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프트 프로모션에서 무료 증정품의 개수는 많을수록 좋을까? 프로모션 메시지 프레이밍 방식과 무료 증정품 개수의 이중적 역할을 중심으로

        안동균,박세범 한국마케팅학회 2022 마케팅연구 Vol.37 No.4

        Offering a variety of free gifts has been one of major sales promotion techniques to date employed by numerous companies as consumers are provided with strong short-term incentives for purchase. Although a great deal of research has identified the positive effect of such gift with purchase promotions, relatively little, however, is known about boundary conditions and plausible underlying processes under which offering free gifts with promotions affects consumer attitude toward sales promotions as well as purchase intention. Our research thus aims to investigate whether offering more free gifts would enhance or undermine an attitude toward a gift-with-purchase promotion and purchase intention depending on how such promotion message is framed, and how the perceived level of brand status would moderate such effect between the number of free gifts offered and the different types of gift promotion message framing (Study 1). In addition, the current research further examines how the level of perceived fit between a target product and free gifts offered would moderate an interactive effect of offering more free gifts and the different types of gift promotion message framing on an attitude toward a gift promotion and purchase intention (Study 2). Study 1 employs a 2(promotion message framing: bundled vs. separate) × 2(the number of free gifts offered: one vs. five) × 2(brand status: low vs. high) between- subjects design. The results of Study 1 show that when brand status is low, offering one (vs. five) free gift(s) along with a bundled (vs. separate) promotion message frame can affect more positive impact on an attitude toward the gift promotion and purchase intention as well. When the brand status is high, however, providing one free gift regardless of the gift promotion framing leads to a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promotion, which unfortunately is not carried forward to purchase intention. Also, the results of Study 2 which employs a 2(promotion message framing: bundled vs. separate) × 2(the number of free gifts offered: one vs. five) × 2(perceived fit: low vs. high) between-subjects design further demonstrate that offering one (vs. five) free gift(s) along with a bundled (vs. separate) promotion message frame can enhance consumer attitude toward the gift promotion and purchase intention when the perceived fit between the target product-the free gifts is low. The findings, however, reveal that offering five free gifts has a positive impact when the perceived fit is high. Last, we offer relevant theoretical contributions and practical implications made from the experimental findings of this research for further investigation. 오늘날 많은 회사들이 단기적 구매 유인책의 하나로 제품 구매 시 소비자에게 무료 증정품(Free Gifts)을 제공하는 기프트 프로모션(Gift-with-Purchase Promotion)을 활발하게 사용해 왔다. 선행 연구들은 이와 같은 기프트 프로모션의 긍정적 효과를 확인하였지만, 아직까지 기프트 프로모션이 소비자의 프로모션에 대한 태도와 핵심 제품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계 조건과 메커니즘을 밝혀낸 연구는 제한적인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두 번의 실험 연구를 통해 무료 증정품 제공이 소비자의 프로모션에 대한 태도와 핵심 제품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함에 있어서, 프로모션 메시지의 프레이밍 방식과 무료 증정품 개수를 중심으로 브랜드 지위의 조절 효과(실험 1)와 핵심 제품과 무료 증정품 사이의 지각된 적합도의 조절 효과(실험 2)를 살펴보고자 한다. 실험 1은 2(프로모션 메시지 프레이밍 방식: 번들 vs. 분리) × 2(무료 증정품 개수: 한 개 vs. 다섯 개) × 2(브랜드 지위: 낮음 vs. 높음)의 집단 간 실험 디자인을 채택하였다. 실험 결과, 브랜드 지위가 낮을 경우 번들(vs. 분리) 프로모션 프레이밍을 사용할 때에는 한 개(vs. 다섯 개)의 무료 증정품을 제공하는 것이 기프트 프로모션에 대한 소비자의 프로모션에 대한 긍정적 태도와 핵심 제품의 높은 구매의도를 이끌어 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브랜드 지위가 높을 경우 프로모션 프레이밍 방식에 상관없이 한 개의 무료 증정품을 제공하는 것이 소비자의 프로모션에 대한 태도를 제한적으로 유의하게 향상 시켰지만, 이러한 태도가 소비자의 최종 구매의도까지 이어지지는 않았다. 실험 2는 2(프로모션 메시지 프레이밍 방식: 번들 vs. 분리) × 2(무료 증정품 개수: 한 개 vs. 다섯 개) × 2(지각된 적합성: 낮음 vs. 높음)의 집단 간 실험 디자인을 채택하였다. 실험 결과, 핵심 제품과 무료 증정품의 지각된 적합성이 낮은 경우 번들(vs. 분리) 프로모션 프레이밍이 사용될 때에는 한 개(vs. 다섯 개)의 무료 증정품을 제공하는 것이 기프트 프로모션에 대한 소비자의 프로모션에 대한 긍정적 태도와 핵심 제품의 높은 구매의도를 이끌어 낸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반면, 핵심 제품과 무료 증정품 간 지각된 적합성이 높을 경우 기프트 프로모션 메시지 프레이밍 방식에 상관없이 다섯 개의 무료 증정품을 제공하는 것이 보다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실증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이러한 실험 결과들이 내포하는 이론적 의의와 실무적 기여점에 대한 논의를 통해 향후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제휴 프로모션 유형에 따른 제휴프로모션 충성도 차이에 관한 연구 : 고객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현희,이은미,전중옥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12 마케팅논집 Vol.20 No.4

