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許生傳>의 英譯本을 통해 본 한국고소설 英譯의 문제 : through the English versions of <The Story of Master Ho˘>

        오윤선 한국고소설학회 2004 古小說 硏究 Vol.17 No.-

        100년이 넘은 한국고소설 영역의 역사는 3기로 나뉘어질 수 있다. 1기에는 주로 선교사들을 중심으로 한 해외출판이 이루어졌고, 2기에는 한국인들에 의한 국내출판이 주를 이루었다. 3기는 외국의 한국문학자들에 의한 외국출판이 대부분이다. 최근 한국문학의 영역작품수는 늘고 있지만, 주로 현대문학작품들이며 고소설의 경우에는 현재 침체기에 있다. 논자는 한국고소설 영역본들을 원전과 비교하는 작업을 통해, 우리 고소설 영역작업에 관심을 가지는 계기를 마련하고, 앞으로의 영역작업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먼저 하나의 예로 박지원의 <허생전>을 살펴보았다. <허생전>은 독서물로서나 학문적 연구의 대상으로서 영어문화권에서도 주목받고 있는 작품인데, 영역본으로는 문희경, Peter Lee, David McCann이 영역한 세 가지가 있다. 먼저 여러 가지 오역들이 눈에 띤다. <허생전>은 한문소설로 한자의 정확한 해석이 필요하지만, 영역자들의 漢文 誤護이 英文 誤譯으로 이어지는 부분들이 있었다. 또, 한국 고유문화에 대한 이해부족과 문맥을 잘못 이해한데서 온 오역들도 보였다. 그리고, 우리 고유의 용어를 옮기는 것도 어려운 일인데, 이는 사학자, 철학자 등과의 협의를 통해 통일을 해나가야 할 것으로,'the civil service examination[kwagoˇ]'와 같은 표기법으로 통일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함께 작품, 출판사, 역자의 선정문제 등과 같은 영역의 실제문제에 대해서도 고민해 보았다. 한국문학의 세계화를 위해 한국고소설 영역작업은 활발하게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re is a history of more than one hundred years of the translation of classical Korean novels into English versions. We can divide this history into three periods. In the 1st period (1889-1950), some translations were made by missionaries published outside of Korea. In the 2nd period (1950-1979), Koreans translated novels and published them in Korea. In the 3rd period (1980-present), foreigners who study Korean literature have published outside of Korea. Even though the English versions are increasing, most of them are about modern Korean novels. In this paper,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English versions with the original texts, I promote peoples' interest in the English versions of classical Korean novels and help develop the future work of translating. First of all, as an example I have studied "The Story of Master Hoˇ" written by Pak, Chi-won(1737-1806). It is a classical Korean novel written in Chinese. "The Story of Master Hoˇ" has three different English versions. Moon, Lee and McCann are the translators of these three different versions. Even though there are numerous translations, those versions have several common problems. "The Story of Master Hoˇ" is a classical Korean novel that was originally written in Chinese. Therefore, we must translate each Chinese word into English. There definitely needs to be a great deal more care and attention when trying to translate. And, translators have to translate proper nouns,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vocabularies carefully, because those are imbued with profound meaning. In order to do this correctly they would need to consult with experts in History or Philosophy to correctly explain the terms. And also, I have researched the practical problems like choosing the text, the translator, and the publishing company. The translating work should move forward enthusiastically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literature.

