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ㆍ미 주요 대학의 학사제도 및 교육과정 변천 연구

        최미리(Choi, Mi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4

        한국 대학들은 1996년 이래로 미국 대학의 학부제를 도입하면서 단일전공의 이수 학점을 줄이고 복수전공 및 다전공이 가능한 체제로 교육과정을 대폭 개편한 바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2009년도부터는 법학과의 폐지와 함께 자유전공학부를 신설하면서 협소한 전공 중심의 교육에서 탈피하는 움직임을 보여 왔다. 그런데 학부제 시행 17년 만에 그리고 자유전공학부 시행 4년 만인 2013년 현재 한국 대학들은 학부제를 폐지하고 다시 학과제로 전환하고 있으며, 자유전공학부를 폐지하고 있다. 학문의 융복합이 어느 때보다도 강조되는 오늘날 학과제 전환과 함께 단일전공 이수를 심화하는 방향으로 교육과정이 개편되는 기이한 현상에 직면해 있다. 따라서 대학들이 학부제를 시행한 목적과 의도에 역행하여 학부제를 폐지하고 다시 학과 중심 및 전공 심화 체제로 회귀하는 문제점을 정확히 진단하고 그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는 것은 시급한 과제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주요 대학들이 1996년 이래로 학사제도와 교육과정을 어떻게 개편하여 왔는지 그 변천 과정을 면밀하게 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발견하여 한국 대학들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historical comparison from 1996 up to now on the division system, the curriculum and the academic policy between 6 major universities in Korea and 7 highly reputable universities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Korean universities have changed admission unit from department to division, and reduced major requirement into 1/3 of the total requirements for graduation since 1996, following policy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However, recently, Korean universities are coming round again department unit admission system and increasing major requirement into 47 percent of the total requirements like the major requirement level before 1996. American universities have been keeping the balance among majors, general education, and free electives. American universities have increased interdisciplinary majors into maximum as much as twice of the number of interdisciplinary majors in 2001, ranging from 30 to 61.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unidisciplinary majors has been decreased into maximum as much as half of the number of unidisciplinary majors in 2001, ranging from 17 to 37. However, the number of unidisciplinary majors of Korean universities is mostly over 50, and 86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interdisciplinary majors is ranging from 5 to 15. Korean universities do not allow students to take interdisciplinary majors as their first major. Korean universities goes against the academic and social trend demanding interdisciplinary approach, overemphasizing unidisciplinary major and making higher boundaries between departments. The fundamental reason that Korean universities go back to the curriculum and major system before 1996 is because they do not understand the aim and the principle of undergraduate education. Korean universities have followed American university system after liberation from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in 1945. However, since then to now, they have not understood the reason why American universities kept the balance among majors, general education and free electives, and the reason why American universities aimed for liberal education.. Conclusively, Korean universities urgently need to understand the aim of liberal education and make balance among majors, general education, and free electives. They need to recognize that the concept of major is not restricted to a narrow unidisciplinary area, but have been enlarged to interdisciplinary and multidisciplinary approach.

