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학제간 융합연구는 연구 성과 창출에 효율적인가 :대한민국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

        이남우(Namwoo Yi),김연배(Yeonbae Kim) 한국기술혁신학회 2019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9 No.11

        20세기 말, IT, BT, NT, CS를 중심으로 활발한 학제간 연구가 이루어지며, 융합연구는 혁신을 이끄는 새로운 연구방법으로 자리 잡았다. 융합연구는 새로운 연구 트렌드로 자리를 잡으며, 학제간 융합 연구는 점차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융합연구의 우수성은 몇가지 주요 사례를 바탕으로만 설명이 되고 있을 뿐 정량적으로 학제간 융합연구가 우수한 연구 성과를 창출하는지에 대한 연구보고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일부 연구자들이 연구의 결과물인 논문과 특허를 바탕으로 학제간 융합연구의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는 시도는 있었으나, 연구 과정이 아닌 결과를 바탕으로 분석이 이루어져 실질적인 학제간 융합연구의 효과를 살펴보았다고 하기 어럽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가연구 개발사업의 모든 정보를 담고 있는 NTIS 정보를 활용하여 과제 단위의 학제간 융합정도와 해당 과제에서 창출된 학술적/기술적/경제적 연구 성과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연구 과제의 학제간 융합이 심화될수록 논문, 특허, 기술사업화 성과 창출 효율성이 높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학제간 융합연구의 우수성을 정량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기에, 이는 연구자들로 하여금 학제간 융합연구 시도를 독려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되며, 향후 학제간 융합연구 활성화 등의 정부 정책 수립의 근거 등으로 활용되어, 활발한 학제간 융합연구 생태계 형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In the end of 20C, the convergence research was known as a novel method for innovation with carrying out the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research such as IT, BT, NT, CS. As the convergence research has been the novel research trend, the more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actively. However, so far, the excellence of the convergence research was explained with some cases, but there’s no try to exaplin it with quantitative analysis. Some researchers have tried to explain the effects of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research based on the academic papers and patents. However, these studies are not enough to show the effect of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research, because papers and patents are research results, not research itself. In this study, using the NTIS data which include all of the research information supported by Korean government, the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level and academic/ technologic/economic results of project were analyzed. As the level of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is high, the efficiency of research results generation is also high. With this study, the excellence of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research is explained quantitatively for the first time and it can be the basis to encourage the researchers to try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research more. In addition, it can be used as a policy basis to promote the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and it can also contribute the establishment of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research ecosystem

      • KCI등재

        한국 행정연구의 학제적 연구에 대한 탐색적 접근

        황윤원,윤치중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18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2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실천적・처방적 학문인 행정학과 정책학의 학제적 연구의 특징을 탐색적으로 살펴봄으로서 국가정책연구에서 행정학・정책학의 구조적 특징과 그 성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행정학・정책학 분야의 학제적 연구에서 공동연구의 비중은 51%로 나타났다. 둘째, 학제적 연구의 밀도, 평균 결속계수 그리고 연결망 집중도 값을 통해 행정학・정책학 분야의 학제적 연구는 행정학과 정책학을 중심으로 다른 연구 분야와 1대1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구조적으로 확인했다. 셋째, 한국행정연구원에서 분류한 연구의 성격에 따라 주제별 사회연결망분석을 수행한 결과 개발협력 분야에서 다양한 연구 분야가 참여한 형태의 학제적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했다. 넷째, 재정・예산, 조직・인사 분야의 학제적 연구는 행정학을 중심으로 다른 연구 분야와 1대1 형태의 학제적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했다. 마지막으로, 행정학과 정책학은 재난・안전 분야의 학제적 연구에서 성격이 상이한 연구 분야를 연결하는 매개역할을 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행정학 분야의 학제적 연구를 구조적으로 확인한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interdisciplinarity of the public administration through Social network analysis. For data analysis, research reports from 2012 to 2016 of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was us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terdisciplinary studies accounted for 51% of all reports, and most of them were a combination of the public administration and one other discipline. In addition, interdisciplinary research has been actively conducted in the field of development and cooperation among the research fields classified by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Lastly, the public administration plays a role in mediation of disparate disciplines such as economics and architectural engineering in disaster and safety field.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structurally confirms interdisciplinarity in the field of public administration.

