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부가가치 지적계수(VAIC)가 비상장기업 원가행태 및 신용위험에 미치는 영향
김성규,정형록,최희선 한국세무학회 2021 세무와 회계저널 Vol.22 No.1
This study analyzed how the value-added intellectual coefficient and its components, human capital efficiency, structural capital efficiency, and capital employed efficiency, affect cost behavior and credit risk for unlisted companies. The empirical analysis was verified through a discrete-time logit model that divides the extended model and dependent variables of Anderson et al.(2013) model into healthy and insolvent firms. In addition, additional analysis was conducted by dividing the types of enterprises (unlisted large enterprises, audit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non-audit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and industrial groups (manufacturing, service, construction, distribution, etc.).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value-added intellectual coefficient was found to alleviate the downward rigidity of cost. In particular, structural capital efficiency and capital employed efficiency reinforced the downward rigidity of cost, but human capital efficiency was found to be a major factor in alleviating the downward rigidity.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value-added intellectual coefficient and the three factors have discriminating power for the credit risk of unlisted companies. However, it turns out that components other than capital employed efficiency increase credit risk.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contributions. First, it is the first study in Korea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lue-added intellectual coefficient and cost behavior. Second, by proving that the value-added intellectual coefficient has an explanatory power for credit risk, it presents new implications for credit evaluation and value analysis of unlisted companies. 본 연구는 비상장기업을 대상으로 부가가치 지적계수와 그 구성요소인 인적자본 효율성, 구조자본 효율성, 투하자본 효율성이 원가행태와 신용위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은 Anderson et al.(2013) 모형의 확장모형과 종속변수를 정상기업과 부실기업으로 구분한 이산시간로짓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또한 기업 유형(비상장 대기업, 외감중소기업, 비외감중소기업)과 산업군(제조업, 서비스업, 건설업, 유통업 등)을 나누어 추가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가가치 지적계수는 원가의 하방경직성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구조자본 효율성과 투하자본 효율성은 원가의 하방경직성을 강화하지만, 인적자본 효율성이 하방경직성을 완화시키는 주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가가치 지적계수와 세 구성요소는 비상장기업의 신용위험에 대한 변별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투하자본 효율성 외의 구성요소는 오히려 신용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공헌점이 있다. 첫째, 부가가치 지적계수와 원가행태와의 관계를 분석한 국내 최초의 연구이다. 둘째, 부가가치 지적계수가 신용위험에 대한 설명력을 갖고 있음을 증명하여 비상장기업의 신용평가 및 가치분석에 새로운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김성규,정형록,최희선 한국세무학회 2021 세무와 회계저널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whether there is asymmetry in cost behavior for unlisted companies and whether unlisted companies at risk of insolvent try to reduce costs preemptively. For this, a regression analysis of 119,751 observations was performed using the model of Anderson et al. (2003). In addition, it was analyzed by dividing into 3 company types(unlisted large companies, external audit SMEs, non-audit SMEs) and 3 cost items(cost of goods sold, sales and general, administrative expenses, total costs) and divided into 4 industries(manufacturing, service, construction, distribution, etc.). The results are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unlisted large companies and external audit SMEs showed sticky cost behavior in terms of cost of goods sold and non-audit SMEs showed sticky cost behavior in terms of sales and general, administrative expenses. Overall unlisted companies at risk of insolvent try to reduce costs preemptivel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y industry,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it was found that cost behavior is sticky and all cost items are being reduced in a situation of insolvent risk. On the other hand, the service and construction industry showed a anti-sticky cost behavior. This study analyzed in detail the cost behavior of unlisted companies by dividing them into company type, cost item, and industry, and provided an analysis of the cost behavior of non-listed companies at risk of insolvent by using actual insolvent information. 본 연구는 비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원가행태에 비대칭성이 있는지를 검증하고 신용위험(부실 위험)에 처한 비상장기업이 원가를 줄이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Anderson et al.(2003)의 모형으로 119,751개의 관측치를 회귀분석 하였다. 또한 3가지 기업 유형(비상장 대기업, 외감중소기업, 비외감중소기업)과 3가지 원가 항목(매출원가, 판매관리비, 총원가)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고 4가지 산업(제조업, 서비스업, 건설업, 유통업 등)으로 나누어 산업별로 차이가 나타나는지도 분석하였다.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상장 대기업, 외감중소기업은 매출원가 항목에서, 그리고 비외감중소기업은 판매관리비 항목에서 하방경직적 원가행태를 보였으며 대체로 신용위험(부실 위험)에 처하면 원가를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별 분석 결과 제조업은 원가행태가 하방경직적이며 신용위험(부실 위험)의 상황에서 모든 원가 항목을 줄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서비스업과 건설업은 오히려 하방탄력적 원가행태를 보였다. 본 연구는 비상장기업의 원가행태를 기업 유형, 원가 항목 그리고 산업으로 나누어 상세하게 분석하였으며, 실제 부실 정보를 활용하여 신용위험에 처한 비상장기업의 원가행태에 대한 분석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성을 지닌다.
