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실과교과 6학년 「기술의 세계」 영역의 수행평가 도구 개발

        한상석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0 實科敎育硏究 Vol.16 No.3

        이 연구는 초등학교 실과교과 「기술의 세계」 영역 중 학습자 스스로가 자신의 지식과 기능을 나타낼 수 있도록 산출물을 만들거나, 행동하거나, 답을 작성하도록 요구하는 평가 방식인 수행평가 도구를 개발하여 교육과정-교수·학습 방법-평가로 이어지는 교육의 전체를 일관성 있게 유지시켜주는 지표 구실을 하여 실과 평가 방법의 개선과 실시에 도움을 주고자하는데 목적이 있다. 2007 개정 교육과정의 「기술의 세계」 영역에서 평가 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교육 현장에서 기존 평가의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수행평가를 선택하여 개선된 방향을 제시하였다. 기존의 모형 및 도구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비교 분석하였고 보편타당한 평가 도구 개발 절차 모형에 의거하여 실과 수행평가 도구의 장단점을 보완하였으며 2011년부터 적용되는 실과교과의 수행평가 현장 적용에 도움을 주기 위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7 개정 실과 교육과정의 기술의 세계 영역을 분석하여 수업 상황에서 평가 영역을 통합하여 시행할 수 있는 평가와 학습이 통합된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하였다. 둘째, 구안된 교수·학습 모형에 따라 직접 학생 자신의 능력을 드러내 보이는 기회를 제공하도록 실행 중심의 실과 수행평가 도구 개발절차 모형을 구안하였다. 셋째, 6학년 기술의 세계 영역의 적용 가능한 수행평가 기준안 및 학생 활동지를 개발하였다. 실과 수행평가 기준안과 학생 활동지는 여러 문헌과 현장에서의 경험을 토대로 자체 개발하였으며 구안된 평가 도구 개발 절차 모형에 따라 수행평가 가능 단원의 차시에 대하여 개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performance assessment tools for elementary school practical curriculum 「the world of technology」 to make learner themselves behave, make outputs or make answers to show their knowledge and techniques. We expect this tool to be an index that maintains whole education process consistently which is education procedure -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 evaluation. And this tool will help for assessment and implement ways to improve.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improved plan for the existing assessment to develop an alternative assessment tool in the field of 「world of technology」 in the section of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I compared former studies about existing models and tools, remedied assessment tool based on the tool developing process model. Details for the study that aimed to help evaluate the performance which begins 2011 are as follows. First, we develop a teaching-learning model that unifies assessment and study by analyzing the 「world of technology」 course that revised in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Second, we develop the practical course performance assessment tool development process model that is based on the teaching- learning model for give chances students to reveal their own abilities. Third, we develop a standard of performance assessment and student activity records that can be applied to the 「world of technology」 class of the sixth grade students. Practical course performance assessment standard and student activity records are developed by ourselves based on several references and experiences in the field. And developed assessment tool development process model and a propose of practicable project work unit on sixth form

      • KCI등재

        비서직 평가도구가 평가결과에 미치는 영향

        박성민(Park Sung-Min),최민성(Choe Min-Sung) 한국비서학회 2011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0 No.1

