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리나라 컨테이너항만의 집중도와 변이효과 분석

        김은수(Kim, Eun-Soo),이수영(Lee, Su-Young) 한국항만경제학회 2016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32 No.1

        우리나라 수출입 컨테이너물동량은 1995년 3,942천 TEU에서 2014년 14,601천 TEU로 증가했고, 부산항의 처리 비중은 92.4%에서 63.4%로 상당 수준 낮아졌다. 현재 우리나라 33개 무역항 중 11개 항만에서 컨테이너 전용부두가 운영되는 있으며, 2014년 항만별 컨테이너부두 시설 확보율은 심한 편차를 보이고 있다. 즉 부산항, 인천항은 각 83.3%, 48.0%로 시설 부족현상을 보이나, 광양항 196.7%, 울산항 188.8%, 군산항 583.3%, 마산항 1,666.7% 등 시설 과잉이 심각한 항만도 적지 않다. 본 연구는 허쉬만-허핀달지수(HHI)와 변이할당법을 활용하여 기존 연구와 차별적으로 5대 해외 기종점 권역별로 수출입 컨테이너화물의 항만 집중도와 변이효과를 분석하고, 우리나라 컨테이너항만의 경쟁 구도 및 항만정책 방향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 컨테이너항만의 집중도는 지난 20년간 0.86에서 0.44로 완화되었으나 최근 5년간은 큰 변화가 없었다. 5대 수출입 해외 권역, 즉 극동아시아, 동남아시아, 일본, 북미 및 유럽 지역 컨테이너화물의 세부적인 항만 집중도 분석 결과, 2014년 극동아시아 0.290, 동남아시아 0.375로 가장 낮았고, 이는 전체 항만 집중도를 0.44로 낮춘 주요 원인이 되었다. 즉 아시아 수출입 물동량이 과거에 비해 국내 여러 항만에서 분산 처리되면서 우리나라 전체 컨테이너항만의 집중도를 낮추게 된 것이다. 또한 2010년 이후 컨테이너항만의 집중도는 거의 변함이 없고 북미 및 유럽항로에서는 오히려 집중도가 증가하고 있다는 것도 확인했다. 이에 정부는 컨테이너 부두시설의 효율적인 개발 및 운영 정책 수립을 위해 항만의 집중도 및 변이효과 추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특히 컨테이너 물동량 대비 하역능력에 충분한 여유가 있는 항만임에도 불구하고 양(+)의 변이효과가 충분히 나타나지 않을 경우, 그 원인을 정확히 규명하고 대응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향후 수출입 컨테이너 화물의 내륙 기종점별 항만 집중도나 동북아시아 항만에 대한 환적화물의 집중도 등에 관한 후속적인 연구도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the concentration ratios (CR) and the shift effect in the system of Korean container ports that concern the export and import of container cargos, especially from/to 5 overseas origin/destination (O/D) regions, using the Hirshmann-Herfindahl Index (HHI) and the Shift-Share Method. The results shows that the CR has decreased during the last 20 years, from 0.86 to 0.44, mainly because cargos from/to the Far-East/South-East Asian regions have become more dispersed to several domestic container ports, especially from the Port of Busan. This study also indicates that there has been little change in the CR for all cargos, like the value of –0.3%, in the last 5 years. However the change in CRs for the cargos from/to the North America and Europe is positive, with the value of 7.6% and 6.6%, respectively. It can be inferred that the future development of medium- and small-sized container ports in Korea is not very likely. The study also suggests that the CR and the shift effect of the Korean container ports for the cargos by the domestic O/D regions should be analyzed in the future to suggest policy implications in great detail.

