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지식기반 사회에 적합한 기술교사 양성 교육과정 재구성을 위한 기초연구

        김용익 한국직업교육학회 2003 職業 敎育 硏究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basic information in reorganizing curriculum for secondary school technology teachers' training in a knowledge-based society.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review of literature and questionnaire survey. In order to investigate technology teachers' recognition and demand for teacher training curriculum, questionnaires were delivered to 280 teachers and 219 questionnaires were retrieved among them.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echnology teachers recognized that their demand for teacher training curriculum was not being reflected at revising curriculum, and training curriculum was not properly connected to that of middle and high schools either. 2) Technology teachers recognized that facilities for experiment and practice in a college was not prepared enough, and a system of practicing teaching was not operated effectively.3) It was recommended that an ICT education, a problem solving-based instruction, and a real world-based education contents through teacher training curriculum should be more emphasized. 출 처이재원ㆍ김진순(1981)기술과 교원양성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기술과 교육의 성격을 구명하고, 국내외 기술과 교육 및 교육과정 편성 동향 등의 고찰에 기초하여 교육과정 시안을 제시하였다. 대한공업교육학회지, 6(2)이강명(1991)기술교사 교원 양성을 위한 교직과정에 관한 연구기술교사 교원 양성을 위한 교직과정의 문제와 개선방안을 밝히고, 교사들이 이수해야 할 교직과목명 등을 제시하였다.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박흥준(1989) 중등학교 기술교과목 담당교사의 양성체제에 관한 연구. 중ㆍ고등학교 기술교사의 양성체제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려고 하였다. 직업교육연구, 8(1). 김진순(1991)기술교원 양성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향기술교과 교원양성의 제도적 측면, 기술교과의 기능적 측면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직업교육연구, 10(2)김준수(1993)기술변화에 따른 기술교사의 기술 및 교육적 요구 변화기술이 급격히 변화하면서 기술교사에게 요구되는 능력도 종전의 그것과는 상당한 차이를 보이게 되었다. 공업계 교사교육 심포지엄 자료김용익(2001)지식기반 사회를 대비한 중등학교 기술과 교사의 직무능력에 관한 연구지식기반 사회에서의 기술교과교육을 교육환경, 교육내용, 교육방법 측면에서 예측하고, 델파이법에 의하여 기술교사에게 요구되는 직무능력의 모형을 구조화하였다.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1)김용익(2001a)지식기반 사회에서 중등학교 기술과 교사의 직무능력 관련변인 및 교육요구 분석직무능력 항목들에 대하여 중등학교 기술교사들이 인식하는 중요도와 현재 자신의 능력 수준의 개인별 상황특성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구명하고, 중요도와 자신의 능력 수준의 차이에 기초하여 교육 요구를 분석하였다.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2)

      • KCI등재

        문제중심학습(PBL)을 교육대학교 '초등 생활기술 교육(ESTE)'에 적용하기 위한 방안모색

        김용익 한국실과교육학회 2004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17 No.2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for the application plan of PBL(Problem Based Learning) to 'ESTE(Elementary School Technology Education)' at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analysis of materials related to PBL and ESTE. It was identified that there were some similarities between PBL and ESTE at the aspects of emphasizing a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 emphasizing the integrative approach to the real world and other subjects. So, the application of PBL to ESTE at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ould be concluded that it had a high validity logically. The major recommendations for the wide application of PBL to ESTE at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were as follows;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involving PBL problems, the development of PBL model suited for ESTE, a technology professors' enough understanding about PBL, an application of authentic assessment about learners' achievement, and an excavation and marketing of successful PBL cases.

      • KCI등재후보

        교육환경 변화에 따른 기술교사의 변화몰입과 기술교육혁신 요구, 커뮤니케이션 및 자기효능감의 구조적 관계 분석

        김용익 대한공업교육학회 2011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6 No.2

        이 연구는 기술교사의 변화몰입과 기술교육혁신 요구, 커뮤니케이션 및 자기효능감의 구조적 관계를 구명하기 위한 것으로, 문헌연구와 조사연구에 의하여 수행되었다. 변인 간의 가설적 모형의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해 카이자승, 근사치 오차평균 제곱근(RMSEA), 적합지수(GFI), 조정적합지수(AGFI), 표준적합지수(NFI), 비교적합지수(CFI) 등을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첫째, 기술교육 혁신요구는 기술교사들 간 커뮤니케이션과 변화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술교사들 간 커뮤니케이션은 변화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은 기술교사들의 변화몰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술교사들이 변화에 몰입하여 기술교육이 더욱 발전하고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기술교사들 간에 활발한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져야 하며, 무엇보다도 기술교사들이 기술교육의 현황을 분명하게 인식함으로써 기술교육 혁신의 필요성에 공감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기술교사들의 자기효능감을 제고하기 위한 정책적인 노력이 있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기술교사들의 기술교육혁신 요구, 변화몰입, 커뮤니케이션, 자기효능감 등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이 연구는 기술교육 분야에서는 처음으로 시도된 것으로 추후에 관련 연구가 이어져야 할 것이다. 특히, 기술교사들의 변화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체계적인 변인 도출, 기술교육 혁신을 성공적으로 이루어내기 위한 방안 등의 연구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 causal relationship among commitment to change, needs of technology education innovation, communication and self-efficacy of technology teachers. A total of 300 copies of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except for 117 copies like the one where insincerely responds to any question was found. To ensur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questions, I performed technical statistics like average, standard deviation, skewness, and kurtosis via PASW 18.0, item-total correlation and the totality, and reliability analysis. I undertook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via AMOS 7.0 to ensure the validity of items together with a structural analysis to perform a path analysis among variables and assess the suitability of model. The major finding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because fit index of hypothetical model generally met standards in this study, a hypothetical model was judged appropriately. Second, needs of technology education innov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communication and commitment to change of technology teachers. And, communication among technology teachers had a positive effect on commitment to change of technology teachers. This result means that communication among technology teachers is important to activation of technology education. Third, self-efficacy had a positive effect on commitment to change of technology teachers. This result means that it needs to raise self-efficacy level through teacher education.