        최근 성과주의 도입이 가속화되고 있다. 민간 대기업은 물론이고 정부부처 및 공기업에 이르기까지 성과주의는 이제 한국 조직 운영의 필수조건이 되었다. 노무현정부가 들어서면서는 민간부문이 아닌 공공부문의 성과관리시스템 도입도 가속화되어 이제 공기업 및 대학에까지 확산일로에 있고, 이에 따라 성과에 대한 관심이 조직의 안팎으로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정작 성과가 무엇이고, 어떠한 평가도구를 가지고 평가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는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평가도구에 대한 신뢰도와 공정성이 확인되지 않은 상황에서 평가가 진행되다보니, 평가결과에 대한 회의적 시각만 팽배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아직도 평가도구에 대한 논의나 연구는 부족하며, 비서직과 같은 전문직종에 대한 성과평가나 지표에 대한 연구는 더욱 부족한 형편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비서직 217명을 대상으로 첫째, 성과평가에 대한 다양한 논의들을 정리하였고 둘째, 비서직 성과도구가 평가결과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셋째, 평가도구와 평가결과 사이에서 조직몰입과 신뢰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SPSS 15.0을 이용하여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매개효과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평가도구인 평가지표, 평가자, 평가 프로세스는 평가결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둘째, 조직몰입은 평가도구와 평가결과 사이에서 부분적인 매개작용을 하였다. 셋째, 평가도구와 평가결과 사이에서 조직 신뢰도는 상호작용을 하였으나 상사신뢰는 상호작용을 하지 않았다. 넷째, 평가도구는 매개변수인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비서직은 전문스탭으로서 수요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아직 비서직종을 위한 평가도구의 체계화가 미흡한 상황이며, 다른 직종에 비해 평가도구에 대한 합의가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비서직의 경우 일반 사무직이나 다른 직종과는 달리 평가자인 상사와의 관계가 특수하기 때문에 이러한 특수성을 고려하여 평가자의 역할을 바로 잡을 수 있는 개선방안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The idea of meritocracy has been rapidly introduced recently. In Korea, operating a meritocracy is a prerequisite for running large corporations, government agencies, and public enterprises. Since the beginning of the Roh government, the introduction of a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was faster in the public sector. Now universities have also introduced a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As a result, interest in performance has greatly increased. However, it is difficult to define what performance is and to select appropriate assessment tools due to insufficient discussion of the subject. Also, doubts about the results of the assessment will increase if the assessment does not ensure the reliability and fairness of the assessment tools. Nevertheless, discussion and study is still not enough to develop adequate assessment tools, and there are also not enough performance appraisal studies of secretarial job performance. So, this paper aims to amend that absence. First, various concepts of performance were discussed. Second, we investigated assessment tools to assess the effects of a secretarial job. Third, the rol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rust in a relationship between assessment tools and evaluation results was also discussed. This paper used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parameter effect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15.0. There were four major results from the study. First, the evaluation indicators, evaluators, and evaluation process as tool influences to evaluation results were discovered. Second, we found that organizational commitment seemed to have a parameter effect within the relationship between assessment tools and assessment results. Third, organizational reliability was discovered to have a relationship with the interactive roles between assessment tools and assessment results. Fourth, the evaluation tool was found to influence the parameter of organization commitment. In spite of the increasing demand for a secretaries as professional staff members, systematic study on an evaluation tool is insufficient. In addition, compared to other jobs, the consensus on assessment tools is limited. These issues should be improved through continuous research on performance evaluation of secretarial jobs.

      • KCI등재

        산업별 직무평가 도구의 개발에 대한 방법론과 산업 적용 연구

        유규창(Yu, Gyu Chang),이혜정(Lee, Hye Jeong)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8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5 No.2

        동일노동 동일임금과 직무중심 인사관리를 실현하기 위해서 객관적이고 타당한 직무평가 도구의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되어왔다. 기존의 직무평가 도구로 글로벌 컨설팅 사들이 제공하는 범용 직무평가 도구가 활용되고 있지만 비용 측면이나 평가 항목과 가중치에서의 산업 및 조직의 직무 구조 및 특수성 반영의 필요성측면에서 현실적 장벽이 존재한다. 이러한 연구 배경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노사 간 참여의 균형과 협력적으로 집단지성을 활용하여 타당하고 수용성 높은 직무평가 도구를 자체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직무평가 도구개발 과정은 크게 6단계로 제안하였고, 각 단계별로 수행해야 할 주요 내용에 대해 서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개별 조직, 산업의 직무구조와 특성이 반영될 수 있는 직무평가 도구를 구성하기 위한 과정과 다양하고 차별적인 항목과 가중치로 구성된 산업별 직무평가 도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직무평가 도구 방법론을 보건의료, 철강, 은행, 호텔 산업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직무평가 도구가 산업별 특성을 반영하여 평가 항목 및 가중치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에서는 도출된 직무평가 도구를 활용하여 직군 분류, 직무급 설계 등 직무중심 인사관리에 적용할수 있는 방안과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importance of objective and valid job evaluation tools has been emphasized continuously in equal pay for equal labor and job-based human resource management. Although general purpose job evaluation tools provided by global consulting companies are used often, realistic barriers exist in terms of cost, evaluation factors and weight, and the necessity of reflection of job structure and specificity of industry and organization. Based on these research backgrounds, this study suggested the process of self-development of valid and acceptable job evaluation tools using the collective intelligence in balance of labor-management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The process of job evaluation tool development was proposed in six steps and the main contents to be performed at each stage were described. In this study, the process of constructing job evaluation tools that can reflect the job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organizations and industries, and the results of industry job evaluation tools composed of diverse and different factors and weights are presented. The method of job evaluation tool developed in this study was applied to healthcare, steel, bank, and hotel industry.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job evaluation tools can be composed of different evaluation factors and weights by reflecting industry characteristic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applicable method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job-based human resource management such as job classification and job-based pay using derived job evaluation tools.