      • 컨테이너항만의 서비스품질이 항만의 고객만족도와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상해항의 사례를 중심으로

        박승락 청주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15 경상논총 Vol.8 No.1

        본 논문에서는 SERVQUAL 모형을 활용하여 상해항 컨테이너터미널의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 하였다. 우선 컨테이너항만의 서비스 품질과 고객충성도에 대한 기존의 선행연구들을 고찰하였고, 상해항 컨테이너터미널의 사례분석을 통하여 컨테이너터미널의 서비스품질과 고객만족도 및 충성도의 상관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 하였다. 컨테이너항만의 서비스 품질 척도를 개발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5개의 서비스 품질 요인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5개의 서비스 품질요인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위해 상해항 컨테이너 터미널의 주요 이용자인 선사, 화주 및 물류회사를 대상으로 항만으로부터 제공받는 서비스 성과에 대한 지각을 측정함으로써 항만컨테이너 터미널의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도 및 고객충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초점을 두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해항 컨테이너 터미널의 항만 물류서비스 품질은 항만의 고객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다. 둘째, 상해항 컨테이너터미널의 물류서비스에 대한 고객만족도는 항만의 고객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상해항의 고객만족도가 높아질수록 고객충성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해항 컨테이너터미널의 경우 물적 시설 제공 중심의 유형성 품질요인과 대응성 품질요인 보다는 이 더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곧 상해항 컨테이너 터미널은 앞으로 고객들에게 유형성과 대응성 관련 물류서비스 품질 요인들 보다는 확신성, 신뢰성, 공감성 관련 서비스 품질요인에 우선적으로 노력을 경주해야 고객들로부터 보다 큰 만족과 충성도를 확보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그 동안 일반 서비스품질 연구에서 이용되어 오던 연구모델 및 연구가설을 컨테이너항만분야에 새롭게 적용하여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함으로써, 컨테이너항만 물류서비스 품질 연구 분야에서 과학적인 연구를 위한 하나의 방법론을 제시함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하겠다. 또한 본 연구의 시사점들은 부산 신항만을 중심으로 상해항만 같이 세계적인 허브항만을 목표로 하는 우리나라 부산항의 항만정책 수립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글로벌 컨테이너 항만 물동량의 구조적 변화에 관한 연구(2003~’19) - 세계 100대 컨테이너 항만을 대상으로

        이충배(Choong-bae Lee),이영신(Young Shin Lee),유염봉(Yanfeng Liu) 한국항만경제학회 2021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37 No.3

        컨테이너 항만의 역할은 해상운송을 지원하는 동시에 해륙을 연결하는 공급사슬의 중심적 위치를 점함으로써 교역과 국가 또는 지역 경제활성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항만의 물동량은 지리적, 경제적, 운영적 요인 등에 의해 성과(물동량)이 좌우된다. 지난 수십년간 컨테이너 항만별 물동량은 변동성을 유지하면서 성장하여왔다. 본 연구는 글로벌 항만이 지역별, 규모별, 시기별로 물동량에서 어떤 변화를 겪어 왔는지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을 위해 글로벌 100위의 항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방법론으로는 변이할당분석과 BCG 매트릭스 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전체적으로 지난 16년간 항만 물동량의 상대적 변동성은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경제적으로 성장기에 있는 중국과 동남 및 서남아시아의 항만들은 성장세를 나타낸 반면 동북아, 유럽 등의 항만들은 정체 또는 쇠퇴기에 접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통해 볼 때 대부분의 글로벌 항만들은 이미 해당 지역에서의 중심항으로 자리매김하고 있기 때문에 낮은 물동량의 변동성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글로벌 항만 물동량은 해당 지역 또는 국가의 경제적 역량의 변화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role of container ports contributes greatly to international trade and national or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by supporting maritime transportation and occupies a central position in the supply chain connecting sea and land. The performance(traffic volume) of a port generally depends on geographic, economic, and operational factors etc. For the past several decades, container port volumes have grown with fluctuation. This study amis to analyze how global ports have undergone changes in terms of cargo volume by region, size and period. For the analysis, only the volumes of global top 100 ports were used. Shift-share analysis and BCG matrix analysis were employed as methodologi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relative volatility of port traffic over the past 16 years as a whole was found to be limited. On the other hand, ports in China and Southeast and Southwest Asia, which are economically growing for the last decades, showed growing trends, while ports in Northeast Asia and Europe appeared to be in a stagnant or declining phase. It also shows that most of the global ports maintain limited changes in cargo volume because they are already positioned as central ports in the region.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global port volume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change in the economic capability of the relevant region or country.

