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공립유치원 특수학급 운영의 현황 및 향후방향에 관한 연구

        이승희,최영숙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4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5 No.1

        최근 특수학급 교육에 있어서의 새로운 방향모색은 학령기 특수학급 뿐만 아니라 유치원 특수학급에 있어서도 그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나, 학령기 특수학급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들은 다소 활발히 진행되어 온 반면 유치원 특수학급의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는 아주 미흡하여 유치원 특수학급 발전방향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국 공립유치원 특수학급교사들을 대상으로 특수학급 운영 현황 및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여 유치원 특수학급 운영상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함으로써 향후 효율적인 특수학급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유치원 특수학급의 운영체제, 유치원 특수학급 교육과정의 운영실태, 유치원 특수학급 담당교사의 자질 및 인식수준, 유치원 특수학급에 대한 행정․재정 및 장학 실태, 유치원 특수학급의 개선방향을 알아보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management system of special education classes, management condition of curricular for special education classes, qualities and apprecia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dministration․finances․inspection condition of special education classes, and to explore ways for solving problems related to the management of special education classes. To do this, a questionnaire that contained 37 questions was distributed to 80 teachers who were in charge of the special education classes in kindergartens. Data from returned questionnaires were analys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frequency, percent, rank etc.) in order of questions. Based on the results, conclusions and several suggestions were presented.

      • KCI등재

        한국 특수학급의 성립과 변용(1970 ~ 1974)

        곽정란 ( Jeong Ran Kwak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1970년부터 1974년까지의 특수학급의 성립과 전개과정에 대한 고찰을 통해 정신지체학생을 위한 최초의 특수학급의 성립 배경과 이후의 변화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1차 문헌조사, 현장방문, 관계자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지체학생을 위한 최초의 특수학급인 대구 칠성초등학교의 특수학급은 이제까지 알려진 것과는 달리 1971년이 아닌 1970년에 정식으로 학급 편제에 포함되어 있었다. 이 특수학급은 자생적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경북 지역의 특수교육 관계자와 경북교육위원회의 계획 하에 일반학교 내의 정신지체학생의 교육 보장이라는 특수교육적 목적을 분명히 가지고 있었다. 둘째, 정신지체학생에 대한 특수교육적 목적을 지니고 있었던 특수학급은 1974년 문교부에 의해 전국적으로 확대되면서 특수교육의 성격 보다는 학습부진학생에 대한 학력 구제의 성격을 더 강하게 가지게 되었다. 당시 일반교육은 ‘국민학교 의무교육의 확대와 중학교 무시험제도’라는 일대 변화를 겪고 있었다. 이 과정에서 문교부(일반교육)는 학습부진학생 및 정신지체학생에 대한 교육적 조치를 취하기보다는 특수학급을 확대 설치하여, 특수학급으로 하여금 임시방편의 학력 구제를 담당하도록 하였다. 뿐만 아니라, 학습부진학생과 정신지체학생의 중학교 진학을 억제하기 위해 특수학급을 이용하였다. 셋째, 학습부진학생 및 정신지체학생에 대한 학력 구제와 중학교 진학 억제 수단으로 전락한 특수학급은 학습부진학생에게는 정신지체라는 표찰을 씌우도록 만들었다. 또한 학습부진학생의 학력 구제에 치중한 나머지 정신지체학생에 대한 교육은 소홀히 다루어졌다. 이 결과 상당수의 정신지체학생은 중학교 진학을 하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은 특수학급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의 전형을 점점 더 고착화 시켰으며, 이것은 향후 특수학급의 정체성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앞으로 특수학급이 일반학교 내에 있는 장애학생의 개별화된 교육적 요구를 보장하고, 통합교육 시대에 맞는 역할을 수행해 나가기 위해서는 먼저 일반교육과의 관계를 새롭게 정립하고, 특수학급 설치 당시의 교육 목적을 더욱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creation and acculturation of special classes from 1970 to 1974, thereby looking into the background behind the formation of the first special class and how it has changed thereafter. To establish this purpose, a primary literature research, site visits, and interviews with relevant people were conducted.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unlike what has been known so far, the special class in Daegu Chilsung Elementary School, the first special class for mentally retarded students, was formally included in the school system in 1970, not in 1971. This class was not spontaneously formed for educational salvage, it was made under the planning of those concerned with special education in Gyeongbuk, with an obvious goal of special education to guarantee education for mentally retarded students within an ordinary school. Second, special classes, which first started to be established in Gyeongbuk Province, was expanded in 1974 to the whole nation by the Department for Education, so their goal was characterized more by educational salvage than by special education. At that time general education was going through two sweeping changes: the expansion of mandatory education and the system of middle school entrance with no exam. During this process, the Ministry increased the number of special classes so that they could play a makeshift role of educational salvage, rather than taking education for poor learners and mentally retarded students. Furthermore, the organization employed special classes to discourage mentally retarded students from advancing to junior high schools. Third, special classes labelled poor learners mentally retarded. In addition, more emphasis was placed on educational salvage of poor learners, so education of mentally retarded students was largely neglected. As a result a large majority of the mentally retarded did not ender junior high schools. All the conditions above cemented the negative image of special classes and strongly influenced their identity in later years. For special classes to guarantee satisfaction of disabled students’individual educational needs and to play a role suitable for an era of integral education, new relationship with general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and their original goal of special education at the time when their were first established should be pursued.