김성규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25 법학논집 Vol.29 No.4
공동정범의 책임은 공범자가 공모에 기초해서 범죄의 결과를 일으켰을 때 인정되며, 공모는 각 공범자의 행위를 심리적으로 촉진하여 전체 범행에 관해 인과성을 가진다. 이탈은 이러한 공모의 인과성을 차단하는 것과 관련된다. <인과성차단설>은 공범자가 이탈을 통해 그 후의 범행에 대한 인과성을 차단하면 공범 관계가 해소되어 공범으로서의 책임을 지지 않는다는 이론이다. 즉, 공모에 따른 범행 결의가 다른 공범자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강화하는 심리적 인과성이 이탈에 의해 차단될 때 공모관계가 해소될 수 있다. 또한, 인과성 판단이 단순한 사실적 인과관계뿐만 아니라 위험의 실현이라는 규범적 측면을 포함하는 것이라고 본다면, 이탈자가 범죄의 수행에 필수적인 도구를 마련하는 등 물리적으로 기여한 경우에도, 이후 적극적인 노력을 통해 다른 공범자의 범의를 단념시키려고 시도했다면 심리적 인과성이 부정될 수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이탈자가 범죄의 결과를 방지하려고 노력했거나, 공모자의 영향력이 현저히 감소하여 이탈 후의 범행이 공모자가 창출한 위험의 실현으로 평가될 수 없는 경우, 공동정범의 책임이 부정될 여지가 있다. 이는 이탈자의 영향력과 별개로 새로운 의사결정에 의해 범행이 진행되었다고 평가될 때 실행의 착수 후에도 이탈이 인정될 수 있는 점을 시사한다. The responsibility of co-principals is recognized when accomplices cause a criminal outcome based on their conspiracy. This conspiracy psychologically facilitates the actions of each accomplice, establishing causality for the overall crime. Withdrawal is related to severing this causality of the conspiracy. The Causality Interruption Theory posits that if a co-principal’s withdrawal severs their causality for the subsequent crime, the accomplice relationship is dissolved, and they are no longer held responsible. In other words, the resolution to commit the crime, which was motivated and reinforced among co-principals through psychological causality stemming from the conspiracy, can be broken by withdrawal. Furthermore, if the assessment of causality encompasses not only simple factual causation but also the normative aspect of the realization of risk, then even if the withdrawing party made a physical contribution (e.g., providing essential tools for the crime), their psychological causality could be negated if they subsequently made active efforts to induce other accomplices to abandon their criminal intent. Similarly, there may be grounds to negate the responsibility of a co-principal if the withdrawing party attempted to prevent the criminal outcome, or if the influence of the conspirator significantly diminished such that the crime committed after the withdrawal cannot be deemed a realization of the risk created by the conspirator. This suggests that withdrawal can be recognized even after the commencement of the execution of the crime, particularly when the crime is assessed to have proceeded by a new decision, separate from the influence of the withdrawing party.
