없다”고 지적하였다. 우리는 다문화사회에서 여러 문화의 다양성을 보존해야 한다. 또한 민족 전통 속의 정체성과 잠재력을 북돋워 특수성을 유지하면서 타문화와 교류하여 새로운 문화를 창조해야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문화예술활동은 다문화 사회에서 타문화의 이해와 공존을 위한 가장 자연스럽고, 쉽게 융화될 수 있는 효과적인 활동이다. 그동안 한국 다문화교육에서는 문화예술활동에 대한 지원이나 구체적 방법론 보다는 다른 활동에 관심을 기울였다. 특히 음악교육부분에서는 우리문화의 정체성 확립을 연관된 한국 전통음악에 대한 내용은 부족하였다. 무조건적 동화를 지향하는 한국 전통음악교육이 아니라 한국의 다문화사회에서 사회의 통합, 소통을 위한 한국 전통음악을 포함한 음악교육과정이 필요하며, 교과서에 충분히 반영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과 다문화사회에서의 한국 전통음악의 역할에 대한 재인식이 요구된다. 또한 우리의 고유한 사회적 배경과 한계를 분명하게 인식하고 ‘한국 전통음악’의 정체성을 확립함과 동시에 시대흐름에 맞는 음악을 추구하는 문화교육’의 가능성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이 글은 먼저 문화예술교육의 위상과 한국의 다문화교육의 한계점을 살펴본 다음, 문화의 본질과 관련된 음악교육의 필요성과 우리의 정체성과 관련된 ‘한국 전통음악’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미래의 전망과 더불어 한국 전통음악의 아시아음악과의 혼융을 통한 다문화사회에서의 음악의 역할과 한국 전통음악의 다문화교육콘텐츠의 방향성을 제시하려한다. 한국 전통음악은 다문화사회에서 다른 문화권의 음악과 함께 이해되고 발전시켜야 그 가치를 인정받게 될 것이다. 따라서 단순히 한국 전통음악을 소개하고 교육하는 것에서 끝나지 않고, 전통음악의 정체성을 지키면서 넓게는 아시아음악과의 혼융을 통해 새로운 문화예술교육의 방향이 모색되어야 한다. 또한 세계화라는 불가피한 변화 속에서 한국 전통음악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한국 전통음악(교육)의 콘텐츠화’ 작업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This study is about the rol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for the establishment of open identity at multi-cultural society. Facing on the multi-cultural society we need to be free from deflective attitude about Western culture and nationalism and recognize the world from the position of multiculturalism. So new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e youth generation who will live in the multi-racial?multi-cultural world is required. Culture, art and music could naturally occupy as the tool of communication between various cultural heritage and resources co-exist without discrimination. Levi-Strauss claimed that human race cannot truly live without diversity. We should preserve diversity of various cultures in multi-cultural society. Also by encouraging potential and identity for their uniqueness within ethnic tradition, we should create a new culture interchanging of various culture.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n the meantime did not have enough contents which are required for the establishment of open identity of our culture. Music education course for the communication and unity of society is in need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in multi-culture is also essential. Additionally more detailed methods to reflect enough in the textbook and Korean traditional music’s directivity in multi-cultural society are necessary. This study attempts to look very closely at the status of culture, education of arts and the limitation of Korea’s multi-cultural education, Second, it proposes the necessity of the music education that’s related to essence of a culture and our identity in ‘Korean traditional music’. Lastly, the study suggests the role of music in multi-cultural society through combin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Asian music together with the brightness of future and directiv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Korean traditional music will be worthy when it is understood and developed together with music of other culture in multi-cultural society. Furthermore by accepting education theory of multiculturalism the introduc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education must be considered so that the significance of culture art education where the coadaptation of traditional music of multi-cultural society can be done systematically with keeping the identity of traditional music. Making contents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s also very important in Korean music market of the flow of globalization.