      • KCI등재

        전국 중학교 특수학급 및 통합학급 수업의 실제

        박승희(Park, Seung Hee),이효정(Lee, Hyo-Jung),허승준(Hur, Suhng June)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5 특수교육 Vol.14 No.1

        이 연구는 우리나라에 중학교 특수학급 설치가 30년이 넘은 현 시점에서 ‘중학교 통합교육’의 실상과 허상을 전국 중학교 특수학급 수업 및 통합학급 교과수업 실태를 파악함으로써 처음으로 전국 차원에서 진단해보고 앞으로 발전 방향성을 논의하고 시급한 개선 대책을 촉구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총 331개 중학교의 특수학급 교사 331명, 일반교사 401명, 총 732명이 질문지 조사연구에 참여하였다. 학교당 특수교육대상 학생은 평균 9.53명, 특수학급수는 평균 약 2개였으며, 학생의 장애유형은 지적장애가 가장 많았다. 전체 331개 중학교 중 약 21%의 학교에 전일제 특수학급 학생이 있었고, 약 66%의 학교에 완전통합된 학생이 있었다. 특수학급 교사의 평균 수업은 주당 20.33시간, 학급당 평균 학생 수는 6.65명이었다. 특수교사의 기간제 비율은 약 24%로, 일반교사보다 10% 이상 더 많았다. 특수교사의 약 68%, 일반교사의 약 63%가 최근 3년간 통합교육 관련 연수 경험이 없었지만, 전체 교사의 약 94%가 통합교육을 지지하였다. 특수학급에서 가장 많이 진행된 수업은 수학과 국어 교과였다. 일반교사의 약 41%가 특수학급 수업 평가를 NEIS에 입력하지 않았고 약 91%의 중학교에서 통합학급 수업 및 교육활동을 개별화교육계획에 포함시키지 않았다. 일반교사의 약 3%만이 교과와 관련된 IEP의 장단기 교육목표를 파악하는 수준이었다. 일반교사의 약 40%가 특수교육대상 학생을 위해 별도의 수업 목표를 수립하지 않았고, 교과에 대한 평가는 일반학생과 동일한 방법과 기준으로 실시하는 경우가 67%이었다. 일반교사의 약 56%가 특수학급 학생이 참여하지 않은 교과에 대해서도 평가를 하고 있었으며, 약 60%의 일반교사는 학생이 ‘거의 수업을 이해하지 못한다’고 평가했다. 이 연구는 전국 중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수업 실태가 제시하는 문제의 심각성을 제기함으로써 중학교 통합교육의 실상과 허상에 대한 전문가들과 정책당국의 시급한 관심과 후속연구를 촉구하고, 중학교 통합교육의 질 개선을 위한 대책을 마련하는데 필수적인 기초 자료를 제공한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us of instructional practices in both special and general classes to discuss what we do next as well as to promote better solutions urgently needed. A total of 732 teachers in 331 middle schools was participated in this survey. Intellectual disabilities is the largest disability category in special education services. About 21% of middle schools have students who placed in self-contained classes, and about 66% of schools hav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are placed in regular classes full time. Special teachers teach 6.65 students with disabilities on average for 20.33 hours per week, whereas general teachers teach students in 7 regular classes for 19.15 hours per week on average. About 24% of special teachers in the study were temporary teachers, and it"s 10%p higher than general teachers". About 68% of special and 63% of general teachers have not taken any in-service training course on inclusive education in 3 years. Nevertheless, about 94% of general and special teachers report that they support inclusive education. The popular subjects taught in special classes are Korean language and mathematics. About 41% of general teachers do not enter students" data evaluated by special teachers into NEIS, and 91% of schools do not include students’ educational goals and plans for regular classes in their IEPs as well. General teachers hardly know the IEP goals of their students with disabilities related to their own teaching subjects. About 41% of general teachers do not develop any individualized goal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ir classes. Moreover, about 56% of general teachers evaluat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do not even attend those classes at all, and 60% of general teachers perceive those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rdly understand their classes. This study shows urgent needs for professional awareness on these issue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inclusive education in Korean middle schools.

