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특수교사의 교권침해 관련 경험과 개선 방안 탐색

        홍정숙,표윤희 한국특수교육학회 2021 특수교육학연구 Vol.5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both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n infringement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rights, and to suggest an improvement measure. This study uses a qualitative research design an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that were conducted with 10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Each interview took approximately one hour and a continuous comparative analysis method was used in order to analyze the data collected. As a result, 46 sub-themes, 10 themes, and 3 categories were classified. 1) the type of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2) the causes and effects of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and 3) the improvement measure of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ed an improvement measure for preventing the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as well as respecting teachers’ right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is improvement measure includes the expansion of training opportunities, improving awareness of special and inclusive education; strengthening the competence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establishing a one-stop support system for post-treatment;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legal organization, in order to mediate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the operation and promotion of programs to recover from infringements on teachers’ rights; teacher evaluation and promotion structure improvement among others. 이 연구는 유아특수교사의 교권침해 관련 경험과 인식을 밝히고, 이에 근거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는 질적연구 기법을 사용하였으며 연구 참여자인 10명의 유아특수교사를 대상으로 개별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각 면담은 약 1시간 정도 소요되었으며 면담 후 전사된 자료는 지속적 비교 분석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46개의 하위 주제, 10개의 주제, 3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1) 주체별 교권침해 유형, (2) 교권침해 원인 및 영향, (3) 교권침해 개선 방안. 연구결과에서 도출된 내용을 바탕으로 다양한 교권침해 주체 대상의 연수 기회 확대, 유아교사 대상의 특수교육과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개선, 유아특수교사의 역량 강화, 원스톱 교권침해 사후처리 지원체계 구축, 교권침해의 중재를 위한 법정기구 설치 및 운영, 교권침해 피해 회복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 및 홍보, 교원평가와 승진 구조 개선 등 유아특수교사의 교권침해 예방 및 교권존중을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고등학교 특수학급 진로·직업교육의 실태와 과제 - 대구지역을 중심으로 -

        홍정숙 한국특수교육학회 2015 특수교육학연구 Vol.50 No.2

        This study attempts to verify the current situation and challenges of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in special classes in high school in Daegu and to provide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A survey was conducted on special class teachers in high school in Daegu. The following summarizes the survey results. First, the teachers of special class in high school in Daegu were mainly perceiving and practicing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through an implementation of vocation rehabilitation training and life independence training that respect ability of disabled students. However,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education that considers adult life in diverse field and person-centered planning as well as to connect this plan to the practice. Second,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lacked systems and tended to depend on the understanding and capability of individual teachers. Hence, guide for systematic special learning curriculum, common understanding about the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among the teachers, efforts to achieve professionalism and systematic improvement for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as a consistent procedure are required. Third, degree of practice turned out to be high in individualized transition plan and evaluation for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However, it will be necessary to complement cooperative planning where diverse members participate along with various evaluations. Fourth, although the teachers of special class in high school in Daegu strongly perceived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cooperation and collaboration with related organizations, it turned out that they have difficulties in achieving effective and systematic collaboration in practice. As this is an issue that cannot be solved by individual special class teachers, political and institutional supports should be reinforced. Finally,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re was some progress in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in special class in high school. Although this might be the results that reflect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in Daegu, political impacts also seems to have contributed to this phenomenon, with its increasing emphasis on the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for disabled students. Realistic and systematic policy promotion at local and national level as well as efforts by experts in related fields are critical for these changes to be continued to bear fruit. 본 연구는 대구지역 고등학교 특수학급 진로․직업교육에 대한 실태와 과제를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하는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따라 대구지역 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사들은 진로․직업교육을 주로 직업재활훈련과 자립생활훈련을 장애학생의 능력을 중시하여 실시하는 것으로 인식 및 실천하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영역의 성인기 삶을 의식한 교육과 개인중심계획에 대한 의식을 고취하고 이를 실천으로 연결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진로․직업교육의 체계성이 부족하고 개별교사들의 진로․직업교육에 대한 이해와 역량에 따라 이루어지는 경향이 강하다. 따라서 체계적인 특수학급 교육과정 지침 마련, 교사들 간 진로․직업교육에 대한 공통 인식과 전문성 고취를 위한 노력, 일관된 과정으로서의 진로․직업교육을 위한 제도적 개선이 요구된다. 셋째, 개별화전환교육계획 작성, 진로․직업교육을 위한 평가 등의 실행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다양한 구성원이 참여하는 협력적 계획과 다양한 평가 등이 보완될 필요가 있다. 넷째, 유관기관과의 연계 및 협력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강하게 인식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는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협력에 어려움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특수학급 교사 개인에게 책무성을돌릴 수 있는 사안이 아니므로 정책적․제도적 지원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본 연구를 통해 고등학교 특수학급의 진로․직업교육에 진전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대구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결과일 수 있으며, 최근 강조되고 있는 장애학생 진로․직업교육에 대한 정책적 영향 또한 반영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변화들이 형식적인 것에 머물지 않도록 각 지역수준과 국가 수준에서의 실질적이고 체계적인 정책 추진과 관련 전문가들의 노력이 절실히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일반교육주도의 특수교육 찬반 쟁점과 시사점-학습장애를 중심으로-