      • KCI등재

        한국법사회학 문헌 조사 연구 : 1945부터 2020까지

        이계일,김정오 법과사회이론학회 2020 법과 사회 Vol.0 No.65

        If a scholar pursues a research on legal sociology of Korean society, he/she needs to review what researches have been proceeded and accumulated. In a previous article, the writer reviewed a historical development of sociology of law in Korea. The article, however, had a limitation since it focused laregly on the selected articles and books of representing the main stream of sociology of law in Korea. The following research on bibliography of sociology of law in Korea aims to supplement the previous research by providing a complete index of it. We subdivided the research fields of sociology of law into 17 appropriate headings to examine what kind of research had proceeded from 1945 to 2020. For example, the headings include history of Korean sociology of law, theory of legal sociology, methodology of legal sociology, law and social change, sociology of legal profession and judicial reform, conflict and resolution of dispute, and etc. This research will serve as an intellectual map to find out what kind of research has been performed in the area of sociology of law in Korea.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an academy which would further develop and deepen future studies in that area. The bibliographical index included in this study reflects several points that are needed to further develop sociology of law in Korea. In the concluding chapter, we proposed suggestions regarding the matter; the need to extend empirical studies, the need to integrate and develop individual researches more organically, and the need to activate interdisciplinary studies. This study will be tentative. When more researches are proceeded and accumulated, there will be a more completed bibliographical index of Korean sociology of law. We hope that there will be an opportunity to supplement the researches omitted in this index. 한국법사회학을 연구하고자 한다면 한국법사회학의 제반 영역에서 어떤 연구들이 진행되고 축적되어 왔는지를 일별하는 것이 1차적인 작업이 될 것이다. 선행연구에서는 해방 이후 한국법사회학의 발전사를 통시적 시각에서 조감해보았는데, 이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그동안 한국 학자들이 탐구해온 연구의 결과들이 상당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선행연구에서는 논의의 중점이 한국법사회학의 큰 흐름을 살펴보는 데에 놓여 있었기 때문에 기존 연구들에 대한 소개는 주요 문헌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었다. 그 과정에서 한번쯤은 1945년 이후 한국법사회학의 문헌들을 정리해볼 필요가 있음을 깨닫게 되었다. 본 문헌 조사연구는 1945년 이후 한국 학계에서 진행된 연구 결과들의 문헌을 망라해서 수집하고 이를 유사한 주제로 분류하고 정리해보고자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법사회학의 연구영역을 17여 개 항목 정도로 세분하여 그동안 우리 학계에서 수행된 연구들의 상세목록을 정리해보고자 하였다. 예를 들어, 한국 법사회학사, 법사회학 이론, 법사회학 방법론, 한국의 법문화 및 법의식, 법과 사회변동, 법조사회학 및 사법개혁론, 갈등과 분쟁해결 등의 항목을 설정하고 이에 해당하는 논문이나 저서들을 연도순으로 정리하였다. 이 조사연구는 향후 한국법사회학 연구가 심화・발전하기 위한 기초적 연구토대를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며, 또한 그 자체 한국법사회학사에 대한 일종의 기록으로서의 의미를 갖게 될 것으로 기대해본다. 조사된 문헌목록은 한국법사회학의 발전을 위한 성찰 지점을 제시해 주는데, 본 연구는 마지막 부분에서 이를 몇 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정리해 보고자 하였다. 이는 경험연구의 보완과 확장 필요성, 개별 연구들을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시켜서 발전시킬 수 있는 학문적 논의 공간의 구축 필요성, 학제적 연구의 활성화 필요성 등을 포함하였다. 해방 이후 한국법사회학 연구문헌들에 대한 본 조사연구는 잠정적인 것일 수밖에 없다. 앞으로 연구물들이 더 많이 축적되면 언젠가 더 확충된 법사회학사 및 관련 자료들의 정리가 가능해질 것이다. 이 조사에서 누락된 연구들에 대해서는 언젠가 보충할 기회가 있기를 기대해 본다.

      • KCI등재

        독백에서 대화로—참여 객관화의 지성사 쓰기 : 정 수복, 「한국 사회학의 지성사」 4부작(2022)

        이황직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22 현상과 인식 Vol.46 No.2

        이 서평 논문은 정 수복의 「지성사」 4부작에 충실히 응답하려는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 수복은 한국 사회학의 역사를 지성사 형식으로 서술했는데, 이는 지성사의 방법이 사상 형성에 미치는 구조적 제약보다 그에 대응하는 예외적 개인으로서 지식인의 역할을 더 강조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청소년기부터의 사회 참여에 관한 관심은 스승 박영신과 투렌을 만나 사회운동론으로 심화 발전해 나갔는데, 이를 바탕으로 정수복은 「지성사」에서 한국 사회학사를 지식인으로서 한국의 사회학자들이 한국 사회의 문제와 전망에 대해 이론적으로 개입 또는 실천한 역사의 틀에서 서술했다. 둘째, 한국 사회학에 대한 역사적(통시적) 응답으로서 「지성사」는 기존 한국 사회학사 서술의 단편성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체계적이고 공공성을 띤 사회학사 서술을 시도했다. 역사로서 지성사 역시 객관성의 확보 문제에 부딪히는데, 정수복은 저술 형식과 방법상의 특성을 통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2차 프랑스 체류기부터 2차 귀국 이후 이십 년간 정 수복은 한국 사회학계의 연구 성과를 빠짐없이 읽어가는 방식으로 참여 관찰을 시도했을 뿐만 아니라, 특히 부르디외에게서 착안한 사회학적 자기분석을 통해 참여 객관화를 시도했다. 그런 까닭에 「지성사」는 한국 사회학계 전반에 참여 객관화를 시도한 저작으로서, 한국 사회학자가 자신이 속한 사회 발전을 위해 얼마만큼 이론적 실천적으로 개입했는지를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방식으로 지식인으로서 한국 사회학자의 역할과 의무에 대해 반성을 촉구한 저술로 평가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한국과 독일의 문화민주주의와 문화센터 : 한국 생활문화센터와 독일 사회문화센터의 비교분석