      • 초임 특수학급 교사의 수업장학 현황

        임미빈,박승희 한국특수교육학회 2010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0 No.-

        본 연구의 목적은 초임 특수학급 교사의 교수의 질 신장을 지원하는 장학의 한 방법인 수업장학의 실태와 개선 요구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문제는: 첫째, 서울, 경기, 인천의 초임 특수학급 교사들이 근무하는 학교의 수업 장학 실태(수업장학의 횟수, 제공자, 수업장학에 대한 초임 특수학급 교사의 인식)는 어떠한가?; 둘째, 수업장학에 대한 초임 특수학급 교사들의 개선 요구(수업장학의 횟수, 제공자, 수업장학을 제공 받기 위해 마련되어야 하는 요소)는 무엇인가?; 셋째, 수업장학의 실행도와 필요도에 대한 초임 특수학급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이다. 본 연구대상자는 서울, 경기, 인천의 초등 특수학급 교사중 교직 경력이 3년 이하의 초임 특수학급 교사 총 174명이다. 질문지는 전수조사로 총 174부 배부되었고 104부가 회수되었으나 불성실한 응답 4부를 제외하고 수업장학을 받아본 경험이 없는 36명 교사 응답을 제외하고 최종 64부 응답이 본 연구 자료로 사용되었다. 연구도구는 본 연구자들이 개발한 질문지가 사용되었다. 응답자료 처리는 선다형 문항, 중복 응답형 문항은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 하였고, Likert 4점 평정 척도형 문항은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임 특수학급 교사가 제공받은 수업장학의 실태로, 초임 특수학급 교사가 최근 1년 반 동안 제공 받은 수업 장학의 횟수는 1회가 33%, 2회가 23%로 나타났고, 수업장학을 제공 받지 못한 교사는 전체의 36%이다. 수업장학의 제공자는 전체의 42%가 교장, 교감으로 나타났고, 교장, 교감 다음으로 전체의 21%가 연구부장으로부터 수업장학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임 특수학급 교사는 수업장학의 결과를 추후 수업개선에 거의 활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M=2.57), 만족도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M=2.45). 또한 교사는 수업장학이 교수-학습 개선에 효과가 거의 없다고 생각하고 있었다(M=2.67). 수업장학에 대한 초임 특수학급 교사의 개선 요구로는 교사의 50% 이상이 1년에 1회의 수업장학을 제공받기를 원하고 있었다. 교사가 가장 희망하는 수업장학 제공자는 특수교육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지닌 5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특수교사였으며, 가장 많은 수의 교사가 수업장학 제공 요건으로 장학 제공자의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 함양을 지적하였다. 끝으로, 수업장학의 4가지 영역 및 3단계의 실행도는 평균점수 2점으로 낮게 나타났다. 수업장학 4가지 영역과 3단계의 필요도는 평균점수가 모두 3점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경력 3년 이내인 초임 특수학급 교사들이 교직에 성공적으로 정착하여 특수교육대상 학생에게 질 높은 교육을 제공하기 위하여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수업장학 제공과 적합한 수업장학 방법의 필요성과 그 함의가 논의되었다.

