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물류요인이 텐진항만 배후지역의 수출입에 미치는 영향

        유염봉(Yan-Feng Liu),소막(Miao Su),이충배(Choong-Bae Lee) 한국무역연구원 2021 무역연구 Vol.17 No.1

        Purpose This study analyzes the logistics determinants of import and export volume in the hinterland of Tianjin Port. Design/Methodology/Approach The panel data analysis is used to provide empirical evidence of significantly impacts of economic and logistics performance. Panel data are employed such as regional economy, logistics and dummy variables such as whether or not to have a dry port in 80 hinterland cities in the 12 administrative districts of Tianjin Port during 2002 and 2017. Findings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economy and logistics factors play significant roles in determining the volume of imports and exports in the hinterland of Tianjin Port. Research Implications Logistics infrastructure including an inland port as it contributes to better logistics performance should be constructed in the hinterland of port since it has significantly a positive effect on the increasing volume of imports and exports.

      • KCI등재

        한-중 컨테이너항만 수출입물동량의 구조적 변화에 관한 연구

        유염봉(Liu, Yan-Feng),이충배(Lee, Choong-Bae) 한국물류학회 2019 물류학회지 Vol.29 No.2

        지난 수십 년간 한중 경제관계의 진전과 더불어 양국간 컨테이너 물동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왔으며, 양국의 각 항만의 물동량은 교역관계 및 지리적 요인으로 인해 커다란 변동성을 보여왔다. 이러한 항만간 물동량의 변동성은 항만물류업체에게는 비즈니스 관점에서 그리고 항만정책당국자들에게는 항만 정책 등에서 의사결정에 중요한 요소이다. 컨테이너물동량의 증감은 항만의 경쟁력을 의미하며, 항만 경쟁력은 물동량의 이동과 유치에 중요한 요인이 된다. 따라서 항만물동량의 구조적 변동성 분석은 항만물류연구에서 중요한 과제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한중간 항만 물동량의 구조적 변동성에 대한 추이를 분석하여 항만운영 및 정책에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컨테이너 항만과 중국 항만들간 물동량의 변동성과 추이를 HHI지수, 변이할당효과, 입지계수를 분석하고 이를 BCG매트릭스에 포지셔닝하고 이를 토대로 컨테이너 화물유치 전략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의 대중국 컨테이너 화물의 집중도는 점차 하락하였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컨테이너 항만인 부산항과 광양항으로의 컨테이너 화물공급원으로서의 중국 항만들은 대부분 대형 항만들에서 상대적 비중(LQ계수)이 높고 정(+)의 변동성(변이할당량)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인천항의 경우는 규모뿐만 아니라 지리적 근접성이 항만의 물동량 비중과 증가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With the progress of Korea-China economic relations, the container trade volume between the two countries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during last several decades. The trends of container cargo volume between international ports are an important factor for port and logistics companies as well as port authorities. Development of container cargo volume is closely related to the competitiveness of port, on the other hands port competitiveness i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determinants for movement of cargo volume. Therefore, structural volatility analysis of port throughput flow between country’s ports is an important issue in port logistics research.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implications for port operation and policy by analyzing the trends of structural volatility of container trade volume between Korea and China during 2003∼2017. For this purpose, it is analyzed the volatility and trends of the container trade volume between ports of the two countries. Several analysis methods such as HHI index, shift-share analysis and location quotient are employed for the BCG matrix analysis, which present the port strategies for attracting container cargoes for Korean container por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e concentration of container cargo from Chinese ports to Korean ports has gradually decreased. Most of Chinese ports as supplying sources of container cargo for Busan, Incheon and Gwangyang port have a high relative proportion (LQ coefficient) in large ports and a high growth rate (shift-share effects). On the other hand, the port of Incheon has a high proportion of the container cargo and growth rate in Chinese ports with geographical proximity in addition to scale of port.