        강현정(Kang Hyunju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8

        본 논문은 문화민주주의를 실천하고 있는 한국의 생활문화센터와 독일의 사회문화센터의 비교연구이다. 세계적으로 문화민주주의 이념이 크게 확대되면서 한국과 독일도 문화민주주의 실천을 위하여 생활문화센터와 사회문화센터를 도입하여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문화민주주의 이념이 거시적인 명분에 그치지 않고 구체적으로 각 국가에서 실제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분석하기 위해, 한국과 독일의 생활문화와 사회문화의 기본개념, 생활문화센터와 사회문화센터의 설립․운영 주체, 주민주도 운영방식을 비교하였다. 첫째, 한국 생활문화와 독일 사회문화는 모두 확장된 문화개념으로 접근하며 삶의 총체로서의 문화를 중시한다. 이것은 문화의 민주화에서의 문화가 고급예술과 엘리트예술로 한정되었다면 문화민주주의에서의 문화는 보다확장된 개념인 삶 중심으로 접근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한국 생활문화센터와 독일 사회문화센터는 설립․운영주체의 차이가 있다. 한국은 정부의 문화정책으로 인하여 생활문화센터가 조성되었고, 운영주체는 지자체 직영, 민간위탁, 주민자율형의 3가지 구조로 나뉜다. 반면 독일 사회문화센터는 민간에 의해 설립되고 운영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국과 독일 모두 생활문화센터와 사회문화센터를 통해 문화민주주의 이념에 따라 주민이 주체적으로 시설운영에 참여하는 방식을 가지고 있지만 한국은 주민에 의한 의견수렴과정에 참여하면서 소극적 문화민주주의를보여주고 독일은 주민이 설립과 운영을 직접적으로 주도하면서 적극적 문화민주주의가 나타난다. 셋째, 한국 생활문화센터와 독일 사회문화센터는 모두 주민주도 운영방식을 지향하고 있으나 주민 주도성에 대한 차이가 나타난다. 한국 생활문화센터의 다양한 운영구조로 인해 주민주도 운영방식이 각각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독일 사회문화센터는 주민의 의사결정구조와 조직구조에 동참함으로써 주민이 재정, 운영, 프로그램 등에 참여하여 적극적인형태를 보여준다. 한국과 독일의 문화민주주의에 대한 실천은 모두 같은 지향을 가지고 있지만 각국의 실천과정에서 다른 양상을보여주는데 한국은 정부로부터 시작했기에 다양한 운영주체를 통해 지역적 상황에 맞는 다양한 방식을 취하면서제도적으로 주민에 의한 민주적 결정구조가 정착되지 못하고 있는 반면 독일은 정부지원 없이 민간에서 시작된 만큼 운영과 재정의 문제는 오롯이 주민의 공동책임이 된다. 그로인해 사회문화센터를 운영함에 있어서 주민들의 동의와 합의가 전제되고 주민에 의한 의사결정구조를 제도적으로 보장하여 지속성을 담보해내고 있다. This study compares the living cultural centers in Korea and the sociocultural centers in Germany, which practice cultural democracy. With the significant expansion of cultural democracy ideology worldwide, Korea and Germany are actively striving to practice cultural democracy by introducing living cultural centers and sociocultural centers. Specifically, to analyze how each country’s efforts are being made, this study compares the basic concepts of living culture and social culture in Korea and Germany, the subject of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living cultural centers and sociocultural centers, and resident-led operations respectively. First, both Korean living culture and German social culture approach with expanded cultural concepts, emphasizing culture as a whole of life. Second,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subjects of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Korean living cultural centers and the German sociocultural centers. Third, although both the Korean living cultural centers and the German sociocultural centers are oriented toward resident-led operation, there is a difference in resident initiative. The practice of cultural democracy in Korea and Germany both have the same orientation, but show different aspects in the practice process of each country. In Korea, starting from the government, the democratic decision structure by the residents has not been institutionally established although various methods are adopted according to local circumstances through various operating subjects. On the other hand, in Germany, since it was started by the private sector without government support, operation and financial issues are the sole responsibility of the residents. Therefore, in the operation of the sociocultural centers, the consent and agreement of the residents is premised, and the decision-making structure by the residents is systematically guaranteed to ensure continuity.

      • KCI등재

        해방이후 시민사회의 역사적 형성과정과 성격(1945-1953)

