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 지역개발금융(CDFI)에 관한 `개괄적` 고찰- 지역 사회적금융 주체로서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

        양준호 ( Jun-ho Yang )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2016 지역개발연구 Vol.48 No.2

        미국에서는 빈곤 문제 등과 같은 지역 차원의 다양한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또 지역 차원의 금융 배제 현상을 완화하기 위해 `커뮤니티 금융`으로 불리는 지역개발 금융이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지역개발 금융은 미국의 각 지역 또는 커뮤니티가 직면해 있는 다양한 사회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주체들의 자금수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작동되고 있는 이른바 `사회적 금융(Social Finance)`의 일환으로, 빈곤 문제 해결 등 지역 또는 커뮤니티의 사회혁신 및 경제재생을 실현하는데 기여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민간부문의 금융 중개조직인 `지역개발 금융기관(Community Development Financial Institution; 이하 CDFI)`에 의해 적극적으로 전개되고 있다. 즉 지역 또는 커뮤니티의 사회적, 경제적 활성화를 꾀하는 민간 금융 중개조직의 총칭인 CDFI는 미국의 지역개발 금융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미국의 사회적금융으로 간주할 수 있는 `지역개발` 금융이 지속적으로 작동함으로써 빈곤 문제 해결 등의 지역개발과 지역 차원의 사회적경제 활성화와 관련한 큰 성과를 내고 있는 배경과 관련하여, 공적 시스템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보다 전 방위적인 제도 요인을 현장조사 내용을 토대로 개괄하고, 또 그 제도 간의 상보성(Complementarity)에 주목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In United States, Community development financial institution what is called `Community Finance` has been institutionalized to solve various social problems and vitalize social economy in the local society scale. Community development financial institution(CDFI) is a type of `Social Finance` that is for lending `patient` funds to organizations have been worked in the field of social economy like social firm, social cooperative, NGO, and has significant functions for vitalizing local society and regional economy. So, this paper will discuss about various institutional backgrounds enable community development financial Institution to be sustainable and be instructive. For this, this paper will focused on `institutional complementarity` between policies has been working as regards to CDFI.

      • KCI등재

        관광교통 중심지 개발을 위한 민간공항 통합에 대한 지역주민의 사회정치적 제어능력, 개발 영향인식, 개발지지도 간의 영향관계 분석

        최사라 ( Sara Choi ),이영빈 ( Youngbin Lee ),정은성 ( Eunseong Jeong ),홍경화 ( Kyunghwa Hong )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2021 지역개발연구 Vol.53 No.3

        사회정치적 환경 변화는 지역주민의 역량강화를 지역개발에서 의사결정의 초석으로 만들었다. 따라서 선행연구들은 심리적 역량강화의 내재적 요인을 측정하기 위해 사회정치적 제어능력 척도를 사용해 왔다. 본 연구는 무안국제공항의 민간공항 통합에 대한 지역주민의 사회정치적 제어능력, 개발 영향인식 및 개발 지지도 간의 영향관계를 규명했다. 본 연구의 가설검정을 위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무안군에 거주하는 주민들을 대상으로 현장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가설검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주민의 인지된 리더십 역량은 개발 영향에 대한 부정적 영향인식에 부(-)의 영향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주민의 정책통제력은 개발영향에 대한 긍정적 인식에는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개발영향에 대한 부정적 영향인식에도 부(-)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개발에 대한 지역주민의 지각된 긍정적 영향인식은 공항통합에 대한 개발지지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또한 개발에 대한 지각된 부정적 영향인식은 개발 지지도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분석 결과들은 개발 당국이 개발 목적을 이해하고 지역사회의 개발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주민들에게 다양한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지역주민이 심리적 역량강화을 강화하도록 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Changes in sociopoltical environment have made local resident empowerment a cornerstone of decision-making in local development. Scholars, therefore, have widely employed the sociopolitcal control scale to measure the intrapersonal component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local residents’sociopolitical control, perception of development impact, and development support toward civil airport consolidation at Muan International Airport. The study conducted a field survey of a judgement sample of Muan County residents to collect data for testing the research hypotheses. The results of the hypotheses are as follows. First, local residents’ perceived leadership competence had a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 on negative perception of development impact. Second, the residents’ policy control had not only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positive perception of development impact, but also negative impact on positive impact on negative perception of development impact. Third, the residents’ perceived positive perception of development impact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development support toward the airport consolidation; furthermore, their perceived negative perception of development impact had a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 on development support of the consolidatio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development authority should enhance local residents enhance psychological empowerment through providing diverse chances for the residents who understand the development purpose and encourage them to participate in the development process in their local communities.