        본 연구는 소비자 관점의 혜택적합성에 의해 분류된 네 가지 제휴프로모션 유형이 제휴프로모션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확인하고, 이러한 제휴프로모션 유형의 충성도 효과에 있어 고객유형(표적 고객/비표적 고객)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4(제휴 프로모션 유형: 실용혜택 적합성 고부가형/실용혜택 적합성 저부가형/쾌락혜택 적합성 고부가형/쾌락혜택 적합성 저부가형) × 2(고객유형: 표적 고객/비표적 고객)의 실험설계에 의한 8가지 시나리오를 개발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제휴프로모션 유형에 따라 제휴 프로모션 충성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용혜택 적합성 고부가형과 쾌락혜택 적합성 고부가형은 실용혜택 적합성 저부가형과 쾌락혜택 적합성 저부가형보다 높은 제휴 프로모션 충성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제휴 프로모션의 유형별 충성도 효과는 고객 유형에 따라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표적 고객에 비해 비표적 고객의 경우 제휴 프로모션 유형에 따른 충성도 효과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표적 고객 집단의 경우 쾌락혜택 적합성이 높은 제휴 프로모션 수단이 제휴 프로모션 충성도를 높이는데 유의한 반면, 비표적 고객 집단의 경우 실용혜택 적합성이 높은 제휴 프로모션 수단이 제휴 프로모션 충성도를 높이는데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제휴 프로모션 충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소비자 관점의 혜택 적합성에 근거하여 표적 고객과 비표적 고객에 대한 차별화된 제휴 프로모션 제안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difference in the effect of tie-in promotion type on tie-in promotion loyalty and moderating role of customer type(targeted/non-targeted customer). For the experiment, 8 scenarios were developed as experimental stimuli by the 4(tie-in promotion type: high hedonic benefit-added, high utilitarian benefit-added, low hedonic benefit-added, and low utilitarian benefit-added) × 2(customer type: targeted customer, non-targeted customer) factorial design. A total of 280 questionnaires allocating thirty-five students to each group were distribu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ie-in promotion loyalty according to tie-in promotion type. It was revealed that high utilitarian benefit-added and high hedonic benefit-added had higher tie-in promotion loyalty than low utilitarian benefit-added and hedonic benefit-added. Second, The loyalty effect according to tie-in promotion type was moderated by the customer type. Specifically, high hedonic benefit-added has a greater effect on the tie-in promotion loyalty when the customer is targeted, while high utilitarian benefit-added has a greater effect on the tie-in promotion loyalty when the customer is non-targeted. Strategic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tie-in promotion are provided, considering the moderating role of customer type(targeted customer/ non-targeted customer).