      • KCI등재후보

        기술교사 양성 교육과정의 평가모형 및 평가준거 연구

        김용익 한국실과교육학회 2003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1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evaluation model and evaluation criteria for the technology teacher training curriculum.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contents analysis.The major findings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1) The TTTC(technology teacher training curriculum) evaluation was justified as in the ways of the value lightening of TTTC evaluation, an increase of TTTC efficiency, a qualitative improvement of TTTC, and a reinforcement of accountability of persons relevant th the TTTC.2) The model of TTTC evaluation consisted of four stages: planning evaluation, developing instrument, implementing evaluation and feedback. 3) The evaluation parts of TTTC were made up of five: curriculum organizing demand, curriculum organizing, curriculum operation, curriculum output, and curriculum improvement system. 4) Some recommendations for the further study in the area of a purpose and significance, a negative effects of evaluation and its disposal, and a validity test of evaluation criteria were made.

      • SCOPUSKCI등재

        Screen Blade Turbine Impeller 에 의한 액체혼합 제 2 보

        김용익,강웅기,신건용 한국화학공학회 1967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5 No.4

        Baffle 裝置를 안했을 경우에는 screen blade turbine을 使用하였을 때나 flat blade turbine을 使用하였을 때의 所要動力이 差가 없고 거의 비슷하다. 4 個의 Baffle 장치를 한 경우는 screen blade turbine을 使用하였을 때가 flat blade turbine 을 使用하였을 때 보다 所要動力이 훨씬 적다. 특히 multi-stage system 에서는 screen blade turbine 을 使用하면 動力節約을 크게 할 수 있다. The effect of the screen blade turbine impeller on power requiement in stirred mixer was investigated. Power data were measured by the dynanomic method. The range of the impeller rotational speed was from 120rpm to 1,540rpm. In an nnbaflled system, power data for the three types (of the impeller) are much the same. In a baffled system, power data for the screen blade turbines are much less than the flat blade turbine.

      • KCI등재후보

        교육대학교에서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발명수업 설계 방안

        김용익 한국실과교육학회 2016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the design plan of the invention class using storytelling in the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out literature review. Humans experience the world through stories and share their thoughts with others. The purpose of elementary school inventive education is not in the calculation of invention but focuses on the importance of invention, the impact of the invention on our life, the invention of the history, and the basic idea of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e study began with the premise that teaching methods using storytelling could be an alternative to traditional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terms of the storytelling type of invention education contents standard system is confirmed to be very high when it is compared with real life connection type, inventor inquiry type, inventive assimilation type, and academic convergence type. In other words, when storytelling is applied to the invention education, it is considered that learner 's ability to solve inventive problem, inventive literacy, imagination, and consideration of inertia can be effectively cultivated. In this study, instructional design for physical activity, visual and linguistic activity based instructional design, storytelling - based instructional design using writing, and online community using problem solving problem by team are just a few examples. Therefore, through the follow - up research,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inventive instruction model that can be applied to the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to continue to make efforts to find good teaching examples based on it. 이 연구는 교육대학교에서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발명수업 설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으로, 문헌연구에 의하여 수행되었다. 인간은 이야기를 통하여 세상을 경험하며 자신의 생각을 타인에게 전하고 공유한다. 초등학교 발명교육의 목적은 발명(품)의 산출보다는 발명의 중요성, 발명이 우리 삶에 미친 영향, 역사를 바꾼 발명(품), 기본적인 발명 아이디어 기법 등을 익히는 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전통적인 교수학습 방법 이외에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수업 방법도 다른 대안으로 가능할 것이라는 전제 하에 이 연구는 시작되었다. 발명교육 내용표준 체계를 실생활 연계형, 발명사 탐구형, 발명 동화형, 학문 융합형의 스토리텔링 유형에 비추어보았을 때, 상호 관련성은 매우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시 말해, 스토리텔링을 발명교육에 적용할 경우, 학습자의 창의적 발명문제 해결 능력, 발명 소양, 상상력, 간주관성 등이 효과적으로 함양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신체활동, 시각과 언어활동 중심의 수업 설계, 글쓰기를 활용한 스토리텔링 중심의 수업 설계, 팀별 발명 문제해결 중심의 온라인 커뮤니티 활용을 위한 수업 설계는 몇 가지 사례에 불과하다. 따라서 후속 연구를 통하여 교육대학교에 적용할 수 있는 발명수업 모형을 개발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우수한 수업 사례를 발굴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