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8세기 국문장편소설 <완월회맹연>의 몽골 인식 -포스트 팍스 몽골리카 시기 조선의 몽골에 대한 서사적 기억

        김수연 ( Kim Soo-youn ) 한국고소설학회 2018 古小說 硏究 Vol.46 No.-

        고려에서 조선으로 왕조 교체가 이루어지면서 한반도의 세계인식은 크게 달라졌다. 고려왕조는 중원의 원나라 즉 몽골제국과 혈연적 문화적으로 밀접한 관계였다. 그러다 중원이 원에서 명으로 바뀌고, 한반도가 고려에서 조선으로 바뀌면서 북쪽 초원으로 옮겨간 원나라에 대한 기억은 희미해지기 시작했다. 조선조에도 몽골은 여전히 강력한 국가로 존재하면서 명나라를 위협했지만, 조선에게 몽골은 망각된 역사였고 축소된 세계였다. 또한 명나라의 시선에서 이미지화 된 몽골은 야만과 미개의 나라였고, 공포의 대상이었다. <완월회맹연>이 창작 향유된 18세기도 몽골을 구체적으로, 정당하게 기억하는 경우가 거의 없었다. 다수의 역사서와 연행 기록에서 가끔 만나는 몽골은 거친 북방 부족의 이미지였다. 이런 상황에서 국문장편소설 <완월회맹연>은 15세기의 몽골을 서사적으로 재구하였다. 중원을 벗어나 몽골의 발원지인 초원지역에 자리한 몽골을 뜻하는 ‘해천 몽골’을 덕치와 법치가 이루어지는 정상 국가로 그리고 있는 것이다. 해천 몽골의 국왕은 오랑캐의 우두머리가 아니라, 인의와 정의를 실천하며 신하와 백성에게 부끄럽지 않은 정치를 펴려는 군주이다. 그는 스스로 천하의 주인이라고 말하지만 실상은 망국의 군주인 명나라 황제를 엄중히 비판한다. <완월회맹연>의 작가는 사라진 몽골제국의 서사를 해천 몽골국을 통해 재구성하며, 몽골을 외이(外夷)로 바라보던 시선을 거두고 당당하게 존재하는 외국(外國)으로 그렸다. 그리고 해천 몽골국의 정치 체제와 통치 철학을 통해 이상적 국가상과 통치자상을 제안하며, 자신이 지향하는 세계의 모습을 전하고 있다. 작가는 단순히 짜깁기 형식이나 허구로 몽골국의 서사를 끌어가지 않는다. 그는 세계사의 흐름과 대외 정세에 대한 정확한 지식과 인식을 작품에 새겨 넣음으로써, 일반 소설 작가의 수준을 뛰어넘는 작가적 역량과 자부심을 보이고 있다. As the dynasties were changed from Koryo to Choson, the Korean people 's perception of the world changed greatly. The Koryo dynasty was closely related to Yuan Dynasty, the Mongol Empire, both culturally and culturally. As the Chinese dynasty changed from Yuan to Ming, and the Choson Dynasty was established, the memories of Yuan began to fade. Even during the Choson Dynasty, Mongolia still existed as a powerful nation, threatening the Ming Dynasty. However, Mongolia, imaged from the standpoint of the Ming, was a country of barbarism and undevelopment, and was the object of fear. The Choson also accepted the view of the Ming. In the eighteenth century, when the Alliance Formed at the Wanwol Pavilion[玩月會盟宴] was created, Mongolia was rarely remembered specifically in Choson. Many historical books describing Mongolia as a rough tribe of the north. The novel, however, reconstructs Mongolia in a narrative style and describes it as a concrete state. Mongolia in the meadow region, that is, 'Haechon Mongolia', is a virtuous country. The King of Mongolia is not the head of the barbarians, but is depicted as a monarch who practices humanity and justice. The novel restructured the forgotten Mongolian narrative in novels, and looked at Mongolia as a country that was not a barbarian but a dignified country. Through the Mongolian political system and ruling philosophy, she proposed the ideal state of the nation and the role of the ruler. Based on the knowledge and awareness of world history, the author creates novels and shows her pride and ability to work beyond the level of ordinary novelists.