      • KCI등재

        연구논문 : 호남권 공예문화산업클러스터 조성방안 연구

        정건용 ( Gen Young Jeoung )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2013 지역개발연구 Vol.45 No.1

        과거 특정한 지역의 개발을 위해 산업인프라를 중심으로 선택과 집중에 따라, 하향식 개발정책에서 최근 지역의 특정과 영역을 기반으로 한 상향식 발전정책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여러 지방자치단체들은 이른바 상향식 지역개발정책을 위해 가치 있는 산업으로 평가 받고 있는 문화산업을 클러스터 정책에 따라, 단계별로 시행하고 있으나, 광의의 문화산업인 공예산업을 문화산업클러스터로 조성하기 위한 연구는 다소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문화의 창조기반인 호남권을 중심으로 지역개발 매체로서 공예문화산업클러스터 조성방안을 거시적으로 제안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M. Porter가 주장하는 클러스터모델에 의해 공예문화산업클러스터 조성에 필요한 결정요소들 즉, 요소조건, 수요조건, 연관/지원산업, 기업전략/경쟁여건 항목들에 따라, 지역여건 실태조사와 참여 주체들이 느끼는 인식의 차이점을 전문가 두 집단을 대상으로 조사·분석 하였다. 조사·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찾을 수 있었다. 첫째, 실태조사 결과 호남권은 서울/수도권 다음으로 공예문화산업클러스터 조성여건이 상대적으로 높은 지역으로 조사되었으며, 조사결과는 시장점유율과 매출규모 등 여러 항목에서 다른 권역에 비해 높게 조사됨에 따라, 조성요소 항목을 실증한 결과라 할 수 있다. 둘째, 중요도 및 인식도 조사 분석결과 ``공예문화상품을 판매하기 위한 유통시스템 구축``이 두 집단 모두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향후 조성방안을 제시하는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지역여건 조사와 전문가 집단의 인식도 조사·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문화산업클러스터 구조에 따라. 조성방안을 ``조성주체별 상호협력 접근방안``과 ``세부 실천방안``과 구분하여 제안하였다. 우선 조성주체별 상호협력 접근방안은 ``민간책임 추진``에 의해, 공예문화상품 생산·유통전문기업 육성 및 유치, 기업 및 지원기관과 네트워크 구축, 기업지원서비스로 제안하였으며, ``중앙정부의 역할``은 관련 법제정비, 지방자치단체 인센티브 지금 그리고 지속적인 비전제시로 제안하였다. 공예문화산업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세부 실천방안으로 첫째, ``입지 선정 시 고려사항``은 조성주체 및 소비자들을 위한 접근성, 인위적으로 조성되는 만큼 성공한 축제 등과의 연계성, 향후 거점을 확보하기 위한 확장성을 제안하였으며, 둘째, ``시설 인프라 구축``은 ○1전시·유통시스템구축으로 공예문화산업클러스터의 랜드마크 역할을 수행할 비즈니스관 구축, ○2창작·교육시설은 창작스튜디오 건립과 지역내·외 대학과의 교류 및 연계를 위한 생태계조성, ○3생산·제작기반은 관광객 대상으로 판매·체험할 수 있는 공방촌 부양. 첫째, ``R&D기반 및 기업지원 서비스``로 공예문화상품 디자인개발을 위한 원천소스 개발, 융합기술을 통한 디자인기반 기술 연구, 그리고 원·부자재확보를 위한 국내·외 관련 정보제공 서비스, 넷째 ``전문 인력양성`` 프로그램은 차세대 문화상품개발을 위한 스타디자이너 및 명인육성, 공예문화상품의 특성을 강조 할 수 있는 현장 맞춤형 소재/품목별 전문인력 1:1 도재교육 등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은 조성방안 연구는 그동안 공예문화산업클러스터 연구가 미흡한 여건에서 클러스터이론에 따라, 거시적으로 조성방안을 제시하였다는데 의미가 있으며, 이러한 거시적 연구는 향후 지역별 또는 세부적인 조성방안 및 클러스터 조성 이후 성과요인 분석 등에 활용될 것이다. While top-down indiscriminate development policies which focused on industry infrastructure were prevalent to develop specific regions in the past, there is growing concern about bottom-up development policies based on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field. For bottom-up development, local governments have executed the culture industry which is regarded as valuable in step-by-step according to cluster construction, but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n the construction of broad culture industry as craft culture industrial clusters.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methods to construct craft culture industrial clusters for the vitalization of the craft industry in the Honam region that is the hub of culture crea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ituations of regional conditions and the importance and recognition of participant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in relation with necessary factors for cluster construction suggested by M. Porter factor conditions. demand conditions, related and supporting industries, firm strategy and rivalry. Finally, the followings could be suggested. First, the result of investigating situations indicated that the Honam region was the second highest condition of constructing craft culture industrial clusters next to the Seoul/Metropolitan region and was higher in several items including market share and turnover than other regions. It demonstrated construction factors. Second, the result of recognition analysis indicated that both groups recognized ``establishment of distribution system to sell craft culture products`` as important. Thus it provides important suggestion to present further construction method Based on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and analysis, this study proposed two construction methods: ``mutual collaboration approach by construction subject`` and ``detailed actions the construction of craft culture industrial clusters` in relation with regional conditions and structure of culture industrial cluster First, in the mutual collaboration approach by construction subject,the production of craft culture products, the development and invitation of distribution specialist, network building with companies and supporting institutions, company supporting service was suggested in relation with ``private-led promotion`` while the improvement of related legislation, incentive payment to local governments, and the presentation of continuous perspective was suggested as ``the roles of central government``. In detailed actions the construction of craft culture industrial clusters, first, for ``consideration for location selection``, accessibility for construction subjects and consumers, connection with successful festivals in consideration of artificial construction, and extension to assure a further base was suggested. Second, ``facilities and infrastructure building`` included ○1business halls to play a landmark role of craft cu1ture industrial cluster and recogni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exhibition and distribution system. ○2 the establishment of creative studio and ecosystem creation for exchange and connection with colleges for creativity and education facilities, and ○3 the support and operation of craft centers for sales and visitors `` experience and equipment support office as a production and manufacture base but it was recommended to invite professionals by field and professional companies. Third, ``R&D based and company support service`` suggested the source development to develop craft culture products design, design-based technique research through converging technologies, and domestic or foreign related information service. Finally, ``professional cultivation program`` should be provided as the star designers or masters to develop next culture products and on-site needs satisfying 1: 1 apprentice training by material/item to stress the characteristics of craft culture products.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construction methods were presented on a macro basis according to the cluster theory even in the lack of research on craft culture industry cluster. This study will be used for further research on detailed construction methods and analysis of performance factors after constructing clusters.