      • KCI등재

        ‘일대일로’ 이니셔티브하의 중국 해외교통인프라 투자의 지정학과 SWOT-PEST 분석

        유염봉 ( Yanfeng Liu ),이충배 ( Choong-bae Lee ) 한국통상정보학회 2019 통상정보연구 Vol.21 No.3

        중국의 급속한 경제발전과 더불어 중국의 해외직접투자도 증가하여 왔다. 2017년 기준으로 중국의 해외직접투자 누적액은 미국에 이어 세계 2위를 차지하였다. 특히 시진핑 정부의 ‘일대일로’ 이니셔티브는 교통인프라에 대한 해외투자의 급속한 증가의 동인이 되고 있다. 중국의 해외교통인프라투자는 주로 국영기업에 의해 주도되고 지정학적 요소를 고려하여 추진되고 있다. 본 연구는 AEI(American Enterprise Institute)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일대일로’ 이니셔티브 하의 중국 해외투자 현황과 특징을 분석하고, 해외교통인프라 투자의 사례분석을 통해 지정학적으로 분석한다. SWOT-PEST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중국의 해외투자의 대내외적 강·약점과 기회 및 위협적 요소를 분석해 시사점 제시에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중국의 해외교통인프라투자는 주로 유럽과 중서부 및 동남아시아 지역의 개도국에 집중되어 있으며, 경제적 수익성뿐만 아니라 정치 및 군사적 측면도 동시에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정학적인 측면에서의 고려요인으로는 에너지 자원과 안전한 해양 및 무역경로 확보, 대외 영향력 확대 등이 중요하다. 그러나 중국의 ‘일대일로’ 이니셔티브에 기반한 교통인프라에 대한 해외투자는 투자수혜국의 정치·경제·환경에 대한 문제를 야기시키는 동시에 미국, 일본, 인도 등 주변 강대국으로부터 정치·군사적 우려와 견제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long with China's rapid economic development, its foreign direct investment has increased significantly. As of 2017, China's foreign direct investment stood at $ 158.9 billion, ranking second in the world just behind the United States. In particular the Xi Jinping government's ‘One Belt One Road’ initiative has led to a rapid increase in overseas investment in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China’s overseas investment in transport infrastructure is mainly driven by state-owned enterprises, taking into account geopolitical factors more than economic ones for China's overseas expansion. This study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China's overseas investment in overseas transport infrastructure under the 'One Belt One Road’ initiative by using data from the American Enterprise Institute(AEI), and analyzed the geopolitical aspects by selecting representative cases of China's investment in overseas’ transport. Based on the status and the case studies of China’s overseas investment, the SWOT-PEST method is employed suggesting implications for Korea's overseas expansion by examining the internal and external strengths, weaknesses, opportunities and threats of China's overseas investment. As a result, China's overseas infrastructure investment mainly is focused on Europe and on developing countries in the Midwest and Southeast Asia, and considers not only economic profitability but also political and military aspects. In geopolitical considerations, it is of importance to secure energy resources, safe maritime and trade routes, and expand external influences. However, foreign investment in transport infrastructure based on China's “One Belt One Road" initiative has caused serious problems in terms of the politics, economy, and environment of the beneficiary countries, and has been kept in check with political and military concerns from the neighboring powers including United State, Japan and India.

      • KCI등재

        인천국제공항 환적화물의 변동성과 화물유치전략

        유염봉(Yanfeng Liu),이충배(Choong-bae Lee) 한국통상정보학회 2020 통상정보연구 Vol.22 No.1

        글로벌화와 전자상거래의 발전과 더불어 항공운송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중국, 일본, 한국을 포함하는 동북아시아 지역에서 항공물동량의 증가가 두드러지면서 인천국제공항을 경유하는 환적물동량도 늘어나고 있다. 국제화물운송량 처리에서 세계 3위를 차지하고 있는 인천공항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환적물동량 유치가 핵심적인 요소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인천공항 환적화물의 O/D 경로에서의 물동량 변동성 분석과 화물유치전략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6-2017년간 환적데이터를 활용하여 기종점분석, 변이할당분석, 포트폴리오 분석기법을 활용한다. 연구결과 인천공항 환적물동량은 중국발 인천공항 환적을 통해 미국으로 향하는 물동량이 가장 높은 비중과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출발공항은 HongKong, PuDong, GuangZhou이며 도착공항은 Los Angeles, New York, Chicago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주요 마케팅 활동 대상 공항은 BCG분석의 물음표에 속한 Frankfurt, Tianjin, Kansai, Tokyo 공항이다.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중국 화물의 유치를 위해 전자상거래와 신선제품의 환적환경의 개선과 개별 항공사와 물류업체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해 나가야 할 것이다. With the development of globalization and e-commerce, the demand for air transportation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Due to the increase in air traffic volume in Northeast Asia including China, Japan and Korea, transshipment cargo via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is also growing. Attracting transshipment cargo volume has become a key factor in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which is the world s third largest airport in terms of international cargo volume handl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olatility of transhipment air cargoes on the basis of O/D(Origin and Destination) routes and suggest strategies for attracting them at Incheon Airport. To do this, we use the transshipment data during 2006-2017 employing several methods such as O/D analysis, shift-share analysis and portfolio analysis. In conclusion it shows the highest proportion and increase in terms of transhipment volume from China via Incheon Airport in transit to the United States. The major airports targeted for marketing activities are as follows; Frankfurt, Tianjin, Kansai and Tokyo airports, which are situated at the question mark of the BCG analysis. In order to attract China s cargo, which takes up the largest por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facilities and improve institution facilitating transhipment for the cargoes by e-commerce and fresh products and strengthen incentives for individual airlines and logistics companies.