      • KCI등재

        동 아시아 국제 질서의 변동과 왜구

        이영 한일관계사학회 2010 한일관계사연구 Vol.36 No.-

        전근대 동 아시아의 국제관계를 진동시킨 <일본 침공>과 <왜구>는 서로 약 1세기의 시간적 간격 속에서도 상호 밀접한 인과관계를 지니고 있었다. 즉 <팍스 몽골리카>의 성립, 동요 붕괴와 <왜구의 공백기> <경인년 이후의 왜구> <왜구의 발호>는 각각 상호 대응하는 것임이 확인되었다. 이처럼 왜구의 여러 획기(劃期)가 중국 대륙 정세와 연동되어 나타나는 현상은, 왜구의 근거지와 발생지가 일본의 국경지역인 규슈 지방이었기 때문이었다. 그것은 대륙 정세에 관한 정보가 당시 중일간을 빈번하게 왕래하던 해상(海商)과 선승(禪僧)들에 의해 일본으로 전해졌고 그러한 정보 유입이 일본사회의, 대외적 요인에 기인한 사회적 긴장을 해체시켜갔다. 이러한 긴장완화는 사회 내부의 모순을 일거에 표출시켰으며 그것은 남북조 동란의 발발로 이어졌다. 그리고 왜구는 이러한 일본 사회의 내부 모순이 국경을 넘어 전개된 것이었다. 왜구의 발호(跋屋) 현상도, 원의 쇠락과 명의 등장으로 인해 차츰 변화되어간다. ‘왜구 금압’을 내세운 명의 고려와 일본에 대한 외교적 압력은 한편으로는 고려-일본 양국의 외교적 결속을 촉진시켰다. 최영의 요동정벌도, 박위의 대마도 원정도 이러한 양국 간의 신뢰관계가 있었기 때문에 추진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런 점에서 이 시기,료순의 대 고려 외교는 고려-조선 왕조의 교체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고려는 명의 금왜 압력을 역으로 활용해 명으로부터 화약과 화포 지원을 이끌어 냈으며 또한 왜구의 근거지 대마도에 대한 군사공격으로 방향을 잡아갔다. 한편 명의 대일(對日) 압력은 막부의 정서부 소탕-요시노 조정(남조)의 항복(남북조의 합일)을 거쳐 쇼군의 일본 국왕화(책봉체제 편입)로 전개되어 갔다. 이처럼 명의 등장은 고려-일본 관계의 개선을 촉진시켰으며 이를 위해 일본의 막부에게는 필수 선결과제인 ‘왜구 금압’이 강하게 요구되었다. 또한 명-고려 관계 역시 왜구 금압이 강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고려로서는 명이 왜구 금압을 명분으로 내세워 침공해올지 모른다는 강한 위구심을 떨쳐버릴 수 없었다. 그것이 대마도 정벌로 구현된 것이다. 명-일본 관계에 있어서도 왜구 금압은 부언(附言)할 필요도 없이 최대의 외교적 과제였다. 막부의 입장에서 보면 명이 왜구 금압을 명분으로 내세워 일본을 침공할 것은 물론, 만약 그렇게 된다면, 정서부의 가네요시 왕자가 협조할 가능성에 대해 심각한 위협을 느끼고 있었다. 이처럼 명의 외교적 압력은 왜구(규슈 지역의 난신과 완고한 백성)에 대한 전방위적(全方位的)인 포위와 압력이 되어갔다. 그 결과 규슈 남조 세력(난신)은 소멸되어갔고 왜구도 진정되어 갔던 것이다. 이처럼 14세기 후반부터 15세기 초로 이어지는 동 아시아 국제 질서의 재편 과정에는 <팍스 몽골리카>의 동요 및 붕괴가 원동력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그 과정에 한인군웅의 난(중국),반원자주 개혁(고려),남북조 내란과 왜구의 발호(일본)가 역사현상으로 표출되었고 그 결과물로 나타난 것이 새로운 중원의 지배자 ‘명의 등장(중국)’, ‘왕조교체(고려-조선)’,그리고 ‘왜구의 금압과 내란의 합일(일본)’이었다.