      • KCI등재

        국제법학과 국제관계학의 학제 간 연구에 관한 고찰

        임예준 경상국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法學硏究 Vol.29 No.2

        International law is an academic discipline that studies the legal order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is concerned with the process of formation of institutions and norms. International relations is an academic discipline that studies the interactions and processes of various actors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focused on explanation and predictions. Although international law and international relationships essentially share the intellectual exploration of international dynamics and order, they have developed into separate academic divisions, and have formed ‘two cultures’ due to differences in terminology as well as agenda and methodologies. * Assistant Professor, College of Public Policy, Korea University This article examines the development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in international law and international relations, as well as the interdisciplinary research field, and theoretically considers the interdisciplinary contacts and the possibility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To this end, it examines the development process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in international law and international relations and finds elective affinity with international law by reviewing major theories of international relations. This article specifically introduces Anne-Marie Slaughter's liberal theory of international law to gauge the new methodologies in international law.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law, the theory of international relations allows us to consider the political factors involved in forming laws and better understand the meaning of norms and systems by contextualizing them. Thus, interdisciplinary research in international law and international relations would help effectively apprehend legal norms and institutions,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the international law approach that assumed or presupposed an idealistic normative system. It also allows us to deviate from a norm-centric approach and an alternative to the excessive ideologically vaporized international law. 국제법학은 국가 간의 관계를 규율하는 법을 포함하여 오늘날에는 국제공동체 전체의 관계와 질서 그리고 관련 제도와 규범의 형성과정을 주로 연구하는 학문 분야를 일컫는다. 국제관계학은 국가 간의 정치와 정치형태, 그리고 국제사회에서의 다양한 행위자의 상호작용과 과정을 연구하는 학문 분야를 일컫는다. 국제법학과 국제관계학은 기본적으로 국제사회의 역학관계 및 질서라는 지적 탐구 영역을 공유하고 있다. 그렇지만 국제법학과 국제관계학은 별개의 학문 분과로 발전했으며, 의제와 방법론뿐만 아니라, 용어 사용의 차이로 인하여 ‘두 개의 문화’를 형성해 왔다. 이 글은 국제법학과 국제관계학의 학제 간 연구의 발전과정과 학제적 연구영역을 살펴보고, 두 학문의 접점과 학제 간 연구의 확장 가능성을 고찰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국제관계이론을 개괄적으로 검토함으로써 국제법과의 선택적 친화성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국제법학과 국제관계학의 학제 간 연구의 발전과정을 살펴보고, 활성화 요인과 학제 간 연구의 의의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제 간 연구방법과 주요 연구영역을 살펴보고, 자유주의 이론을 국제법학에 연계하는 방법론을 취하고 있는 Anne-Marie Slaughter의 주요 이론을 통해 학제 간 연구의 방향을 가늠해보았다. 국제법의 관점에서 국제관계이론은 법제도를 설명하는데에 있어 법 형성에 관여하는 정치적 요소를 고려할 수 있게 하며, 규범과 제도의 의미를 규범과 제도가 위치한 맥락을 통해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는 의의가 있다. 따라서 국제법학에 있어 국제관계학과의 학제 간 연구는 법규범과 제도를 정치적 맥락에서 설명함으로써, 이상주의적 규범 체제를 상정한 국제법학의 한계를 극복하여, 법규범과 제도를 효과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단순히 규범 중심적인 접근에서 벗어날 수 있게 하며, 국제법이 지나치게 이데올로기화되는 것에 대한 대안이 되기도 한다.

