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통합학급에서 정착수업이 학습장애아동의 언어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허승준 ( Suhng June Hur ),송명희 ( Myoung Hee Song ),김정혜 ( Jung Hye Kim ) 한국특수아동학회 2006 특수아동교육연구 Vol.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정착수업이 학습장애아의 언어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었다. 연구 대상은 4학년 학습장애아 2명이었고, 실험설계는 단일대상연구방법 중 ABA 설계를 사용하였다. 실험은 총7주, 주당3~4회, 회기당 40분, 총 23회기에 걸쳐 진행되었다. 정착수업 중재는 학습준비, 동영상 시청, 문제 확인, 문제 해결, 발표 및 토론의 다섯 단계로, 5주 동안 총 17회기에 걸쳐 이루어졌다. 연구의 결과, 정착수업은 학습장애아의 언어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었다. 구체적으로 정착수업이 진행되는 동안 언어 상호작용 중 도움 요청하기와 도움 받기는 물론 도움 주기도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chored instruction on the verbal interaction of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in inclusive classroom. The participants were two fourth-grade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This study employed an ABA design adapted from the single subject research. The anchored instruction intervention was implemented in seventeen class periods over five weeks in five phases: preparing for learning, watching the anchor, identifying the problem, solving the problem, and presentation and discussion. Results indicated that anchored instruction was effective for activating verbal interaction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During the instruction, the students actively participated in learning not only with take helping from peers without disabilities but give helping to them.

      • KCI등재
      • KCI등재

        장애 및 특수교육 관련 용어의 해체와 대안

        허승준(Hur, Suhngjune) 한국열린교육학회 2018 열린교육연구 Vol.26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장애 및 특수교육 관련 용어를 해체해야 하는 이유와 그 대안 용어를 제안하는 것이었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 및 특수교육 관련 용어의 존재론적 의미는 무엇인가? 둘째, 장애 및 특수교육 관련 용어가 해체되어야 할 이유는 무엇인가? 셋째, 용어 해체에 따른 대안 용어는 무엇인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 및 특수교육 관련 용어는 보편적 교육으로부터 배제되어야만 포함되는 용어이다. 둘째, 장애는 역사적으로 축적된 차별과 태생적으로 부여된 부정적 가치로 인해 해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장애는 동일성 오류를 범하는 폭력적 용어이고, 이로 인 해 장애학생은 교육으로부터 배제되어 예외상태에 있는 벌거벗은 생명, 즉 호모 사케르로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장애라는 용어에 의해 파생된 특수교육 관련 용어 역시 해체되어야 한다. 셋째, 장애 진단 시 능력 대신 필요를 기준으로 해야 하며, 이때 장애 대신 지원이라는 용어를 그리고 장애학생 대신 지원대상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특수교육은 보편성 안에서 개별성에 적합한 교육지원을 위해 개별화지원으로 용어를 전환할 수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미래 특수교육의 발전적 대안 모색과 바람직한 교육 체제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asons for deconstructing terminologies and to suggest the alternative terminologies related with disability and special education.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ly, what are the ontological meanings of the terminologies related with disability and special education? Secondly, what are the reasons to deconstruct the terminologies? Thirdly, what are alternative terminologies for the terminolog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 terminologies are included in the education only if they are excluded from the education. Secondly, the terminologies need to be deconstructed because of historically accumulated discriminations and originally endowed negative values. Disability is the terminology which produced the identity err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re Homo Sacer, naked lives excluded from the education system. Considering these reasons, all the terminologies derived from the disability need to be deconstructed. Thirdly, the‘need’ instead of the‘ability’should be used for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disability. And the ‘support’instead of the‘disability’need to be used and the‘students who need supports’instead of the‘students with disabilities’need to be used. Finally, the ‘individualized supports’instead of the‘special education’need to be used.

      • 차이의 교육과 개별화 지원

        허승준(Suhng-June Hur) 한국특수교육학회 2019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