      • KCI등재

        일제 강점기 고소설의 ‘고전’ 형성 맥락

        이지영 한국고소설학회 2014 古小說 硏究 Vol.38 No.-

        This study starts from the doubt on the value of the korean traditional novel. So I examined how its value had been formated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In the 1910s, korean traditional novel changed to the modern culture products as serial stories in newspapers and printed books. Although Choinasun, the editer of Sinmungwan publishing printed korean traditional novels for the didactic purpose, the printed korean classical novels was regarded as vulgar popular fictions. But in the 1920s, the popular traditional fiction was re-evaluated as the national literature and interpreted as people's literature. The viewpoint on the traditional novel was changed, and the academic study of Kimtaejun and Choyunje in late 1920s and 1930s did a important role in re-evaluating traditional novel. The academic studies produced the press's attention on the traditional literature. But the press's special feature aricle on the traditional novel originate in the sense of crisis that the flood of imported Japanese books would overwhelm korean books and culture. Since the literary magazine, Munjan(Writing), serialized Korean traditional novels with annotation, the traditional novels was accepted as the classical literature which is deciphered and studied. The value of traditional novel as the classical national literature had an effect on the textbooks written after independence of Korea. 이 글은 고소설의 가치를 재조명하기 위해서 일제 강점기 고소설이 고전으로 인정되는 과정을 검토하였다. 1910년대 고소설은 신문에 연재되고 활자본으로 간행되면서 근대적인 문화상품으로 유통되었다. 최남선은 고소설의 활자본 간행을 통해서 소설의 교훈적이고 계몽적 가치를 부각시키고자 하였지만, 이 시기 고소설의 활자본 간행은 고소설이 통속물로 자리잡는 계기가 되었다. 1920년대에 고소설은 민족주의와 결부되면서 ‘국민문학’으로 재평가되는 한편, 통속성이 민중성으로 재해석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고소설에 대한 긍정적 시각의 단초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김태준과 조윤제의 고소설 연구는 고소설이 ‘고전’과 ‘전통’으로 재인식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1930년대 중반 언론의 고전관련 기획기사에서 고소설이 ‘고전’으로 조명된 데는 이들의 연구가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이 시기 고소설에 대한 관심은 일본어 서적이 증가하는 당대 문화적 상황에 대한 위기의식의 일단이기도 하다. 이후 『문장』지는 고소설의 주해본과 새로 발굴한 이본을 수록함으로써 ‘고전문헌’으로서 고소설의 의미를 강화하였다. 이러한 고소설의 가치와 의미는 해방 이후 교과서를 통해서 확산되고 고정되었다.

      • KCI등재

        한국 고소설 영역(英譯)의 현황과 과제

        이창희 한국고소설학회 2022 古小說 硏究 Vol.53 No.-

        This paper examines the present status and subsequent problems of English versions of Korean Classical Novels published in ranging from 1889 to 2022 by literary work, author, translator, and year. Its objective is also to explore several problems at the linguistic and translational level for the development of English translations of Korean Classical Novels. The first English version of Korean literature is Korean Tales, which was translated by Allen in 1889. The history of English translations of Korean literature has already passed well over 100 years, so its tradition has been ol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translations of Korean Classical Novels has been continuously conducted by institutions or several scholars. Over the past 10 years, however, the performance of English versions of Korean Classical Novels has developed dramatically, compared to the previous one. It can be thought that it is time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English translations of Korean Classical Novels. Based on this, this paper also explores several problems associated English translations of Korean Classical Novels. A translation method, foreignization, is suggested at a linguistic dimension, and re-translation and translation of different editions of same literary work are presented at the translation level. 이 글은 1889년부터 현재까지 출간된 고소설 번역서를 대상으로 그 현황을 작품별·작가별·번역가별·연도별 등으로 세분화하여 살펴본 것이다. 또한 한국 고소설 영역의 발전을 위해 언어학적 그리고 번역학적 차원에서의 과제를 모색하고 제언한 것이다. 우리 문학이 최초로 영어로 번역된 것은 알렌의 한국민담집 Korean Tales 이다. 알렌의 번역서 이후, 한국 문학 영역의 역사는 이미 100년이 훌쩍 넘는 시간이 흘러버린 만큼 그 전통은 오래되었다. 한국 고소설 영역 현황에 대한 분석은 영역의 역사만큼이나 기관 혹은 일부 개별 연구자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수행되어 왔다. 하지만 지난 10년간 고소설 영역의 성과는 기존과 비교해서 획기적으로 발전한 바, 고소설 영역 현황을 분석하고 앞으로의 방향을 모색할 주요한 시점이라 할 수 있다. 이에 이 글은 현재까지 산출된 고소설 번역 텍스트를 대상으로 ⓵ 작품별, ⓶ 번역가별, ⓷ 작가별, ⓸ 연도별로 현황을 분석 하였다. 또한 통계 현황을 기반으로 한국 고소설이 해외에 적극적으로 소개되는 것은 물론 안정적인 발전 단계로 나아가기 위해 당면과제를 모색하였다. 언어학적 차원으로서는 이국화(Foreinization) 전략을 통한 번역 방식을 제언하였으며 번역학적 차원에서는 첫째, 재번역의 문제와 둘째, 동일 작품에 대한 이본 번역의 다양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 KCI등재