      • KCI등재

        학부제 하에서의 대학무용 현황 및 운영특성 분석

        남수정 ( Soo Jung Nam ) 한국무용기록학회 2011 무용역사기록학 Vol.23 No.-

        이 글은 대학무용에 있어 학부제가 기존의 대학무용이 안고 있는 문제해결에 어느 정도 기여하였는지 또 앞으로 어느 정도 기여할 수 있는지 그리고 학부제의 정착과 유효성 확보를 위해 충족되어야 하는 조건들이 무엇인지 등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현재 대학무용에 있어 학부제를 채택하고 있는 대학들을 중심으로 학부제의 구조 및 유형, 운영방식, 교과과정 구성 및 운영 등을 비교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011년 현재 무용관련 학부나 학과 또는 전공 등이 설치되어 있는 총 45개의 4년제 대학 중 학부 내에 무용전공을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는 6개 4년제 대학을 분석대상으로 하여 무용전공 관련 학부제 운영현황과 특성에 관한 비교·분석을 시도하였다. 비교·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제를 도입한 형태는 단과대학형과 단과대학소속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둘째, 학부제를 도입·시행하고 있는 경우라도 모집단위를 전공별로 운영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적으로 기초교양과정을 이수한 후 전공을 결정하기 위해 이루어지는 전공배정은 무용(학)전공과정에는 적용되지 않고 있다. 셋째, 전공학부와 같이 1+3(기초교양 1년, 전공 3년)이나 2+2(기초교양 2년, 전공 2년) 등의 학부제 운영방식을 적용하는 것은 아니지만 교양과 기초전공과목을 대학입학 후 우선적으로 이수하도록 하고 이후 본격적으로 전공필수나 전공선택과목을 이수하도록 하고 있다. 넷째, 4년제 대학의 무용(학)전공과정을 마치기 위해서는 130학점에서 140학점 정도를 이수해야 하며 이는 학과제 형태로 운영되고 있는 여타 대학과 크게 다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과 관련한 이수학점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비교·분석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대학무용에 도입·적용되고 있는 학부제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부제의 도입형태나 구조, 체계 등이 중요하다기 보다는 학부제가 지향하는 원칙이나 원리를 교과과정 구성이나 운영에 적절하게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address and analyze dance education programs in universities under the school system. Among forty five universities that have dance departments or programs in Korea, six of nine that open dance programs under the school system are selected for the research. The paper focuses on whethe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school structure, curriculum, and requirements exist or not.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dance programs under school system can be distinguished into two categories, college or dance division under college or school. Secondly, declaration of major is not available at this moment, thirdly, dance programs in selected universities offer interdisciplinary programs that integrates the study of dance within a liberal arts setting of intellectual and creative exploration in first or second year. And the major builds upon dance technique courses, workshops as well as a rich array of dance studies courses, allowing students`` creative work. Finally, credits required to complete the four-year dance degree are between about 130 and 140. Through the analysis, both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curriculum, requirements, credits, and operation of school system are identified, which can be explained by the perspective of New Institutionalism. Institutional isomorphism is a very useful concept which explains why so many institutions or organizations end up having the same organizational structure (isomorphism) even though they have evolved in different ways. There are three main types of isomorphism: normative, coercive and mimetic. Among them, coercive isomorphism such as governmental mandates, financial aid and reporting requirements is a critical factor that makes dance programs under the school system increasingly homogeneous.