      • KCI등재

        한-중 컨테이너항만 수출입물동량의 구조적 변화에 관한 연구

        유염봉(Liu, Yan-Feng),이충배(Lee, Choong-Bae) 한국물류학회 2019 물류학회지 Vol.29 No.2

        지난 수십 년간 한중 경제관계의 진전과 더불어 양국간 컨테이너 물동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왔으며, 양국의 각 항만의 물동량은 교역관계 및 지리적 요인으로 인해 커다란 변동성을 보여왔다. 이러한 항만간 물동량의 변동성은 항만물류업체에게는 비즈니스 관점에서 그리고 항만정책당국자들에게는 항만 정책 등에서 의사결정에 중요한 요소이다. 컨테이너물동량의 증감은 항만의 경쟁력을 의미하며, 항만 경쟁력은 물동량의 이동과 유치에 중요한 요인이 된다. 따라서 항만물동량의 구조적 변동성 분석은 항만물류연구에서 중요한 과제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한중간 항만 물동량의 구조적 변동성에 대한 추이를 분석하여 항만운영 및 정책에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컨테이너 항만과 중국 항만들간 물동량의 변동성과 추이를 HHI지수, 변이할당효과, 입지계수를 분석하고 이를 BCG매트릭스에 포지셔닝하고 이를 토대로 컨테이너 화물유치 전략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의 대중국 컨테이너 화물의 집중도는 점차 하락하였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컨테이너 항만인 부산항과 광양항으로의 컨테이너 화물공급원으로서의 중국 항만들은 대부분 대형 항만들에서 상대적 비중(LQ계수)이 높고 정(+)의 변동성(변이할당량)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인천항의 경우는 규모뿐만 아니라 지리적 근접성이 항만의 물동량 비중과 증가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With the progress of Korea-China economic relations, the container trade volume between the two countries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during last several decades. The trends of container cargo volume between international ports are an important factor for port and logistics companies as well as port authorities. Development of container cargo volume is closely related to the competitiveness of port, on the other hands port competitiveness i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determinants for movement of cargo volume. Therefore, structural volatility analysis of port throughput flow between country’s ports is an important issue in port logistics research.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implications for port operation and policy by analyzing the trends of structural volatility of container trade volume between Korea and China during 2003∼2017. For this purpose, it is analyzed the volatility and trends of the container trade volume between ports of the two countries. Several analysis methods such as HHI index, shift-share analysis and location quotient are employed for the BCG matrix analysis, which present the port strategies for attracting container cargoes for Korean container por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e concentration of container cargo from Chinese ports to Korean ports has gradually decreased. Most of Chinese ports as supplying sources of container cargo for Busan, Incheon and Gwangyang port have a high relative proportion (LQ coefficient) in large ports and a high growth rate (shift-share effects). On the other hand, the port of Incheon has a high proportion of the container cargo and growth rate in Chinese ports with geographical proximity in addition to scale of port.

      • KCI등재후보

        부산시의 컨테이너세 징수에 관한 연구

        김공원(Kong-Won Kim),곽규석(Kyu-Suk Kwak),김근섭(Geun-Sub Kim) 한국항해항만학회 2002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26 No.2

