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평가등급 동등화를 통한 학생건강체력평가(PAPS)의 재조명

        김용익,신승윤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7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19 No.3

        This study aims to compare grades calculated from cardiopulmonary endurance items of PAPS (Physical Activity Promotion System) in an inter-compatible way and to implement equalization of evaluation grades in order to have equal evaluation of individual physical levels irrespective of selection of any item. Survey was conducted on total 664 students composed of 322 male students and 342 male students on the 1st, 2nd, and 3rd grade of middle school located in Yongin-si, Gyeonggi-do. Measurement of PAPS was performed according to PAPS manual suggested by Seoul National University Institute of Sport Science in 2009. The results are as below. According to verification through a correlation analysis to check measurement of similar factors between cardiopulmonary endurance items of PAPS, it was found that cardiopulmonary endurance had relatively high correlation between shuttle long-distance running, long-distance running, and walking but that it had low correlation with step test. According to verification of correlation evaluation grades between cardiopulmonary endurance items of PAPS through a frequency analysis and Cramer' V of chi-square, it was found that cardiopulmonary endurance had correlation between shuttle long-distance running, long-distance running, and walking but that it had low correlation with step test. According to implementation of equalization between cardiopulmonary endurance items of PAPS, distribution of evaluation grade revealed gradual coincidence with linear equating through log transformation. However, coincidence result confirmed from Kappa of chi-square showed that coincidence became better between shuttle long-distance running, long-distance running, and walking bu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incidence did not appear between step test items. Consequently, it is found that all the students cannot get the same evaluation if the same student performs 3 items of the cardiopulmonary endurance factors It is believed that this study would suggest questions abou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various test items for physical factors of cardiopulmonary endurance in PAPS. It is required to correct different evaluation between items of the same physical factors in PAPS which purpose is an important evaluation of physical strength in order to make health students through evaluation and continuous management of their physical strength. It seems to be required to revise and supplement various items of the factors in PAPS through subsequent researches in the future.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건강체력평가의 심폐지구력 종목들에서 산출된 등급을 상호 호환적으로 비교가 가능하도록 하고, 어느 종목을 선택하느냐에 관계없이 개인의 체력수준을 동일하게 평가받을 수 있도록 평가등급의 동등화를 실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 참여자는 경기도 용인시에 소재한 중학교 1개교 1, 2, 3학년 남학생 322명여학생 342명 총 66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학생건강체력평가 측정은 2009년 서울대학교 스포츠과학 연구소에서 제시한 학생건강체력평가 매뉴얼에 따라 실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생건강체력평가의 심폐지구력 검사종목 간 서로 유사한 구인을 측정하고 있는지 상관분석을 통해 검증을 실시한 결과, 심폐지구력은 왕복 오래달리기와 오래달리기-걷기 종목 간의 상관은 비교적 높았지만 스텝 검사 간에는 상관이 낮게 나타났다. 학생건강체력평가의 심폐지구력 검사 종목 간의 평가등급의 상관성을 검증하기 위해 빈도 분석 및 카이 제곱의 Cramer의 V를 실시한 결과, 왕복 오래달리기와 오래달리기-걷기 종목 간의 상관을 나타났지만, 스텝 검사 간에는 상관이 낮게 나타났다. 학생건강체력평가의 심폐지구력 검사 종목 간의 동등화를 실시 한 결과, 평가등급의 분포는 선형 동등화와 로그변환을 통해 점차적으로 일치함을 나타냈다. 하지만 카이 제곱의 카파(Kappa)를 통해 확인한 일치도 결과는 왕복오래달리기와 오래달리기-걷기 종목 간에는 일치도가 나아졌지만, 스텝 검사 종목 간에 일치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일치도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동일한 학생이 심폐지구력 요인 내 세 종목을 실시할 경우 모든 학생이 동일한 평가를 받지 못 한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서 학생건강체력평가 내의 심폐지구력 체력 요인의다양한 검사 종목에 대한 타당도 및 신뢰도에 대한 의문점을 제시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학생들의 체력을 평가하고 지속적인 관리를 통해서 건강한 학생을 만들기 위한 중요한 체력 평가인 학생건강체력평가가 동일 체력 요인내의 종목들 간의 평가가 다르다는 것은 수정되어야 한다. 추후 연구를 통해서 학생건강체력평가의 요인 내의 다양한 종목들에 대한 수정 및 보완이 필요 하리라 생각된다.

