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커뮤니티 활성화 관점에서 아파트단지 커뮤니티 시설의 설치 현황과 한계

        차성미(Cha, Sung-Mee),이정형(Lee, Jung-Hyung),김지엽(Kim, Jee-Yeop) 한국도시설계학회 2014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5 No.2

        본 연구는 아파트단지 내 커뮤니티시설과 지역 커뮤니티의 관계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그 설치 특성과 문제점을 분석하여 향후 아파트단지의 커뮤니티시설이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아파트단지 밀집지역인 서울시 역삼2동을 중심으로 커뮤니티시설 설치 현황과 특성을 지역커뮤니티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2개 단지에 설치된 커뮤니티시설은 허가당시 ?주택건설기준등에관한규정?에서 규정한 단지 규모별 설치기준 및 최소 면적기준에 따라 계획되어 동일한 시설의 최소면적기준을 제공하는데 급급한 실정이다. 또한, 의무설치시설 이외에 설치된 주민공동시설은 활용도가 떨어져 단지내부에서도 커뮤니티 활동에 도움이 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 폐쇄적인 단지구성으로 주변지역과 단절되어 있는 각각의 아파트단지 내에서 조성되는 커뮤니티시설들은 주변지역에서 접근이 어렵게 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가로에 면해 있는 시설도 배치나 디자인에 있어 지역커뮤니티와 연계되지 못하고 있어 지역커뮤니티 활성화에 기여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community facilities provided in apartment housing complexes and to draw some lessons to improve the current system. To do so, it analyzed 12 apartment housing complexes in a block located in Yeoksam 2-dong in Seoul.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facilities were built only to meet the minimum requirements under law and some of various facilities, such as library and community room, are not being used. Second, the facilities located in each complex are closed to the surrounding communities and even to streets and public spaces. Third, and most important, even some facilities that are located along a street or public space are not designed to connect to the street, so that members of the surrounding communities cannot physically access to them. In sum, most of the community facilities do not work for the local communities. As a conclusion, it suggests some schemes to improve the law and system to reflect the characters of a local community and provide the proper design guidelines.

      • KCI등재

        주거의식변화에 따른 공동주택 커뮤니티시설 설치현황 및 특성 연구

        양소영,문정민,조성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소비문화와 라이프스타일이 변하고 주택시장이 자유화되면서 다양한 편의시설을 갖춘 커뮤니티시설은 다양화, 대형화, 고급화로 공급되고 있으며, 거주지의 가치를 결정짓는 잣대가 되었다. 그러나 마케팅수단으로 커뮤니티시설을 보급하고 사전계획 전무, 현실과 다른 공동시설의 법 규정 등으로 인해 단지 내 커뮤니티시설은 빈 공간으로 남아 공간적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주거의식에 대한 거주민의 요구를 수반하며, 공동주택의 새로운 주거트렌드를 나타내는 커뮤니티시설의 개념과 변화를 바탕으로 광주광역시 공동주택단지 커뮤니티시설의 설치 현황과 특성을 분석하여 향후 공동주택 커뮤니티시설의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연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관련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커뮤니티시설의 이론적 개념을 정립하고 주거의식변화에 따른 커뮤니티시설의 변화를 파악하여 키워드를 도출한다. 그 후 커뮤니티시설의 유형을 재분류하고 특성을 도출하여 광주광역시 광산구 지역을 중심으로 2013년 이후 완공된 500세대 이상의 규모를 가진 단지 6곳을 사례로 한정하여 분석한다. (결과) 주거의식변화에 따른 커뮤니티 시설의 유형을 4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첫째, 주민화합교류의 공간은 단지 중앙의 독립적 건물로 배치되거나 커뮤니티센터에 위치하여 시설간의 연계로 사용자의 자연스러운 동선을 유도하고 있었으나 출입구의 시각적 인지가 낮아 메시지 및 개방감을 확보하여 장소에 대한 접근이 요구된다. 둘째, 문화교육의 공간은 지하 내 운동시설과 함께 배치되어 있으며 소규모의 공간을 다목적으로 활용하고 취미와 연계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 거주민들의 문화접촉기회를 증대시킨다. 셋째, 자연적 휴양의 공간은 단지 중앙이나 주거동 주변에 배치되어 있으며 녹지, 친수, 휴게가 복합적으로 작용될 때 그린 어메니티를 향상시키고 모임, 대화, 놀이 등의 다양한 행위를 유발한다. 넷째, 즐거움건강증진의 공간에서 실외는 단지 내 분산배치 되고, 실내는 지하 1층에 집중배치 되어 있으나 안전하게 시설을 활용하기 위해 출입구부터 차도와 보행로 분리가 요구되며 공통적으로 의자나 벤치의 휴식공간을 제공해 편의를 도모해야 한다. (결론) 주거의식변화에 따라 다양한 커뮤니티시설이 공급되었지만 사용계획이나 특성을 반영하지 않고 양적으로 제공하는데 급급함을 알 수 있다. 양적확보가 아닌 질적 활용으로 커뮤니티시설이 계획되어야 하며, 정기적으로 공간이 사용될 때 거주민들이 소통하고 공동의 가치와 커뮤니티가 실현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에 초점을 두고 진행함에 따라 지역적 한계를 지니며 향후 거주자들의 인식도, 수요특성 등의 설문조사 추가적으로 진행되어야할 것이다.