      • KCI등재후보

        초임 특수학급 교사에 대한수업장학의 실태와 개선을 위한 제언

        임미빈,박승희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1 특수교육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current status, teachers’ perceptions, and improvement needs of teaching supervision of newly appointed special class teachers in general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A survey was us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teaching supervision, teachers’ perceptions of implementation levels and need levels of four areas and three steps of teaching supervision and improvement needs of teaching supervision. A total of 100 teachers’ responses to the survey were analyzed with means and SDs of each area and each item of teaching supervi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 36 teachers among 100 teachers did not have any teaching supervision opportunity during one and a half year. Most of those 64 teachers who had at least one chance of teaching supervision received the teaching supervision from their school administrators. Utility levels of teaching supervision perceived by the respondents were low. The levels of implementation of four areas and three steps of teaching supervision were low while the needs for implementing those areas and steps were high. Improvement needs of teaching supervision identified by those 64 teachers were (1) at least once a year teaching supervision; (2) as a teaching supervis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with more than fiv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s were wanted; (3) as the priority credential requirements of teaching supervisor were the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in special education.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nd institutional strategies for the most appropriate and effective teaching supervision for newly appointed special class teachers were finally presented.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 초등학교의 초임 특수학급 교사가 제공 받은 수업장학의 실태, 수업장학의 실행도와 필요도에 대한 교사의 인식, 그리고 수업장학에 대한 교사의 개선 요구를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특수학교 여건과 비교할 때 수업장학에 대한 기회가 미흡한 일반 초등학교 초임 특수학급 교사에게 제공된 수업장학 실태와 그 문제점을 밝히고 제도적인 수업장학 제공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보다 실효성 있는 수업장학의 내용 및 절차 개발을 촉구하고자 하였다. 서울, 경기 및 인천의 초등 특수학급 교사 중 교직 경력이 3년 이하의 초임 교사 174명 전수를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초임 특수학급 교사 100명 중 최근 1년 반 동안 수업장학을 제공받지 못한 교사는 36명(36%)이었다. 수업장학을 제공받은 경험이 있는 64명 교사들 응답에 의하면, 수업장학의 제공자는 전체의 42%가 교장·교감, 21%가 연구부장 교사였다. 초임 특수학급 교사의 수업장학에 대한 활용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업장학의 4가지 영역의 실행도는 모두 낮게 나타났으며, 필요도는 모두 높게 나타났다. 수업장학의 3단계별 실행도와 필요도에서는 계획수립 단계가 수업관찰과 분석 단계와 결과 협의 단계보다 저조하게 나타났다. 셋째, 수업장학에 대한 초임 특수학급 교사의 개선 요구로는 교사의 57.8%가 1년에 1회의 수업장학을 제공받기를 원하였으며 가장 희망하는 수업장학 제공자는 특수교육 전문성을 지닌 경력 5년 이상의 특수교사였다. 수업장학 제공 요건으로 장학 제공자의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 함양을 최우선으로 지적하였다. 끝으로, 초임 특수학급 교사들이 교직에 성공적으로 정착하여 특수교육대상 학생에게 질 높은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수업장학 제공과 적합한 수업장학 방법의 필요성과 그 함의가 논의되었다. 나아가 본 연구는 교육청 수준 및 교육과학기술부 차원에서 초임 특수학급 교사에 대한 전문적 수업장학을 제공할 수 있는 행정적 방침과 절차, 초임 1년차 특수학급 교사 지원 프로그램의 필요성, 학교관리자나 장학사의 특수교육 전문성 고양의 필요성, 특수교육 전문성을 갖춘 수업장학 제공자의 수급 과제 등을 포함한 제도적 장치 수립의 필요성을 강력히 제기하였다.