      • KCI등재

        돌하르방은 석궁왕(石弓王), 쿠빌라이 대칸의 탐라도 환생석 - 스키타이 기마 양유목혁명을 중심으로

        주채혁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16 한국시베리아연구 Vol.20 No.2

        1. What is Dolharvang? Inspite of many other names according to the interpretations, some scholars argue that Dolharvang is a compound noun of Харвах+vang=Harвavang(Archery King). The scholars also say that Khubilai the Great Khan who was the Founder of the Yuan(元) Empire had a vision of expanding his steppes empire and promoted the Mongolian Palace Project in the Ocean. It is said by the scholars that the Emperor thought Tamrado Island such a cornerstone as Palace on the Ocean. Therefore the scholars insist that Dolharvang in Tamrado(耽羅都) Island is appreciated as the phantom of Archery King Statue to be the failed dream of Khubilai the Great Khan. It is said that the Sheep Nomadizing at the Mongolian Steppes was reproduced in Tamrado Island being at the Non-Nomadic Zone is evaluated to be a kind of fiction. Because the Sheep Nomadizing Revolution at the Steppes could not be realized at any times, in the place where was not proper for the Sheep Nomadizing. If the Horse Raising was not connected with the Sheep Raising at the Steppes, the fighting power of mongolian horses also were not fulfilled their functions. And in case of the Mughul Empire(1526~1857)in the Non-Nomadic India, that was a subsidiary political organization belonging to the Empires of Chinghis Khan also did not recover the nomadic sweet home-like land and was disappeared in spite of building the greatest islamic dynasty in indian history. In other words, it is true that there are times and places for everything according to actors’ and actress’ abilities. However, the scholars talk about that the statue of Acheryking is smiling at the site of the Mongolian empire’s Ocean Palace where the site of the Beob Hwa Sa (法華寺) Temple was in the Gang Jeong(江汀) village. 2. Who was Khubilai the Great Khan? At the name of an era, Chih Yuan(至元) 17years in 1280 of Khubilai the Great Khan, an artist named Liu Kuan Tao(劉貫道), who was belonging to palace, drawed the hunting pictures of Khubilai the Great Khan at the Mongolian Steppes and some painters, who was belonging to the ancient Korean state Koryo, drawed portraits of Khubilai the Great Khan’s daughter named Khudulugh Kelmish who was a queen of Koryo and of Khubilai the Great Khan’s childish grand son, his daughter’s son named Ijil-Buqa who was a king of Koryo Chungseonwang(忠宣王). Ijil-Buqa was the core leader of the old Korean kingdom that was Gooli(高句麗)-Boka(渤海), who restored a family line of his monarchy to a member of Mongol Royal Family/Borjigin again. By the way, one royal picture and two royal portraits mentioned above are remained without flaws. After it becomes generally known, the historical story makes many Koreans surprise. 