      • KCI등재

        수요 맞춤형 커뮤니티 서비스 개발을 위한 이용자 요구 조사

        박은선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커뮤니티 시설이 주민이 교류하고 주민의 삶을 지원하는 공간으로 적극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이용자 특성을 반영한 커뮤니티 시설 계획과 프로그램 보급이 필요하다. 연구의 목적은 커뮤니티 시설 이용자의 특성에 따른 커뮤니티 공간 및 프로그램 요구를 분석하여 수요 맞춤형 커뮤니티 서비스를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 연구 목적은 첫째,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커뮤니티 시설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고 둘째,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커뮤니티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고 셋째, 이용자 특성에 따른 커뮤니티 요구를 분석하여 수요 맞춤형 커뮤니티 서비스의 개발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33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서울시에 거주하는 20세이상 70세 미만 남녀를 대상으로 연령별, 성별 할당 표집하였다. 설문조사문항은 이용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주거특성, 현재 커뮤니티 시설 종류와 이용여부, 커뮤니티 시설과 프로그램 요구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설문 조사 자료는 IBM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다중응답 분석 등 통계 처리하였다. (결과) 다목적 실내운동공간과 휴게공간을 선호하는 비율이 공통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른 시설에 대한 선호는 성, 연령, 자녀연령별로 차이를 보였다. 유아공간은 30대와 미취학자녀가구의 선호율이 높았고 소규모작업실은 40대 이상 고루 선호하였다. 커뮤니티 프로그램 요구를 분석한 결과, 노년층 프로그램과 성인여성 프로그램을 가장 선호하였다. 다른 커뮤니티 프로그램에 대한 선호는 성, 연령, 자녀연령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20대와 30대는 직장인 프로그램과 엄마랑아기 프로그램을 선호하였으며 40대는 초등학생 프로그램을 선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반영하여 실내운동 공간, 공동 휴게 공간은 기본으로 제공하고 소규모 작업실, 공동 부엌 등 다른 커뮤니티 시설은 성, 연령, 자녀 연령에 따른 선호를 고려하여 맞춤형으로 제공할 것을 제안한다. 커뮤니티 프로그램은 노년층, 성인 여성 대상 프로그램은 기본으로 제공하고 엄마랑 아기, 가족, 직장인, 유아 대상 프로그램은 성, 연령, 자녀 연령을 고려하여 제공한다. (결론) 지역사회의 커뮤니티 시설 보급 및 운영 시 주민이 공통적으로 선호하는 시설 및 프로그램을 기본으로 제공하고 성, 연령, 자녀연령 등을 반영한 커뮤니티 시설 및 프로그램을 맞춤형으로 특화하여 보급한다면 커뮤니티 시설 이용율과 만족도를 높이고 지역 사회의 공동체를 활성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결과는 지역사회 커뮤니티 시설 보급 및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 및 정책 수립을 위한 지침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커뮤니티 프로그램 및 서비스 개발 시 사용자 측면의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 KCI등재