        근대 초기 고소설의 轉變 양상과 談論化

        권순긍 한국고소설학회 2013 古小說 硏究 Vol.36 No.-

        Early classical novels of the modern period, while experiencing self-reformation as they moved into the modern era, began to show some transformations. It was a kind of existence style in its reaction to social changes encountered. Typed classical novels of 1910s could be considered as transformations into public publications in the forms of newspapers and single prints. Those typed novels, in about 100-pages-long novels typed in 4 size plus colorful covers, appeared to receive much welcome from the people. It was not only because they showed some features of the public media of those days, but because their content well fitted the taste of public narrations. Including stories of 'a witful man and beautiful woman', 'wealth and fame', 'an erotic man and woman', and 'a loyal servant and a virtuous wife', those conventional stories were greatly appreciated by almost any readers who wanted to enjoy proxy satisfaction. As Imwha pointed out, new novels were merely 'the works of expressing new spirits in the frame of classical novels'. Although they had new surroundings and groups of people, they only represented the old structures of classical novels by projecting the contrast between the good and the evil, and rarely changed the ideas of 'rewarding good and punishing evil'. Among those, particularly domestic narrations were greatly transformed. Many narrations of that time were to naturally focus on 'family' because it was regarded as the center of conflicts arising from wrong ideas of the feudal system. They simply took the same structures of classical novels but replaced the main characters. Conventional fairy tales also went through transformations with major features of popular narrations and transcendency of classical novels. Bang Jeongwhan, at his early days of settling fairy tales, felt unhappy when they were treated as reading materials for adults. By defining the core of fairly tales as 'eternal childness', he also projected the touchstone of those tales. As a result, the transformations of classical novels into conventional narrations tended to focus on transcendental aspects of children's stories rather than realistic aspects of human life. The transformations of classical novels into popular films were based on popular narrations and dramatic elements that are found in classical novels. It was relatively easy to transform classical novel because they usually put more stress on actions rather than keen descriptions of human psychology. In the early film history of those works <Chunhyang Jeon>, <Jangwha Hongryen Jeon>, <Honggildong Jeon>, <Shimcheong Jeon>, and <Heungbu Jeon>, one could easily find similar narrative structures. That is to say, the main characters reached ultimate successes after great sufferings which might include disastrous love or persecutions from step parents and the like. Because of dramatic shifts occurring in those stories, it was relatively easy to directly transform them into films. The lack of creative scenarios brought about the prevalence of classical novels which had good popular narrations, among which <Chunghyang Jeon> was produced as many as 23 times. 근대 초기 고소설은 근대라는 낯설고 충격적인 타자와 조우하면서 자기갱신도 있었지만 전혀 다른 새로운 형태로의 전이와 전변이 일어났다. 이는 근대의 충격에 대응한 고소설 자체의 생존방식인 셈이다. 1910년대부터 등장한 활자본 고소설은 신문과 단행본 등 활자매체를 통한 대중출판물로의 轉移라고 할 수 있다. ‘울긋불긋한 표지에 4호 활자로 인쇄한 백면 내외의 소설’인 활자본 고소설들은 당시 대중독서매체로서의 특성을 지니고 있을뿐더러 그 내용 또한 대중서사로 적합하기에 당시 사람들에게 전폭적으로 수용된 것으로 보인다. 즉 ‘才子佳人의 이야기’, ‘富貴功名의 이야기’, ‘好色男女의 이야기’, ‘忠臣烈女의 이야기’ 등 사랑과 출세에 관한 통속적인 이야기로 이는 독자들이 자신을 주인공과 동질화시킴으로써 대리만족하는 것이다. 신소설은 임화의 지적처럼 “낡은 소설양식에 새로운 정신을 담은 작품”에 불과하며 “새로운 배경과 새로운 인물군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천편일률로 선인, 악인의 유형을 대치하는 구소설의 구조를 거의 그대로 습답하고 권선징악이란 구소설의 운용법을 별로 개조하지 않고 사용한” 소설인 것이다. 고소설 중에서도 특히 가정서사를 많이 변개하여 활용했다. 당시 청산해야할 봉건적 문제들을 실제적으로 느낄 수 있는 지점이 가정이기에 서사는 가정과 가족관계에 집중될 수밖에 없었다. 가정소설의 구조를 그대로 가져와 인물만 당시의 인물로 바꾸었다. 전래동화는 고소설이 지니고 있는 민담적 사유 혹은 초월적인 특성이 중심이 되어 전변이 이루어졌다. 동화정착의 초기에 방정환은 고소설의 이런 동화적 특성에 주목하여 성인 대중물로 읽히는 것을 아쉬워하면서 동화의 생명을 ‘영원한 아동성’으로 규정함으로써 전래동화 재화의 시금석을 제시한 바 있다. 그러기에 그 뒤 고소설의 전래동화로의 전변은 현실적인 측면보다는 아동성에 기인한 초월적인 측면이 중심이 되어 이루어졌고 그 과정에서 다양한 지향을 보이게 된다. 고소설의 대중영화로의 전변은 고소설이 지니고 있는 대중서사와 극적 요소에 기인한다. 고소설은 세부 심리묘사보다는 행동 위주의 사건을 중시하기에 영화로의 전변이 수월했다. 초기 영화사에서 <춘향전>, <장화홍련전>, <홍길동전>, <심청전>, <흥부전> 등의 작품들은 신분이 다른 남녀의 험난한 사랑이나 서자 혹은 계모의 박해나 가난 등 여러 결핍을 지닌 주인공이 고난을 극복하고 결국에는 성공하는 서사를 갖추고 있다. 그만큼 굴곡이 많고 극적 요소를 많이 지녔다고 할 수 있겠는데 바로 이 때문에 직접 영화로 전변될 수 있었다. 당시 창작 시나리오가 부족했기에 초기 영화의 대부분을 대중서사를 잘 갖춘 고소설이 장악했으며 그 중심에는 무려 23편의 영화로 만들어진 <춘향전>이 있다.