김조(金朝)의 예제패권주의(禮制覇權主義)에 대하여 -외국사입견의(外國使入見儀)의 분석을 중심으로-
金成奎 중국사학회 2013 中國史硏究 Vol.86 No.-
金朝建立十年左右, 相繼滅亡遼、北宋, 還將高麗與西夏也臣屬, 由此成 爲了東北亞的覇主. 對南宋的來說, 金朝不再是與遼朝一樣的敵國(同等 國), 而變爲要臣事的上國. 南朝-北朝的互惠性稱號轉變爲宋- 大金的不平等稱號, 就能看到宋朝與金朝的關係. 女眞族認爲自己是天 下的中軸, 幷萌生了自我爲中心的世界觀. 世界上有흔多國家以及民族都 有自我爲中心的世界觀, 不過金朝的這種自豪感尤其突出. 關於金朝的世界觀以及華夷觀問題, 已有不少前人的硏究成果. 但在金朝 所訂制的外交儀禮(賓禮)上更爲明顯看到他們的世界觀. 也就是說金 朝想通過儀禮, 表達自己的這種意圖和理念. 在硏究金朝世界觀的問題上, 賓禮점有如此重要的位置, 但却沒引人注意. 筆者一直關注唐、宋、遼等金 朝以前王朝的賓禮, 幷對타們進行了比較、分析. 通過這些硏究, 筆者確認 了宋遼之間的平等關係. 但在金朝的賓禮上看到了與宋、遼的平等關係흔 不一樣的地方. 筆者認爲這賓禮上的不同之處, 正是金朝炫耀自己在國際上 的威嚴與君臨天下的道具. 日本學者巖井茂樹在其論文上說道歷史上中華帝國試圖使用흔多辦法、 制度來實現覇權主義, 幷說作爲這種覇權主義的一種, 中國明代確實存在 過``禮制覇權主義. ``筆者也認爲這禮制覇權主義, 正是中國皇帝想以自己 爲中心幷構造天下秩序的槪念, 但已在12世紀金朝的禮制上能看到這種 現象. 筆者從上述的觀點出發對『金史』卷三十八, 志十九, 禮十一外國使入見 儀、曲宴儀、朝辭儀進行分析, 幷從禮制覇權主義角度探討金朝的 覇權在禮制上如何出現. 還對與唐、宋、遼的賓禮進行比較. 金朝建立十年左右, 相繼滅亡遼、北宋, 還將高麗與西夏也臣屬, 由此成 爲了東北亞的覇主. 對南宋的來說, 金朝不再是與遼朝一樣的敵國(同等 國), 而變爲要臣事的上國. 南朝-北朝的互惠性稱號轉變爲宋- 大金的不平等稱號, 就能看到宋朝與金朝的關係. 女眞族認爲自己是天 下的中軸, 硏萌生了自我爲中心的世界觀. 世界上有흔多國家以及民族都 有自我爲中心的世界觀, 不過金朝的這種自豪感尤其突出. 關於金朝的世界觀以及華夷觀問題, 已有不少前人的硏究成果. 但在金朝 所訂制的外交儀禮(賓禮)上更爲明顯看到他們的世界觀. 也就是說金 朝想通過儀禮, 表達自己的這種意圖和理念. 在硏究金朝世界觀的問題上, 賓禮점有如此重要的位置, 但却沒引人注意. 筆者一直關注唐、宋、遼等金 朝以前王朝的賓禮, 硏對타們進行了比較、分析. 通過這些硏究, 筆者確認 了宋遼之間的平等關係. 但在金朝的賓禮上看到了與宋、遼的平等關係흔 不一樣的地方. 筆者認爲這賓禮上的不同之處, 正是金朝炫耀自己在國際上 的威嚴與君臨天下的道具. 日本學者巖井茂樹在其論文上說道歷史上中華帝國試圖使用흔多辦法、 制度來實現覇權主義, 硏說作爲這種覇權主義的一種, 中國明代確實存在 過``禮制覇權主義. ``筆者也認爲這禮制覇權主義, 正是中國皇帝想以自己 爲中心硏構造天下秩序的槪念, 但已在12世紀金朝的禮制上能看到這種 現象. 筆者從上述的觀點出發對『金史』卷三十八, 志十九, 禮十一外國使入見 儀、曲宴儀、朝辭儀進行分析, 硏從禮制覇權主義角度探討金朝的 覇權在禮制上如何出現. 還對與唐、宋、遼的賓禮進行比較.