3. How do you apprise the Scythian works of art? In the Scythian systematic nations, the artistic relics being inherited by the Horse Riding-Sheep Nomadizing Revolution, since receiving the ironware during 2000 years, are touching many persons’ heartstrings from Black Sea(黑海) to city of Kyungjoo(慶州) in Korea. [English translation of the summary was a former journalist, historian Kim seon don(金善敦)]. 유라시아대륙에 석기시대 이래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석인상 유적들이 있다. 그렇지만, 본고에서는 철기 수용과 더불어 수행된 스키타이 ‘기마 양유목혁명기’를 전후해 일반 초원(Grass land)이 아닌 기마 양유목지대인 유라시아 스텝(Steppes)지역을 중심으로 제작된 관계 석인상 유적과 그 연장선상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보이는 비유목지대 탐라도(耽羅都) 목마장의 석인상 유적에 초점을 맞추어 돌하르방 문제를 천착해보았다. 유라시아의 유목민들이 말을 탄 주된 이유가 스텝의 양유목혁명 수행을 위해서였다. 팍스 몽골리카를 이룩한 이들의 ‘기마사술’이라는 가공할 유목무력도 물론 이에서 비롯됐다. 돌하르방이란, 여러 명칭개념 해석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돌로 된 Харвах+vang=Harвavang(弓王)으로 논자 나름으로 본고에서 그 개념을 정의해보았다. 뒷날 알탄 칸(1507년~1582년)은, 자신이 ‘쿠빌라이 대칸’의 환생임을 자칭했다. 그렇듯이 쿠빌라이 대칸이 팍스 몽골리카를완성하고 탐라국에 해양제국 몽골황궁 구축을 구상-시도했던 흔적이 다소간에 확인되기도 하는 만큼 서북 다싱안링 고올리칸(弓王: 東明-Tumen) 석인상-‘석궁왕’처럼 서남 다싱안링 다리강가 스텝의 석인상도 중심인물 석인상을 위시해 배치되고 있는 몽골의 기원지대 관행으로 보아, 제주도 돌하르방이 이를 조형(祖形)으로 삼아 쿠빌라이 대칸 석인상을 중심으로 애초엔 그렇게 세워진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고 하겠다. 그래서 그 후의 돌하르방이 팍스 몽골리카 탐라 해양황궁에 환생해온 그 참 주체인 쿠빌라이 대칸의 민속 신앙적 환영의 시대적 구상들일 수가 있다는 것이다. 이는 본래, 구체적인 역사인물인 팍스 몽골리카의 실제적인 구현자 대원제국 태조 쿠빌라이 대칸의 스텝제국의 확충 비젼이 투영된 해양 중 몽골궁성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탐라도 해양궁성의 아이콘초석으로 세워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미처 못 다 이룬 그의 꿈이 배어난 자아상으로서의 석궁왕상(石弓王像)과 그 환영의 각 시대 시류를 따른 구체적인 구현이, 탐라도 돌하르방의 실상이었다고 보는 것이다. 그런데 비유목지대인 탐라도 목마장에서의 ‘몽골스텝 양유목’은 한낱 허구였다고 본다. 왜냐하면 양유목의 적지가 아닌 이곳에서 스텝양 유목 혁명을 유발하기 위한 목마는 실은 실현 불가능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결국 인도의 거대한 칭기스칸 몽골제국계 이슬람제국 무굴제국(Mughul Empire;1526~1857)도 끝내 몽골스텝 본지(本地)의 수복을 이루지는 못했다. 본질적으로 목마가 스텝양유목과 관계가 없다면 몽골말의 유목적 전투력도 지속적인 제 기능을 발휘할 수가 없었던 것이다. 달리 말해 모든 것에는 그 나름의 때와 전제조건이 있다는 말은 불변의 진리라 하겠다. 원명(元明)~여선(麗鮮) 역성혁명과정이나 산업혁명 이후 만청(滿淸)제국과 신성로마제국 등의 모진 핍박과 농락 중에 이런 특정 생태 적응적 진화를 해오는 과정에서 시류를 따라 코믹하게 일그러진 표정으로 자신을 성형수술해온 터이지만, 탐라도 돌하르방은 2000여 년에 걸친 철기 수용 이래의 ‘황금빛 스키타이’ 기마 양유목혁명의 총체적 열매로서의 끈질기고 슬기로운 세계사적 차원의 초인적인 난숙한 예술적 풍모를 기나긴 세월 온갖 풍상 속에서도 아직 적지아니 견지하고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제국 안으로의 피신: 도적(Qulaɤan)과 몽골제국 권력