      • KCI등재

        학부 상담학과 교육과정 현황 분석 연구

        조남정,이미현,김인규 한국상담학회 2015 상담학연구 Vol.16 No.4

        In this study, twenty one curriculums of the undergraduate department of counseling were analyzed to understand and improve the curriculums opened in the undergraduate course. The curriculums were analyzed by focusing on the object of the department, lectures, practice of counseling, operating procedures. As a result, the expression of ‘counseling expert’ was shown as the most frequency in the object of the department. The educational objective of most departments was to train professional counselors. In the lectures, the basic domain of counseling was mostly distributed in the freshman courses. The domain for the theory and technique of counseling was mostly distributed in the sophomore courses. The domain for the evaluation of counseling was mostly distributed in the junior courses. The domain for the statistics, research and practice of counseling was mostly distributed in the senior courses. Examining the components of counseling, the lectures related to the media counseling, mental health, practice of counseling, testing of psychology and theory of counseling were mostly included in the counseling courses. The lectures related to the ethic of counseling and the supervision of counselor training were relatively less included in the counseling courses. The domain for the general counseling was the most frequently occupied in the field of counseling. The lectures related to the philosophy, principles, engineering and economy of counseling were not opened. In relation to the practice of counseling, the counseling theory lectures were opened for the lower grades. The lectures related to the practice and site (supervision) were opened for the higher grades. Sixty to sixty six credits for the single major were the most frequently marked in the operating procedures. The characteristic advanced courses such as the courses for a certificate of qualifications, specialization projects, programs for the track system, multiple interdepartmental majors, and practice courses for the practical job experience were operated in the various universities. The improvements for the curriculums of the undergraduate department of counseling were discussed based on the suggested results. 본 연구는 4년제 대학에 설치된 상담학과 21개의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학부 상담학과 교육과정의 개선점과 발전방안을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교육과정은 상담학과 교육목표, 교과목, 상담실습, 운영과정을 중점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상담학과 교육목표에서는 ‘상담전문가’의 용어가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고, 대부분의 학과의 교육목표는 전문상담가 양성이었다. 교과목에서는 상담학 기초 영역은 1학년, 상담이론과 기법 영역은 2학년, 상담평가 영역은 3학년, 통계 및 연구와 상담실습 영역은 4학년에서 가장 많은 분포를 나타냈다. 상담학 교과목에서는 매체상담, 정신건강, 상담실습, 심리검사, 상담이론의 교과목이 높은 비율의 분포를 나타냈고, 상담윤리, 상담자교육 수퍼비전의 교과목은 상대적으로 낮은 비율의 분포를 나타냈다. 상담학 영역에서는 상담일반 영역이 가장 많은 분포를 차지하였으며, 상담철학, 상담원론, 상담공학, 상담경제 등 관련 영역의 교과목은 개설되지 않았다. 상담실습에서는 저학년은 상담이론, 고학년은 실습과 현장(수퍼비전) 교과목이 많이 운영되었다. 운영과정에서는 단일전공 졸업이수학점은 60-66학점의 분포가 가장 많았으며, 자격과정, 특성화사업, 트랙제, 연계전공, 실무형 실습과정의 특색있는 과정을 운영하였다. 제시된 결과를 토대도 학부 상담학과 교육과정의 개선점 및 발전방안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우리나라 대학 전공교육과정의 구조적 특징 분석

        신정철(申正撤),윤세정(尹世貞),정지선(丁智善),이소연(李昭娟),정혜주(鄭惠珠)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아시아교육연구 Vol.12 No.1

        이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의 교육과정 및 교수요목을 분석하고 이를 미국 대학과 비교함으로써 우리나라 대학 교육과정의 구조적 특징을 밝힌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 대학들 중 해당 대학의 교육과정 편성이 타 대학에 영향이 큰 5개 대학을 선정하였으며, 이들 대학의 인문?사회?자연?공학계열의 대표적 학문영역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의 대학 교육과정은 교양과정보다 전공과정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공교육과정은 “심화전공”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어 교육과정 구성에 있어 분과학문의 영향이 크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와 같이 우리나라 대학 교육과정은 각 분과학문의 심화전공과목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타 학문 영역과의 통합성이 낮을 뿐만 아니라, 이들 심화과정들 간의 위계적 연계성 또한 낮게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는 학문영역에 따라 교육과정 편성에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우리나라의 대학교육과정 개편에 있어 통합성과 위계성 등에 보다 많은 비중을 두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plore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undergraduate curriculum focusing on subject major. To analyz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undergraduate curriculum, we collected data from program of study and course syllabus, and checked with scholars in each disciplines that we selected for this study. For this study, we selected four disciplines from five universities, that represent each of humanities, social sciences,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ing. Compared to liberal arts courses, through the analysis, we found that disciplinary subject-related courses have strong influences on undergraduate curriculum. In addition, subject-related courses are mainly consisted of intensive subject-related topics. As a result, the integrations with other disciplines and the link with social demand were relatively less represented in undergraduate curriculum. Further, each course did not link each other according to the sequence of each subject. These structural characteristics were not different across four disciplines chosen for this study. Therefore, we concluded that disciplinary subject knowledge dominates undergraduate curriculum in Korea.