      • KCI등재

        제휴 프로모션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은미,박현희,전중옥 한국마케팅학회 2011 ASIA MARKETING JOURNAL Vol.13 No.1

        In today's market scenario, consumers are bombarded with similar promotional messages. It means that managers have to pay attention to promotion strategy to create strong effect as well as to break through the monotony. In this context, although there are strong needs concerning tie-in promotion, research investigating tie-in promotion is limited. Therefore, we extracted tie-in promotion tools and defined the concept of each tie-in promotion tool by analyzing various tie-in promotion cases which are executed in current market. In addition, consumer's recognition of tie-in promotion was investigated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 The results of case analysis of tie-in promotion and in-depth interview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9 tie-in promotion tools were extracted: tie-in price reductions, tie-in coupons, tie-in membership, tie-in contests, tie-in premiums (tangibility, intangibility), tie-in payment terms, tie-in sample, tie-in event(culture event, charity event, experience event) and tie-in fund․rebate. Second, 3 categories of the recognition of the consumer for tie-in promotion were extracted: features of preferred tie-in promotion, expectation benefit of tie-in promotion, and risk factors of tie-in promotion. Especially, at the aspect of features of preferred tie-in promotion, fit between consumer pursuit benefit and tie-in promotion was found to be interesting. Moreover, the recognition of the consumer for tie-in promotion were divided with positive(preferred tie-in promotion features, expectation benefit of tie-in promotion) and negative(risk factors of tie-in promotion) factors. In conclusion, the company's effort will be necessary to lower the perceived risk level occurring from the process of accomplishing the tie-in promotion strategy since consumers recognize both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f tie-in promotion. 본 연구는 현재 업계에서 진행하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제휴 프로모션 현황을 분석하여 제휴 프로모션 수단의 개념을 정의하고, 심층면접법을 통해 제휴 프로모션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사례분석을 통해 제휴 프로모션 수단을 제휴 가격할인, 제휴 쿠폰, 제휴 회원제도, 제휴 콘테스트, 제휴 경품, 제휴 프리미엄(유․무형), 제휴 지불조건, 제휴 샘플, 제휴 이벤트(문화이벤트, 자선이벤트, 체험이벤트), 제휴 리펀드‧리베이트로 체계화 시키고, 각 수단에 대한 개념을 정의함으로써 기존의 판촉수단과 제휴 프로모션 수단의 개념을 구분하고자 하였다. 둘째, 제휴 프로모션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을 조사하고,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Nvivo 8을 이용하여 확보된 질적 자료를 처리하였다. 분석결과, 제휴 프로모션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은 크게 ‘선호하는 제휴 프로모션의 특성', ‘제휴 프로모션의 기대혜택', ‘제휴 프로모션의 위험요소’ 측면의 총 세 가지 주요 범주로 나누어졌다. 특히, 세 가지 범주 중에서 선호하는 제휴 프로모션의 특성 범주에 속하는 제휴 프로모션과 자아추구혜택 적합성이라는 요인이 도출된 것은 매우 흥미로운 결과이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기존 연구에서 기업간 전략적 제휴의 제한적 영역에서만 다루어졌던 제휴 프로모션에 관한 연구를 소비자 관점으로 확대하여 그 연구의 범위를 확장하고,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제휴 프로모션의 유형을 구분하기 위한 향후 연구의 초석을 마련하였다는 점에 있다.

      • KCI등재

        구매 혜택을 제공하는 프로모션 종류가 SNS 프로모션 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 : 가격할인 vs 현물 보상 프로모션 참여에 대한 인식된 사회적 가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강준(Choi, Kangjun),안동균(Ahn, Dongkyun) 한국상품학회 2021 商品學硏究 Vol.39 No.3