        부산항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사회간접자본시설로서 국가경제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수행해 왔다. 그러므로 항만관련시설들의 상호보완적인 시스템화를 통하여 부산항을 세계 제일의 물류기지로 발전시켜 향후 동북아 물류중심항으로의 기능을 원만히 수행할 수 있도록 정부가 부산항 항만배후도로의 시설주체가 되어야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부산항의 발전을 저해하는 컨테이너세의 문제점과 폐지에 관한 현실적인 접근을 통해 컨테이너세와 그 용도에 관한 분석 및 현황파악을 바탕으로 컨테이너세의 타당성 여부를 검토하여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항만에서 역외 고속도로까지를 연결하는 항만배후도로는 항만의 일부분이므로 정부가 시설투자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 둘째, 컨테이너세를 징수함으로써 화주와 선사는 수출입 물류비와 함께 컨테이너세를 추가적으로 지불하여 상당한 비용적 부담을 안고 있다. 셋째, 공컨테이너 또는 환적컨테이너의 수출입 비중은 상당히 높아, 부산시 교통체증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나, 부과대상에서 제외되고 있어 컨테이너세 부과대상의 형평성에 크게 어긋나고 있다. 넷째, 동북아 물류허브항만이 되기 위하여 중국, 대만, 일본의 경쟁항만들은 항만비용의 절감을 통해 경쟁력을 향상시키고 있는 반면, 부산항은 컨테이너세라는 추가적인 세금을 부과함으로써 가격 경쟁력의 약화를 가져와 동북아 물류허브항만으로 육성하기 위한 전략에 큰 차질을 빚고 있다. Busan Port which is the representative social overhead capital facilities for international trade of goods has been the driving force for economic development in Korea. Therefore, the central government should play the major role in building a rear road to Busan Port in order that it may function as a mojor port of Northeastern Asia through the systemization of mutual assistance among connected facilities, completely equipped with port-related facilities befitting to the principal port of imports and exports. In this study, the validity of container tax is being examined, analyzing container tax which is considered as an obstacle to the development of Busan Port and its purpose, and grasping the present conditions by the realistic speculation on container tax issues and its abolition. First, the port rear road as a social overhead capital facilities, which connects port and expressway, should be considered as part of port, and port is social overhead capital invested by government. Second, the Busan City imposes taxes on container. As result, a shipper and a shipping company are paying a double charge by paying container tax with port dues. Third, Empty container and Tranship container are the factor of Busan city traffic jam but their was excluded from container tax. This is deviate from equilibrium of the tax object. Forth, it has bad influence upon the competitiveness of Busan Port as Northeastern logistics base, as other ports who are competing with Busan Port like China, Taiwan, Japan’s port make their competitiveness strong by decreasing the cost of port dues.

      • KCI등재

        컨테이너 터미널 하역요금 인가제가 항만운송시장에 미치는 영향 연구

        최진이(Choi Jin Yi) 한국지방정부학회 2016 지방정부연구 Vol.19 No.4

        국가간 교역에 있어 주된 운송수단은 선박이며, 세계 교역량의 약90%이상은 선박을 이용한 해상운송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 결과 항만은 국민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공공재(public goods)로서의 성질을 가지며 이러한 항만의 특성상 해운업, 항만운송, 항만하역업 등의 항만관련 산업은 대체로 공익성을 갖는 산업분야에 해당한다. 이러한 공익산업분야는 자원의 효율성에 거의 모든 초점이 맞춰져 있는 일반산업분야와는 달리, 자원의 효율성도 중요하지만 공공의 이익이 특히 강조되는 산업분야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한정된 항만물동량과 항만하역 화물수요에 비하여 국내 항만시설(특히 컨테이너 터미널)은 포화상태에 있다. 그 결과 해운선사는 하역시장에서 우월적 지위를 점하게 되었고, 선사들은 이러한 시장지위를 이용하여 하역요금 요율쇼핑(rate shopping)을 하거나, 하역요금의 인하를 요구함으로써 항만운영사간에 하역료 덤핑이라는 심각한 불공정 영업관행을 초래하였다. 항만운영사간의 과당경쟁과 하역요금 덤핑은 항만하역시장의 질서를 문란케 하여 시장왜곡현상을 초래하였고, 항만운영사의 채산성을 악화시키는 것은 물론, 외국적 선사가 다수인 것과 맞물려 국부유출문제와 함께 국내 컨테이너 터미널의 국제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지적되어 왔다. 이에 정부는 컨테이너 전용부두에서 취급하는 컨테이너 화물에 대하여는 신고제로 운영되고 있는 하역요금 결정방식을 인가제로 전환하는 것을 골자로 『항만운송사업법』을 개정하고(2014.3.24), 항만별 인가요금(표준요금)을 산정함으로써 그동안 선사와 항만하역사간 ‘뜨거운 감자’였던 컨테이너 하역요금 인가제가 7월 1일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국내에서 처리되는 연간 컨테이너 물동량의 약76%가 처리되고 있는 부산항을 중심으로 컨테이너 터미널에서의 인가요금제가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그리고 항만운영사(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사) 및 선사(화주) 등 이해관계자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인지를 분석하고, 항만운송시장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Since on Feb. 1999, The stevedoring charges system of Container Terminal has changed over the reported price system from approval price system. After then, The reported price system was motivated terminal operator to compete. But that price system was caused excessive competition among the terminal operating companies. And also the competition was focused on rate-cutting. As it were, the terminal operators were competing in price reduction. Compared with the amount of freight, the Container Terminals have been an excessive supply. Therefore the circumstances of stevedoring market has been under the excessive competition among the operating companies. Today, the competition for hub-port among the countries is getting fierce. and the shipping liners have being strengthened bargaining power Compared to operators through the mergers & acquisitions (M&A) and strategic alliances. As a result It caused the competition among terminal operators to attract shipper and cargoes to their terminals. The main reason of fierce competition between terminal operators can be found follow; In demand side, whereas in cargo volume is limited, in supply side, due to the oversupply of port facilities. In particular, the terminal operating market of Busan port has been distorted because of the cargo competition between Busan North port and Busan-newpor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stabilization measures of container terminal operating market in Busan port through analysis of the port transport market structures.