        이혜숙 ( Hye Sook Lee ) 한국사회사학회 2014 사회와 역사 Vol.0 No.102

        시민사회 형성의 과정과 그 구체적인 모습은 국가마다 다르며 한국의 시민사회도 독특한 역사적 경로를 거치면서 발전되어 왔다. 한국 시민사회 형성의 역사적전개과정과 특성에 대한 이해는 시민사회의 성장과 민주화를 위한 출발점이다. 이글은 해방이후 미군정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형성된 국가와 시민사회 관계의 역사적 구조화 경험을 살펴보고 이를 시민사회의 재편과 저발전과 관련지어 보았다. 해방직후 팽창되었던 시민사회는 미군정기를 거치면서 급속히 위축, 재편되었고 한국전쟁은 시민사회의 저발전을 가져오는데 영향을 미쳤는데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민사회의 제도화 면에서 미군정기는 자유민주주의가 제도화됨으로써 시민사회 형성의 법적·제도적 기반을 이룬 시기였으나 시민사회 형성에 외부의 영향력이 크게 작용했으며 제도와 시민사회적 기반의 괴리를 가져왔고 시민사회가 재편되었다. 정부수립 이후에는 국가주의의 바탕 속에서 ‘국민’ 형성이 강조됨으로써 개별 ‘시민’으로서의 권리는 무시되었다. 둘째, 시민의식과 시민문화 면에서 한국전쟁은 가족주의와 연고주의, 편법주의와 기회주의, 물질만능주의, 반공이데올로기의 내면화를 가져옴으로써 시민사회적 기반이 되는 시민의식 및 시민문화의 위축을 가져왔다. 셋째, 조직적 기반과 활동 면에서 한국 시민사회는 분단국가 형성과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국가 및 반공에 기반한 관변단체들에 의한 동원과 감시·통제 현상이 많아지고 다양한 자율적 조직 기반이 파괴되었다. 따라서 해방이후 한국의 국가와 시민사회는 구조적 불균형을 드러내었는데 무엇보다도 한국의 국가가 전쟁을 통해 대폭 강화된 것에 비해 한국의 시민사회는 자율성과 다양성의 기반이 약해진 것이다. 오랫동안 지속되었던 한국에서의 국가의 우위현상과 권위주의 국가, 시민사회의 저발전, 한국 시민사회의 성격은 미군정기와 한국전쟁을 겪으면서 형성된 한국 시민사회 형성의 역사적 특수성과 관련된다. The formation process of civil society goes through a unique historical path. It is the starting point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storical evolution of civil society in order to foresee the growth of civil society and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in Korea.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historical formation of civil society in connection with the rule of American occupation and Korean War.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liberal democracy was institutionalized during the period of American occupation. But the explosion of civil society after liberation from Japanese rule weakened in the collapse of civil society. Besides, Korean War led to the underdevelopment of civil society. ‘Nation’ was emphasized and individual ‘citizenship’ was ignored. Second, Korean war has brought familism, opportunism, materialism and anticommunism. So it was difficult to form civic consciousness and civic culture. Third, mobilization and social control were enhanced by Korean state and pro-governmental organizations. Various voluntary organizations were destroyed. With structural imbalance in the state and civil society, Korea came to have the sociopolitical conditions vulnerable to the rise of authoritarian state. The strong state over weak civil society in contemporary Korea wa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historical experience during the American occupation and Korean War.