        최근 경험재를 판매하는 많은 업체들은 소비자들의 참여를 유발하는 SNS 마케팅을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SNS 마케팅의 내용은 소비자들이 SNS에 제품을 업로드할 경우 판매자로부터 가격할인이나 현물보상 등의 혜택을 제공받는 것이다. 이러한 SNS 프로모션은 현실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와 관련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경험재를 중심으로 SNS 프로모션이 소비자의 프로모션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두 번의 온라인 실험을 하였다. 먼저, 실험 1의 결과 SNS 활용도가 낮은 소비자는 가격할인 SNS 프로모션에 대해서 SNS 참여 의도가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SNS 활용도가 높은 실험 참가자들의 경우, 프로모션 방식에 따른 프로모션 참여의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실험 2에서는 이러한 효과가 실험 참가자들이 인지하는 프로모션 유형에 대한 사회적 가치의 차이에서 발생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특히, 본 연구는 SNS 활용도가 높은 실험 참가자들의 경우, 가격할인 SNS 프로모션에 대해 자신이 인지하는 사회적 가치가 위협받는다고 생각하는 것을 밝혀내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위의 결과들을 해석하고, 이론적 시사점에 대해 제시하며, 실무자들에게 효과적인 SNS 프로모션의 방법에 대해서 제안하였다. Recently, many companies that sell experience goods often conduct promotions that ask consumers to share the contentswith the goods in their socialmedia for generating viral. The social media marketing is providing price discounts or in-kind rewards when consumers share the contents about the goods. Although the social media is a pervasive instrument of marketing promotion, research on social media promotion is very scarce. Therefore, the current research attempt to find out the effect of SNS promotion on consumer’s participation intention of promotion by using two online experiments. In Experiment 1, we demonstrate that when participantswho make less use of social media are provided price discount promotion, their participation intention for SNS promotion are increased. However, for participants who make more use of social media,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ticipation intention of promotion between the promotion types. In Experiment 2, we confirm that these effects are caused by the level of participants’ perceived social value toward the SNS promotions. To be more specific, participants who make more use of social media, think their social value are threatened by price discount promotion. We suggest tha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bout effective SNS promotion.

      • KCI등재

        아웃도어 웨어 회사의 프로모션 전략에 관한 연구

        양진숙(Jin Sook Yang),이성이(Sung Yi Lee)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3

        현대의학의 발달로 인간의 수명이 길어지고 건강에 대한 관심과 5일제 근무로 인하여 많은 레저와 스포츠를 즐기게 되었다. 본 연구는 아웃도어 브랜드 A사(K2)와 B사(코오롱스포츠)의 직접, 간접적 프로모션 전략 분석 및 제시로 범위를 한정하였고, A사와 B사에 대한 다양한 프로모션 전략을 비교분석하여 각 브랜드에서 향후 예상되는 프로모션 전략을 제시하고 향후 각 브랜드가 취해야 할 프로모션 전략을 제안해 보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프로모션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알아보고, A사와 B사에 대한 다양한 프로모션 전략을 조사, 연구하여, STP 전략, SWOT 분석 등을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서로 다른 타겟 층을 두고 직접, 간접프로모션을 통하여 많은 매출을 올리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 하였다. 첫째, 두 회사의 프로모션 전략을 비교 분석해 보면, 브랜드 분석을 통하여 각사의 경영철학, 컨셉 등을 모태로 각종 캠페인과 판매사원 교육 강화, TV광고를 통한 프로모션 전략을 세우고 있었다. 둘째, 현재 프로모션 전략을 보면, STP전략을 통해 비교 분석한 결과 A사는 20-30대의 젊은 층을 타겟으로 한소비성향과 라이프스타일을 알 수 있었고, 남성적 이미지로 남성에게 인기가 많았으며, B사는 레포츠를 즐기는 20-30대, 중장년층을 타겟으로 전략을 세우고 있었다. 셋째, 위의 SWOT분석을 이용하여 향후 프로모션 전략을 수립한다면 강점과 기회는 부각시키고 약점과 위험요소는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연구가 향후 각 사의 성공적인 프로모션 전략을 세우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e extension of life due to the improvement of modern medical science, the concern of health and the 5-day-work brought us to enjoy many leisure sports these day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various promotion strategies of brand A and B, then present predictable promotion strategies of each brand in the future, and furthermore, to suggest some promotion strategies that each brand should take in the future. For this purpose above, research for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promotion was taken first, and secondly, we researched and studied about various promotion strategies in brand A and B, then compared and analysed them through STP strategy, SWOT analysis etc. As a result, we have got to know not only that much of the sales was caused by direct/indirect promotion putting some different targeting class, but also as follows. Promotion, through campaigns, training salespeople, and TV advertisement based on their management philosophy and concept etc, was being built by themselves. Through STP strategy, on brand A, the consuming and life style of youths of 20s and 30s were discovered and the mannish image helped it for its popularity on men. However, brand B was taking 20s-30s and middle-age-targeted strategies. Through SWOT analysis, Strength and opportunity become emphasized, weaknesses and threats are maximized. As a result of this study, further more study for a successful promotion is necessary for building up their own promotion strategies based on the analysis above.