      • KCI등재

        학생건강체력평가 등급의 체력수준에 따른 체육교과 태도분석

        한재희(Jae Hee Han),송지환(Ji Hwan Song)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4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1 No.2

        본 연구는 학생건강체력평가(Physical Activity Promotion System: PAPS) 등급에 따른 체육교과의 태도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서 학생건강체력평가시스템 결과와 김종환(2004)이 개발한 한국형 체육교과태도척도를 활용하여 PAPS의 체력등급 1∼5등급 범위에서 ‘3등급’을 제외한 1∼2등급(체력우수집단), 4∼5등급(체력우려집단)으로 분류하여 체력수준 및 성별간의 체육교과에 대한 태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J도에 소재하는 중학교 중 자료수집이 용이하고, 연구주제에 대해 관심이 있는 체육교사의 중학교 3곳을 선정하여 한 학교당 60부씩 총 180부의 설문지를 배포한 후 불성실하게 응답한 15부와 ‘3등급’ 학생이 기재한설문지 45부를 제외한 120부만을 최종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절차에 따라 분석한 결과는 첫째: 체력수준에 따른 체육교과에 대한 태도는 체력우수집단의 학생들이 체력우려집단의 학생들에 비해 긍정적정서, 건강과 체력, 신체활동과 움직임, 대인관계, 능동적 참여와 적극적 수행 요인에서 높게 나타났다. 반면 부정적 정서는 체력우려학생집단이 체력우수집단의 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즉, 체력이 낮은 학생일수록 체육교과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성별에 따른 체육교과에 대한 태도는 남학생이 여학생 보다 긍정적정서, 건강과 체력, 신체활동과 움직임, 능동적 참여와 적극적 수행 요인에서 높게 나타났고, 부정적정서 요인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나 여학생들을 위한 체력단련 시설 및 도구 프로그램 등 체육활동을 위한 다양한 환경적 지원이 요구된다. It is a study to examine the attitudes of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n accordance with the Physical Activity Promotion System class The resul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the study First, the excellent physical fitness, students of the population exercise physical fitness positive emotion, and health, and physical activity compared to students of physical fitness concern group, attitude toward subject of physical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hysical fitness level, particip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ggressive was higher by a factor of active and running. On the other hand, concern student population of physical strength, excellent physical fitness, negative emotions, was higher than students of the population. That is, it is possible to know that the more students physical strength is low, attitude to subjects PE is negative this result. Second, schoolboy exercise positive feelings than girls, physical fitness and health, and physical activity, it appears very factors of aggressive execution and active participation, attitudes toward physical education by gender, negative emotions the factors, the girls are required to support environmental a variety of sports activities such as tools and programs fitness facilities for schoolgirl who it appears higher than boys.