      • KCI등재

        한글 고소설자료 DB화의 현황과 과제

        안영훈,차충환,김동건 한국고소설학회 2016 古小說 硏究 Vol.42 No.-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resent condition and task on database[DB] of Hangeul materials of classical novel. Today, normal DB on Hangeul classical novel not exist. But in the future, to make normal DB, we have to examine existing system. And we have to examine that it was compose of certain structure and system. To achieve this purpose, we examined to four institution systems. They are Jangseogak Royal Archives, KRpia, Digital Hangeul Museum,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we showed pictures on each feature. The next, we examined study on Pansori DB. Meanwhile, the materials of the Pansori text was made to electronic documentary widely. And a annotation books and Pansori dictionary, Pansori CD was made based on the materials. Besides various structure and system was designed for future Pansori DB. We showed them into many pictures. Last, we presented task for database of Hangeul materials of classical novel. To make DB on Hangeul classical novel, it is need many basic conditions such as collected data, good researcher, mony. To satisfy this many basic conditions, the union between National Hangeul Museum and the Society of the Korean Classical Novel is very important. 본고에서는 한글 고소설자료 데이터베이스(DB)화의 현황과 과제를 개략적으로 살펴보았다. 현재 고소설의 경우 본격적인 의미의 DB는 없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제대로 된 DB를 만들기 위해서는 비록 기초적인 단계의 시스템일지라도, 그 시스템이 어떤 구조와 체계로 이루어져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왕실도서관장서각디지털 아카이브’, ‘한국의 지식콘텐츠’, ‘디지털한글박물관’, ‘국립중앙도서관’ 등 네 기관의 고소설자료 정보 제공 시스템을 살펴보고 각각의 특징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판소리작품 DB화와 관련된 두 사례를 살펴보았다. DB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광대한 자료 파일이 필요한데, 판소리작품의 경우 비교적 많은 양의 전산 자료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그것을 이용해서 교주본, 판소리사전, 판소리DB 설계, 판소리CD 등의 성과물을 제출한 바 있고, 향후 판소리 DB를 구축하기 위해 요구되는 구조와 체계에 대해서도 다각도로 모색되었는데, 그 주요 성과를 제시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마지막으로 고소설자료 DB화의 과제를 간략히 제시해 보았다. 고소설은 질량의 면에서 큰 부피를 지닌 것이기 때문에, 자료 확보, 연구인력, 재정 등의 측면에서 만만치 않은 기반이 필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의미 있는 DB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한글박물관과 같은 국가기관과 연구 인력의 집결체인 한국고소설학회 간의 협업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본다.