        설배환(Paehwan Seol) 동양사학회 2021 東洋史學硏究 Vol.156 No.-

        This paper analyzes the universal existence of thieves and their survival to consider the nature of imperial power and administrative system under Mongol rule in the 13th to 14th centuries. In a broad sense, thieves were largely divided into robbers and thieves, the latter of which included brigandage, piracy, arson and tomb theft, activities categorized as robberies. Since the Chinggis Qan era (r. 1206–27), thieves have been “co-existent” in imperial societies, crossing into and beyond the political and legal boundaries of the Mongol empire. Incidents of thievery broke out and then quickly increased amidst daily crises such as war, disasters, taxation, and military conscription. They existed in cities, including capitals, while boundaries, forests and seas provided advantageous places for bandits to hide and gather. In particular, pirates were a group that appeared in East Asian history when the Yuan dynasty expanded travel by sea from Jiangnan to the winter capital of Dadu (present Beijing). This had political effects. Thieves were subject to prohibition and punishment. The punishment against thieves and robbers was mitigated and subdivided from capital punishment to retaliation punishment, and even into five punishments, from Chinggis Qan to Ayurbarwada Qa’an (r. 1311–20). Arrest of bandits was the responsibility of local officials and archers. Officials and people in charge of arresting thieves and bandits were called qulaɤančis in Mongolian. In the interrogations and trials of bandits, a joint hearing and trial was undertaken following a Mongolian legal tradition called ǰarqu. However, it was not easy to arrest and remove bandits. Officials were often wary of arresting thieves thanks to officials’ vacancy, old and ill incumbents, fear, the geographic and topographic conditions of mountains and waters, and the neglect of duties. Some officials made peace with the bandits, released them and colluded with them. Local populations often married or colluded with coastal people and seamen, making it difficult for the government to distinguish pirates. Some government officials and local people shifted their embezzlement, laziness and infliction of injury to thieves or bandits in order to conceal or relieve their own crimes. Above all, the amnesty of the great Qan helped to spark the generation of banditry. In a way, bandits were rivals in the struggle with the great Qan to protect the poor and refugees for reasons of charity and virtue. From another angle, the lax punishment and administration, which exemplify the empire’s limitations, constituted part of the foundation of the “Pax Mongolica,” or Mongol Peace. In short, thieves were symptomatic of the limitations of Mongol power, as both a product and a reflection of the Mongols and the economic system they created. Bandits created administrative burdens on the empire, but they clearly enjoyed and supported their activities, as they traveled continually back and forth between illegal and legal domains. The real weapons of survival to thieves were their agility, flexibility in collusion with government and religions, the art of stealing, and knowledge and technology of seas and ships.

      • KCI등재

        대몽골제국의 국교 Möngke Tenggeri에 대하여 - 샤마니즘의 세계종교화-

        박원길 한국몽골학회 2011 몽골학 Vol.0 No.30

        The Mongol empire is the only empire that had no problem in religion throughout world history. Most of the scholars point up the characteristic of Northern Shamanism that is the foundational thought of the Mongol empire, among others, in illustrating the reason for such phenomenon. The Mongol empire, which can be seen as logically systematizing and collecting shamanistic episteme of historical nomadic nations, was at the apex of all the nomadic states in terms of politics, military affairs, and religion. The state religion of the Mongol empire is Möngke-Tenggeri. The emergence of the notion of Möngke Tenggeri, which is the religious gist of the Mongol empire, is deeply associated with the power seizure of Chinggis Khan. Moreover, the logic of it is of the elaborate structure that combines the classical notion of the heaven of the northern region with the sole representative seen in Christianity or Islam. Namely, the notion of Möngke Tenggeri can be regarded as the notion of absolute truth born out of the mixture of northern philosophy and the religious theory of monotheism. The notion of Möngke Tenggeri was constructed in such a flexible way that it could tolerate or absorb any other religious thought or philosophy believed in surrounding civilizational spheres. Needless to say, the starting point of such conceptualization was derived from the peculiar episteme based upon natural law (cf. the article 16 of Yeke Jasag), which ensures that all the things and creatures deserve respect. Owing to this conceptualization, “All the religions are to be respected without any discrimination. Each religion is same in the sense that it is to deify the Divinity.” which is Article 11 of Yeke Jasag or “All the religions are nothing but the fingers, and the final destination is the palm”, which is a statement by Möngke‐Khagan was induced. It was because of this notion that all the great Khans took the position that “the religion is related to the personal belief, not something with which the state is to concern” having tendency to tolerate to other religion and creed.