      • KCI등재

        초등학교 저체력 학생의 킨볼 프로그램 참여 사례연구

        안솔 ( An Sol ),이영석 ( Lee Young Suk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한국초등교육 Vol.32 No.2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체력 학생을 대상으로 킨볼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저체력 학생들의 신체활동에 대한 인식 및 태도의 변화를 살펴보고, 그 변화에 영향을 미친 킨볼의 요인을 분석하여 저체력 학생들을 위한 체력증진 프로그램의 방향성 재고와 체력증진 프로그램으로서 킨볼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G초등학교 학생건강체력평가(PAPS) 4, 5등급에 해당하는 학생 13명을 대상으로 킨볼을 활용한 체력증진 프로그램을 8주간, 24차시 실시하였으며, 참여 학생 중 3명(남2, 여 1)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사례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윤리를 위해 연구 참여자에게 연구 참여 동의를 구하고 동의서를 받은 후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연구 참여자와의 심층 면담 및 그들의 활동 일지를 분석하고 연구자의 참여·관찰 자료를 보조자료로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킨볼 프로그램 참여 전, 저체력 학생들은 공통적으로 활동량이 적고 신체활동에 대한 낮은 흥미도를 가지고 있었으며, 신체활동에 대한 자신감과 체육 교과에 대한 선호도 또한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요인들은 상호 영향을 미쳐 신체활동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소극적인 태도로 이어졌다. 킨볼 프로그램 참여 후, 저체력 학생들은 소극적이며 의무적인 참여에서 자발적이며 적극적인 참여로 태도 변화를 보이며 킨볼 활동에서의 즐거움을 인식하였다. 또한 연속된 성공경험으로 인한 학생들의 성취 경험은 신체활동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자신감의 향상으로 이어져, 저체력 학생들의 장기적인 신체활동 참여의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었다. 이와 함께, 저체력 학생들의 신체활동에 대한 인식 변화에 영향을 미친 킨볼의 요인들은 4가지 범주 즉, 흥미로운 공인구와 경기방식, 쉬운 규칙과 낮은 기능적 요구, 협동 중심의 게임, 균등한 기회 제공의 측면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요인들은 저체력 학생들을 위한 체력증진 프로그램으로서 킨볼의 가능성을 강화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changes in perceptions and attitudes about physical activities and the factors of Kinball that influenced those changes through participation in the Kinball program of low-physical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and through this, rethinking the direction of the physical fitness promotion program and enhancing the ability of low-physical students. I tri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Kinball as a program. To this end, a physical fitness promotion program using Kinball for 8 weeks and 24 hours was operated for low-physical students at G Elementary School in Seoul, and three of the participating student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to conduct a qualitative study. In-depth interviews with the study participants and their activity log were collected, and data from the researcher's observations were used as an ai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ow-physical students before participating in the Kinball program had low activity and low interest in physical activity, and their confidence in physical activity and preference for physical education were also low. Second, through participation in the Kinball program, low-physical students showed a change of attitude from passive and compulsory participation to voluntary and active participation, and recognized the enjoyment of Kinball activities. In addition, the sense of achievement experienced by the students through successive experiences of success led to a positive perception of physical activity and improvement of confidence. Third, Kinball's factors influencing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physical activity of low-physical students were found in four categories: interest factor, low functional demand, cooperative-oriented competition, and equal opportunity provision. As a program, I was able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Kinball.