      • KCI등재

        2000년 이후 출간 한국고소설 영역본의 양상- The Novels of Park Jiwon과 Unyǒng-jǒn 을 중심으로

        오윤선 한국고소설학회 2014 古小說 硏究 Vol.38 No.-

        In this treatise, I examine The Novels of Park Jiwon, translated by Emanuel Pastreich, and Unyǒng-jǒn, translated by Michael J. Pettid; both these works have been published since the year 2000. I closely examine choices of original text, translation, footnotes, and translator introductions. The translations themselves were excellent, as the original texts were carefully annotated and translated in full. They are worthy academic materials that reflect contemporary research in Korea. The English glossary of Korean studies is being updated constantly, and English language source books of Korean studies are being developed since the year 2000. However, the serious problem is that the competent translators have been decreased. Therefore, translators need continuous support at the national rather than individual level. Native English speaking scholars must be encouraged to collaborate with Korean scholars on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al novels. These steps will serve as a foundation to promote the English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al novels. 본고에서는 2000년 이후에 출간된 한국고소설 영역본인 엠마누엘 페스트라이쉬(Emanuel Pastreich)의 연암작품 영역본, The Novels of Park Jiwon과 마이클 페티드(Michael J. Pettid)의 <운영전> 영역본, Unyǒng-jǒn을 살펴보았다. 원전의 선택, 작품의 번역, 주석, 서문 등 여러 면에서 꼼꼼하게 살펴본 결과, 다행히도 원전에 충실하며, 주석 작업에도 공을 들인 좋은 번역이었다. 본 번역본들은 한국의 연구성과도 반영하고 있어, 영어권에서 쓰일 학술연구 자료로서도 적절했다. 2000년 이전의 한국고소설 영역본들과 비교해보면, 2000년 이후에는 한국내 연구 성과의 축적, 영문 한국학자료의 개발, 용어의 통일을 위한 용례사전의 보완 등 영역에 도움이 되는 작업들이 이루어지면서 번역환경은 더 좋아졌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문제는 이러한 한국고전을 번역할 수 있는 역자가 많지 않다는 것이다. 따라서 국가차원의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며, 영어원어민 학자와 한국학자와의 공동번역 등을 대안으로 삼아야겠다.

      • KCI등재

        20세기 초 고소설 동화화와 그 의미

        조혜란 한국고소설학회 2014 古小說 硏究 Vol.37 No.-

        The classic novel[古小說], a representative narrative genre of Chosun, has been said to be declined since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because at that time only monotonous remakes were made in succession. Ironically, the novel circulated to a wider circle of readers at that very time as it started to be printed. In the process, it also appeared in the magazines and was combined into children's literature. This shows one aspect of how the Chosun dynasty's literal genre engaged with modernity. Considering the cultural context above, this paper examines the way of transformation of novels into children's literature and the meaning of this transformation. By doing this, novels' role in the early modern period can be explained. This paper not only studies magazines issued by the newspaper company, but also the fairy tale collections published in the 1920s. The most noticeable transformation of novels is that of the Heungbu-jeon. Hypothetically, the transformed version of Heungbu-Jeon might emphasize the bond of brothers as the children's literature tends to be didactic. However, it has been revealed that the children version of Heungbu-Jeon does not intend to emphasize the bond of brothers. Rather, its conventional ending emphasizing the brotherhood can be found in various versions of the original novel. This paper also has found that the early 20th century's novels have gained a new reader class, the children, as transformed into juvenile literature. As a result, people could have common reading experiences of classical novels in their childhood at that time and the classic novel became common knowledge and culture of the nation. 조선시대의 대표적 서사 장르인 고소설은 20세기 초반, 더 이상 새로운 작품 창작이 이어지지 않으면서 그 장르적 생명도 함께 쇠퇴해 갔다. 그러나 20세기 초 고소설은 새롭게 활자본으로 출판되면서 신소설, 신작 구소설들과 함께 독자들의 지평을 넓혀 갔다. 그 한 방향이 고소설의 동화화이다. 이 무렵 고소설은 잡지라는 새로운 매체 및 동화라는 새로운 장르와 결합하면서 동화화되는 양상이 나타났다. 조선시대의 서사 양식인 고소설은 이 같은 방식으로 근대의 시작과 맞물렸다. 본고는 근대 초기 아동 독서물로 출판되는 고소설을 대상으로, 고소설의 동화화 방식과 그 의미를 살펴 고소설의 동화화가 고소설이 근대를 관통하는 데 어떤 방식으로 기여하는지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신문관 발행 잡지인 <소년>, <붉은 저고리>, <아이들보이>, <새별>, <청춘>과 1920년대에 출판된 대표적 동화집인 <조선동화집>, <조선동화대집>, <조선전래동화집> 소재 동화 중 그 원천이 고소설에서 유래한 작품들을 검토하여 20세기 초 고소설의 동화화 양상과 그 의미에 대해 고찰하였다. 20세기 초 고소설 동화화 양상을 검토한 결과, 당대의 고소설 동화화 작업은 그 이전까지는 고소설 독자로 상정되지 않았던 어린이들을 새롭게 독자로 얻게 되었다. 당시 ‘어린이’와 아동문학은 소파 방정환에 의해 그 가치가 새롭게 강조되던 대상들이었으며, 고소설의 동화화는 어린이를 위한 새로운 읽을거리를 마련해야 했던 당대의 흐름과도 유관하다. 20세기 초 고소설의 동화화는 고소설이 어렸을 때의 독서 경험이 되고 또 이것이 교육 현장과 긴밀하게 연관되면서 고소설 줄거리가 어린 시절부터 공유하는 일종의 서사 지식 내지 국민적 교양으로 자리 잡는 효과를 낳았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