        지역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공공안전시설의 디자인 특성 연구

        서수미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1

        (Background and Purpose) Human life forms social relationships through the community, and, at the same time, seeking identity, the revitalization of the community is like revitalizing the community in a region, and the infrastructure of public buildings,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opulation in the jurisdiction, has great potential to function as a community's stronghold. However, the nation's public safety facilities are currently biased toward business activities, resulting in a lack of a positive image and a need for improv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overseas cases of public safety facilities that are pre-planned and executed for community revitalization, focusing on police stations, fire stations, and emergency safety centers, and to use this as basic data for the construction, extension, and renovation of public safety facilities in Korea. (Method) Divided into literature research and actual case analysis and research, chapter 2 of this study discusses community concepts and the spatial scope of public safety facilitie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Chapter 3 identifies spatial and design characteristics of public safety facilities that are effective in animating a community, and Chapter 4 analyzes spatial design characteristics through representative cases. Finally, Chapter 5 introduces conclusions based on design characteristics obtained through case analysis of public safety facility designed for community revitalization. (Results) The analysis classifies public spaces according to whether their design concept succeeds in affecting community activation, and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facilities that feature a main structure composed of a steel frame and truss construction emphasize the scalability of the space by enhancing the efficiency of the interior space so that it can be redeployed in the future,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concept of sustainability that emphasizes the surrounding eco-system and energy efficiency. Second, it was found that all the cases introduced natural elements to form a bright and pleasant environment in the interior and actively utilized natural light. Third, the integration of safety facilities, which have been inefficient due to their dispersion, can be increased by expanding the size of the facilities, and the shape volume of the daytime is used as a nightlight in the city to represent the area and also serves as a new landmark in the city. (Conclusions) While various discussions have been under way within many local governments to find creative ways to utilize public buildings in order to revitalize the community in the region, I hope that the process and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useful direction for the strategic use of public safety facilities in the revitalization of the community. (연구배경 및 목적) 인간의 삶은 커뮤니티를 통해 사회적 관계를 이루며 동시에 주체성을 찾기에 커뮤니티의 활성화는 곧 지역의 커뮤니티 활성화와 같다고 할 수 있으며, 관할 구역의 인구규모에 따라 설치된 공공건축의 기초생활시설들은 커뮤니티의 거점으로 기능할 수 있는 잠재력이 크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공공안전시설은 업무활동에 치우쳐져 시설의 이미지가 좋지 않고 미관개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안전시설 중 경찰서, 소방서, 응급안전센터를 중심으로 커뮤니티활성화를 위해 사전계획하고 실행하고 있는 해외사례를 분석하여 국내에서 공공안전시설 신축 및 증, 개축 계획 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문헌연구와 실제 사례 분석 및 연구로 나누어 2장에서는 커뮤니티 개념과 공공안전시설의 공간적 범위를 문헌 연구를 통하여 고찰 한다. 3장에서는 커뮤니티 활성화를 공공안전시설로 활용한 공간특성 및 디자인 특성을 알아보고 4장에서는 공간디자인 특성을 중심으로 사례를 분석한 후 5장에서는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공공안전시설에 대한 디자인 사례분석을 통해 얻어진 디자인 특성을 중심으로 결론을 도출한다. (결과) 분석대상 모두 커뮤니티 활성화에 부합되는 디자인의 개념에 맞게 공용공간을 개방하고 있으며 공간디자인표현특성을 분석한 결과로는 첫째, 시설의 주구조로 철골구조와 트러스 구조 등을 사용하여 추후 내부공간이 재배치가 가능하도록 효율성을 높여 공간의 확장성 측면을 강조하고 있으며 이는 친환경 시스템과 에너지 효율성을 강조하고 있는 지속가능성의 개념과 부합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모든 사례들이 실내의 밝고 쾌적한 환경을 형성하기 위해 자연요소를 도입하였으며 빛-자연광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분산으로 인해 비효율적이었던 안전시설의 통합화로 인해 시설의 규모가 커지면서 주간의 형태볼륨감을 도심 내 야간 조명으로 활용하여 지역의 상징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심 내 새로운 랜드마크 역할로도 활용하고 있다. (결론) 국내의 많은 지자체들이 공공건축을 두고 지역의 커뮤니티를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창의적인 활용방안을 모색하는 다양한 논의는 진행되고 있으나, 구체적인 가이드 수립이 어려운 가운데 본 연구의 과정과 결과들이 공공안전시설을 중심으로 커뮤니티를 활성화시키는데 있어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유용한 방향을 제시하기를 바라는데 본 연구의 의미를 두고자 한다.