      • 시각장애 청소년 건강 컨설팅 관점의 학생건강체력평가 분석

        권오형,장홍영 한국컨설팅학회 2023 컨설팅융합연구 Vol.3 No.4

        본 연구는 시각장애 청소년과 비장애 청소년의 PAPS 결과를 토대로 시각장애 청소년과 비장애 청소년의 체력의 차이 를 비교하여 시각장애 청소년의 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 방향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데 있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경기·인천 지역 의 비장애인 중학교 1·2·3학년 3개의 학교(888명)와 전국 지역 시각장애 특수학교 중학생 1·2·3학년 8개의 학교(173명) 총 11개 학교의 1,058명을 대상으로 기초체력 증진 활동에 일환으로 실시된 PAPS 측정 기록을 사용하였다. 자료 처리는 시각장애 학생 과 비장애 학생의 학생건강체력평가를 통해 산출된 심폐지구력, 유연성, 근력 및 근지구력, 순발력, 비만, 건강체력평가 총점수의 시각장애 학생과 비장애 학생의 그룹과 학년 및 성별의 따른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two-way ANOVA를 실시하였다. 장애 유 무에 따른 심폐지구력, 유연성, 근력 및 근지구력, 순발력, 건강체력평가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p<.05) 비만 점수에 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학년에 따른 심폐지구력, 근력 및 근지구력, 건강체력평가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p<.05) 유연성, 순발력, 비만 점수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성별에 따른 심폐지구력, 유연성, 근 력 및 근지구력, 순발력, 건강체력평가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p>.05) 비만 점수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 났다(p<.05). 시각장애 학생들의 신체활동 참여 동기 부여와 더불어 시각장애 학생을 위한 측정 환경 조성과 건강관리, 체력검사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를 통하여 건강관련 체력의 다면적인 발달을 가져올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hysical fitness differences between visually impaired adolescents and non-visually impaired adolesc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APS (Presidential Physical Fitness Award Program) in order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policy directions to promote the health of visually impaired adolescents. The study's participants included a total of 1,058 individuals from 11 different schools in the Seoul, Gyeonggi, and Incheon regions. This group comprised 888 non-visually impaired middle school students in grades 1, 2, and 3, as well as 173 visually impaired middle school students in grades 1, 2, and 3 from 8 special schools for the visually impaired across the country. The study used PAPS (Presidential Physical Fitness Award Program) measurement records conducted as part of basic physical fitness promotion activities. Data processing involved the use of two-way ANOVA to test differences based on visual impairment status, grade, and gender for various aspects of students' physical health assessments, including cardiovascular endurance, flexibility, muscular strength and endurance, agility, obesity, and the total health and physical fitness assessment score. This analysis was performed with a significance level set at p<.05.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cardiovascular endurance, flexibility, muscular strength and endurance, agility, and overall health and physical fitness assessment scores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disabilitie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obesity scores. Regarding grade level,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ed in cardiovascular endurance, muscular strength and endurance, and overall health and physical fitness assessment score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lexibility, agility, or obesity scores. In terms of gend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diovascular endurance, flexibility, muscular strength and endurance, agility, and overall health and physical fitness assessment scores.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obesity scores. There is a demand for approaches that can facilitate comprehensive physical development related to health among visually impaired students. This includes motivating their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ies and creating an environment conducive to their needs, as well as ensur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health management, including fitness assessment tools for visually impaired students.

      • KCI등재

        초등학생의 평생 건강관리를 위한 체질량지수에 따른 체력적 특성 분석

        박상규(Sang-Kyu Park),박인성(In-Sung Park)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7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1 No.2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체질량지수에 따른 체력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초등학교 5, 6학년 남학생 67명, 여학생 67명, 총 134명을 대상으로 하여 체질량지수와 체력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 체질량지수를 보정한 성별 체력 차이 및 체질량지수를 조절한 체력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체질량지수는 전체학생, 남학생, 여학생 모두에서 오래달리기-걷기, 50m달리기, 악력과 유의한 상관관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질량지수를 공변량으로 하여 체력의 성별차이를 분석한 결과 오래달리기-걷기 및 50m 달리기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앉아윗몸앞으로 굽히기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체질량지수를 조절하였을 때 오래달리기-걷기는 50m 달리기(전체학생, 남학생, 여학생), 악력(전체학생, 남학생), 앉아윗몸앞으로 굽히기(남학생)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50m 달리기는 악력(전체학생, 남학생, 여학생) 및 앉아윗몸앞으로 굽히기(여학생)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악력은 앉아윗몸앞으로 굽히기(전체학생)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body mass index(BMI) and the factors of physical fitness, gender difference adjusted for BMI in physical fitness, and the relationships among the factors of physical fitness controlling for BMI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 of physical fitness according to BMI in 5th and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67 male students and 67 female students, total 134 students). BMI significantly correlates with endurance running-walking, 50m sprinting, and handgrip strength in total students, 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Male students show higher ability in endurance running-walking and 50m sprinting than female students, whereas female students have higher performance in sit-and-reach flexibility than male students after controlling for BMI. When controlling for BMI effect, endurance running-walking significantly correlates with 50m sprinting(total students, 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handgrip strength(total students and male students) and sit-and-reach flexibility(male students), 50m sprinting significantly correlates with handgrip strength(total students, 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and sit-and-reach flexibility(female students) and handgrip strength significantly correlates with sit-and-reach flexibility(total students).