      • KCI등재

        고소설 필사의 전통과 영남 선비집안 여성의 문학생활-합천군 조두리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재웅 ( Kim Jae-woong ) 한국고소설학회 2017 古小說 硏究 Vol.44 No.-

        이 글은 합천 선비집안 여성 조두리의 생애와 고소설 필사의 전통을 분석하여 향촌사회의 문학생활을 살펴본 것이다. 합천군 중촌에서 출생한 조두리(1919~2012)는 다양한 작품을 필사하고 향유한 선비집안 여성이다. 부친에게 한글을 배운 조두리는 묘산면 관기리의 신기순과 결혼하면서 고소설 필사의 전통을 지속한 것으로 보인다. 조두리는 일제강점기부터 해방과 한국전쟁을 거쳐 산업화와 근대화가 진행되던 격동기에 <이대봉전>(15세), <강릉추월전>(17세), <박씨전>(37세), <황월선전>(38세) 등의 작품을 필사했다. 이 때문에 합천 선비집안 여성 조두리의 고소설 개작의식과 작품세계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첫째, 조두리는 가족의 이합과 여성의 수난이 풍부한 작품을 선호하고 있다. <강릉추월전>에는 이별한 가족의 극적 상봉과 여성 수난이 다양하게 등장한다. 그 중에서도 이춘백 가족의 이합과 조부인의 수난은 서사가 진행될수록 강화되어 있다. <이대봉전>과 <박씨전>에는 여성영웅의 수난이 거듭 발생하고 있다. <황월선전>에는 계모가 전처의 딸을 박대하는 여성 수난이 등장한다. 이러한 가족의 이합과 여성의 수난은 일본을 다녀온 조두리의 시집살이와 유사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향유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조두리는 혼사장애 갈등과 기자치성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강릉추월전>에는 천정연분에 의한 다양한 결혼이 등장한다. <이대봉전>에는 기자치성으로 출생한 주인공이 간신의 모함으로 이별하는 혼사장애 갈등과 훌륭한 사위를 얻기 위한 소씨부인의 활약이 결합되어 있다. <황월선전>에도 기자치성을 통해서 출생한 주인공이 혼사장애 갈등을 겪게 된다. 조두리는 <이대봉전>과 <황월선전>의 기자치성과 혼사장애 갈등에 공감했을 것이다. 왜냐하면 조두리의 부모가 아들을 낳기 위해 기자치성을 올렸던 모습과 일맥상통하기 때문이다. 셋째, 조두리는 군담의 축소와 여성의 활약을 강조하고 있다. <강릉추월전>, <이대봉전>에는 군담이 등장하지만 <황월선전>, <박씨전>에는 군담이 등장하지 않는다. 군담이 첨가된 작품에서도 남성보다 여성의 활약이 풍부한 실정이다. 합천 선비집안 여성 조두리는 전쟁을 다룬 군담보다 여성영웅의 활약에 공감했기 때문이다. 넷째, 조두리가 필사한 <강릉추월전>, <황월선전>, <이대봉전>, <박씨전> 등에는 편지글이 첨가되어 있다. 작품에 등장하는 편지글은 남성보다 여성적 글쓰기를 보여준 대표적인 사례이다. <강릉추월전>에는 조선국으로 시집온 조부인과 중국에 살고 있는 친정 부모 사이에 안부를 묻는 편지글이 등장한다. <황월선전>에는 가족의 안부를 묻는 편지글이 등장한다면 <박씨전>에는 실제로 다양한 편지글이 첨부되어 있다. 이러한 편지글은 조두리의 기구한 삶을 담아내고 있어서 여성 향유층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했을 것이다. 이렇게 합천 선비집안 여성 조두리는 격동기에도 지역문화를 반영한 고소설을 필사하고 향유하면서 문학생활을 지속했던 마지막 세대로 주목된다. This study is about examination of a literary life of a rural community society by analysis of classical novels transcribed by Joduri and her life. Joduri (1919-2012) was born to a scholar family in Habcheon. She transcribed various novels by hand. From the time when the Japanese ruled Korea to Korean War to the tumultuous years of industrialization and modernization, she transcribed Yidaebongjeon at the age of 15, Gangreungchuweoljeon at the age of 17, Bakssijeon at the age of 37, and Hwangweolseonjeon at the age of 38. First, Joduri preferred novels which are full of women sufferings and family reunion and parting. There are various stories about dramatic family reunions and women sufferings in Gangreungchuweoljeon. Female hero ordeals appear in Yidaebongjeon and Bakssijeon over and over again. There is a story about a stepdaughter who is treated miserably by her stepmother in Hwangweolseonjeon. Second, Joduri was interested in marriage obstacles and devout prayers. There are various stories about marriage made in heaven in Gangreungchuweoljeon. Yidaebongjeon and Hwangweolseonjeon are full of stories about marriage obstacles and conflicts. Especially, Since Joduri’s parents offered devout prayers to get a son, she would have sympathized with devout prayers of Yidaebongjeon and Hwangweolseonjeon. Third, Joduri reduced martial stories whereas she emphasized the stories about active roles of women. Though martial stories appear in Yidaebongjeon, there are no martial stories in Gangreungchuweoljeon, Hwangweolseonjeon and Bakssijeon. Even in novels with martial stories, Roles of women are much more active than men. That’s because Joduri sympathized with roles of female heroes more than martial stories. Forth, personal letters are added to Gangreungchuweoljeon, Hwangweolseonjeon, Yidaebongjeon and Bakssijeon transcribed by Joduri. The letters are typical examples to show feminine writing. As these letters are reflecting a eventful life of a woman, they would have been enough to draw attention of female readers.