      • KCI등재

        특수학급 교사의 전문성 인식에 따른 교사효능감 및 교직헌신도의 관계 분석

        김영한,한현정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2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1 No.1

        The goal in this study is to strive for enhancing the professionalism recognition of special class teachers by identifying the impact affected by teacher’s efficacy and commitment to teaching profession in accordance with recognition of special class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special education ultimately by enhancing teacher’s efficacy and commitment to teaching profession. The final 322 copies among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with the higher teaching experience, it showed the higher awareness in professionalism, and special class teachers with graduate school showed higher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than teachers graduating from university. According to the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the recognition difference of special class teachers’ efficacy, special class teachers with graduate school showed higher recognition of efficacy than teachers graduating from university. Second, if special class teachers’ professionalism was higher, it showed teachers’ efficacy also was higher. And the recognition of special class teachers’ professionalism gave a significant effect in all areas such as efficacy of self-regulation, self-confidence and degree of task difficulty, which was subareas of teachers’ efficacy. Third, if the recognition of special class teachers’ professionalism was higher, it showed their commitment to teaching profession also was higher. And the recognition of special class teachers’ professionalism gave a significant effect in all areas such as professionalism, loving of education and passion, which was sub-areas of teachers’ commitment to teaching profession. 본 연구에서는 특수학급 교사의 전문성 인식이 교사효능감 및 교직헌신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 특수학급 교사의 전문성 인식의 제고 및 그들의 교사효능감과 교직헌신도를 보다 입체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수학급 교사 332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적용하여 기수거된 설문문항을 중심으로 t 검증, 일원변량분석, Pearson 상관분석 등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특수학급 교사의 전문성 인식 차이는 교직경력이 높을수록 전문성 인식 수준이 높으며 대학원 졸업의 특수학급 교사가 대학 졸업의 교사보다 전문성 인식 수준이 높다. 특수학급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교사효능감과 교직헌신도는 대학원 졸업의 특수학급 교사가 높다. 둘째, 특수학급 교사의 전문성 인식이 높으면 그들의 교사효능감도 높다. 그리고 특수학급 교사의 전문성 인식은 교사효능감의 하위 영역인 자기조절 효능감, 자신감, 과제난이도의 모든 영역에 의미 있는 영향을 주고 있다. 셋째, 특수학급 교사의 전문성 인식이 높으면 그들의 교직헌신도도 높다. 그리고 특수학급 교사의 전문성 인식은 교직헌신도의 하위 영역인 전문 의식, 교육애, 열정의 모든 영역에 의미 있는 영향을 주고 있었다.

      • KCI등재

        특수학급 학생의 현장체험학습에 대한 초등특수학습 교사의 인식과 개선방안

        김지영,황순영,장우영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3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2 No.3

        본 연구는 초등 특수학급 학생의 현장체험학습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의 인식과 개선방안을 살펴본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 특수학급 교사 133명을 대상으로 하는 특수학급 현장체험학습에 대한 효과, 문제점, 효율적인 방안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여 평균, 빈도, 백분율로 결과 처리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초등 특수학급 교사들은 특수학급 현장체험학습의 효과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특히 장애아동의 흥미유발과 사회적응력 향상을 주요한 효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현장체험학습의 문제점으로 교통편에 대한 문제점을 가장 높이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현장체험학습의 효율적인 방안으로는 문화체험 프로그램을 효율적 활동내용으로 인식하였고 보조원의 전반적인 활동보조와 현장체험학습 관련 연수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다양한 체험학습 프로그램과 자료개발을 현장체험학습에 필요한 우선사항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와 관련하여 현장체험학습 관련기관의 홍보연수나 교육청 연수, 특수학급 교사들간의 정보교환 등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한 개선방안으로 현장체험학습과 관련된 교통지원 방법 모색, 다양한 체험학습 프로그램과 자료개발, 관련된 다양한 교사연수 프로그램이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제안하였다. This study has an objective to examine the awareness of field experience study which is done in special class in elementary school and to suggest desirable direction of field experience learn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33 special class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in Busan and Gyungnam regions and survey papers were used as study tools. In order to examine the awareness of effects and problems of field experience study of special class, we executed means and standard deviation. In order to analyze the awareness about improvements of field experience study of special class, we have calculated frequencies and percentages of each category. Study results through these procedures are as follows. First, special class teachers awareness of field experience study of special class in elementary school showed that field experience study is effective positively. Especially, They aware of inducement of interest and social adaptation ability improve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because of field experience study. Second, recognition of teachers who in charge of special class showed generally positive responses about field experience study of special class in elementary school but they seemed to have difficulties in transportation. In order to execute efficient field experience study of special class in elementary school, neighboring schools also have to flock together and execute activities together with the assistance of general activities by the supporters. Third, training for the teachers regarding field experience study is necessary and it is desirable to execute such training as promotional training by relevant institutions of field experience study. More than anything else, development of various field experience study programs is required to vitalize field experience study.