      • KCI등재

        사이버공간에서의 커뮤니케이션 연구

        김원식(Weon Seek Kim)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08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25 No.1

        본 연구는 지난 10년간 경제학 중심의 학제간 연구동향을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를 포함한 주요 9개 학술지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경제학 중심의 학제간 연구는 꾸준히 증가세에 있으나 전체 연구에서 상대적 비중은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연구주제와 방법론이 방송산업에 대한 산업조직론적 접근으로 편중되어 있고 학자들의 공동연구가 부족한 상태에서 연구자들은 아직까지는 전통영역의 학술지를 중심으로 게재활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는 학제간 연구 활성화를 목적으로 등장했음에도 불구하고 경제학 중심의 학제간 연구의 게재 성과는 아직 부족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경제학 중심의 학제간 연구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연구주제의 확대, 학제간 공동연구의 활성화, 학제간 연구물 심사관리방법의 공교화 등을 고려해 볼 수 있다. This paper analyzes the trend of interdisciplinary economic studies printed on nine journals over last 10 years. It finds the stylized facts that i)share of interdisciplinary economic studies goes smaller, increase in number though, ii)10 theoretical approach to broadcasting industry are heavily adopted, and iii)Journal of Cyber Communications has not afforded those studies enough yet. Accepting diverse subjects, encouraging cooperative works and sophisticating publication management are necessary to accelerate interdisciplinary economic studies.

      • KCI등재

        의예과 학생들의 학제간 융합연구 과정 참여 효과

        윤소정,박귀화,이지영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research efficacy, research interests,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and major satisfaction among the three groups;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research, medical science research and non-research course, targeting premedical students. This study also analyzed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research using qualitative methods. As a result,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research had lower life satisfaction than the other two groups. They showed the highest score of research self-efficacy,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ata analysis, result presentation, and research ethics which are sub-factors of research efficacy. Three essential theme and thirteen subjects were analyzed in the reflective essays. The three essential themes were recognition, effect and demand for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research.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and activation of research program for medical students. 학제간 융합은 주요한 시대적 흐름으로, 의과대학에서도 융합역량을 갖춘 인재 육성을 위한 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이를 위해 의과대학에서는 학부생들을 융합 연구에 참여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의과대학 2곳의 의예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제간 융합연구 집단, 의학연구 집단, 연구 미참여 집단에 따라 연구효능감, 연구흥미, 대학생활 만족도와 전공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융합연구과정에 대한 학생 성찰일지의 질적분석을 통하여 학제간 융합연구가 의예과 학생들에게 갖는 의미를 통합적으로 알아보았다. 그 결과, 학제간 융합연구 참여 학생이 다른 두 집단에 비해 생활만족도가 낮았다. 학제간 융합연구 참여 학생이 연구 효능감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하위 요인 중 통계분석, 결과기술, 연구윤리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질적분석 결과, 학제간 융합연구 참여 학생들의 경험에서 나타난 본질적 주제는 학제간 융합연구과정에 대한 인식, 효과, 요구의 3가지였고, 드러난 주제는 13가지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가 의학연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활성화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융합연구자 학제 간 연결성에 관한 네트워크 분석: 대학 내 융합연구그룹의 사례