      • KCI등재

        법학전문대학원 밖의 법학교육 : 그 과제와 방법

        김종서(KIM, Jong-Seo)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法學硏究 Vol.16 No.3

        이 연구는 로스쿨 도입 이후 학부의 법학과나 법학전공이 어떤 변화를 겪어 왔는지를 점검하고 그 원인을 진단해 본 후, 변화된 상황에 걸맞은 학부 법학교육의 목표를 정립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교육과정과 교육방법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학부 법학교육을 위한 조직과 정원, 교육과정의 변화를 실제 자료조사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법과대학이나 법학부의 조직상 변화는 뚜렷이 나타나진 않았으나 일정한 수준의 정원 감축이 있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교육과정에서도 일정한 변화가 수반되었다. 이러한 현실 진단을 바탕으로 로스쿨 도입 이후 학부 법학교육의 목표를 정립하기 위한 시도를 하였다. 우선 이러한 시도를 해 온 선행연구에 대한 분석과 평가를 통하여 선행연구들의 성과는 무엇이고 한계는 무엇인지를 평가한 후, 그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적 목표를 제시하였다. 그 결과 필자는 학부 법학교육은 기본법률과목에 대한 최소한 이상의 이론교육, 비법학부 학생들을 고려한 개방적 교육과정, 그리고 다양한 교과외 활동을 통한 학생 수요의 충족 등을 목표로 삼아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새로이 정립된 학부 법학교육의 목표를 실현하기 위하여 가장 적합한 교육내용과 교육방법을 모색해 보았다. 이를 위해 이론교육, 교양교육, 진로교육이라는 세 가지 관점에서 필요하고도 적절한 교육과정과 교육방법론을 제시하였다. This article aims at establishing the objectives of the undergraduate legal education and searching for appropriate curricula and educational methods to serve those goals. To do this, I analyzed the changes in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size and curricula that legal departments at various colleges and universities had experienced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law school system. In the course of examination, I found some meaningful changes like reduced scale of the departments and their curricula, which, in my view, would greatly influence the maintenance and performance of undergraduate legal education. Based on the diagnosis of such changes, I tried to grope for an appropriate goal of undergraduate legal education under the newly introduced law school system. After analyzing and evaluating several previous researches thereon, I suggested some alternative goals: to provide an education of legal theories to furnish students with basic problem-solving capacities, to offer elementary legal knowledge for students who major in other subjects, and to satisfy diverse practical needs of the students through various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the end of this article, I proposed some principles regarding the organization of curriculum and educational methodology suitable to achieve those goals.

      • KCI등재

        상담전공 학부생의 교육과정 경험 연구

        조남정,이미현,김인규 한국상담학회 2015 상담학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상담전공 학부생의 전문상담자로서 발달을 탐색하기 위해서 4년제 대학에 재학한 상담전공 학부생의 교육과정 경험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서 합의적 질적연구법(CQR)으로 4년제 대학 학부과정에 재학한 상담전공 학부생 15명을 심층면접하고 그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최종적으로 7개의 영역과 39개의 핵심개념이 도출되었다. 상담전공 학부생은 상담을 통해 사람을 돕고 싶은 동기를 가지고 입학하지만 두드러진 기대나 열망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학부과정에서 상담공부 자체에 대한 어려움을 가장 크게 호소하였다. 상담실습을 통해 상담에 관심이 생기고, 다양한 학교활동을 통해 성취감을 얻으며, 상담을 받고 직접 한 경험 등의 의미있는 경험을 하였고, 이를 통해 자기이해 및 자기조절능력이 향상되고, 대인관계능력이 향상되는 등의 삶의 변화를 경험하였다. 학부과정의 개선점으로 체계화된 상담실습 마련, 대학 및 선후배간 교류확대, 교육과정의 다양화 및 체계화를 꼽았으며, 졸업 후에는 대학원 진학을 가장 많이 희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상담전공 학부생의 양성과정에 대한 논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learning experiences and development of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To do this, the in-depth interviews of 15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were analyzed us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CQR). Finally according to the analysis, 7 domains and 39 categories were found.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entered universities with motivation to help people through counseling, but there was no noticeable aspiration or expectation. they had difficulty in studying counseling itself. They had experience of getting interest in counseling through counseling practice, gaining a sense of accomplishment through various school activities, becoming a client and a counselor. Through this, they experienced the change of their life that improved self-understanding, self-control ability and interpersonal skills. In the domain of the improvement of undergraduate courses, they wanted systematic counseling practice, extension exchange of universities or their senior and junior, diversification and systematization of the curriculum. Most of them hoped to enter graduate school. Based on these results, The discussions about the training and education of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are presented.