      • 초등학생의 신체적 특성이 건강 체력평가에 미치는 영향

        이경수 ( Gyeongsu Lee ),진승모 ( Seungmo Jin ),김원중 ( Wonjung Kim ) 건국대학교 교육연구소 2014 교사와 교육(구 교육논집) Vol.33 No.-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신체적 특성들이 현재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학생건강 체력 평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서울 지역 초등학생 796명을 대상으로 수행하였으며, 건강 체력요인과 비만도 등급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을 실시 하였다. 또한 초등학생의 건강체력 요인에 따른 비만도와 건강 체력요인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 모형을 설정하여 분석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첫 번째, 건강 체력등급별 비만도 항목에서 남학생의 경우 심폐지구력과 근력에서 등급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유연성과 순발력 항목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여학생의 경우 심폐지구력, 근력 및 순발력 항목에서 등급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남학생들과 동일하게 유연성 항목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두 번째, 비만도에 따른 건강 체력결과의 경우 남학생의 경우 정상군, 과체중군 및 비만군 모두 근력, 순발력, 유연성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심폐지구력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여학생의 경우 정상군, 과체중군 및 비만군 모두 유연성 항목을 제외한 심폐지구력, 근력 및 순발력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세 번째,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비만도를 근거로 한 건강 체력요인 예측모형은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의 경우 비만도 여부에 대한 개별 독립변수들의 통계적 유의성을 분석한 결과 심폐지구력과 근력은 유의한 변인으로 파악되었고, 여학생의 경우 비만도 여부에 때한 개별 독립변수들의 통계적 유의성을 분석한 결과 근력항목이 유의한 변인으로 파악되었다. The research was performed on 796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to study the effect of physical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Physical Activity Promotion System (PAPS) currently being performed in their school,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between health physical factors and obesity index levels. Firstly, in obesity index by health physical level,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among the levels on cardiopulmonary endurance and muscular strength where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flexibility and explosive muscular strength in terms of boys. In terms of girls,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on cardiopulmonary endurance, muscular strength and explosive muscular strength among the level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on flexibility as equal to boys. Secondly, in terms of boys on consequential health physical result by obesity index, normal group, overweight group and obesity group all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muscular strength, explosive muscular strength and flexibility, but cardiopulmonary endurance. In terms of girls, normal group, overweight group and obesity group al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n cardiopulmonary endurance, muscular strength and explosive muscular strength but not on flexibility. Thirdly, as a result of logistic regression, the health physical factor predicting model based on obesity index was show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a result of statistical significance analysis of individual independent variables depending on obesity index, cardiopulmonary endurance and muscular strength were determined to be significant variables in terms of boys, whereas in terms of girls, muscular strength part was determined to be the only significant variable as a result of statistical significance analysis of individual independent variables depending on obesity index,.