      • KCI등재

        쿠빌라이 시기 몽골의 南宋정복과 江南지배

        고명수(Koh Myung Soo) 동양사학회 2011 東洋史學硏究 Vol.116 No.-

        This study focused on the Mongol regime’s autonomous and active roles that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Southern Region during the period of the Mongol’s rule, and found their historical significance in establishing Pax Mongolica by investigating the methods for carrying out the war of conquest of the Southern Song by the Khubilai Khan’s government as well as its development policy for the Southern Region. For the government, there was a necessity to conquer the Southern Song - the economic giant, in order to secure required resources for carrying out wars against the kings of the nations in the northwestern region, while establishing the Khan’s authority, and operating enormous bureaucratic and military organization. In line with this, the Khubilai Khan’s government followed the traditional method of the Mongol army to carry out battles, and preserved the economic functions and activities of the Southern Regions by adopting a strategy to maintain existing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structures, while minimizing killings and destructions in the occupied areas by means of suggesting the general of the Southern Song to surrender and inducing other nation’s surrender setting the surrendered general at the head. After conquered the Southern Song, the government prohibited any exploitive and plundering behaviors that might be committed by provincial officials and armed forces against the farmers in the Southern Region, alleviated tax burdens and recovered agricultural productivity with a policy to cultivate vast barren land. In addition, the government established the transportation and distribution system between the Southern Region and the Northern China, applied the same monetary and commercial tax system as the ones in the Northern China to the Southern Region, regulated profiteering of brokers or middlemen, kept developing commodity economy in the region consistently by implementing policies to support and promote commercial activities of civilian merchants, and also unified the South-North commercial sphere into one. As a result, the Eurasia inland trade sphere and the maritime trade sphere between South-East and Indian Ocean were connected, thus a foundation for international trade was established. A great volume of commodities produced in various places at home and abroad could be distributed to every corner of the world through widespread transport network of land and water. Therefore, the conquest of the Southern Song by the Khubilai Khan’s government and the development policy for the Southern Region have important significance in view of the fact that these historical events were the important factors not only in development of the Southern Region and integration of South-North commercial sphere, but also in establishment of Pax Mongolica.