      • KCI등재

        A Study on Classification and Development Model of Chinese Inland Ports on the Route of ‘One Belt One Road’

        Yanfeng Liu(유염봉),Choong-bae Lee(이충배) 한국국제상학회 2018 國際商學 Vol.33 No.3

        Ⅰ. 서론 Ⅱ. 내륙항 선행연구와 중국 내륙항 현황 Ⅲ. 내륙항 유형화 분석 Ⅳ. 내륙항 발전모델 Ⅴ. 결론 참고문헌 2013년 중국 정부에 의해 제안된 ‘일대일로’ 이니셔티브는 과거 해양과 육상실크로드를 재현함으로써 중국의 꿈을 실현하고자 하는 대내외 정책의 일환이다. 특히 중서부지역의 낙후된 경제를 개선할 수 있는 정책 실현을 목표로 하고 있다. 즉 중국 내륙지역이 갖는 대외무역에서의 단점을 극복함으로써 해외자본의 유입과 수출입을 촉진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를 위해 내륙의 수출기지와 항만간 그리고 내륙의 주변국가들을 지리적이고 물리적으로 원 활하게 연결시켜 주는 시설이 바로 내륙항이다. 중국은 중서부 지역과 국경지역에서 해양항 만 또는 유라시아대륙의 내륙국가로의 수출에서 발생하는 운송비용, 통관문제, 환적, 혼재 등 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2000년대부터 이 지역에 내륙항을 개발해왔다. 본 연구는 중국 내륙항의 유형화를 통한 비교와 이를 토대로 발전모델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중국 전체 45개 내륙항을 대상으로 인프라, 입지, 경제력, 정책 및 제도, 경쟁력의 요인을 활용하여 유형화 분석을 하고, 이를 근거로 각 권역의 내륙항을 SWOT분석을 통해 발전모델을 제시한다. 연구결과 대부분의 유형화 요인에서 ‘일로’ 노선상의 내륙항이 ‘일대’ 내륙항에 비해 경쟁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경제 및 정책적인 환경 즉 ‘일대일로’ 정책과 ‘서부대개발’ 등을 고려할 때 ‘일대’ 내륙항의 발전 잠재력은 더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우리나라 물류기업들의 내륙항을 중심으로 한 물류거점 지역으로 진출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정보기술 역량이 공급사슬통합과 위험관리에 미치는 영향

        이충배(Choong-Bae Lee),유염봉(Yanfeng Liu),김현중(Hyun-Chung Kim) 한국통상정보학회 2021 통상정보연구 Vol.23 No.2

        글로벌화와의 진전, 정보기술의 발전 그리고 기업간 경쟁의 심화로 인해 공급사슬의 위험관리는 기업에게 도전이자 경쟁력 우위를 위한 기회 요인이 되고 있다. 공급사슬위험은 많은 경우 대내외적인 환경의 불확실성과 상호간의 관계 즉 신뢰성 또는 커뮤니케이션의 부재에서 비롯된다. 따라서 기업은 조직간 커뮤니케이션의 활성화를 통해 공급사슬 구성원간 정보의 교환, 공유, 통합을 통한 조정과 협업은 공급사슬위험관리를 위해 핵심과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기술의 역량이 공급사슬 통합을 경유해 공급사슬위험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결과 정보시스템의 활용성과 정보공유 능력으로 대별되는 정보기술의 역량은 공급사슬통합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또한 공급사슬통합은 공급사슬위험관리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유의수준 내에서 모두 채택되었다. 이는 공급사슬위험관리에서 정보기술역량의 중요성을 입증해주고 있다. 따라서 최근의 코로나-19와 같은 우발적이고 엄청난 파급효과를 가져오는 위험요소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공급사슬 전반에 걸쳐 정보기술의 역량을 강화시키기 위해 공급사슬위험관리 정보시스템의 구축이 요구된다. With the progress of globalization,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intensification of competition among companies, supply chain risk management is becoming a challenge for companies and an opportunity for their competitive advantage. Supply chain risk in many cases arises from uncertainties in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and the mutual relationship, that is, the lack of trust or communication. Therefore coordination and collaboration through the exchange, sharing, and integration of information among supply chain members through the vitalization of inter-organizational communication is becoming a key task for supply chain risk manag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information technology capabilities on supply chain risk management through supply chain integration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hypothesis that the capability of information technology, which is broadly classified into the usability of information system and the ability to share information, has a positive (+) effect on supply chain integration, and that supply chain integration will affect supply chain risk managemen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proves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competency in supply chain risk management. Therefore, the establishment of a supply chain risk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is required to strengthen the capabilities of information technology throughout the supply chain in order to effectively manage risk factors that have an accidental and enormous ripple effect, such as the recent COVID-19.