        ‘장애’ 대신 ‘지원’, ‘특수교육’ 대신 ‘개별화지원’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자는 제안이 있다. 이러한 제안은 차이와 장애에 대한 새로운 시각에 근거한다. 이 논문에서는 차이에 대한 철학적 분석을 통해 개별화지원이 인간의 차이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 그리고 개별화지원을 실행하기 위한 전략은 무엇인지를 제시하였다. 사물과 개념을 동일시하는 것을 동일성 사유라고 한다. 예컨대 ‘장애’라는 개념은 이 개념이 포함하는 개별 인간을 동일시하여 개념 속에 가둬버린다. 이는 ‘비장애’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비장애’는 이 개념이 포함하는 인간들이 자신들은 장애라는 낙인으로부터 자유로운 우월한 존재라는 사실을 강조하기 위한 개념이다. 이러한 이분법적 개념 구분은 인간의 개별성을 동일성으로 전환함으로써 인간의 존재 근거인 차이를 무시한다. 들뢰즈는 차이가 존재고 존재가 차이라고 말한다. 차이로 인해 모든 존재가 드러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차이를 고려하지 않은 교육은 존재를 고려하지 않은 교육이 된다. 이러한 교육의 대표 사례가 장애/비장애와 같은 이분법적 집단 구분이다. 차이는 자연스럽고 가치중립적 현상이며, 이때 가치는 상대적 가치가 아니라 절대적 가치다. 차이를 고려하는 교육, 즉 차이의 교육은 인간의 차이를 실현하는 것이 목적이다. 차이를 실현하는 것을 차이화라고 하는데, 이러한 차이화를 위한 교육적 지원이 특수교육 대안 용어로 제시한 개별화지원이다. 개별화지원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우선 교육체제가 일원화된 상태에서 다양한 지원체제를 갖추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 또한 장애 진단이 아닌 요구 분석 체제를 갖추어 학생의 개별 특성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야 하고, 이를 바탕으로 인간의 차이를 모두 고려하는 원리인 보편적 설계를 교육에 적용한 보편적 학습설계 체제를 구축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체제를 효과적이고 성공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 다양한 전문가들의 협력 체제를 구축해야 한다.

      • KCI등재

        정착수업이 초등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허승준(Hur, Suhngjune) 한국열린교육학회 2014 열린교육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장애학생의 행동과 학습에 효과적인 정착수업이 통합학급에서 활용되기 위해서는 비장애학생에게도 효과적인 수업 전략이어야 한다는 인식하에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착수업이 비장애초등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정착수업(실험집단)과 전통적 수업(비교집단) 중재를 위한 2명의 교사와 80명의 초등학교 3학년 학생(실험집단 40명, 비교집단 40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 설계로 준실험설계 중 이질 통제집단 사전-사후검사 설계를 사용하였고, 독립변인은 수업방법, 종속변인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었다. 실험집단에는 총 17차시로 개발된 '민서의 생일파티' 정착수업이 중재되었고, 비교집단에는 총 17차시의 교사가 주도하는 전통적인 수업이 중재되었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점수가 비교집단의 점수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정착수업이 초등학교 3학년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에 효과적이었음을 의미한다.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와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executed under the recognition that anchored instruction, an effective instructional method for the behavior and the learning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uld also be an effective strategy for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in order to be implemented in inclusive classroom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anchored instruction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of elementary schol students. Two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eighty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One teacher implemented the 'Minseo's Birthday Party' anchored instruction program to experimental group of forty students while another teacher implemented a traditional instruction to comparison group of forty students. Each intervention program was implemented during seventeen class-hour periods. The result of the study was that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e score of the comparison group. This indicated that the anchored instruction was an effective instructional method to fostering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of thir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 KCI등재

        통합교실에서 정착수업이 장애아동의 수업 참여와 교실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허승준 ( Suhng June Hur ) 한국특수아동학회 2006 특수아동교육연구 Vol.8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통합교육이 이루어지는 초등학교 교실에서 정착수업이 장애아동(학습장애,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의 수업참여와 교실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단일대상연구(single-subject design) 중 ABA 설계를 사용하였다. 실험은 총 7주, 주당 3-4회, 회기당 40분, 총 23회기에 걸쳐 진행되었고, 정착수업 중재는 5주, 총 17회기였다. 이 연구에는 3명의 초등학교 교사(4학년 담당)와 4명의 통합학급 장애아동이 참여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교육과정은 초등학교 4학년 수학 교과에서 두 단원을 선정하였고, 두 단원을 교과과정으로 한 정착수업을 진행하기 위해 비디오 앵커(anchor)를 제작하였다. 제작한 앵커를 이용한 수업을 중재하기 위해 수업계획 서를 작성하였다. 정착수업은 학습준비, 동영상 시청, 문제 확인, 문제 해결, 발표 및 토론의 다섯 단계로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정착수업 동안 아동들의 과제 집중 행동 시간은 수업 이전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하였고, 동료학생들과의 상호작용은 6배 이상 증가하였다. 또한 수업관련 상호작용은 3배 이상 증가하였다. 따라서 정착수업은 통합교실에서 장애 아동들의 수업참여와 교실상호작용에 효과적인 수업 방법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chored instruction on the participation in learning and the classroom interac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classrooms. This study employed an ABA design adapted from the single subject research. The anchored instruction intervention was implemented in seventeen class periods over five week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included thre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four forth-grad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curriculum employed in this study was selected from forth-grade mathematics area and a video anchor for the curriculum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in six phases: (a) preparing for learning, (b) watching the anchor, (c) identifying the problem, (d) solving the problem, and (e) presentation and discussion. Results indicated that anchored instruction was effective for enhancing participation in learning and classroom interac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classroom.