      • KCI등재

        시간비용이 조건부 프로모션에 대한 평가에 미치는 영향

        주경희(Chu, Kyounghee),김지윤(Kim, Ji Yoon),이두희(Lee, Doo-Hee) 한국상품학회 2014 商品學硏究 Vol.32 No.2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기업이 보편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조건부 프로모션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조건부 프로모션이란 소비자가 기업에서 제공하는 제품 혹은 서비스를 얻기 위해서는 소정의 비용(금전적 혹은 비금전적)을 지불해야 하는 프로모션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소비자가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자신의 시간을 할애하는 상황에서, 가치평가과정 그리고 제품(사은품) 유형에 따라 시간비용(소요시간)이 조건부 프로모션에 대한 태도와 이용의도에 미치는 효과가 다르게 나타남을 검증하였다. 연구 설계 및 방법론: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두 번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두 번의 실험 모두 시나리오 기반 실험을 수행했다. 첫 번째 실험은 2(시간비용: 고 vs. 저) x 2(가치평가과정: 감정 vs. 계산)의 집단 간 설계로 구성하였고, 두 번째 실험은 2(시간비용: 고 vs. 저) x 2(제품 유형: 쾌락적 vs. 실용적)의 집단 간 설계로 구성하였다. 분석방법으로 계획대조(planned contrast)를 이용하였다.. 분석 및 연구 결과: 첫 번째 실험 결과, 소비자가 계산에 근거한 가치평가과정(valuation process by calculation)을 거치는 경우, 시간비용이 높은 경우보다 낮은 경우에 조건부 프로모션에 대한 태도와 이용의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에 반해 소비자가 감정에 근거한 가치평가과정(valuation process by feeling)을 거치는 경우, 시간비용이 높은 경우와 낮은 경우 간 조건부 프로모션에 대한 태도와 이용의도에 차이가 없었다. 두 번째 실험 결과, 제품 유형이 실용적 제품인 경우, 시간비용이 높은 경우보다 낮은 경우에 조건부 프로모션에 대한 태도와 이용의도가 더 높게 나타났고, 제품 유형이 쾌락적 제품인 경우, 시간비용이 높은 경우와 낮은 경우 간 조건부 프로모션에 대한 태도와 이용의도에 차이가 없게 나타났다.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점: 본 연구는 시간비용과 소비자 평가 사이에 심리적 가치평가과정과 제품 유형의 조절 효과를 연구함으로써 시간비용 연구의 범위를 확장하였다. 또한 마케팅 실무자에게 조건부 프로모션 기획 시 소비자 시간비용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이며, 프로모션 효과 제고를 위한 방법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향후 연구방향: 향후 연구들은 시간비용과 조건부 프로모션에 대한 소비자 평가간의 관계를 조절할 수 있는 개인 특성 및 상황 변수를 파악하는 시도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다양한 조건부 프로모션 형태(금전적, 비금전적 )에 따른 차별적인 효과에 대한 연구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공헌점: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이 서비스 맥락에서 대기시간을 중심으로 시간비용을 연구한 것과는 달리, 현재 많은 기업들의 실행하고 있는 조건부 프로모션 맥락에서 시간 비용이 소비자 평가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첫 시도라는 점에서 차별점을 갖는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at the effect of time cost on attitude and usage intention of conditional promotions differs depending on the valuation process and product type in the context of consumers spending their own time in order to get what they want. Design/methodology/approach: We adopted a scenario-based experiment in studies 1 and 2. The first experiment was structured as between-subjects of 2 (time cost: high vs. low) x 2 (valuation process: feeling vs. calculation). Then, the second experiment was structured as between-subjects of 2 (time cost: high vs. low) x 2 (product type: hedonic vs. utilitarian). Results/findings: The first experiment demonstrated that when consumers take the valuation process by calculation, a low time cost yielded a higher attitude and usage intention of the conditional coupon than a high time cost. On the contrary, when consumers take valuation by feeling,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attitude and usage intention of the conditional coupon between the high and low time cost. The second experiment indicated that when product type is a utilitarian product, a low time cost yielded higher attitude and usage intention of the conditional coupon than a high time cost. However, when the product type is a hedonic produc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attitude and usage intention of the conditional coupon. Research implications/limitations: Marketers can gain insight into the ways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conditional promotions. Future work/research: A future study that can figure out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situational variables as a boundary condition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 cost and consumer evaluation toward conditional promotion will be promising. Originality/value: This study first verified the effect of time cost in the context of conditional promotions, which are commonly utilized by many companies, whereas previous research has mainly studied the time cost (waiting time) in the context of service.