        홍정숙 한국특수아동학회 2007 특수아동교육연구 Vol.9 No.2

        This paper focused on determined the reason that REI advocates REI criticized special education in the REI dispute and it examined how conservative special educators brought forth a counterargument. By that, the point that the Korean special education should make to reference was found out. The REI dispute was an unproductive dispute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both camps asked special education and general education for the cause of the problem, respectively, and were not able to find out a point of agreement for solving the problem. Second, it was a dispute produced in the special education community without participation from those in general educatio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key issues in REI debates were the classification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support forms for them, which gives suggestions as to Korea's learning disability education as the following. First, active intervention needs to be planned and made from the school level for students with general learning difficulties, and through this process, an approach diagnosing learning disability students is required. Second, experts from diverse fields need to cooperate to provide appropriate guidance and methods to various types of learning disabilities. Third, diverse support systems and education services need to be provided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learning disabilities. 본 논문에서는 일반교육주도(Regular Education Initiative: REI) 논쟁에서 REI 주장자들이 특수교육을 비판한 이유를 검토하고, 이에 대한 보수적인 특수교육 전문가들의 반론을 살펴본 후, REI 논쟁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이유로 비생산적인 논쟁이었음을 밝혔다. 첫째, 양 진영이 각각 특수교육과 일반교육에서 문제의 원인을 찾아, 문제해결의 합의점에 도달하지 못했다. 둘째, 일반교육 측의 참여 없이 특수교육계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논쟁이었다. 또한 REI 논쟁에서 중점적으로 다루어진 문제가 학습장애 학생의 분류와 지원형태에 관한 것이라는 점을 밝혔고, 이를 토대로 한국 학습장애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일단 일반적인 학습부진 학생에 대해서는 학교단위의 적극적인 교육적 중재가 계획실천되어야 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학습장애 학생들을 진단하는 접근방법이 필요하다. 둘째, 다양한 전문가들이 협력하여 학습장애의 여러 유형에 적합한 지도내용과 방법을 구축해야 한다. 셋째, 학습장애의 정도에 맞는 다양한 수준의 지원 체제와 교육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 KCI등재

        장애학생 부모상담 및 가족상담 관련 국내 연구동향과 향후 연구과제 고찰

        홍정숙,조정민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21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4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research trends in parental and family counseling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explore future research directions based on the identified trends. Method: A total of 60 studies on parental and family counseling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four criteria: overall research trends, research topics, research subjects, and research types. Results: A total of 38 journal articles (63.3%) and 22 theses (36.6%) were published. The number of papers and theses published between 2012 and 2016 was the largest. The most common research topics were group counseling intervention programs, perceptions of the actual conditions of parental counseling, support needs for counseling, parent counseling content, and professional competency development—in order. In terms of research subjects, family members were the most studied, followed by experts, the literature, families and experts. Parents and families of preschool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the most studied. The most common types of disabilities studied w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autism spectrum disorders, physical disabilities, and emotional/behavioral disabilities—in that order. Regarding research types, the frequencies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were similar, with qualitative research increasing after 2012.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future research directions regarding parental and family counseling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suggested. 연구목적: 이 연구는 장애학생 부모상담 및 가족상담 관련 국내 연구의 동향을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과제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현재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장애학생 부모상담 및 가족상담 관련 논문 60편을 분석 대상으로 삼고, 전반적 연구 동향, 연구 주제, 연구 대상, 연구 유형의 분석틀에 따라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발표 유형은 학술지 논문이 38편(63.3%), 학위논문이 22편(36.6%)이었고, 2012∼2016년에 가장 많은 발표가 이루어졌다. 둘째, 연구 주제는 집단상담 프로그램 중재, 부모상담 실태 인식, 상담지원 요구, 부모상담 내용, 전문가 역량 개발 등의 순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셋째, 연구 대상 유형은 가족구성원 대상 연구가 가장 많았고 전문가, 문헌, 가족과 전문가 대상 순으로 나타났고, 연구 대상 자녀의 연령은 취학 전과 초등 대상이 가장 많았으며, 장애 유형은 지적장애, 자폐성장애, 지체장애, 정서·행동장애 등의 순이었다. 넷째, 연구 유형은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가 전체 빈도로 볼 때 비슷한 수준으로 이루어졌으며, 2012년 이후 질적 연구가 증가하였다. 결론: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장애학생 부모상담 및 가족상담 관련 향후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 및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