      • KCI등재

        부산항의 환적경쟁력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이주원(Joo Won Lee),유염봉(Yanfeng Liu),이충배(Choong Bae Lee) 한국국제상학회 2021 國際商學 Vol.36 No.4

        본 연구에서는 해운항만의 환경 변화에 따른 환적 결정요인이 부산항 컨테이너 환적물동량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환적경쟁력의 확보 전략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대부분의 기존연구가 질적연구방법에 의한 환적경쟁력 요인 분석을 실시한 반면 본 연구는 패널분석을 통한 계량적 방법을 활용하였다. 부산항 환적물동량을 종속변수로 하고 대상항만물동량, 거리, 선박대형화, 얼라이언스영향력, 벙커C유 가격, 운임율, 환적처리비용, 항만네트워크수, 선석생산성, 인센티브 금액을 독립변수로 활용하였다. 실증분석결과 부산항의 환적대상항만 컨테이너 수출입물동량은 부산항 환적물동량 증가에 유의한 결과를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대외적 요인에서는 선박대형화, 얼라이언스영향력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내적 요인에서는 부산항의 선석생산성, 항만네트워크수가 환적물동량에 정(+)의 영향력이 도출되었다. 반면 환적인센티브는 환적물동량에 부(-)의 영향이 나타났다. 부산항 환적물동량 증대를 위한 전략으로는 첫째, 부산항 환적화물과 연계된 주요 국가 항만의 수출입컨테이너물동량 증가가 부산항 환적물동량 증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어 이들 항만을 대상으로 한 적극적인 항만마케팅 및 정기항로 서비스를 확대해 나가야 할 것이다. 두 번째로 선박대형화 및 글로벌얼라이언스 영향력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어 글로벌선사의 초대형선박이 부산항에 지속 기항할 수 있도록 시설개발 등 항만인프라 확대가 요구된다. 세 번째로 선석생산성 향상에 대한 노력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환적인센티브는 예상과 달리 부산항 환적물동량 증가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어 환적인센티브 실효성 검증과 더불어 제도 개선 방안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trategies for strengthening transshipment competitiveness by analyzing the effects of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container transshipment volume of Busan Port. In order to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cargo volume, which is the transshipment competitiveness of Busan Port, the panel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setting the transshipment volume of Busan Port as a dependent variable and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of Busan Port s transshipment competitiveness as independent variables during 2001 and 2018.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10 variables: transshipment handling cost, transshipment incentive, number of port networks, berth productivity, vessel enlargement, shipping alliance influence, oil price, freight rate, container import/export volume of target port and geographical distance. It was analyzed that the import and export volume of containers of partner por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ransshipment volume of Busan Port. The external factors such as mega-trend of vessel and influence of allianc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internal factor such as berth productivity and port connectivity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cargo volume of Busan Port. On the other hand, the incentive money for transhipment which used to provide to shipping company from Busan Port Authority until 2017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transshipment volume of Busan Port. It was suggested several strategies to attract transshipment container cargo including the expansion of container liner services and progressive marketing strategies, development of port infrastructure, enhancement of berth productivity. Lastly but not least, since transshipment incentives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transshipment volume of Busan Port, further researches on how to improve the system as well as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ransshipment incentives should be carried out.