      • KCI등재

        프로모션에서 표현되는 BTL 광고의 비주얼 사례 연구 -지역행사의 디자인 전략의 중심으로-

        김상현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3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85 No.-

        언택트 시대가 주춤하면서 각 기업과 공공기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지역 상권의 활성화 일환으로 다양한 프로모션을 전개해 나가고 있다. 그동안의 언택트 시대의 경기 침체를 극복하기 위해 새로운 전략의 지역 상권 활성화의 방향을 모색 중이라 할 수 있다. 지역 프로모션은 지역 경제를 일으키고 활성화에 중요한 요소로 차지한다고 본다. 마케팅 활동의 전통적 기법인 ATL(Above the Line)에서 BTL(Below the Line) 광고로 다양한 마케팅 활용을 통한 소비자와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을 만들고 있다. ATL(Above the Line) 광고에서의 광고비가 비싸며, 갖가지 규제들이 따르면서 광고에 많은 제한이 따르며, 비싼 광고료에 비해 그만큼의 기대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단점을 보고 있다. 이에 반면 BTL(Below the Line) 광고는 소비자와 직접적인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직접 구매와 연결되는 전략에서는 다양한 BTL(Below the Line) 광고에 주력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중에서 프로모션에서의 BTL(Below the Line) 광고는 고객들에게 직접적으로 소통하며, 판매지원 및 유통, 샘플링 등 고객들에 브랜드의 장점을 바로 전달시키는 요소로 차지한다. 이러한 전략은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키는 공공기관 및 지방자치 단체에 다양하게 활용, 운용되고 있다. 대한민국은 4계절이 뚜렷한 계절적 장점이 있어서 1년 내내 시즌별 다양한 프로모션, 이벤트, 행사 등으로 운영하고 있다고 본다. 봄, 가을에 맞는 축제나 행사나 추운 겨울에서 지역적 특산물을 활용한 축제나 이벤트 등으로 지역적 특성을 활용한 다양한 프로모션 활용을 기획하고 운용하고 있다. 지역 프로모션에서의 광고 역할도 축제 및 이벤트를 홍보하고 알리는데 중요한 전략으로 차지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요소로 볼 때 지역행사에서의 BTL(Below the Line) 광고는 중요한 요소로 차지한다고 볼 수 있다. 이는 미디어 환경의 변화로 전통적인 광고 전략에서 탈피해서 4차 산업의 영향과 통신의 발달을 통해 개인별 소통을 할 수는 다양한 SNS 활동과 인터넷 정보 활용 등으로 소비자의 네트웍스를 활용한 정보를 다양하게 전달하게 될 수 있다고 본다. 본 연구는 프로모션에서 표현되는 BTL(Below the Line) 광고의 비주얼의 전략을 통해 활용되는 디자인적 시각적요소를 아이덴티티(Identity)를 활용한 표현 방법을 통해 지역행사 및 축제에 적용되는 BTL(Below the Line) 광고의 표현을 사례를 통한 광고의 전략을 바탕으로 행사 타이틀 및 지역 특성에 맞는 패턴과 일러스트를 활용한 디자인적 비주얼 요소를 바탕으로 다양한 미디어에 적용하여 새로운 아이덴티티(Identity)의 방향과 비주얼 활용을 통한 효과적인 디자인 방향을 연구하고자 한다. As the untact era slows down, each company, public institution, and local government are carrying out various promotions as part of revitalizing local commercial districts. In order to overcome the economic downturn in the untact era, it can be said that a new strategy is seeking the direction of revitalizing local commercial districts. Local promotion is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factor in creating and revitalizing the local economy. From ATL (Above the Line), a traditional technique of marketing activities, BTL (Below the Line) advertising creates interactive communication with consumers through various marketing uses. Advertising costs in ATL (Above the Line) advertisements are high, and as various regulations follow, there are many restrictions on advertising, and there is no expected effect compared to expensive advertising fees. On the other hand, it can be seen that BTL (Below the Line) advertisements focus on various BTL (Below the Line) advertisements in strategies that connect to direct purchases through direct interactive communication with consumers. Among them, BTL (Below the Line) advertisements in promotions communicate directly with customers and occupy the elements that directly convey the advantages of the brand to customers such as sales support, distribution, and sampling. These strategies are used and operated in various ways in public institutions and local governments that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Korea has four distinct seasonal advantages, so it is believed that it operates throughout the year with various promotions, events, and events for each season. It plans and operates various promotions using reg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festivals or events suitable for spring and fall, or festivals or events using local specialties in cold winter. The role of advertising in local promotions can also be seen as an important strategy for promoting and promoting festivals and events. From these factors, BTL (Below the Line) advertisements at local events can be seen as an important factor. This is because the change in the media environment can break away from traditional advertising strategies and deliver various information using consumers' networks through various SNS activities and Internet information that can communicate individually through the influence of the fourth industry and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his study aims to study the direction of new identity and effective design direction through visual utilization by applying the expression of BTL (Below the Line) advertisements applied to local events and festivals through the expression of BTL (Below the Line) advertisements applied to local events and festivals through the strategy of advertising through examples.