      • KCI등재

        동남아시아 사회과 교과서의 한국 인식코드

        안지영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3 사회과교육연구 Vol.20 No.3

        최근 한류열풍이 불고 있는 동남아시아 지역의 사회과 교과서 분석을 통해 나타난 한국 인식코드를 알아보았다. 첫째, 싱가포르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한국 인식코드는 1980년대 ‘중국 속국’, ‘전쟁’, 1990년대와 2000년대는 ‘한국전쟁’으로, ‘한국전쟁’이라는 강한 부정적 인식코드만이 존재한다. 둘째, 말레이시아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한국 인식코드는 1980년대 ‘미국 원조’, 1990년대 ‘새마을 운동’과 ‘페낭대교’, 2000년대 ‘기아와 나자모티브 모터스’, ‘삼성과 현대’이다. 이와 같은 한국 인식코드는 말레이시아가 한국을 선진 공업국이자 기술 전수국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반증한다. 셋째, 인도네시아 사회과 교과서의 한국 인식코드는 1980년대 ‘중·일의 속국’, 1990년대 ‘아시아의 호랑이’, ‘한국전쟁’, 2000년대 ‘중·일의 속국’, ‘한국전쟁’, ‘아시아의 호랑이’로 한국을 인식하는 단 세 개의 인식코드가 시기에 상관없이 일관되게 나타난다. 넷째, 베트남 사회과 교과서의 한국 인식코드는 1990년대 ‘신흥공업국’, 2000년대 ‘신흥공업국’, ‘베트남전’이다. 베트남은 ‘신흥공업국’이라는 한국 인식코드를 통해 한국을 베트남이 추진하고 있는 경제·개혁개방 정책의 경제발전 모델이자, 반면교사(反面敎師)의 대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필리핀 사회과 교과서의 한국 인식코드는 분석대상국 중에서 가장 많고 다양하다. 따라서 한 분야에서도 긍정과 부정의 여러 개의 한국 인식코드가 혼재되어 나타난다. 그러나 필리핀 교과서의 한국 인식코드가 다른 동남아시아 국가와 비교해 나타나는 가장 큰 차이점은 ‘기독교’와 ‘한국 문화’ 인식코드가 강하게 나타난다는 점이다. 먼저 ‘군인과 기독교’, ‘여의도 순복음 교회’, ‘한명숙 총리’ 등과 같은 한국 인식코드는 기독교가 한국사회 전반, 즉 한국의 경제발전, 양성평등, 여성인권 제고 등에 미친 영향에 대해 강조하고 있다. 다음으로 ‘한글’, ‘청자’, ‘첨성대’, ‘팔만대장경’, ‘한류’ 등의 문화 인식코드는 필리핀 교과서에서 한국을 고대부터 현재까지 전통문화와 과학기술, 문화적 파워를 지닌 국가로 인식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여섯째, 태국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한국 인식코드는 1980년대 ‘중·일 식민지’, ‘한국 전쟁’, 1990년대 ‘독립운동’, ‘한국전쟁’, 2000년대 ‘한국전쟁’, ‘선진공업국’, ‘한류’, ‘한복’, ‘김치’, ‘태권도’, ‘세계문화유산’이다. 이는 1980년대와 1990년대 태국이 한국을 “한국 = 한국전쟁”, “한국 = 신흥공업국”이라 인식했다면, 2000년대에는 “한국 = 한류”이라는 한국을 이해하는 또 하나의 새로운 축이 만들어졌고, ‘한국의 복식문화’, ‘한국의 식문화’, ‘한국의 세계문화’로 개념을 파생·확산시켜 가고 있음을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은 동남아시아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한국 인식코드를 통해 동일 권역권이라도 해당국가의 대외관계 변화, 해당국가 처한 정치·경제·사회 등의 다양한 변화요인에 의해 한국 인식코드는 변화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최근에 동남아시아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나 ‘한국 = 첨성대’, ‘한국 = 꽃 보다 남자’, ‘한국 = 불고기’ 등의 새로운 한국 인식코드를 통해 동남아시아 국가들이 한국을 바라보는 시각이 기존의 한국전쟁에서 경제성장을 이룬 신흥공업국에서 세... This study looks into the perception codes of Korea present in social studies textbooks in Southeast Asia where the so-called Korean Wave or Hanryu is sweeping across the region. Perception codes of Korea present in social studies textbooks in Singapore are strongly negative. Korea is synonymous with ‘subject country to China’ and ‘war’ in textbooks in the 1980s and ‘Korean War’ in textbooks in the 1990s onwards. Perception codes of Korea in Malaysian textbooks include ‘aid from US’ in the 1980s, ‘New Village Movement’ and ‘Penang Bridge’ in the 1990s, ‘Kia and Kia and Najamotiv Motors’ and ‘Samsung and Hyundai’ after 2000. This tells that Korea is perceived as an advanced industrial country that transfers its technologies in Malaysia. Perception codes of Korea in Indonesian textbooks include ‘subject country to China and Japan’ in the 1980s, ‘Tiger of Asia’ and the ‘Korean War’ in the 1990s, ‘subject country to China and Japan’, ‘Korean War’ and ‘Tiger of Asia’ after 2000. They are pretty consistent in Indonesia as demonstrated in the same codes repeatedly used in the textbooks throughout the decades. Social studies textbooks in Vietnam use such perception codes of Korea as ‘emerging industrial country’ in the 1990s and ‘emerging industrial country’ and the ‘Vietnam War’ after 2000. Its perception of Korea as an emerging industrial country clearly shows that Korea is Vietnam’s role model in spearheading its economic opening and reform initiatives. Perception codes of Korea in Philippines’ social studies textbooks are most varied among other countries in Southeast Asia with positive and negative ones mixed together. What starkly differentiates social studies textbooks in the Philippines from other countries in the region is that it uses such codes like ‘Christianity’ and the ‘Korean culture’ to perceive Korea. Words such as ‘military officers and Christianity’, ‘Yoido Full Gospel Church’ and ‘Prime Minister Han Myungsook’ emphasizes the degree of impact Christianity had on the overall Korean society and particularly on Korea’s economic development, gender equality and human rights of women. Words like ‘Hangeul’, ‘Chungja’, ‘Cheomsungdae’, ‘Palmandaejangkyung’ and ‘Hanryu’ in the textbooks is a demonstration of how Korea is perceived as a country rich in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culture, advanced in science and technology from a long time ago. Social studies textbooks in Thailand use codes like ‘colonial rule under China and Japan’, the ‘Korean War’ in the 1980s, ‘Independence Movement’, ‘Korean War’ in the 1990s, ‘Korean War’, ‘advanced industrial country’, ‘Hanryu’, ‘Hanbok’, ‘Kimchi’, ‘Taekwondo’ and ‘World Cultural Heritage’ after 2000 to perceive Korea. Thailand started to associate Korea with Hanryu from 2000, which is a big departure from its perceptions in the 1980s and 1990s, and tried to expand its concept as viewed by Thailand to ‘Korea’s fashion culture’, ‘Korea’s food culture’ and ‘Korea’s global culture’. As described above, perception codes of Korea in countries in Southeast Asia are bound to vary depending on their relations with Korea and changes in their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conditions even though they are all located in the same regional boundary. New perception codes of Korea in social studies textbooks in Southeast Asia such as ‘Korea=Cheomsungdae’, ‘Korea=Boys over flowers’ and ‘Korea=Bulgogi’ are a vivid proof that Korea is seen as one of the countries developing and driving global cultural contents beyond mere an emerging industrial country that achieved phenomenal economic growth after the end of the Korean War.