      • KCI등재

        교구 및 공학도구를 활용한 수학적 과정중심 평가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

        고상숙,박만구,한혜숙 한국학교수학회 2013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1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교구 및 공학도구를 활용한 수학적 과정중심의 평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평가 현황을 파악하고 교구 및 공학도구를 활용한 바람직한 수학적 과정 평가의 방 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수학 교과의 교수-학습 과정에서 교구 및 공학도구를 활 용한 경험이 있는 서울, 경기 지역의 초·중등학교 수학교사 33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 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수학적 과정중심 평가에 교구나 공학도구의 활용을 허용할 경우 교 사들은 연구보고서, 프로젝트, 토론법 등의 다양한 대안 평가 방법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 할 것으로 나타났다. 교구나 공학도구를 활용한 수학적 과정중심 평가 방법은 학생들의 학습 상태를 보다 정확하고 종합적으로 파악하는데 기여할 수 있고, 동시에 수학적 과정을 강조한 교사의 수업 방법과 교수 활동의 개선을 위한 다양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면에서 현장 에서 대안적 평가 방법이 될 수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eachers' perceptions on process-focused mathematics assessment using manipulatives and technological devices and to propose the direction of the process-focused mathematics assess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by the survey method with a total of 332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teachers working in Seoul or Gyeonggi areas who had experienced in using manipulatives and technological device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use of manipulatives and technological devices in the process-focused mathematics assessment will facilitate the use of various alternative assessment methods such as research-report, project, and discussion for the process-focused mathematics assessment. Those alternative assessment methods enable teachers to diagnose students' learning in more accurate and holistic views and contribute to improving teachers' teaching practices focused on the mathematical process.

      • KCI등재
      • KCI등재

        우리나라 노인요양보장제도의 평가판정 도구에 관한 고찰 - 외국사례에 대한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임정기 ( Jeong Gi Lim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 保健社會硏究 Vol.25 No.2

        본 연구는 2008년 도입될 노인요양보장제도의 근간이 되는 대상자 등급판정도구를 고찰해 봄으로써, 노인의 장기요양욕구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체계와 그 체계를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고려되어야 할 점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공적 요양보장제도가 사회적 정당성을 갖추기 위해서는 요양보호대상자의 판정 기준 및 절차에 대해 객관성과 합리성이 절대적으로 요구되어진다. 특히 공적요양보장제도가 조세제도에 의해서 자산조사 및 특정 욕구를 기준으로 제공되는 공적부조의 형태 보다는 보험제도에 의해 보편적 욕구를 기준으로 제공될 때 요양보호대상자 선정기준의 공평성이 더욱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요양인정 평가판정도구는 단순히 대상노인의 욕구를 평가하는 도구일 뿐만 아니라 대상노인의 임상적 기능평가에서부터, 서비스 계획과 자원(수가)의 분배까지 함께 고려되는 체계를 갖추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요양보장제도를 실시하고 있는 주요 국가의 대상자 선정 평가판정체계 및 욕구사정도구를 비교 분석하여 우리나라의 평가판정도구 및 체계 개발에 있어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외국 제도의 비교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전체 노인요양제도 내에서 평가판정도구가 자리 잡아야 하는 목표와 성격, 그리고, 이러한 목표와 기본 성격을 실행할 수 있는 체계 및 내용에 대한 분석, 그리고 향후 고려되어져야 할 부분에 대한 논의로 구성하였다. 우리나라의 평가판정도구에서 향후 고려되어져야 할 점으로는 첫째, 평가판정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작업이 계속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둘째, 평가판정도구와 노인욕구사정도구 및 케어플랜과의 관계를 정립할 필요가 있다. 셋째, 노인사정도구의 자율화와 표준화의 장·단점을 파악하여, 제도의 효율성 및 비용효과성 면에서 정책결정자가 적정수준에서 결정할 필요가 있다. 넷째, 평가판정도구와 관련하여 평가판정체계의 확립을 위한 논의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ive implications to develope Korean long-term care assessment and classification instrument by analyzing foreign instrument comparatively. This study analyzed long-term care assessment and classification instruments of Japan, Germany, Untied State, Austria, United Kingdom and Singapore. Throughout object of countries, these are founded. First of all, it is different that the purpose and using of instrument is adopted in each system in each country. Some countries adopt public system for long term care(ex, Japan, Germany, and Austria), they use instrument as classification just for care needs, so their instrument is composed parsimonious items. Other countries that have not public system for long term care adopt instrument as comprehensive needs assessment about clinical function. But they have common logic throughout every countries, when they related to benefit, the instruments are developed by service need(resource utilizing) that operationalize service(care) time. Considering Points in developing Korean long-term care assessment and classification instrument are First, it should be verified reliability and validity of instrument by getting continuous and numerous datum, Second it needs to be taken a triangular position about relationship among classification of grade, need assessment for functional status and care plan. Third it needs to be decided to adequate level of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about using compulsive or self-regulation instruments, and Forth, related to instrument, it should be discussed about long-term care assessment and classification system. Finally, Korean instrument should to being consider not only assessing need of long term care but also evaluating clinical function, care plan, and benefit.