      • KCI등재

        Aging in place 개념의 커뮤니티시설 배치특성 연구 -중국 하얼빈 중심으로-

        원영기 ( Yong-qi Yuan ),윤갑근 ( Gab-geun Yoo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1 한국디자인포럼 Vol.26 No.3

        연구배경 고령화 사회의 발전배경으로 노인들의 노후문제가 사람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현재 Aging in place 개념은 많은 국가에서 사용되는데, 이는 노인들이 거주지에서 노후를 보내는 것을 장려한다는 의의를 지녀 노인이 거주하는 공동주택 커뮤니티가 노년 생활의 주요 공간으로 떠오르고 있다. 따라서 커뮤니티시설 배치는 노인들의 생활 관계와 매우 중요하다. 연구방법 커뮤니티시설의 개념 및 분류와 노인들의 여가활동 및 욕구를 선행연구를 통해 분석하여 Aging in place 개념을 바탕으로, 노인들의 노후 생활에 대해 더욱 많은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커뮤니티시설의 배치상황은 노인들의 욕구를 만족시켜야 한다. 연구결과 공동주택 커뮤니티는 모든 사람이 함께 생활하는 공간으로써 노인들의 물리적 특징에 따라 욕구가 크게 변화된다. 이에 커뮤니티 시설물은 안전성, 건강성, 편의성, 심미성 및 사회성을 갖추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이러한 분석틀에 따라 최근 공동주택의 커뮤니티시설을 사례분석한 결과, 각 커뮤니티가 심미성 측면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그 외 편의성, 건강성, 사회적 및 안전성의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최근 공공주택의 커뮤니티시설은 환경 및 자연환경과 결합하여 심미성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또한, 커뮤니티 시설물은 주거공간의 중간영역을 이용하여 다양한 공간배치구조를 형성한다. 하지만 안전성 측면에서는 노인의 행동능력와 감지능력 저하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아 노인의 안전관리에 소홀하였다. 본 연구는 커뮤니티 시설물 중 휴식 및 교류공간에 대해서만 사례분석을 했다는 점에 한계를 지니는바, 향후 커뮤니티 시설물 중 나머지에 대한 사례분석 및 노인의 이용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 실시로 커뮤니티 시설물 배치의 방향에 대한 연구가 되어야 한다. Background The aging problem of the elderly is attracting people's attention as the background of the development of an aging society. the concept of Aging in place is used in many countries, which means that the elderly are encouraged to spend their retirement in their residences, and the community of apartments inhabited by the elderly is emerging as a major space for old life. Methods Based on the concept and classification of community facilities and the concept of aging in place by analyzing leisure activities and desires of the elderly through prior research, the layout of community facilities should satisfy the needs of the elderly. Result The apartment community is a space where everyone lives together, and the needs change greatly depending o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Community facilities shall be located to ensure safety, health, convenience, aesthetics and sociality. According to this analysis frame, a recent case analysis of community facilities in apartments showed that each community was high in terms of aestheticity, followed by convenience, health, social and safety. Conclusion Recently, community facilities in public housing have been relatively aesthetic in combination with the environment and natural environment. In addition, community facilities use intermediate areas of residential space to form various spatial layout structures. However, in terms of safety, the safety management of the elderly was neglected because it did not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havioral and sensory abilities of the safety management of the elderly was neglected. This study should be a study on the direction of community facility placement by conducting a case analysis of the rest of community facilities and a survey on th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 KCI등재

        고령친화형 전통시장 커뮤니티시설 도출 연구

        이상준,정광수,이정수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6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8 No.3

        본 연구는 전통시장 내 도입가능한 고령친화형 커뮤니티시설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 하에서, 한국과 일본의 고령친화형 전통시장 정책을 검토하였고, 전통시장 내 고령친화형 커뮤니티시설의 도입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첫째, 고령화시대를 맞이하여 안전하고 편리한 고령친화형 전통시장 조성이 필요하다. 둘째, 고령친화형 커뮤니티시설은 고령친화형 전통시장을 조성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결과 32개 시설이 도출되었다. 셋째, 건강․복지 시설, 공공행정시설, 문화․복지시설, 교육시설, 교통시설 등이 고령친화형 전통시장 커뮤니티시설로 도입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duct appropriate elderly-friendly community facilities in traditional market. For these purposes, I reviewed on the policies of elderly-friendly in traditional market in Korea and Japan, and made questionare on the introducing priority of elderly-friendly community facilities in traditional market. The results are as follows. : First, the making of safe and convenient elderly-friendly traditional market needs to the aged for an their society. Second, the concept and types of elderly-friendly community facility are deducted for making the elderly-friendly traditional market and 32 elderly-friendly community facilities are extracted. Third, the health-welfare facilities, public administration, culture-welfare, education and transportation facilities are recommended as high priority elderly-friendly community facilities in traditional market.