김성규 한국기초조형학회 2005 기초조형학연구 Vol.6 No.4
In the stream of perception’s diversification and differentiation in each realm’s principle, designing and art in the 21th century have shown no boundary among each field such as paintings, sculpture, craft, film, etc. and they have had many effects on one another. Likewise interior designing has adopted an objective factors which crosses every field, and this has added up more value in interior designing as another method. This research has two study purposes: one is to grope the relationship and the concept between an objective factor and interior designing by means of studying the tendency of an objective expression in interior designing; and the other is to study whether an objective factor has creativity and variety as an interior designing method. First of all, this research studied the progression of an object in art history and the expression tendency of objective factors in modern art and interior designing. Next, this research compared objective factors in the artists and the artworks after post-modernism by deriving the objective factors adopted in interior designing and then four major factors were drawn out. The objective factors in interior designing could be divided each factor as amusement, realm compartments, visual targets, and coloring and material expressions. This research is based on literature analysis to study objective factors expressed in the interior of a room. Further study needs to include ampler cases like artist interviews and to study how users understand artists’ intention in real. 21세기 디자인과 예술은 각 영역 이념간의 인식체계의 다변화와 다원화된 흐름 속에서 회화, 조각, 공예, 영화 등 각 영역간의 경계가 무너지고 상호간의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실내디자인에서도 각 영역을 넘나드는 오브제적 표현요소를 도입하여 실내공간의 하나의 디자인 방법으로 가치를 더하고 있다. 본 연구는 오브제적 요소의 표현경향의 연구를 통한 실내디자인과 하나의 맥락으로서 관계와 개념을 모색하고 오브제적 요소가 실내공간의 표현방법으로서 창조적 가능성과 표현의 다양성을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우선 미술사적 오브제의 발달과정을 고찰하였고 현대미술과 실내디자인에서 오브제적 요소가 표현되는 경향을 고찰하였다. 실내디자인에서 적용되는 오브제적 요소를 도출하여 포스트모더니즘 이후의 작가와 작품을 대상으로 표현된 오브제적 요소를 비교하였으며 네 가지의 표현요소를 추출하였다. 실내공간에서 표현되는 오브제적 요소의 경향으로 유희적 요소와 영역구분의 요소, 비쥬얼타겟(Visual Target)의 요소, 색채와 재료의 표현요소로 분류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문헌분석을 위주로 실내공간에 표현된 오브제적 요소의 경향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방대한 사례를 충분히 검토하지 못한 점은 연구의 한계로써 작가 인터뷰 등을 추가하여 향후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실제 작가의 의도를 사용자들이 어떻게 받아들이는 가에 대한 연구도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김성규 한국기초조형학회 2008 기초조형학연구 Vol.9 No.1
Recently arts' influence has spread too many different fields and the boundary of where one begins and ends has become ambiguous. This different area of art has spread its influence to these different fields, and as time has passed the new concept and the pursuit of the development of this art form has been indicated that the multiplicity of this design and its endless possibilities. Especially the period's mind-set and aspect, the attempt is that the expropriation of the dimensions change and the reflection of the various demands are unfold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stallation of the expansion and the concept. Focusing on the commercial space, analysis on the installation expression in interior space is indicating basic data of this interior design. Commercial space must be designed according to the times, the current culture and focus on the consumer. This investigation sample of the study is limited to commercial space. From now on, the various cases on the aspects of the installation and function must be considered. The case study of the commercial space and various equipment run parallel with each other.
김성규 중국사학회 2015 中國史硏究 Vol.99 No.-
本文對10-13世紀東亞諸國之間互相交換的“誓書”進行了考察, 幷分析了誓書的起源、形式、特點及其意義.本文考察“誓書”的起源中, 發現了宋代東亞“誓書”繼承了春秋時代諸侯國之間流行的“盟誓制度”, 幷在文章裏進行了分析和梳理. 原來“盟”與“誓”是不同性質的, 因“誓”是間單的口頭約定而在東周以前“誓”比“盟”更爲流行. 但隨著春秋以後各國之間두爭的激烈, 抱有“誓約”內涵的“會盟”、“盟誓”等更加收到了重視, 也更流行了. 壹開始“盟”是指祈求上帝給違背約定的人天罰的行爲. 春秋以後爲了更加表達其嚴肅性, 出現了“삽血”的儀式幷成爲了重要的壹部分. 同洋也出現了上帝詛주背叛人的文章:“詛辭”, 固定寫在盟誓文的最後壹段.隨著秦後封建制度的消滅, 盟誓制度也走向下坡, 但其習慣尙未完全消失. 雖然其數量大大減少, 但漢末至唐代尙能看到壹些痕跡. 從這些零散的記錄上看, 該時期的盟誓主要目的往往是同壹集團的成員爲了抵抗共同敵人或者爲了鞏固內部團結.到了宋代, 依次出現遼、金、西夏等王朝, 諸國之間競爭異常激烈, 而且壹方沒有實力溫泉壓倒령壹方. 在宋代這洋的情況下, 各國之間爲了保障安全十分利用了盟約. 宋代東亞各國之間的盟約與春秋時期有所不同, 首先春秋時期“盟”的過程中, 壹定要進行的“犧牲”和“삽血”, 到了宋代不再進行, 而被互相交換“誓書(包括”誓表“和”誓詔“)”所取代. 但在誓書的最後壹段仍然寫“詛辭”, 以表示上帝對背叛人的詛주. 령壹方面, 王安石等 人主張“誓書”只是形式而不具有任何現實性控制力.진管如此, 在宋代東亞各國之間“誓書”的交換, 成爲了壹個外交上的重要環節. 通過對這時期各國誓書的硏究發現了在宋、遼、西夏、金、高麗五國中, 最多利用“誓書”的國家是金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