      • 한국 아동작업치료사의 평가도구 사용 동향에 관한 연구

        조은미,정윤주,최윤미,유은영 대한아동·학교작업치료학회 2015 대한아동 ․학교작업치료학회지 Vol.6 No.-

        ◉ 목적 : 본 연구는 국내 아동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평가도구의 사용 실태 및 동향을 파악하여 임상적으로 유용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1년 9월부터 11월까지 대한아동․학교작업치료학회,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대한작업치료학회에서 주최한 교육에 참석한 아동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응답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연구대상자의 평가관련 정보, 각 영역별 평가도구의 사용 빈도로 구성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137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빈도분석과 상관분석을 이용하여 평가도구 사용동향을 분석하였다. ◉ 결과 : 연구결과에 따르면 아동작업치료사는 초기 평가시간으로 20∼40분(32.5%)을 할애하는 응답자가 가장 많았으며, 재평가 주기는 6개월(47.5%), 평가 시 가장 어려운 점은 기관 내 보유한 검사도구의 부족(52.5%)으로 나타났다. 영역별 검사도구의 사용빈도는 발달 평가영역에서 Denver Developmental Screening Test-Ⅱ (DDST-Ⅱ, 86.3%), 감각통합 평가영역은 Sensory Profile (76.3%), 지각 평가영역은 Developmental Test of Visual Perception (DTVP, 75%), 인지 평가영역은 Loe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 (LOTCA, 15%), 심리사회·놀이평가영역에서는 Preschool Play Scale, Revised(PPS/PPS-K)(22.5%), 작업수행 평가영역에서는 사회성숙도검사(46.3%)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 결론 : 본 연구결과를 통해 국내 아동작업치료사들의 평가도구 사용에 관한 정보와 평가도구 사용을 영역별로 파악할 수 있었으며, 추후 작업치료사들의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Objective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assessment tools Korean pediatric occupational therapists commonly used to provide clinically useful data. ◉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to November in 2011. Data was collected by survey from 137 pediatric occupational therapists who participated in an education(training/conference) which was held by Korean academy of children · School Occupational therapy,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and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rom the data, commonly have been using assessment tools were identified. ◉ Results : The length of time for initial evaluation was 20∼40 minutes (32.5%) per one patient was the most frequent response, reevaluation periods were every 6 months(47.5%), Difficult points during the evaluation was lack of assessment tools (52.5%). In areal frequency of use, the most frequently be used in developmental area was Denver Developmental Screening Test-Ⅱ(DDST-Ⅱ, 86.3%), Sensory Profile(76.3%) in Sensory Integration area, Developmental Test of Visual Perception(DTVP, 75%) in Perception, Loe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LOTCA, 15%) in Cognitive area, and Preschool Play Scale, Revised(PPS/PPS-K, 22.5%) in Psychosocial, Play Assessment area. ◉ Conclusion : Based on the result, it were recognized by area that assessment tools Korean Pediatric Occupational Therapists use. Moreover, for further studie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eline data.