      • KCI등재

        학생건강체력평가(PAPS)의 문제점 해결을 위한 전략적 탐색

        김도형(Kim Dohy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7

        2009년부터 실시한 학생건강체력평가는 체력측정과 평가 및 운동 처방과 활용 등을 종합적으로 할 수 있는 개인 맞춤형 제도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청소년의 신체 활동률은 2019년 세계 최하위를 기록했다. 학생건강체력평가의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해보면, 평가 종목 간의 낮은 상관성, 측정을 위한 동기 부족, 교사의 전문성 부족, 건강 체력교실과 체력인증센터 운영의 부실 등을 이유로 들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필요조건으로 동기부여를 위한 측정 종목의 놀이성과 경쟁성, 접근성 등을 강화해야 하고, 측정과 평가 및 운동 처방의 전문성 부여, 측정 종목의 통일로 결과의 통계적 활용성 강화 등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건강체력평가의 단점을 보완하는 제도로 청소년을 위한 ‘체력검정 및 증진 놀이센터’의 설립을 제안하였다. ‘체력 검정 및 증진 놀이센터’는 체력측정 및 평가, 그리고 운동 처방 및 활용을 위한 전문가들의 직접 고용을 기본적인 전제로 하여 센터 운영과 관련된 전문성을 갖출 수 있게 할 것이다. 체력측정과 평가를 위한 측정 종목은 놀이와 트레이닝을 할 수 있는 종합적 형태의 통일된 방식을 개발하고 보급하는 것을 우선으로 하여 놀이와 훈련을 같이 할 수 있게 할 것이다. 학생들이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IT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기기 건강관리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개발과 보급을 통해 접근성과 지속 가능성이 개선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일과시간 이후에는 청소년들을 위한 신체활동 놀이 시설과 체력증진 센터로의 활용이 가능하게 하여 효율적인 센터의 운영을 예상할 수 있다. Although the Physical Activity Promotion System (PAPS) implemented since 2009 is a personally customized system that can comprehensively measure and evaluate physical fitness and prescribe and utilize exercise, the physical activity rate of adolescents in Korea showed the lowest in the world in 2019.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PAPS from 2009 to present, reasons may include low correlation between evaluation items, lack of motivation for measurement, lack of professionalism of teachers, and poor operation of health physical fitness classes and physical fitness accreditation centers. It was found that as a necessary condition to solve these problems, the playability, competition, and accessibility of measurement items for motivation should be strengthened, and that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statistical utility of the results through the unification of measurement items, and to provide expertise in measurement and evaluation and exercise prescription. As a system to supplement the shortcomings of PAPS, this study proposed the establishment of a ‘physical fitness test and promotion play center’ for adolescents. The physical fitness test and promotion play center will provide the expertise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center with the basic premise of direct employment of experts for physical fitness measurement and evaluation and exercise prescription and utilization. For the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physical fitness,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a comprehensively unified method for play and training of measurement items will be given priority to enable play and training together. Accessibility and sustainability will be improved through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smart device health management-only applications utilizing IT technology that students can easily get an access to. After working hours, it can be used as a physical activity play facility for adolescents and as a physical fitness promotion center, so it is possible to predict an efficient operation of the center.education, even though being recognized as the most adequate educational environment, has been rather vaguely and diversely understood and interpreted among the practitioners in the educational fields.

      • KCI등재

        특수교육 저널: 이론과 실천 : PAPS-D에 의한 건강체력 프로그램이 지체장애 학생의 기초체력 증진에 미치는 효과

        정경희 ( Kyeong Hee Jung ),정훈영 ( Hoon Young Jung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5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6 No.3

        본 연구는 PAPS-D에 따른 건강체력 프로그램을 지체장애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기초체력에서 심폐기능, 근기능, 순발력, 유연성의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생활연령이 12∼15세인 3명의 지체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중다기초선설계(multiplebaseline across subjects) 실험을 통하여 기초선에서는 4개영역을 검사하였고, 중재기간은 20주 동안 40차시의 건강체력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지도하였으며, 유지검사는 중재가 종료된 4주 후에 건강 체력프로그램에 따라 중재의 유지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그 결과PAPS-D에 따른 건강체력프로그램은 지체장애 학생의 체력요인별 기초체력에서 심폐기능,근기능, 순발력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유연성에 있어서는 의미 있게 향상된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또한 건강 체력프로그램으로 인하여 향상된 체력요인별 건강체력은 프로그램이 종료된 후에도 잘 유지하고 있었다. 연구대상은 충남 천안시 소재 N특수학교에 초등학교과정에 재학 중인 3명의 지체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방과후 체육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실시하였다. 중다기초선 설계를 통하여 20주 동안 40차시의 건강체력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PAPS-D의 6가지 체력 요인 중 심폐기능, 근기능, 유연성, 순발력 4가지 영역변화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심폐기능, 근기능, 순발력 3가지 영역에서는 향상을 보였으나, 유연성 영역에서는 의미 있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PAPS-D에 의한 건강체력 프로그램이 지체장애 학생의 기초체력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This study is going to find the effects of health and physical program by PAPS-D on the improvement of the basic physical strength of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by physical strength factor. Based on the above objectives, it attempted to apply the health and physical program by PAPS-D to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find the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cardio pulmonary function, muscular function, quick adaptation and flexibility in basic physical strength. For this, through the multiple baseline across subjects experiment on 3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t the chronological age of 12~15, 4 areas were tested in the baseline and a health and physical program composed of 40 classes for 20 weeks was devised, applied and guided for the intermediary period, and the maintenance test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maintenance effect of mediation 4 weeks after mediation completion according to the health and physical program. As a result, it was shown that the health and physical program by PAPS-D improved cardio pulmonary function, muscular function and quick adaptation in basic physical strength of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by physical strength factor. However, it did not acquire significant improvement on flexibility.