      • KCI등재후보

        임대아파트 실외커뮤니티시설의 디자인특성에 관한 연구

        황연숙,이송현,장아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5 No.1

        공동주택에 계획되는 실외커뮤니티시설은 개별아파트 단지의 특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이며, 단위세대 내부에서 해결하지 못하는 놀이, 휴양, 운동 등이 가능한 공간이다. 하지만 저소득층이 주로 거주하는 임대아파트는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인해 가구원수에 적합한 공간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부족한 사적공간을 대체할 수 있는 실외커뮤니티시설이 갖는 의미가 크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임대아파트의 실외커뮤니티시설의 디자인 특성을 분석하여 계획기법 및 구성요소를 파악하고 향후 커뮤니티시설 계획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실외커뮤니티시설을 놀이, 운동, 휴게, 녹지시설로 분류하여 서울·경기지역에 위치한 임대아파트 12곳을 대상으로 사례조사 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놀이시설의 경우에는 다양한 테마를 가진 시설이 설치된 반면에 운동, 휴게, 녹지시설의 경우에는 시설의 종류나 규모나 설치 위치에 관계없이 특성을 띠지 못하고 단편화된 형태로 계획되었다. 또한 커뮤니티시설이 단일 기능을 가진 시설로 단독으로 설치되기 보다는 놀이, 운동, 휴게, 산책 등 다양한 기능이 복합된 종합공간으로 타 시설들과 연계성 있게 계획되었으나, 연계된 시설의 종류가 벤치, 산책로, 체력단련기구 등으로 단순화 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The outdoor community facility designed for an apartment complex is an important factor that represents the characteristic of an individual apartment complex, and is a space for recreation, rest, or exercise. However, in case of the rental apartment complex for the low income group, as it does not have space sufficient for the number of its households due to economic strain, the outdoor community facility that can replaces insufficient private space is significa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outdoor community facility of the rental apartment complex, identify its planning methodology and components, and provide basic data for planning for future community facilities. This study examined twelve rental apartment complexes located in Seoul and Kyeonggi areas, while categorizing their outdoor facilities into playground, exercise, rest, and green facilities.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The outdoor community facilities did not characterize the identity of each apartment complex or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they were designed in similar styles. Among playground facilities, exercise facilities, rest facilities, and green facilities in the complexes, playground facilities were found to relatively have diversity in size and number. And the outdoor community facilities were found to be designed as compound spaces with multiple functions of playing, exercising, resting, walking, and so on linking with other facilities, rather than with a single function. However, linked facilities were found to be in as a few types as benches, promenades, exercise instruments, and so on.

      • KCI등재후보

        혁신도시 지역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공공기관 사옥 활용방안 - 도입시설 유형 및 규모산정을 중심으로

        정연우,이상준,Jeong, Yeun-Woo,Lee, Sang-Jun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10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ol.1 No.1

        본 연구는 혁신도시 입지지역의 커뮤니티 조기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서 공공기관 사옥내 커뮤니티시설의 도입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 커뮤니티시설의 유형과 조성 여건을 살펴보았고, 민간 및 공공기관 사옥을 활용한 커뮤니티시설 운영사례를 조사하였으며, 혁신도시로 이전하는 공공기관의 사옥에 설치가능한 시설유형과 규모를 산정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커뮤니티시설을 기능에 따라 크게 여가, 공공행정, 교육, 문화, 체육, 사회복지시설로 나누고, 생활권 위계에 따른 유형별 필요 시설을 제시하였다. 둘째, 민간 및 공공기관 사옥을 활용한 커뮤니티시설 도입사례 분석결과, 민간의 경우 주로 문화시설에 한정된 반면, 공공기관의 경우에는 사회복지시설, 문화 및 체육시설 등 보다 다양한 시설을 도입, 운영하고 있었다. 셋째, 혁신도시로 이전하는 공공기관 사옥내 도입가능한 시설을 선정한 바, 도서관, 박물관, 공연장 등 문화시설과 축구장, 테니스장, 수영장 등 실내외 체육시설, 직장보육시설, 어린이도서관 등 복지시설이 포함되었다. 마지막으로 이들 시설에 대해 법적 설치기준 및 시설현황 조사, 관련문헌 검토 등을 통해 시설별 원단위를 설정, 이를 적용하여 공공기관 사옥에 도입가능한 커뮤니티시설의 규모를 구체적으로 산정하였으며, 이들 시설의 효율적 활용방안을 모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the introduction of the community facilities in public corporation buildings as the effort to community activation in the innovation city. The type and development condition of community facilities, and the cases of the private and public corporation buildings are studied. Moreover, the type and scale of facilities which can be established in the public corporation building that will move to the innovation city. The resul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mmunity facilities can be classified into leisure, public administration, culture, athletics, and welfare, and the facilities are suggested at each hierarchy of living area. Secondly, the result of the case study shows that the public corporation establishes and operates various facilities include welfare, culture, and athletic facilities while the private part usually installs the cultural one. Thirdly, cultural(library, museum, performing place), athletic(soccer field, tennis court, swimming pool), welfare(day nursery, children's library) facilities are selected as the applicable ones to the public corporation building which is going to move to the innovation city. And finally, the basic unit of each facility is derived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legal standard, present condition, and literature reviews, etc., and applied to estimate the scale of the community facility in the public corporation building.