      • KCI등재

        방문간호서비스 질 평가도구 개발

        김조자(Cho Ja Kim),김용순(Yong Soon Kim),강혜영(Hae Young Kang),박정혜(Jeong Hye Park),성명숙(Myung Sook Sung),우영자(Young Ja Woo),오현숙(Hyun Suk Oh),윤영옥(Yeung Ok Yoon),조혜숙(Hye Sook Cho),주영희(Young Hee Ju) 한국노년학회 2008 한국노년학 Vol.28 No.2

        본 연구는 2008년 7월 시행을 앞두고 있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재가급여 중 방문간호의 지속적인 질 관리와 향상을 위하여 실시된 방문간호서비스 질 평가 도구 개발 연구이다. 본 연구의 진행은 노인간호 전문가 7인으로 이루어진 자문위원회 회의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국내ㆍ외 노인 간호 관련 질 평가지표에 대한 문헌고찰과 자문회의 검토를 통하여 예비 질 평가 도구를 개발하였으며, 예비 질 평가도구에 대하여 50인의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여 1차 내용 타당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예비 질 평가도구의 1차 내용타당도 검사결과를 수정ㆍ보완한 후 2차 내용타당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개발된 방문간호서비스 질 평가도구를 이용하여 훈련된 평가자 4인이 전국 14개 방문간호기관을 직접 방문하여 시범평가를 실시하였다. 시범평가 실시 후 실제 평가도구 적용 시 평가기준을 분명하게 할 필요가 있다고 평가자들이 지적한 문항들에 대하여 자문회의를 통하여 질 평가 도구를 수정ㆍ보완하여 방문간호서비스 질 평가도구를 완성하였다. 최종적으로 개발된 질 평가도구는 구조, 과정, 결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20개 영역, 59개 항목, 88개 문항으로 이루어진 4점 척도의 도구이다. 20개 영역은 인사, 업무 공간, 물품확보 및 관리, 조직, 재정, 경영방안, 의사소통 체계, 보고체계, 정보관리, 비용청구, 자원연계, 효과, 방문간호 책임자 역량, 방문간호사 교육, 서비스 계획, 서비스 수행, 서비스 평가, 감염관리, 환경 및 안전대책, 자체평가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결과로 개발된 방문간호서비스 질 평가도구를 활용하여 향후 시범사업이 종료되고 본 사업이 진행될 때 체계적인 방문간호 질 관리 체계를 구축해 나갈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velop Home Care Quality Indicators(HCQIs) to evaluate and improve quality of 'Elderly Care Program' that has been conducted in 14 institutions in the 2nd demonstration project. For this study, the preliminary HCQIs were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analysis of existing quality indicators. An expert development panel reviewed established and new quality indicators twice for applicability to home care services for long-term care. The final HCQIs were confirmed and applied in fourteen home care service agencies to test feasibility. In results, the preliminary HCQIs had 19 domains, 68 categories and 99 indicators. After two content validity testing, the final HCQIs consisted of 20 domains, 59 categories and 88 indicators. They were applied in fourteen home care service agencies and it was revealed that all the indicators were applicable. The quality indicator set provides a comprehensive home care quality framework for long-term care future and will allow for comparative research. Provision of these evidence-based measures could improve patient quality of life and longevity.

      • KCI등재

        국내 아동작업치료 기관별 평가도구 사용 현황 및 실태에 관한 연구

        길영숙,유두한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2023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Vol.21 No.1