      • KCI등재

        장애 관련 용어와 개념의 재고

        허승준 ( Suhng-june Hur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6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8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편견과 선입견의 축적으로 차별과 낙인의 근거가 되고 있는 장애 관련 용어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가치중립적 대안 용어를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연구방법: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RISS, DBPIA, KISS 등의 검색엔진을 활용하여 문헌을 수집하였으며, 장애(disability)를 중심어로 두고 차이(difference), 명명(labeling), 차별(discrimination), 낙인(stigma)등을 관련어로 연결하여 검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특수교육지원 대상을 선정할 때, 장애라는 용어를 필연적으로 잉태하는 ‘능력’ 대신에 ‘지원’이라는 용어와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요구’에 그 기준을 두어야 한다. 둘째, 기존의 특수교육대상자 분류 명칭에서 ‘장애’라는 용어 대신 ‘지원’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셋째, ‘특수교육’이라는 용어는 ‘교육’의 범주 내에서 제공되는‘개별화 지원’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결론: 본 연구에서 제안한 용어와 개념이 사용되는 데에는 여러 가지 한계가 있겠지만, 특수교육 전문가가 아닌 장애당사자인 장애학생을 위해서 긍정적인 적용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some alternative terminologies and concepts related to disabilities instead of traditional terminologies which have been accumulated by various prejudices and preconceptions. Method: This study employed a literature review metho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o review the literature, this study used search engines such as RISS, DBPIA, KISS, etc. and used the word of ``disability`` as a main keyword, and the word of ``difference, labeling, discrimination, and stigma`` were used as the related keywords. Results: This study proposed three suggestions: ① the term ‘need`` should be used for the criterion to classify the subject of special education instead of the term ``ability``; ②. the term ``support`` should be used to label the subject of special education instead of the term ``disability``; ③ the term ``individualized supports`` should be used instead of the term ``special education``. Conclusion: There are some limitations to use suggested the alternative terminologies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It is required further positive examination not for the professional but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 KCI등재후보

        교재 학습 상황에서 사전지식, 교재 흥미 및 정보의 중요성이 주의집중과 회상에 미치는 효과

        허승준(Hur Suhng-june),이용남(Lee Yongnam)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1997 교육연구 Vol.21 No.-

        본 연구의 목적은 교재 학습 상황에서 사전지식, 교재 흥미, 그리고 정보의 중요성이 주의집중 및 회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는 것이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갈다. 첫째, 학습 교재를 일반적인 학습 상황과 동일하게 제시했을 때, 기존의 연구와 다른 결과가 나타났다. 즉, 기존의 연구에서는 독자들이 흥미보다는 중요성에 근거하여 주의 집중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 내지 못했다. 그러나 본 연구 결과, 독자는 기억하기 힘든 정보와 중요한 정보에 더 오래 주의집중을 했는데, 이 때 흥미보다는 중요성에 근거해 서 여분의 주의집중 시간을 할당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기존의 유인정보 효과에 대한 재고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즉, 유인정보가 기 존의 연구만큼 독자에게 부담을 주지 않았다. 셋째, 사전지식과 주의집중과의 관계에 있어, 사전지식이 높은 학습자가 주의집중에 보다 전략적이었다. 그 결과로 기억하기 힘든 정보와 중요한 정보를 보다 잘 회상했다. 여기에서 유인정보 효과를 논의하는 데 있어서 사전지식을 고려하여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즉, 중요한 정보에 대한 학습 효과를 높이기 위해 유인정보를 추가하는 것이 사전지식이 높은 학습자에게는 도움이 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interactive effects of prior knowledge, text-based interest, and importance of information on attention and recall in learning from text. The subjects of the first experiment were 38 college students and those of the second were 40 college students who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he research design was a 2x2x2 mixed factorial design with prior knowledge(high vs. low) as the between-subject variable and interest(high vs. low) and importance(high vs. low) as the within-subject variables.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attention and recall. Statistical methods of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MANOVA) and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s(ANOVAs) were conducted. To be conservative, alpha was set at .05 level.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hen the students learned the text presented in general learning situation, they allocated their attention to important information without regard to interest. Second, the seductive details didn t require more processing time. This suggested that we must rethink the seductive details effects. Third, the students of higher subject-matter knowledge were more stratigic than the lower group. And they recalled high important information and low interest information better than the lower group. This suggested that we must consider the prior knowledge in the discussion of seductive details eff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