      • KCI등재

        코로나19 하에서 글로벌 공급사슬 위험관리전략에 관한 연구‡ 3)4)

        이충배(Choong-Bae Lee),유염봉(Yanfeng Liu),노진호(Jin-Ho Noh) 한국국제상학회 2020 國際商學 Vol.35 No.4

        기업의 경영활동이 글로벌화되고 적시생산체제(JIT)로 운영되면서 공급사슬이 복잡해졌으며, 이로 인해 다양하고 심각한 위험에 노출되고 있다. 위험관리를 어떻게 수행하느냐는 위험의 발생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위험요인에 대한 분석과 전략방안을 규명하는 것은 기업의 경쟁력에 핵심요소가 될 것이다. 본 연구는 공급사슬위험의 분야별 위험요인의 중요도를 도출하고 요인별 선호 전략과의 관계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은 계층분석(AHP)방법과 중요도-성과(IPA) 분석법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공급사슬위험요인의 분야로 수요와 공급부문의 위험요인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위험요인에 대한 경감전략에서 기업들은 수요의 변동성, 법률과 정책변화, 각종재해 등과 같은 기업이 통제하기 어려운 분야는 수용전략을 활용하는 반면 통제가 가능한 요소인 재고부족, IT시스템 장애 등은 감소전략을, 그리고 상대기업의 문제에서 비롯된 요인에 대하여는 전가전략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urpose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risk factors for each sector of the supply chain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factors and preferred strategies.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IBM SPSS 25.0 was used for demographic analysis of questionnaire data,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and IPA analysis were conducted to compare the importance and preferences of the businesses and expert groups. Further, AHP analysis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relative risk importance of factors for mitigating supply chain risk by employing the Expert Choice 11 statistical program. Results : The risk factors in the supply and demand sectors are crucial. In the mitigation strategy to reduce risk, it was found that companies follow acceptance strategies in areas that are difficult to control, such as volatility in demand, changes in laws and policies, and natural disasters. On the contrary, companies tend to use a reduction strategy for controllable factors such as inventory shortages and IT system failures, and imputation strategies for factors arising from problems with business partners. Conclusions : Companies show a high tendency to use risk mitigation strategies considering the possibilities and interests that they can control for various supply chain risks. This suggests that companies eventually prefer or use strategies that are consistent with the ultimate purpose of the business.

      • KCI등재

        우리나라 주요항만의 품목별 특화도와 물동량의 변동에 관한 연구

        이충배(Choong-bae Lee),소막(Miao Su),유염봉(Yanfeng, Liu) 한국항만경제학회 2021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37 No.1

        우리나라 항만은 배후 산업과 연계 된 산업항, 수출입을 지원하는 무역항 등의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면서 물동량이 증가하여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항만별/화물별 화물의 집중도, 특화도 그리고 물동량의 상대적 변동성에는 많은 차이가 존재하고 있다. 본 연구는 품목별 항만 물동량의 구조적 변동성을 집중도, 특화도, 변이할당분석을 통해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 기간은 2001∼2020년이며 항만은 전체 물동량 기준으로 상위 10개 항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화물의 유형은 4가지 액화, 건화물, 일반화물, 컨테이너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다. 집중도, 특화도와 화물량의 변동성 분석을 위해 HHI, 입지계수(LQ), 변이할당기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4 개 화물별 항만 집중도와 특화도는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지난 20년간 변동폭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변이할당분석을 통한 화물의 증감량을 산정한 결과, 액상화물에서는 여수·광양항, 건화물에서는 평택·당진항에서 일반화물과 컨테이너 화물에서는 부산항에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사점으로는 우리나라 항구의 화물 집중도 및 특화도는 향후에도 큰 변화가 나타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화물의 집중화와 특화가 진행되어 규모의 경제와 클러스터링 효과가 상당 수준 달성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Ports in Korea have been increasing in terms of volume while they have performed functions and roles such as industrial ports in promoting industries of their hinterlands as well as commercial ports supporting imports and exports. Nevertheless, specialization degree is different from port to port by cargo type and the changes in cargo volum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tructural changes and the degree of concentration and specialization by cargo type and port between 2001 and 2020. Top 10 ports were analyzed in terms of traffic volume by categorizing liquid, dry, general cargo and containers. HHI(Herfindahl-Hirschman Index), LQ(Location Coefficient), and shift-share analysis were employed in order to identify the degree of concentration, specialization and changes in cargo volume by port and cargo typ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degree of port concentration and specialization for each cargo of 4 categories have maintained a high level,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were found in fluctuations over the past 20 years. A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flucation of cargo volume through the shift-share analysis, the growth rate of liquid cargo was high in Yeosu Gwangyang Port, Pyeongtaek Dangjin Port in dry cargo, and Busan Port in general cargo and container ports. The result implies that it is not expected that the structural changes including degree of cargo concentration, specialization and relative fluctuation of cargo volume is significant in Korean ports in the future since the effects of economies of scale and clustering were achieved to the great degre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