      • KCI등재

        한국 사회갈등의 요인들에 대한 화해의 기독교 교육적 모색

        강문규 한국실천신학회 2016 신학과 실천 Vol.0 No.51

        현대사회는 세계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하나의 생활권으로 살아가는 지구촌이라 일컬어지는 시대가 되었다. 이로 인하여 세계는 좁아지고 가까워지게 되었고, 이것은 멀리 다른 나라에 살고 있는 상대방에 대하여 이전보다 더욱 많이 알 수 있다는 의미로 이해된다. 상대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이해의 틀 안에서 상대방에게 다가간다는 뜻을 내포하고 있다. 이 이해의 카테고리는 이해하기를 원하는 본인과 이해되어져야할 상대방이 어떤 상황이냐에 의해 다양하게 좌우될 수 있다. 이들 쌍방의 입장은 이해와 인식 부분에 의하여 갈등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갈등은 화해로 결말을 지을 수 있는 소지가 된다. 그리고 이 갈등과 화해는 개인적인 이해의 차원을 벗어나 사회의 갈등과 화해로 이어지는 주제로 등장될 수 있다. 광복 71주년을 맞은 현대 한국사회는 가치관과 규범체계, 그리고 인간관계의 기본질서와 생활방식이나 그 내용의 변화 등이 서로 부딪치는 역사적 전환기를 맞이하여 사회문화 전반과 남북 간에 갈등을 겪고 있다. 이 뿐 아니라 종교 간의 갈등을 비롯하여 계층 간의 불화는 현 한국사회에 깊은 갈등의 골을 형성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갈등에 의한 불화와 분열은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당사자를 비롯하여 주변 사람에게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므로 화해는 현대 한국사회 뿐 아니라 교회에서도 심각하게 고려하여 다루어져야할 핵심적인 주제로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국교회는 하나님의 은혜로 세계가 주목할 만큼 빠른 성장을 이루었다고 할 수 있으나 현재에 와서 교파분열을 비롯하여 많은 사건들로 인하여 교회에 대한 사회의 공신력과 신뢰도는 땅에 떨어질 대로 떨어져 거의 회복 불가능한 상태에 머물면서, 끊임없는 사회의 지탄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리고 슈퍼 사이즈의 대형교회와 많은 신자들이 있으나, 그들은 사회적 갈등에 대한 소극적인 자세와 개교회 중심주의로 인한 사회적인 문제에 관심을 도외시한 개인 구원주의 신앙의 기초에 형성되어 있는 마인드와 더불어 현실사회의 지역 간 계층 간 갈등의 화해에 적극적이지 못했다. 한국교회와 성도들은 오늘날 불거져 있는 한국사회의 사회적 갈등에 교회가 깊이 관계되어 있을 뿐 아니라 화해자 역할에 책임이 있다는 것을 진지하게 생각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한국사회 갈등현상은 현대사회에서 발견되는 보편적인 문제일 뿐 아니라, 그 속에서 크리스챤들로 하여금 신앙적 삶과 신앙의 자아정체감마저 위협받는 상황으로 접어들게 하는 심각한 도전으로 다가와 있다. 이 같은 현대사회의 도전과 요구는 기독교인들에게 이와 상응하는 기독교 신앙의 정체성에 대한 재정립을 진지하게 고려하게 한다.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한국사회가 처해 있는 종교와 남북문제 그리고 소득분배에 의한 계층 간의 갈등에 대하여 기독교교육에 근거한 화해의 메시지를 밝히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고에서는 세 가지 핵심적인 주제들이 공통적으로 내포하고 있는 갈등이라는 관점에 입각하여 언급하고, 화해라는 결론으로 이끄는 것에 기독교교육적인 입장에서 견지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This is an era called “global village” where most of the global citizens live in one living space thanks to the amplified development of media. The world has been narrowed and got closer to people, which is interpreted that people living in far countries can get to know each other more than before. While people dealt with others in indirect relationships in the past, the world has been changed to be the one that needs to be recognized as a must that constitutes our existence. Understanding others contains the meaning to approach to the others within the framework of understanding of ourselves. This category of understanding can vary by the situations of us who want to understand and the others who need to be understood. Such stances of each other can cause conflicts due to the understanding and recognition, and such conflicts can be brought to an end by reconciliation. These conflicts and reconciliation can be emerged as a subject that leads to social conflicts and reconciliation beyond the level of personal understanding. The South Korean society, celebrating the 71st anniversary of National Liberation this year, is experiencing conflicts in the overall society and with the North Korean society in the historical transition period where the basic rules of human relations, lifestyles and relevant changes collide with each other. In addition, the discord between the religions as well as the social classes is developing deep conflicts in the current South Korean society. The discord and division can have negative impacts on the people involved as well as the people around them with few more or less difference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reconciliation as the key subject to be seriously discussed in the modern South Korean society as well as in the church. While, the South Korean churches are deemed to achieve a rapid growth blessed by the God as the whole world is watching, it has been a subject of social criticism due to such a lot of affairs as denomination schism. Although there are supersized mega-churches and large congregation, they have had a passive attitude on the social conflicts and a mindset that is the basics of the religious belief of individual salvation, which neglected the social issues based on the principle focusing on church individualism, and failed to be proactive in reconciling the conflicts between the regions and social classes in the current society. It is concluded that the South Korean churches and the congregation need to take it seriously that the churches are not only deeply involved in the social conflicts in the South Korean society but also have the responsibility of being a reconciler. The conflicts in the South Korean society are not only the universal matters identified in the current society but also regarded as serious challenges to the Christians to face with a situation where their religious life and identity are threatened. Such challenges and demands of the current society make the Christians take it seriously to reestablish the corresponding identity of Christianity. Based on the above, this paper aimed to identify the messages of reconciliation based on Christian education on the issues that the South Korean society is experiencing including the religious issues, the inter-Korean issues and the conflicts between the social classes according to income distribution. This paper mentioned the issues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conflicts commonly contained by the three key subjects, and stuck to the stance of Christian education to draw a conclusion of reconciliation.