      • 프로모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프랜차이즈 외식 산업의 SNS 버즈 분석을 중심으로

        정민서,이철진,윤지희,정윤혁,Jeong, Min-Seo,Lee, Cheol-Jin,Yoon, Ji-Hee,Jung, Yoonhyuk 한국빅데이터학회 2017 한국빅데이터학회 학회지 Vol.2 No.2

        프랜차이즈 경쟁의 심화에 따라 기업은 프로모션에 상당한 재원을 투자하고 있으며, 이에 프로모션의 효과 측정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프랜차이즈 외식 산업에서 이러한 프로모션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대표적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인 트위터 데이터를 경험적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프로모션의 간격과 기간, 그리고 계절이 프로모션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통계적으로 입증했고, 나아가 각 요인별로 프로모션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배경을 파악하여 외식 산업 내 기업의 업종에 따른 프로모션 전략을 제안하였다. Companies has been investing enormous resources in promotion as the market keeps changing rapidly. Therefore, there are growing needs to measure the impact of a promotion on revenue growth.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omotion in franchise food service industry,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ext data from Twitter, one of the dominant social network services. Our findings show that a gap between promotions, promotion duration, and season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a volume of twitter buzz, which represents a promotion effect in our study. Next, we tried to analyze the reason why those factors were related to the promotion effect. Finally, we suggested promotion strategies related to each influential factor depending on types of business in food service industry.

      • KCI등재

        미용실 프로모션과 물리적 환경이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어수연 ( Su-yeon Eo ),이민선 ( Min-seon Lee ) 한국미용예술경영학회 2016 미용예술경영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미용실 프로모션과 물리적 환경이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미용실의 이익 창출을 위한 프로모션과 물리적 환경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서울지역에 사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최종 280부의 설문지를 분석자료로 사용하였으며 연구결과, 결론, 제언은 다음과 같다. 프로모션과 물리적 환경에서 쿠폰과 세일은 고객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태도, 외모, 청결, 인테리어가 고객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포인트를 이용한 프로모션과 물리적 환경의 입지에 대한 고객만족도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프로모션과 물리적 환경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논의 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이에 대한 개선점 제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모션 결과를 보면 가격에 즉각적인 관련이 있는 요인들이 만족도가 있는 편이였으므로 각 미용실의 매출과 고객 방문 시간을 분석하여 가장 고객이 적은 시간대나 요일을 선정하여 새로운 프로모션을 통해 고객을 유치할 수 있도록 한다. 한가한 시간대를 활용할 수 있으며 매출 상승에도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물리적 환경의 꾸준한 변화를 위하여 할로윈데이나 크리스마스 등 월별 이벤트를 활용하는 것이다. 이미지 변화를 주기에는 다소 힘들 수 있는 미용실의 이미지를 단기간이라도 주기적으로 변화를 주게 된다면 고객들의 호기심을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다. 차후 논문에서는 프로모션의 요인의 범위를 늘려 영향력이 있는 프로모션을 세부적이며 자세하게 분석하여 각 프로모션마다 개선방안이 도출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s aimed at analyzing the influence of Beauty Salon’s promotion and physical environment on customer satisfaction for the public and proposing the improvement plan for the promotion to create the profit of Beauty Salon and the physical environment. After applying and studying 280 questionnaires by those in Seoul for analysis, we research, conclude and propose as follow; Coupon and Sale in the promotion and the physical environment have meaningful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so do attitude, look, cleanliness and interior. In the other hand, the customer satisfaction for the position of physical environment and the promotion by point system fail to. Based on these results, we concluded the discussion is needed to improve the promotion and physical environment, and suggested as below. First, It is necessary that the sales and visit time of each salon should be analyzed and new promotion should be implemented to attract customers after selecting the time zone and the day of least customers, because the factors immediately related to price are reported to have customer satisfaction in the promotion result. It can lead to utilizing unengaged time and increasing the sales effectively. Second, monthly events such as rose day or halloween day should be put to practical use in order to change the physical environment consistently. If the image of salon, difficult to replace, can be changed periodically even in a short period, curiosity occurs from customers. Following thesis is expected to draw the conclusion that improvement plan is suggested for them after the factor and range of promotions increase and then influential promotions are analyzed detailedly.