      • KCI등재

        근세 중국의 동서교섭사

        김성규 호남사학회 2008 역사학연구 Vol.33 No.-

        그 동안 한국 학계에서 중국왕조의 동방 관계는 ‘동아시아론’ 또는 ‘한중관계사’ 속에서 자주 설명되고 강조되어 왔다. 그러나 여기에 비해 중국의 서방과의 관계는 연구가 부족하고, 아직도 중국사 입장에서 전체를 정리하고 전망을 부여한 독자적인 연구는 거의 보이지 않는다. 다루어야 할 범위가 시간적으로나 공간적으로 방대하기 때문에 이 문제를 한 곳에 정리하는 것은 결코 쉬운 작업은 아니다. 소론도 이 문제를 전면적으로 다룬 것은 아니며, 여기서는 중요한 사건들을 중심으로 중국의 서방 관계의 대세를 개관해 봄으로써 각 시대의 특징을 살펴보고, 다시 그것들의 비교를 통해 전체적인 조감도를 의도해 보았다. 본론의 전개 방식도 따라서 각 사건을 미시적으로 소개하고 관찰하기보다는 기존의 선행 연구에 의지한 대세를 정리해보았고, 그와 관련되어 있을 수 있는 논점과 쟁점, 그리고 필자의 사견도 일부 밝혀보았다. 또한 본문은 주로 중국의 근세시기(10~18세기)를 중심으로 다루었다. 본문을 통해서는 송·원시대의 문화 전파가 주로 동양에서 서양으로 작용했고, 16세기 이후의 명·청대에는 서양 세력의 해상 진출로 예수회를 통해 중국이 그들의 종교와 과학을 본격적으로 접하기 시작했음을 확인했다. 하지만 동시에 이 무렵의 예수회는 중국의 문화를 서양에도 전달하는 문화 전파의 창구 역할을 하고 있었다. 쌍방의 교류가 점점 빈번해지는 속에서 서양인들은 동양의 자기, 가구, 칠기 같은 산물을 통해 ‘중국기호’(시노아즐리)를 갖고 있었다. 18세기 단계까지 거기에는 문화적 호기심과 동경, 내지는 발달한 동양문화에 대한 순수한 관심의 표현이 보다 크게 작용했다. 이 점에서 동서간의 문화관계가 송원시대의 ‘東高西底’ 양상에서 명·청시기에는 양방향적인 수평관계로 발전하고 있었다고도 볼 수 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동안의 역사인식과 역사서술은 서양을 중심에 놓는 입장이 강했기 때문에 동양의 서양에 대한 문화적 영향은 전문가들의 주장에도 불구하고 일반 대중의 인식에서는 아직도 주류를 형성하지 못하는 것 같다. ‘대항해시대’는 여전히 서양의 전유물로 이해되는 경향이 있고, 예수회의 역할도 동양에 대한 영향이 대부분이고 그들의 서양에 미친 영향은 교과서에서 크게 중시되지 않고 있다. 이것은 현재의 역사와 직결되는 근 200년 정도의 근현대사에서 서양이 동양을 압도해버린 결과에 따른 것처럼 생각된다. 즉 19세기 이후 서양세력의 진출로 중국이 분할되면서 중국에 대한 서양의 우월감은 소위 오리엔탈리즘의 형성으로 이어졌다. 서양의 군사적 우위는 그들의 문화에 대한 우월감으로 나타났고, 과거와 같은 동양의 문화를 찬미하는 소리는 훨씬 작아진 것이다. In Korea, the studies for Chinese history of foreign relation with the East Asia have been mainly done in context of history of Sino-Korea relation, and now we have not a few results for this field. In contrast to this, academic accumulations and interests for Chinese history of foreign relation with the West are not as much as with the East. It was probably so because the scope for history of Sino-West, including Central and West Asia as well as Europe, to cover is very huge and complicated especially for the people like Korean living far away from the places above. This essay's description is not to cover all the things related to Sino-West issue, but to rethink the main stream of it so that we can see what is the characteristic of the each period of the word history and also catch the big image of intercourse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Accordingly, this paper, focused on the early modern period, took a form of getting together and arranging previous studies, added my own explanation, rather than analyzing new issues. One of things confirmed from this survey is that as a whole, during the period of Song and Mongol empires, the flows of cultural influence was working from East to West, which could be representative by so-called Chinese four great inventions such as compass, gunpowder, papermaking, and printing. In the next stage of Ming and Qing dynasties(especially during 16~18 centuries), however, there was always at least some influence flowing in both directions so that the movement was never entirely one-way. In this case, the heroes who took a role as cultural messengers to both directions from another was the Jesuit missionaries. Until not too long ago, while the roles of Jesuit missionaries have been emphasized mainly in the light of West which missionaries carried many significant cultures to the East, their roles of carrying Eastern cultures to West was not considered as much as it really was. Actually, the upper classes of the time in West Europe was all the fashion with so-call 'Chinoiserie' originated from China. After 19 century, the history saw a stronger flow of influence from Europe to China than from China to Europe, and this conditions made European at last have a sense of superiority, which we often call as 'Orientalism'. However, more recent Sinological scholarship has disproved this view and shown that there were dynamic forces in China during years 19~20 centurie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