      • KCI등재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사회학의 역사는 가능하다

        채오병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22 현상과 인식 Vol.46 No.2

        이 글은 최근 네 권으로 출간된 정 수복의 「한국 사회학의 지성사」에 대한 서평 논문이다. 시대적 배경과 지적 계보의 만남을 통해 형성된 눈부신 학문적 성취의 기록인 사회학의 역사가 한국사회학에서도 가능할까? 이 글은 이 문제의식을 염두에 두고 한국의 아카데믹 사회학, 비판사회학, 역사사회학의 역사를 다루는 정 수복의 작업을 다음의 세 질문을 통해 비평한다. 한국사회학의 역사는 왜 필요한가? 한국사회학의 역사는 어떻게 쓰여져야 하는가? 한국사회학은 무엇을 지향해야 하는가? 서구사회학을 ‘표준’으로 간주해온 지적 풍토에서, 이 글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사회학의 역사는 가능함을 정 수복의 작업을 통해 확인한다. 이 결론은 이 세 질문에 대한 답을 통해서 성취된다. 한국사회학의 역사는 눈부신 성취의 역사가 아닌, 역사사회학의 제도적 미발전 등 중요한 결함을 수반한 제도적 성숙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국사회학의 역사에 대한 접근 방법인 계보학은 고고학에 의해 보완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사회학의 독자성은 자신의 고유성에 대한 집착보다는 오히려 활발한 외부 이론적 전통과의 교류를 통해서 가능해질 것이다.

      • KCI등재

        한국어교육 정책의 발전방향 고찰

        안희은(Hee Eun An)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5

        다문화사회에서 올바른 사회통합이 이루어지기 위한 가장 중요한 도구는 언어이다. 언어는 다양한 문화를 가진 사람이 세계 공동체의 시민으로서 살아갈 수 있는 지식과 기술, 가치를 알 수 있게 해 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통합을 위한 중요한 도구인 한국어교육 정책의 올바른 방향에 대한 제언에 있다. 이에 본고는 다문화사회가 된 한국사회가 올바른 사회통합이 되기 위한 가장 중요한 도구로 한국어교육의 정책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결혼이주여성, 다문화가정의 자녀, 외국인 유학생,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현재 정부에서 시행하는 한국어교육 정책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한국어교육의 중복된 업무, 한국어 교육 수요에 대한 문제 및 한국어 이수시간의 비효율성, 한국어 교육의 비전문가, 교육으로부터 소외된 계층 등에 대한 문제점을 들 수 있었다. 이에 본고는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과 향후 한국어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언하였다. 다문화사회에서 개인과 문화가 서로 다른 타자와의 상호 의사소통을 위해 다른 문화를 인정하고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다문화사회에서의 사회적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통합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사회통합은 다양한 문화가 타문화를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는 지식 및 이해가 기반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정부의 올바른 언어교육에 대한 정책이 일관되게 수립되고 강화되어야 하며, 그 지향점이 분명해야 할 것이다. The most important tool for correct social integration in a multicultural society is language. Language allows people with diverse cultures to know the knowledge, skills, and values to live as citizens of the global commun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right direc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which is an important tool for social integration. In this article, we examine the polic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the most important tool for Korean society to become a social integration in a multicultural society. For this purpose, we examined the current Korean government policy for marriage migrant women,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foreign students, and foreign workers. As a result, the problems of duplicate task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blems of Korean education demand, inefficiency of Korean study time, non - specialists of Korean education, and alienated classes were found.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solutions to these problems and directions for futur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 multicultural society, it is essential to recognize and understand other cultures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others who have different personalities and cultures. In order to solve social conflicts in a multicultural society, proper integration should be achieved. And social integration should be based on knowledge and understanding that various cultures can understand and accept from other cultures. To this end, the government should consistently establish and strengthen the policy on correct language education, and its point of view should be clear.

      • KCI등재

        다문화가정 증가에 따른 한국 사회통합 정책 연구

        최현실(Choi Hyeon-Sil)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9 한국민족문화 Vol.35 No.-