      • KCI등재

        혜택적합성에 따른 제휴 프로모션 수단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

        박현희,이은미,전중옥 한국마케팅학회 2012 ASIA MARKETING JOURNAL Vol.13 No.4

        This study was intended to classify tie-in promotion tools by the criteria of benefit-fit between consumer and tie-in promotions. Tie-in promotion tools include tie-in price reductions, tie-in coupons, tie-in memberships, tie-in contests, tie-in sweepstakes, tangible and intangible tie-in premiums, tie-in payment terms, tie-in samples, tie-in events(culture event, charity event, experience event) and tie-in fund․rebates. The fit between consumer pursuit benefit and tie-in promotion supplying benefit was used as a classification criteria on the basis of Lee et al.'s study in 2011. For the experiment, one stimuli and 12 scenarioes were developed. 100 pieces of data were obtained for each scenario. As a result, benefit fit was subsequently divided into two factors: hedonic-benefit fit and utilitarian-benefit fit. Tie-in promotion tools were then classified into 4 types: high hedonic benefit-added, high utilitarian benefit-added, low hedonic benefit-added, and low utilitarian benefit-added. In previous research, tie-in promotion type was mainly divided by the evaluative criteria on company's viewpoint such as horizontal/vertical or intra-company/ inter-company, which reflects mutual exclusiveness between two criteria. Whereas, in this study, tie-in promotion type was divided by evaluative criteria on consumer's viewpoint such as hedonic- benefit fit/utilitarian-benefit fit. The classifications in this study practically reflect benefit-added of tie-in promotion type superadded one benefit coexisting two benefits. 본 연구는 제휴 프로모션이 제공하는 혜택과 소비자가 추구하는 혜택의 유사성 및 일치성을 의미하는 소비자-제휴 프로모션간 혜택적합성을 실용적 혜택적합성과 쾌락적 혜택적합성으로 나누어 이 두 가지 요인을 기준으로 하여 12가지 제휴 프로모션 수단들(제휴 가격할인, 제휴 쿠폰, 제휴 회원제도, 제휴 콘테스트, 제휴 경품, 제휴 프리미엄, 제휴 지불조건, 제휴 샘플, 제휴 리펀드․리베이트, 제휴 문화이벤트, 제휴 참여이벤트, 제휴 자선이벤트)의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실험을 통해 각 제휴 프로모션 수단별로 소비자-제휴 프로모션간 실용적 혜택적합성과 쾌락적 혜택적합성을 측정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제휴 프로모션 수단들은 쾌락혜택 적합성 고부가형, 쾌락혜택 적합성 저부가형, 실용혜택 적합성 고부가형, 그리고 실용혜택 적합성 저부가형의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4가지 제휴 프로모션 수단 유형은 기존연구에서 제휴 프로모션 형태를 수평적/수직적 또는 기업내/기업간과 같은 기업관점에서의 유형구분 기준개념에 의해 상호배타적으로 구분한 것과 달리, 두 가지 혜택 요인이 양립하면서 하나의 혜택요인이 부가되는 부가혜택형으로 소비자 관점을 현실성 있게 반영하고 있다는 점이 흥미롭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