      • KCI등재

        학생건강체력평가를 활용한 고등학생의 신체질량지수와 건강체력의 관계

        박경,한은수 한국비즈니스학회 2024 비즈니스융복합연구 Vol.9 No.2

        건강체력은 활기찬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튼튼한 몸과 스트레스를 이길 수 있는 건강한 정신, 그리고 원만한 사회생활을 할 수 있는 능력으로 인간의 삶의 질을 결정하는 기본적인 요소이다. 본 연구는 학생건강체력평가를 준거로 측정한 고등학생의 신체질량지수와 체력요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향후 청소년의 건강체력 향상 및 비만도 개선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자는 G시에 재학중인 남녀 고등학생 436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수집은 2023년 5월 1일부터 5월 30일까지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독립표본 t-검정 및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사후검증은 Scheffe’s test로 분석하였다. 체력검사 간의 상관관계는 피어슨 상관계수(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산출하였다. 대상자의 신체질량지수 등급별(정상, 과체중, 비만)에 따른 심폐지구력은 통계적으로 남학생(F=12.96, p= .00), 여학생(F=9.65, p= .00)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사후검정 결과 정상군이 비만군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등급별에 따른 유연성은 통계적으로 남학생(F=1.29, p= .28), 여학생(F=1.73, p= .18)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등급별에 따른 근력도 통계적으로 남학생(F= .16, p= .18), 여학생(F=1.30, p= .28)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등급별에 따른 순발력은 통계적으로 남학생(F=14.40, p= .00), 여학생(F=3.56, p= .03)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사후검정결과 정상군이 비만군에 비해 높은 것으로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 비만에 대한 초기 중재와 신체적·정신적 특징을 고려한 체력관리 및 비만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학생건강체력평가(PAPS)에 대한 남자 중⋅고등학생의 인식 조사

        최지아,오수학,권영문,김영욱 중앙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2018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 Vol.6 No.3

        학교체육에서 건강체력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개선은 중요한 과제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건강체력평가 (PAPS)에 대한 남자 중고등학생의 인식과 관심도, 결과활용도를 조사하는 것이다. 조사 자료는 인천광역시 의 남자 중학생 566명, 남자 고등학생 462명, 총 1,028명에 대해 설문조사 방법으로 수집하다. 자료 분석은 신뢰도(Cronbach‘s α), 독립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과 Duncan의 사후검정을 실시하고 분석하다. 전반적 으로 남자 중·고등학생들은 모든 요인에서 긍정적 반응을 보다. 건강과 체력에 대해 전체 학생은 비교적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고, 중학생과 고등학생 간에 인식의 차이가 없었다. PAPS에 대한 관심도, PAPS 측정 결과의 활용도와 만족도는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낮았다. 특히 학년의 상승과 PAPS 에 대한 인식은 전반적으로 관련이 없었다. PAPS에 대한 고등학생의 낮은 인식을 개선하기 위하여 고등학생 에게 알맞은 평가 결과의 제시가 필요하며, 학생들의 인식 개선을 위해 PAPS를 위한 학교 여건 및 PAPS에 대한 체육교사의 인식 개선을 위한 노력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It is the most important task for improving students' perception on health-related fitness in School Physical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making PAPS(physical activity promotion system) be a beneficial program of student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male secondary school students about PAPS. The subjects for data collection are 1,028 male students, 566 students from middle school and 426 students from high school in Incheon, Korea using the surve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s Cronbach's α,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Duncan' post hoc. In general, male secondary school students have showed positive responses in all factors. It was indicated that most of them have perceived the importance of health and fitness and then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middle schoolers and high schoolers. In addition,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health and fitness was insignificant, but high school students showed lower interest in PAPS, utilization of PAPS examination result and satisfaction than middle school students. In particular, there is no relation between grade level and the perception of PAPs. Thus, in order to improve the lower perception of high school students to PAPS, it is necessary to suggest evaluation results to high school students, and efforts to improve school environments and P.E teachers' perception about PA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