      • KCI등재

        동북아 항만도시의 성장과 재구조화: 부산항을 중심으로

        백두주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rban growth and restructuring process of Busan, a representative port city in Northeast Asia, focusing on the dynamic change of Busan Port.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nvironmental factors that promote the functional transformation of the port and the restructuring of urban space are containerization and globalization that have been in full swing since the 1970s. Containerization has increased the size of container ships and strengthened the power of transnational shipping companies and alliances. Port cities had to realize their ability to adapt to new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initial containerization process, Busan Port has grown into a container-specialized port with an overwhelming share of the nation's import and export container cargo volume. Second, in response to these environmental factors, Busan expanded the port-related infrastructure along with the phased development of the container pier. The factors for the increase in cargo volume were the state-led export-oriented industrialization, the high 'intermediacy' of Busan Port, and the strategy of transnational shipping companies. The pressure factors for port city restructuring were congestion of ships and freights due to lack of port facilities, the rise of traffic and environmental problems, and competition for hub ports in Northeast Asia. Third, the restructuring of the port city in response to the above pressure factors realized port relocation and redevelopment of the North redevelopment in Busan port. As a result, the future direction and content of the future and spatial evolution of the port city of Busan will depend on how it demonstrates its ability to adapt to risks and opportunities surrounding the city. 본 연구의 목적은 동북아지역의 대표적인 항만도시인 부산의 도시성장과 재구조화 과정을 부산항의 역동적 변화에 초점을 두고 규명하는 것이다. 항만도시들은 흐름의 집중과 분산의 긴장 사이에서 진자운동을 한다. 따라서 장소와 흐름의 다양한 발전논리, 상호작용, 갈등, 조정 그리고 적응하는 방식을 도시의 성장궤적에 따라 분석하는 것은 매우 의미있는 연구주제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항만의 기능적 전환과 도시공간의 재구조화를 촉진하는 환경적 요인은 1970년대 이후 본격화된 컨테이너화와 그에 따른 세계화이다. 컨테이너화는 선박의 대형화, 초국적 선사 및 동맹의 권력을 강화시켰다. 항만도시들은 새로운 환경변화에 적응능력을 발휘해야 했다. 부산항은 초기 컨테이너화 과정에서 전국 수출입 물동량의 압도적 점유율로 컨테이너 특화 항만으로 성장해 나갔다. 둘째, 이와 같은 환경적 요인에 부산은 컨테이너부두의 단계적 개발과 더불어 항만과 연계된 기반시설도 확충해 나갔다. 그러나 지속적인 항만개발에도 불구하고 컨테이너 물동량은 시설능력을 초과하여 급격히 증가했으며, 이러한 물동량의 증가요인은 국가주도의 수출지향적 산업화, 부산항의 높은 ‘중개성’, 초국적 선사들의 기항 전략의 산물이었다. 항만도시의 재구조화 압력요인은 시설부족으로 인한 체선・체화심화, 교통・환경문제의 대두, 동북아 허브항만 경쟁 등이 작용했다. 셋째, 위와 같은 압력요인에 대응한 항만도시의 재구조화 결과는 항만이전과 기존 항만의 재개발이었다. 전자는 대규모 신항개발로 현실화되었으며, 후자는 기존 항만인 북항재개발의 추진이다. 북항재개발은 항만과 도시 관계를 재인식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 결과적으로 향후 부산의 미래와 공간적 진화의 방향 및 내용은 항만도시를 둘러싼 위험과 기회요인에 대해 어떤 방식으로 적응능력을 보이는가에 좌우될 것이다.