        본 연구는 결혼이민자 가정의 증대에 따른 한국사회의 통합의 원리를 서구의 다문화주의에서 찾는 것이 아니라 오랜 역사동안 다민족국가를 유지해왔던 중국과 싱가포르의 다민족 통합사례인 ‘상호성의 원리’를 찾아 적용하였다. 싱가포르와 중국의 다민족적 역사는 비록, 국가주의적 사회주의적 통합의 성격이 강하지만, 이들 양국의 소수민족정책을 면면히 살펴보면, 그 속엔 민족과 인종을 구분하지 않고 그들의 문화와 언어를 존중하며 공존하는 다문화적 사회통합이라 할 수 있는 ‘상호성의 원칙’이 나타나고 있다. 싱가포르는 중국계, 말레이계, 인도계와 기타 민족으로 구성된 다인종국가이지만 성공적인 사회통합을 이루고 있다. 그 첫 번째는 싱가포르 사회의 구성원이 사회적 성공을 향유하기 위한 조건으로 ‘민족에 상관없이 실력우선’을 취해 다인종적 위계질서를 지양한다는 점이다. 두 번째는 이중 언어와 종합교육정책을 통해 여러 민족이 공존하는 사회통합정책을 적극 실시하였다는 점이다. 세 번째는 공공주택정책을 통해 국가의 경제성장에 따른 이익을 경제적 소외자와 각 민족에게 골고루 나누어 사회통합의 장애를 제거하였다는 점이다. 싱가포르의 민족과 인종, 종교를 구분하지 않는 동등대우 그리고 교육과 언어정책의 공평성, 경제적 형평성의 유지정책은 한국에 이주해온 외국인들과 그 자녀들이 그들의 정체성을 유지하고, 향후 한국사회에 생산적 주체로 양성되는데 좋은 사례가 된다. 한편 중국은 56개 민족으로 구성된 국가로 당고조 2년(619년)에 만들어진 민족정책의 기본원칙조서와 追中前弊(추중전폐), 당태종의 夷夏一家(이하일가), 오늘날 중국정부의 當家作主(당가작주) 등에서 민족자치구역의 전통이 있어 오랜 역사동안 소수민족이 민족적 특수성을 유지한 채 중국 사회와 융화된 문화를 형성할 수 있는 ‘상호성의 원리’가 나타나고 있다. 중국의 역대 정책에 나타난 ‘상호성의 원리’를 한국사회의 통합정책에 적용한다면 한국어 교육만을 강화하는 것이 아니라, 이주민 집단거주지에 다문화가정 자녀가 원한다면 부모나라의 문화와 모국어를 교육받을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마련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한국의 교육기관에서도 한국인을 대상으로 초ㆍ중등 교과에 사회연구(Social Studies) 과목을 설치하는 등 다문화교육(Multi-cultural Education)을 강화하여 외국인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등 상호간의 문화이해를 확대한다. 그 외에 제도적 장치 안에 결혼이민자들이 적극적으로 의사표명을 할 수 있는 공식 체널(예를 들어, 외국인이 많이 거주하는 지역사회 내에 자조집단을 마련하고 지도자를 양성하여, 이들의 목소리를 국가 및 지방정부의 기관에 전달하는 채널)을 마련하는 것도 향후에 고려해 볼 다문화적 사회통합의 방안이 될 수 있다. This manuscript has finding principle of integrating society in Korea, instead of the multicultural society from multiculturalism of the Occident. I intend to find 'reciprocity principle' from the instance of China and Singapore. which have preserved the multiracial nation for a long history, and apply it to the integration of multicultural society of Korea. The 'reciprocity principle' does not make any excuse of differentiation due to the difference of confucian value's being connected with a value system, which conforms with the universal faith and emotion of the Oriental people. Instead, it actively admits the difference on an open position, and tries to accept it. The reciprocity principle also includes community position, which values much of members' mutual agreement on and observance of values and goals the society commonly seeks after. Although this kind of principle was derived from a position different from liberalistic position, it is considered to be on the same track with the Western multiculturalism. Multicultural history of Singapore and China mostly represents confucian, communal, nationalistic, and socialistic integration. It also shows the union and the assimilation at the same time. However, if you closely examine each nation's policy of minority race, you will discover the 'reciprocity principle,' which respects cultures and languages, regardless of the nation and race. Singapore is a multiracial country of people of Chinese, Malaysian, and Indian. However, it has succeeded in integrating the society as one. 'Singapore's only one policy' includes not only the national communalism, but also the 'reciprocity principle'. The first characteristic is that Singapore maintains the multicultural rank and order through 'the merit system regardless of the race' so that members of society can enjoy the social success. Even though people of Chinese descent account for the majority and hold the merit advantage, Singapore, through the bilingual education and the general educational policy, actively promoted the society-integrating policy where various races coexist with each other. Also, Singapore got rid of the obstacles to integrating the society by raising the rate of moving into public housing to 89%, and by distributing profits from the economic growth to each race and those economically estranged. The policy of Singapore is an essential element in cultivating those immigrated into Korea and their children to be the productive subject of the Korean society in the future. Also, it is a good example that implies a policy, which aims at equal treatment regardless of nation, race, and religion, fairness in education and linguistic policy, and maintenance of economical balance, is needed in integrating the Korean society. On the other hand, China consists of 56 races. And, 'reciprocity principle', in which minority races, for a long history, can maintain their racial peculiarity, and develop cultures in harmony with the Chinese society, is well described in the record of basic principles of racial policy written in the second year(619) of the Danggojo reign. It is also found in the principle of Chujungjeonpye(To make the people feel at ease by removing tributary states, being friendly with each other as a matter of course, and staying away from the troubles), Dangtaejong's Ihailga(To Make all the minority races a family by governing them with virtue), and the Chinese government of today's Danggajakju(Minority races act as the owner of the land they reside in, and govern their territories by themselves). The 'reciprocity principle' of China includes the idea of Hwaibudong(Get along well with others, but do not mix with people for no good reason) and the principle of Dobyeonghaengibulpae. Also, through coexisting mutually, respecting the harmony and differences, and opposing to the single homogeneity, it has served to let cultures of other races keep the peculiarity and develop for itself wi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