      • KCI등재

        중등 특수교사들이 인식한 전일제 특수학급 운영 현황과 지원 요구

        박영제,홍정숙,안상권 한국특수교육학회 2017 특수교육학연구 Vol.5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suggestions for the management of special education classes by exploring the perception of the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the current status and support needs in self-contained classes.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of 12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with experience managing self-contained classes were conducted. An analysis of the interview contents based on constant comparative method yielded 740 significant statements. These statements were divided into 17 themes and 38 sub-themes that were grouped into 3 categories. The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meaning of the interviewee statements were discussed. First, various supports should be expanded to guarantee the right of learning for the students who placed in self-contained classes and to relieve the difficulties encountered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manage the self-contained classes and to activate inclusive education. Second, the system related special classes should be organized to advance effective education in self-contained classes—for example, by setting standards for the management and placement of those classes. Third, various special education organizations including self-contained classes should be operated to provide customized special education. 본 연구는 중등 특수교사들이 인식한 전일제 특수학급 운영 현황과 지원 요구를 분석하여 특수학급 운영을 내실화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전일제 특수학급을 운영한 경험이 있는 중등 특수교사 12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개별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 내용을 연속적 비교분석법에 의해 분석한 결과, 740개의 의미 있는 진술을 파악하고, 38개의 소주제, 17개의 주제로구분하여 조직하였으며, 전일제 특수학급의 운영 실태, 운영의 어려움, 지원 요구의 3가지 범주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주제를 바탕으로 향후 특수학급 운영의 내실화를 위한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전일제로 특수학급에 배치된 학생들의 학습권 보장 및 특수교사들의 전일제 특수학급 운영에 따른어려움 해소, 통합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지원이 확충되어야 한다. 둘째, 전일제 특수학급에서의교육이 실효성 있게 이루어지기 위해 전일제 특수학급 운영 및 배치 기준 마련 등 특수학급 관련 제도를정비하여야 한다. 셋째, 맞춤형 특수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전일제 특수학급을 포함하여 특수교육기관을다양하게 운영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특수학급 운영비의 배분과 운영 실제, 그리고 특수교사의 인식에 대한 분석