      • KCI등재

        <북송연의>와 한국 고전소설 군담의 비교 연구

        서정현 한국고소설학회 2022 古小說 硏究 Vol.53 No.-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litary narratives of Chinese novel <Bei Song Zhi zhuan(北宋志傳)> and its Korean translation <Buksongyeonui(北宋演義)> was to check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ilitary narratives of the Korean classic novels through a detailed comparative review. In Chapter 2, we review the records related to the int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Bei Song Zhi zhuan> and <Buksongyeonui>, suggesting the possibility that this novels may have been widely known among the literate of Joseon. In addition, it reconfirmed the influence it had on the creation of <Sohyeonseongnok(蘇賢聖錄)>, which had already been raised in previous studies. In Chapter 3, we compares and examines the specific contents of the military narratives in <Buksongyeonui> and the Korean classic novel. As a result, <Buksongyeonui> had a great influence on Korean novels in the point of embodying the division of "Hwai(華夷)" and confrontation with foreign enemies based on hostility to foreign enemies and a sense of national protection, and the type and development of military confrontation centered on Dosuljeon(道術戰; the magic-battle). It was inferred that And by comparing it with Seonghyungongsookryeolgi(聖賢公淑烈記)>·<Imssisamdaerok(林氏三代錄)> novel series, a new clue could be obtained regarding the problem of the formation of female heroes in classical novels. Nevertheless,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acceptance of <Buksongyeonui> in the military narratives of the classic Korean novel was not just a simple borrowing. In the antagonistic composition of the main character and the antagonist, both of them presupposed the distinction of "Hwai", but there was a difference due to the issue of exclusivity. In the development of military confrontation, the method of military confrontation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level of the protagonist's ability. In the figure of a female hero, <Buksongyeonui> was more radical, whereas the Korean classic novel captured the individual figure of a character and the life of a woman more delicately. It was estimated that the basis of these distinguishing points was the difference in the historical context that accepted the theory of "Hwai", the difference in the narrative function and usage method of the military story in the play, and the problem of concern about women's self-consciousness. Until recently, several works such as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三國志演義)> and <Legends of Xue Rengui(薛仁貴傳)> have been limitedly mentioned as Chinese epic literature that influenced the formation of military discourse in Korean classic novels. Now,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research category and work together to deal with various Chinese narrative literature including <Buksongyeonui>. It should also be kept in mind that this influence relationship was not achieved through one-sided acceptance of Chinese novels, but rather through the independent transformation and development of Korean classic novels. 본 연구에서는 중국소설 <북송지전>과 그 국문 번역본 <북송연의>의 군담이 한국 고전소설의 군담과 지니는 상관관계를, 구체적인 비교 검토를 통해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2장에서는 <북송지전>·<북송연의>의 국내 유입과 유통 관련 기록을 재검토하여 당대 조선의 식자층 사이에서 이 작품이 널리 알려졌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더불어 선행 연구에서 제기되었던 <소현성록> 창작과의 연관성을 재확인하고 보충하였다. 3장에서는 <북송연의>와 한국 고전소설 군담의 구체적인 내용을 비교 검토하였다. 그 결과 외적에 대한 적개심과 호국의식에 바탕하는 화이구분 및 이민족 적대자와의 대결을 형상화하는 점, 그리고 군사적 대결의 유형과 전개 방식 중 도술전을 중심으로 한 제반 요소들에서 <북송연의>가 한국소설에 큰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장편소설 <성현공숙렬기>·<임씨삼대록> 연작과의 비교를 통해 고전소설 속 여성영웅의 형성 문제에 관한 새로운 실마리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면서도 한국 고전소설 군담의 <북송연의> 수용이 단순한 차용에 그친 것은 아니라는 점 또한 확인하였다. 주인공-적대자의 대립 구도에서는 둘 모두 화이의 구분을 전제하면서도, 이민족에 대한 태도의 배타성에서 편차가 있었다. 군사적 대결의 전개 방식에서는 주인공의 능력 수준에 따라서 대결의 서술 양상이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여성영웅의 형상에서는 <북송연의>가 좀 더 파격적인 반면, 한국 고전소설은 인물의 개별 형상과 여성의 삶을 보다 섬세하게 포착하고 있었다. 이러한 변별점의 바탕에는 화이론을 수용하는 역사적 맥락의 차이, 작중 내 군담의 서사적 기능과 활용 방식의 차이, 여성의 자의식에 대한 관심사의 문제 등이 자리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최근까지도 한국 고전소설의 군담 형성에 영향을 끼친 중국 서사문학으로 <삼국지연의>와 <설인귀전> 등의 몇몇 작품이 한정적으로 거론되어 왔다. 이제는 연구 범주를 확장하여 <북송연의>를 포함한 여러 중국서사문학을 함께 다루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면서도 이 영향관계가 일방적인 중국소설의 수용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한국 고전소설의 독자적인 변용과 발전 속에서 이루어졌음을 유념해야 한다.