      • KCI등재

        사회적 경제 전공 학부 교과과정 구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서진선,박하윤,박임수 한국경영교육학회 2022 경영교육연구 Vol.37 No.2

        [Purpose]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urriculum and contents of undergraduate programs of social economy. In South Korea, the education of social economy at the undergraduate level has a rather short history, so studies on the curriculum of social economy are rare. [Methodology]This study analyzes the concept of social economy to extract the keywords related to social economy attributes, categorizes these keywords, and then uses them to analyze the curricula of undergraduate programs of social economy. [Findings]As a result, there are 22 keywords extracted for the education of social economy. There are six categories: social economy organizational type; social characteristics; economic characteristics; etc. The study compares the curriculum of two undergraduate departments of social economy. It shows that the subjects in the social economy field as well as economy and management field are composed similarly, while the social science subjects in one department are relatively many, and the another has the subjects of comprehensive thinking ability. [Implications]This can be seen as a result of the situation in which each department exists and the strategy suitable for it. It also shows how to structure the content of each subject using 22 keyword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ed a method for constructing the curriculum and contents of undergraduate programs of social economy. [연구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학부 수준의 사회적 경제 교과과정을 구성하기 위해 어떤 주제와 내용이 필요한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사회적 경제 교육, 특히 대학 학부수준의 교육의 역사가 길지 않기 때문에 사회적 경제 교과과정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다. [연구방법]본 연구는 사회적 경제의 개념을 분석하여 사회적 경제 속성에 관한 주제어를 추출하고 이 주제어를 범주화한 다음, 이를 사용하여 사회적 경제 학부 과정의 교과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사회적 경제 교육에 필요한 주제어는 ‘법적․제도적 유형으로서 협동조합 등’, ‘사회적 목적의 사회적 기업’ 등 22개로 확인되었고, 이 주제어들은 ‘조직 유형’, ‘사회적 특성’, ‘경제적 특성’ 등 6개 범주로 분류되었다. 두 대학의 사회적 경제 학부 교과과정 비교결과, 사회적 경제와 경제경영 영역의 교과목은 비슷하게 구성된 반면, 한 곳은 사회과학영역에서, 다른 학과는 종합적 사고역량에서 과목이 상대적으로 더 많이 구성되어 있었다. [연구의 시사점]본 연구는 사회적 경제 관련 학과의 교과과정이 현재 각 대학과 학과가 있는 상황과 그에 맞는 전략에서 출발하고 있다는 것과 22개 주제어를 사용하여 각 교과목의 교육내용을 어떻게 구성할 수 있는지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학부수준의 사회적 경제 교과과정의 구성에서 필요한 주제와 내용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학문 목적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 유학 경험에 대한 인식 연구

        김윤희 ( Yoonhee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학문 목적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 유학 경험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여, 유학생들이 성공적으로 학업 목표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될 만한 요소들을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자는 국내 대학 부설 한국어교육원의 한국어 연수과정 학습자 372명, 국내 대학의 학부 과정 학습자 54명을 대상으로 설문 및 인터뷰를 시행하여 한국 유학 경험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학습자 인식 분석 결과, 유학생들은 국내 학부 과정 진입 전 국내 대학 부설 한국어교육원에서의 경험을 매우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국어 교사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으며 학부 과정 진학 대비를 위한 입학 지도 프로그램과 한국 문화 체험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학부 과정의 유학생은 전공 교육과정에 대체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상대적으로 낮은 만족도를 나타낸 요소는 ‘강의 시간’으로 나타났다. 유학 생활의 어려움으로 ‘부족한 한국어 능력’, ‘학비 부담’을 꼽았다. 학부 과정 유학생들이 교육과정 개선안으로 ‘한국인 학생과의 다양한 활동 프로그램 운영’, ‘실습 시간 확대’, ‘외국인 전공생을 위한 개론서 발간’ 등을 언급하였다. 본고의 결과가 유학생들의 성공적인 학업 목표 수행을 위한 교육과정 구축 및 유학생 학업 지도에 작은 보탬이 되기를 희망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foreign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on their experiences in studying in Korea and to explore factors that can help them reach their academic goals successfully. The researcher surveyed 372 Korean language course trainees at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enter attached to domestic universities and 54 international undergraduate students at domestic universities to investigate their perception of their experiences in studying in Korea. As a result of analyzing learner awareness, it was confirmed that international students recognized the experienc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center attached to domestic universities very positively before entering the domestic undergraduate course. The satisfaction level of Korean teachers was high, and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entrance guidance program and the Korean cultural experience program for the undergraduate course was relatively low. The international students in the undergraduate course generally recognized the curriculum positively, and the factor that showed relatively low satisfaction was ‘lecture time.’ The difficulties of studying abroad were ‘lack of Korean language ability’ and ‘burden of tuition.’ As a plan to improve the curriculum, undergraduate students mentioned ‘operating various activity programs with Korean students’, ‘expanding practice time’, and ‘publishing an introduction for foreign students.’ I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curriculum for successful academic goals of international students and to the guidance of international students.