      • KCI우수등재

        인천광역시 남구 커뮤니티형 그린웨이 조성방안 연구

        박숙현,한봉호,최진우,최태영,Park, Suk-Hyeon,Han, Bong-Ho,Choi, Jin-Woo,Choi, Tae-Young 한국조경학회 2015 韓國造景學會誌 Vol.43 No.1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남구의 주민 생활과 밀접한 생활권 주변 지역과 커뮤니티 공간을 연계한 커뮤니티형 그린웨이 조성방안을 제시하여 생활권 녹지의 확충 및 지역 커뮤니티 형성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도시생태 특성으로 토지이용과 녹피율을 조사 분석하여 녹지 확보 필요성을 제시하였고, 커뮤니티 형성을 위한 거주지 주변 시설을 유형별로 분석하였다. 남구를 생활권별로 구분하여 커뮤니티형 그린웨이 노선을 설정하였고, 노선별 특성을 분석 및 유형화하여 유형별 커뮤니티형 그린웨이 조성방안을 제시하였다. 인천광역시 남구는 시가지 87.7%,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가 12.3%이었고, 녹피율은 17.51%로 녹지가 매우 부족하였다. 녹지의 반 이상이 도시외곽에 분포한 면적이 넓은 산림으로서 도시 내 주민 생활권 주변의 녹지확보가 필요하였다. 남구의 커뮤니티 형성을 위한 시설은 교육시설 7.7%, 공원시설 1.7%, 녹지시설이 1.9% 등으로 교육시설의 비율이 높았다. 남구의 생활권을 총 31개로 구분하였고, 생활권 내 커뮤니티 시설과 녹지를 연계할 수 있는 커뮤니형 그린웨이 20개 노선을 선정하였다. 노선별 특성은 토지이용 및 가로환경과 커뮤니티 시설 측면으로 종합 분석하여 도출하였다. 커뮤니티형 그린웨이의 유형화는 그린웨이 계획의 기능과 목적, 주변 토지이용현황, 커뮤니티 시설 유형을 고려하여 6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유형별 조성방안은 그린웨이 기능과 목적에 따른 조성방향, 주거지역과 상업업무 지역으로 구분한 토지이용 유형별 조성방향, 근린생활형, 교육형, 종교형, 레크리에이션형 등 커뮤니티 시설 유형별 조성방향을 제안하였다. 또한 그린웨이 녹화유형별 녹화구상에 적합한 녹화방법으로 벽면녹화, 옥상녹화, 베란다 녹화와 같은 건축물 차원과 공원, 학교, 공공기관, 도로, 주차장, 자투리공간과 같은 단지차원으로 구분하여 각 그린웨이 유형별 조성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s suggested to enlarge the green area and to connect and improve the present green areas by deriving the lines of community greenway using living areas and community spaces close to the life of residence in Nam-gu.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method of establishing greenway for the formation of community in which the residence can grow the community spirit and love their living space much more. Land-use status, green coverage ratio, and impermeability paving ratio are investigated. The community facilities are classified. The highest is educational facility, which is 7.7%, the green facility is 1.9% and the total area of community facilities which is 21.4%. The total area of Nam-gu is divided into 31 zones in total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the mail roads and reserved land of railroad and urban development. The total 20 lines of community greenway lines are chosen and the total length of lines is 18.2km. Finally,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greenway lines are analysed,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greenway lines are overall estimated according to the land-use, the street environment and the community facility.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community greenway is established on the basis on the function and purpose of greenway, the present status of land-use and the type of community facility. Based on the field investigation, the 6 greenway types are suggested considering the interconnection. The method of establishment of community greenway is suggested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function and purpose, the principle of land-use and the principle of use of the facilities. Furthermore, the planting methods suitable to each greenway type are suggested in the building planting case of wall planting, roof planting, veranda planting, etc., and in the complex planting of parks, schools, roads, parking lots and other small areas.