      • KCI등재

        고소설과 텔레비전드라마의 비교

        정병설 한국고소설학회 2004 古小說 硏究 Vol.18 No.-

        고소설과 텔레비전드라마는 시대도 다르고 매체도 다르며 양식도 전혀 동떨어진 듯 보인다. 하지만 그 문화적 위상이나 서사적 특징에서는 놀라운 유사성을 보여준다. 선풍적인 인기를 끌면서도 지식층의 외면을 받았다는 점에서 통속문화, 대중문화로서의 공통점을 보여주며 그런 성격으로 인해 '유형성','중층적 서사전개','열린 구조','보편적 가치의 강조'라는 유사성을 보이고 있다. 사실 전혀 상관없어 보이는 매체와 양식들도 따지고 보면 닮은 구석이 적지 않다. 맥루한의 설정에 따르면 전자는 핫미디어고 후자는 쿨미디어지만, 그것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고소설과 텔레비전드라마는 그 정도로 극단의 대립적 위치에 놓여 있지는 않다. 더욱이 양식적으로는 일견 서사와 극으로 뚜렷이 구분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따지고 보면 두 장르는 '기록서사'와 '영상서사'로 구분할 수 있을 정도로 가깝다. 단적으로 말해, 고소설은 조선시대의 텔레비전드라마고 텔레비전드라마는 오늘날의 고소설이다. 이처럼 두 장르가 강한 동질성을 보이므로 고소설 연구자는 텔레비전드라마의 비평과 연구에 적임자가 될 수 있다. 조선시대 고소설이 당대의 학자들로부터 제대로 비평 받지 못한 전철을 되풀이 하지 않기 위해서라도 고소설 연구자들의 텔레비전드라마에 대한 학적인 관심이 요망된다. There are big differences between vernacular novels in Chosoˇn and contemporary soap opera. The times, the media, the genre. The times of that is premodern, and the times of this is modern. The media of that is printed matters(or manuscripts), the media of this is television. The genre of that is the narratives, the genre of this is the drama. In spite of the differences, there also are some similarlities between the two. The cultural status and the narrative style. The vernacular novels in 18,19th century Chosoˇn had a huge reader group, but the scholars of that times criticized those severely. Almost of the Korean watch the soap opera every night, but the press and the intelligence casually criticize the soap opera. The Popularity and the Criticism is the cultural status of the two. The narrative style of the two is very similar. The first is that the two have each stereotype(expressions, characters, structures, etc.). The second is complexity. The two generally have several main characters, not one. The characters make several accidents. The third is 'open structure'. There are not closed ends in the narratives of the two, generally. The vernacular novels are the father of the soap opera, The soap opera are the son of the vernacular novels. So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