      • KCI등재

        컨테이너항만의 SCM 구성요인이 항만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선구 ( Sun Gu Kim ),최용석 ( Yong Seok Choi ) 한국해운물류학회(구 한국해운학회) 2014 해운물류연구 Vol.30 No.1

        본 연구는 컨테이너항만의 공급사슬관리 구성요인을 도출하고 그 요인들이 컨테이너항만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컨테이너항만의 SCM 구성요인으로 내부 시스템적 중심의 운영효율성, 조직학습, 항만네트워크와 비즈니스 파트너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하는 신뢰성, 정보공유성, 대응성을 도출하였다. 선행연구와 변수들 간의 관계를 고려하여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고,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설정된 연구모형과 가설은 다중회귀분석으로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공급사슬 구성원간의 상호작용 관점의 대응성 요인이 컨테이너항만의 SCM 구성요인 중 항만성과에 가장 영향력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항만효율성, 신뢰성은 동적 항만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항만네트워크는 정적 항만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an exploratory research for developed measurement instrument and measuring performance of container port in supply chains. To achieve this purpose, six determinants of performance of container port in SCM`s perspective were derived in integrating perspective: reliability between business partners, responsiveness, information share, efficiency of operating system, learning of organization, and port logistics network. This study developed a valid and reliable measurement instrument for performance of container ports and determinants of SCM`s perspective based on literature reviews. Then empirical research was made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and verifi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responsiveness was found to have mostly a positive influence on performance of container port.

      • KCI등재

        항만요율의 컨테이너 물동량에 대한 영향 분석

        최봉호,김영근 한국자료분석학회 201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2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general influence of port tariff on trading volume of container volume, and to induce policy implications. The method of analysis is panel data analysis based on a data set of 14 container ports. The result of analyses shows that the influence of port tariff on trading volume of container volum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negative. In addition, the results also confirmed generally negative relationships between port tariff and trading volume of container volume. It means that port tariff is an important factor to influence trading volume of container. Therefore, we can conclude that port tariff is preferentially carried with policy subject to rais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container port. 본 연구의 목적은 세계의 주요 항만을 대상으로 항만 요율이 컨테이너 물동량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분석방법은 시계열자료와 횡단면자료를 통합하여 패널자료를 이용한 패널분석기법을 사용하였다. 추정결과 추정 모형 모두에서 총 항만요율은 컨테이너 물동량에 대하여 부(-)의 영향을 미치며 통계적 유의수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항만 요율은 항만 사용에 대한 총비용을 증가시켜 항만에 대한 수요를 감소시킴으로써 컨테이너 물동량의 감소를 초래함을 의미한다. 이는 항만 요율이 컨테이너항만의 수요에 영향을 미쳐 항만 간에 주요한 경쟁 요인임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항만요율이 컨테이너 물동량 결정에 있어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한 점은 각국의 향후 항만경쟁력 확보 및 컨테이너 물동량 유치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항만 정책 수립에 시사점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