      • KCI등재

        연구논문 : 대학 캠퍼스 외부시설의 공간적 특성이 지역커뮤니티 구성요소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용봉캠퍼스를 사례로-

        문창용 ( Chang Yong Moon ),나주몽 ( Ju Mong Na )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2013 지역개발연구 Vol.45 No.2

        도시 내 대토지소유자이자 지역경제의 주체로 대학의 캠퍼스는 소재 주변지역에 경제적·사회적·물리적으로 많은 영향을 미친다. 대학 소재 주변지역 사회와의 협력적 네트워크를 통한 지역 재생과 대학의 사회적 책임 및 공헌이 대두되는 시점에서 도시형 캠퍼스가 지역 커뮤니티 형성에 영향을 준다는 가정하에 캠퍼스 외부시설 및 외부공간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맥락에서 캠퍼스 외부시설의 공간적 특성이 지역 커뮤니티 형성에 필요한 구성요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실증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통하여 캠퍼스 외부시설의 공간적 특성과 지역 커뮤니티 구성요소에 대한 속성을 변수로 도출하였다. 도출된 변수의 신뢰성 및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신뢰성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캠퍼스 외부시설의 공간적 특성과 지역 커뮤니티 구성요소간의 영향관계를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실증분석 하였다. 조사대상의 모집단은 전남대학교 외부시설(용지, 봉지, 종합운동장)을 이용하는 이용자로, 2012년 5월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회수된 112부 가운데 유효한 100부를 활용하였다. 독립변수인 캠퍼스 외부시설의 공간적 특성은 선행연구를 통하여 5가지 공적공간의 특성(개방성, 접근성, 연계성, 교류성, 위계성)을 연구 목적에 맞게 2가지(개방성·접근성, 연계성·교류성)로 정의하였으며, 요인분석 결과를 통해 검증하였다. 종속변수인 지역 커뮤니티 구성요소는 지역성, 공동체성, 유기체성이였던 요인들을 연구목적에 맞게 지역성과 유기체성을 통합하고 공동체성을 상호작용과 유대감으로 나누어 사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를 가설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캠퍼스 외부시설의 교류성·연계성이 주민들의 상호활동에 큰 영향을 주며, 캠퍼스 외부시설의 개방성·접근성은 지역주민들의 지역유기체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민들이 느끼는 공동유대감측면에서는 독립변수 모두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궁극적으로 캠퍼스 외부시설의 공간적 특성이 지역 커뮤니티 구성요소에 영향을 미친다 할 수 있다. 연구결과, 대학의 물리적 계획(이전·확장·시설확충)을 수립시 대학은 지역사회와의 상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계획을 고려해야하는 사회적 책임의 당위성을 실증분석을 통해 입증하였다. 즉, 대학은 지역 커뮤니티 구성원들이 느끼는 캠퍼스 존재가치를 높이기 위해 캠퍼스 외부시설의 개방성, 접근성을 고려한 설계요소가 필요하며, 지역커뮤니티형성을 위해 유대감과 상호활동을 할 수 있는 설계요소가 필요하다. 이러한 캠퍼스 외부시설의 공간 계획·설계를 통해 지역과 지역, 지역과 대학의 커뮤니티를 형성함으로 지역사회-대학의 협력을 기반한 지역 재생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s of spatial characteristics of campus`s external facilities on a local community, this paper finds each variable through the advanced research and the review of the literature. According to the advanced research. the attributes of the campus`s external facilities arc openness and approach. exchange and connectivity rank by understanding public space and factors of local community component arc locality and organism, community friendship. interaction through the questionnaire. So as to check the validity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is paper analyzed factor. reliability. correlation and verified a hypothesis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illustrate that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campus`s external facilities influenced a local community component. As a result of the study. this paper proves that the university considers plan with local community as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university when the university establish physical plan. This paper is to expect that regional regeneration based on local community-university coop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