        남수경,안미라 한국교육학회 2013 敎育學硏究 Vol.51 No.1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funding, distribution, present conditions, and teachers' perception of the operational costs for special education class, and to suggest ways for improving financial supports of special education classes. To achieve these purposes, the study reviewed and analyzed the pertinent literature and documents of 16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nd surveyed 295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Gangwon-do.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improvement plans for financial supports of special education classes are as follows. First, to secure the regulated budget per special education class, the legal obligation must be established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make a report on closing accounts. Second, to ensure financial equity and adequacy, the allocation method of the operational costs for special education class must be changed into a differential sum system, which utilizes the criteria of school level and student number. Third, considering the expanding trend of integrated special education, the operational cost for integrated classes must be offered as a separate budget item. Finally, to use the operational costs for special education class more effectively, the guidelines for the financial management of special education class must be provided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이 연구는 특수학급 운영비의 확보 및 배분, 운영 실제 및 교사의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특수학급의 교육활동을 지원하는 데 보다 합리적인 재정 운영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각 시․도교육청의 문헌자료를 토대로 특수학급 운영비의 변천 및 배분실태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16개 시․도교육청의 특수학급 운영비 배분 금액은 크게 증가하고, 배분방식은 급당 균등배분에서 학교급별 차등배분으로 점차 변화해 온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여전히 학교교육비 산출과 배분에 있어서 특수학급경비에 대한 명확한 산출․배분․집행에 대한 규정이 없으며, 시․도별로 특수학급운영비 배분에 대한 방식과 지급액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실태분석 결과와 특수학급 담당교사(최종 분석 295명)를 대상으로 운영 실제 및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향후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회계 편성지침에서는 특수학급당 운영비 지급액을 명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특수학급의 17.6%가 실질적으로 명시된 금액을 확보하고 있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학교회계제도의 개선을 통해서 특수학급 운영비의 배분 및 운영 실태에 대한 결산 보고를 의무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특수학교 운영비의 배분방식과 관련하여 일률적 정액지급 방식은 학교급별 예산의 충분성 나아가 특수교육재정의 공평성 문제를 야기한다. 향후 특수학급 운영비의 학교급별․학생수별 합리적 차등배분 방식을 도입하되 배분기준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셋째, 특수교육 대상자의 통합학급 교육활동의 확대 추세를 고려할 때, 특수학급 학생의 재정적 통합학급 운영비와 완전통합학급 운영비를 별도의 항목으로 개설하여 지급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넷째, 특수학급의 37%가 운영비 집행 잔액이 발생하고 또한 잔액 발생 학급의 73%가 다음연도 학교의 일반예산으로 이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특수학급 재정 운영 관련 지도와 안내를 통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예산이 편성․집행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교사수준 및 학교 수준 변인이 특수학급 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김영한 ( Kim Young-han ),박정민 ( Park Jung-min ),서영 ( Seo Young ),이진옥 ( Lee Jin-ok ),하은정 ( Ha Eun-jung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6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수준 및 학교수준 변인 특수학급 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에 영향을 구체적으로 탐색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분석을 위하여 전국의 초등학교 특수학급 92개교, 중등학교 특수학급 88개교의 186명의 교사를 표집하여 설문 조사를 하였다. 특수학급 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 전 영역에서 학교 간 변량 비율은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가 중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보다 높게 나타났다. 즉, 특수학급 교사의 교직적응탄력이 상당 부분이 근무하는 학교 간 차이에 의해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그리고 학교수준 변인들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교사수준 변인의 영향력을 통제한 후 학교 간 변량을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제한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교사수준 변인 통제 후 자기효능감, 심리적 요인, 사회적 관계, 환경 및 생활만족 영역에서는 순수하게 학교수준 변인으로 학교 간 차이는 유의미하였다. 그리고 초등학교 특수학급과 중등학교 특수학급에서 교직적응탄력성을 높이는 데 가장 중요한 학교조직의 요인은 하나는 대화와 협력 변인이다. 그리고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에게 교직적응탄력성을 높이는 데 또 하나의 학교조직 특성은 학교장 지도성이다. 즉, 학교장의 지도성은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에 미치는 영향력은 크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nd explain the impact of teacher-level & school-level variables on special class teacher`s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Data was collected by questionnaire survey method. A total of 186 special class teachers from 92 elementary schools & 88 secondary school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In all areas of special class teacher`s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the variable rate between schools was found to be higher in elementary special class teachers than in secondary school special class teachers. That is, a considerable portion of special class teacher`s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was found to be affected by the difference between working schools.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school level variables, this study controlled the influence of teacher level variable and then derived variable quantities between schools for analysis. To summarize the results of analysis under the control of that, purely it i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chools as a variable of school level in self-efficacy, psychological factors, social relationships, satisfaction of environment and life after controlling a variable of teacher level. In elementary special classes and secondary school special classe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increase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was found to be a variable of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And to special class teachers, another feature of school organization to increase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was found to be the principal`s leadership. In other words, it is said that the effect of the principal`s leadership was significant on special class teacher`s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