      • KCI등재

        학부 예술경영 커리큘럼 기준에 관한 연구

        양현미(Yang Hyun mee) 한국예술경영학회 2009 예술경영연구 Vol.15 No.-

        이 논문은 학부에서 예술경영을 체계적으로 교육하기 위해 예술경영 커리큘럼을 구성하기 위한 기준을 연구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현재 우리나라 대학의 학부에 개설되어 있는 예술경영학과의 교과과정이 어떤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예술행정교육자협회(Association of Arts Administration Educators; 이하 AAAE)가 2009년 1월 발표한 ‘학부 커리큘럼에 관한 조사(Survey on Undergraduate Curricula)’ 결과를 살펴보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AAAE는 이미 대학원 표준 커리큘럼(AAAE Curriculum Standard for Graduate Program)을 만든 바 있는데, 2008년 부터는 학부 표준 커리큘럼을 만드는 작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 조사는 그 일환으로 실시된 것이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문화예술 현장의 수요를 감안하여 학부에서 예술경영 커리큘럼을 구성하기 위한 기준 정립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on the curriculum standard for undergraduate program for arts management in Korea. First, I analysed and compared curriculums of six undergraduate arts management programs according to the AAAE standards. Second, I reviewed AAAE’s Survey on Undergraduate Curricula that was published in January 2009. Finally I suggested some standards for undergraduate curriculum of arts management. I tried to consider specific demand for arts managers in the Korean arts market.

      • KCI등재

        학부과정 상담자의 상담역량 척도 개발

        김훈희 ( Hoonhee Kim ),조남정 ( Namjeong Jo )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1

        연구 목적: 본 연구는 학부과정 상담자의 상담역량 척도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 연구방법은 선행연구 분석, 상담교육전문가협의회, 설문조사,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학부과정 상담자 304명에 설문 후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최종 적합한 모형을 통한 상담역량 척도 문항을 도출하였다. 결론 및 제언: 학부과정 상담자의 상담역량 척도는 상담이론이해역량, 상담수행역량, 심리검사역량, 집단상담역량, 상담윤리준수역량, 인간특성이해역량 6개 요인의 총 27문항이 도출되었으며, 각 요인은 .70 이상의 높은 신뢰도를 나타냈었다.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역량요인의 신뢰도 및 하위 요인구조의 근거와 문항특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ounseling competency scale for undergraduate counselors. For the research method, previous research analysis, counseling education expert council, surve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After surveying 304 undergraduate course counselor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and counseling competency scale items were derived through a final appropriate model. As a result of the study, a total of 27 items were derived from the six factors of counseling theory competencies, counseling performance competencies, psychological test competencies, group counseling competencies, counseling ethics compliance competencies, and understanding human characteristics competencies for the scale of undergraduate counselors’ counseling competencies. showed a high reliability of .70 or higher.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reliability of competency factors and the grounds for sub-factor structure and item characteristic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