        송인한,김혜진 한국융합학회 2019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0 No.4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convergence research to solve complexity and diversity of research problems is more increasing. For successful convergence research, connectivity beyond the boundary and distance between disciplines is a key factor.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connectivity among researchers, we investigated the interdisciplinary relationships among 487 researchers’ disciplines in a university by using network anaylsis. The results showed that (1) connectivity between similar disciplines were higher than different disciplines, (2) the density and cohesion level of connectivity within the same campuses were higher, and (3) network centrality was concentrated in engineering and medicine. Based on these results, the necessity of overcoming boundaries and distances as obstacles to convergence research and the necessity of diversification of centrality were proposed. While previous studies mainly analyzed the research outcomes,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analyzed researchers’ connectivity and collaborative structures in the actual convergence research procedures. 연구문제의 복잡성과 다양성을 해결하기 위한 융합연구의 중요성과 필요성이 더욱 증가되고 있다. 성공적 융합연구를 위해서 학제 사이의 경계와 거리를 초월한 연결성이 핵심 요소이다. 본 연구는 융합연구자의 학제 간 연결성의 현황과 특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국내 한 대학교 내 융합연구자 487명의 소속 학제 간 관계를 네트워크 분석을 사용해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1) 상이한 학제 간보다 유사한 학제 간 연결성이 높았으며, (2) 동일한 캠퍼스 내 연결성의 밀도와 응집수준이 높았고, (3) 네트워크 중심성이 공학과 의학에 집중되어 있음이 발견되었다. 이를 근거로 융합연구의 장애요소인 경계와 거리를 극복할 필요성과 융합연구 중심을 다양화시킬 필요성에 대해 제언하였다. 기존 연구가 주로 연구성과물을 분석하였던데 비해, 연구 과정에 있어서 연구자의 연결성과 협력구조를 분석했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행정학 학술지 공저자 네트워크 분석

        이민호(Lee, Minho) 서울행정학회 2017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8 No.1

        본 연구는 국내 행정학 관련 학술 네트워크를 행정학 관련 67개 전문 학술지를 대상으로 2002년부터 2016년 10월까지 총 27,233건의 논문에 대한 공저자 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며, 행정학의 학제적 연구측면에서 행정학 학술 네트워크를 이해한다. 이와 함께 학제적 연구가 행정학 학술 네트워크에서 어떠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중심부 가설과 주변부 가설의 관점에서 네트워크 중심성과 학제적 연구 경험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인접 분과 학문과의 학제적 교류가 축소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경찰행정 및 형사정책 등 새로운 분야와의 학제적 교류가 확대되고 있으며, 각 분야별 정책연구를 통해 지속적인 학제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학제적 연구는 근접 중심성을 기준으로 행정학 네트워크의 중심부에 위치한 연구자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있음을 지적하고 있어 중심부 가설을 지지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다만 인접 분과 학문과의 학제적 교류에서는 중심부 가설이 지지되고 있지 못하고 있어 학제적 연구의 특성 차이가 확인된다. This study intended to analyze the co-authorship networks in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field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using the database of 67 scholarly journals and 27,233 articles for 2002-2016. In addition to describing the traits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in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field,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what kind of authors on the scholarly network have done interdisciplinary researches. Under the hypothesis of core network, this study tested empiric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network centrality index. As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though traditional interdisciplinary relations with other classical social sciences such as politics, management, and law have been reduced, it was found that new type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es have been increased with policy administration and individual policy researches. Moreover, this type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es turn out to be done by the authors positioning at the center of the co-authorship network, which supports the hypothesis of core network.

      • KCI등재

        연구자 소속과 연구영역 매핑에 의한 학제성 규명에 관한 연구

        정은경,정연경,이정연 한국정보관리학회 2009 정보관리학회지 Vol.2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interdisciplinarity among eight research areas based upon the correlations between researchers' department affiliations and research areas. More specifically, eight research areas and their sub-areas, 153 sub-areas with researchers' department affiliations were analyzed in terms of Pearson correlation analyses. The findings demonstrated that there was interdisciplinarity between Social Science and Multiple Science Areas, Social Science and Medical & Pharmaceutical Area, Natural Science and Medical & Pharmaceutical Area, and Medical & Pharmaceutical Area and Agricultural Science. 학문의 전문화와 학제성은 학문의 발전과 함께 이루어지며, 학제성을 규명하는 것은 학문의 좌표 설정에 있어서 중요하다. 본 연구는 연구자의 소속 학과와 연구 영역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서 학제성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학술진흥재단에 등록된 63,578명의 연구자 소속 학과와 대분류 및 중분류 연구영역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서, 대분류 연구영역 간에는 사회과학과 복합학, 의약학과 복합학, 자연과학과 의약학, 자연과학과 농수해양 간의 학제성을 찾아볼 수 있었다. 보다 구체적인 상관관계는 중분류 연구영역 단계와 소속 학과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나타났다. 즉, 복합학과 사회과학은 다양한 연구영역이 서로 학제적 성격을 나타내며, 복합학과 의약학은 복합학 하위의 뇌과학 연구영역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자연과학과 의약학은 자연과학 내의 기타자연과학, 화학, 생물학에 기인한 것이며, 자연과학과 농수해양은 농수해양 내의 농학, 수산학, 식품과학 연구영역에 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Facilitating Interdisciplinary Research