        목적 : 본 연구는 국내 아동 작업치료영역에서 기관별 사용하고 있는 평가도구 사용 현황 및 실태에 대하 여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국내 아동작업치료사 67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설문지구성은 Lee, Hong과 Park(2018)와 Kim(2015)의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문항을 아동평가도구 내용에 맞추어 수정·보완하여 사용 하였다. 데이터 수집은 편의표본추출방법을 사용하여 3주 동안 Google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연구 분석은 일반적 특성, 평가관련정보, 평가도구 사용현황, 지식수준 및 교육 참여 욕구를 검증하기 위해 기술통계와 빈도분석을 사용하였으며, 평가도구 현황은 t-test를 사용하였다. 기관별 평가도구 사용은 Excel을 통해 분석 하였다. 결과 : 기관별 사용하는 평가도구 수는 복지관이 11.1개로 가장 많았고 기관별 평가도구 사용 현황의 경우 대학병원이 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를 재활병원은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or children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의원, 센터, 복지관, 어린이집은 순서 간의 차이는 있으나 Sensory Profile과 임상관찰 사용빈도가 많았다. 평가도구에 대한 지식수준과 교육참여 욕구에 대한 문항에서는 응답자의 30명(44.8%)이 교육을 이수하지 않았으며, 42명(62.7%)이 대체로 자신의 지식수준을 낮게 평가하고 있었다. 매뉴얼 기반에 평가도구 사용의 중요성 질문에 66명(98.6%)이 긍정적인 답변에 응하 였고, 66명(98.6%)이 평가도구 전문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 아동작업치료영역 기관별 사용되고 있는 평가도구의 사용 현황 및 실태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기관별 다양한 평가도구 도입 및 다양한 평가도구 교육 마련을 위한 기초 적인 근거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and actual use of assessment tools by institutions in the field of occupational therapy with children in Korea. Methods :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67 occupational therapists working with children in Korea. To investigate the use of evaluation tools by area, knowledge of the evaluation tools, and desire to participate in further education, the questionnaires used in studies by Lee, Hong, and Park (2018) and Kim (2015) were modified and supplemented according to the child evaluation tools currently in usein institutions in Korea. For data collection, we distributed Google questionnaires to child occupational therapists for 3 weeks using convenience sampling. Excel was used to analyze the use of the evaluation tools according to institution. Technical statistics and frequency analyses were used to verif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evaluation-related information, status of evaluation tool use, knowledge levels relating to evaluation tools, and desire to participate in education. A t-test was used for the evaluation tool status. Results : Welfare centers used the most evaluation tools, with an average of 11.1, followed by university hospitals, rehabilitation hospitals, clinics, and daycare center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choice of tools used, hospital with the 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 and the Wee-FIM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being the most frequently applied. Centers, daycare centers, and welfare center the Sensory Profile test and clinical observation were also used often. Regarding the level of knowledge of evaluation tools and the desire to participate further in education, 30 (44.8%) of the respondents had not completed their education, and 42 (62.7%) rated their knowledge level as generally low. When asked about the importance of using a manual to guide them in their use of evaluation tools, 66 (98.6%) answered positively, and 66 (98.6%) answered that they needed specialized training in the use of evaluation tools. Conclusion : This study makes it possible to understand the use and status of evaluation tools as used by different institutions in Korea in the field of child occupational therapy It is anticipated that it will provide the basis for introducing existing evaluation tools and preparing new evaluation tools to be used in this field in Korea.

      • KCI등재

        독일의 현행 장기요양 평가판정도구에 대한 고찰

        남현주 한독사회과학회 2012 한독사회과학논총 Vol.2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장기요양 평가판정도구의 개선과 발전을 학문적으로 지원하기 위하여 독일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장기요양 평가판정도구의 핵심 구조와 내용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독일의 장기요양 평가판정도구의 이원적 평가기준을 확인하고, 도구에 대한 비판과 그에 대한 보완노력을 살펴보았다. 독일의 장기요양 평가판정도구는 평가판정양식서와 장기요양보험조합 연방총연합회의 지침서(Richtlinien der Spitzenverbände der Pflegekassen zur Begutachtung von Pflegebedürftigkeit nach dem XI. Buch des Sozialgesetzbuches) 내용에 대한 지속적인 수정보완의 과정을 통해 지금의 이원적 구조를 이루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독일은 한편으로 평가의 전문성과 평가절차의 직접성을 통해 개인의 도움욕구에 부합하는 평가를 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고, 다른 한편으로 평가의 객관성을 담보할 수 있는 조치들을 취하였다.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평가도구는 장기요양보험이 단순히 신체기능 중심의 수발필요자들에 대한 사후 대응조치로 급여를 제공하는 것을 넘어, 치매 관련 조치와 같이 사전 예방과 재활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발전하는데 기여하였다. 비록 평가의 기준과 체계가 근본적으로 다르지만 독일의 사례에서 볼 수 있는 도구개선의 노력은 우리나라에서 평가도구의 개선방향을 정하는데 근본적으로 고민해야 할 문제점이 무엇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본전제가 무엇인지 확인해주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