        Sung Kyum Cho(조성겸),Kwang Hee Lee(이광희)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5

        최근 융합연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정부차원의 재정지원이 확대되고 있다. 실제 많은 연구자들이 융합과제를 신청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017년에 신청한 4,930건의 인문사회 기초연구사업 연구과제를 학제간 연계성을 조사ㆍ분석한 결과 52.2%에 이르는 2,575건이 연구분야 대분류 기준으로 1개 이상의 다른 연구 분야와 연계된 것으로 나타나 융합연구로 분류될 수 있었다. 이렇게 분류된 융합연구 과제의 최종 지원 및 선정률이 단일분야(42.1%)보다 7.1% 낮은 35%로 분석되었다. 이 조사결과에 기초할 때 인문사회 기초연구에 학제 간 연계성을 띄는 연구과제의 비중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심사평가에서 융합연구의 특성이 적절하게 반영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향후, 학제 간 융합연구의 활성화를 위해 연구지원 분류체계에 융합연구의 분류기준을 마련하고, 연구과제 심사평가 시 학제 간 융합연구 과제의 특성이 고려될 수 있도록 평가방안을 정비할 필요가 있다. Interdisciplinary, or convergence, research has been a priority for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and many scholars in Korea have proposed interdisciplinary projects. Of the 4,930 proposals for the submitted in 2017, 2,575 (52.2%) of these proposals could be considered interdisciplinary projects. However, interdisciplinary projects had an acceptance rate of 35.0%, compared to an acceptance rate of 42.1% for single-discipline proposals. According to the study, despite the large share of research projects that appear to be interdisciplinary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of interdisciplinary studies was not reflected properly in the evaluation. I would suggest that it is required to prepare the criteria for classification of interdisciplinary studies in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research fields so that the characteristics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projects may be duly considered.

      • KCI등재

        학제간융합연구에서 성불평등과 여성연구자의 지위

        김수한,박동준,박소윤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9 여성연구 Vol.102 No.3

        학제간융합연구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지만, 융합연구가 학문의 다양성과 불평등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에 관한 관심은 적었다. 이 논문은 182개의 학제간융합연구팀과 이에 소속된 1,184명의 연구자에 대한 자료를 이용하여 연구 참여, 연구책임자, 팀구성에서 여성의 지위와 역할을 살펴보았다. 핵심적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융합연구를 주도하는 전공에서 여성의 대표성은 낮은편이다. 융합연구에 참여하는 여성의 전공은 제한되어 있으며, 중대형 과제에서 여성이 대표하는분야는 소수에 불과하다. 둘째, 연구책임자 중에서 여성 비율은 낮은 편이고, 특히 중대형 과제에서여성의 대표성은 더욱 줄어든다. 셋째, 연구책임자의 성별과 융합과제의 규모에 따라 팀의 구성이달라진다. 여성이 연구책임자일 때 성별 균형과 다양성이 유지되지만, 남성이 연구책임자일 때 남성중심으로 팀이 구성되는 경향이 강하다. 본 연구는 학제간융합연구에서 여성의 역할이 제한적이며, 이 사업을 통해 성불평등이 심화될 수 있음을 말해준다. 정책적 대안과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하면서 글을 마무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