      • KCI등재

        연구논문 : 광주,전남 발전을 위한 독일의 지역개발 정책 사례에 관한 연구

        송인성 ( In Sung Song )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2011 지역개발연구 Vol.43 No.1

        본 연구는 2006년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가 주최한 ``참여정부의 국가균형발전정책과 광주·전남발전방향: 외국사례를 통해 본 시사점``이란 주제의 집담회에서 발표한 내용 중 독일의 일반현황 자료를 최근 자료로 고치고, 2010년 유럽 문화수도 에쎈(Essen)의 사업을 실제 집행내용으로 대체하였으며, 2011년 유럽 녹색수도 함부르크(Hamburg)의 사업을 새로 추가하여 수정하고 보완한 것이다. 독일은 연방국가로 오랫동안 국가균형발전을 국가의 핵심정책화를 추진해 온 나라로 여러 측면에서 우리가 관심을 갖고 살펴보아야 할 국가이다. 독일과 바이에른 주의 농촌에서는 도시에 비해 오히려 인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와는 달리 농촌이 황폐화되고 있지 않는 것은 균형된 국가발전 때문일 것이다. 독일의 지역개발 정책 사례에서 일반적으로 배울 수 있는 핵심사항은 ``혁신, 지식기반사회에 대응하는 연구·개발촉진, 협동 그리고 지역이 주체가 되는 지역경영``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광주광역시의 입장에서는 장기적인 비전을 갖고 도시 전체의 발전을 유도하는 에쎈시의 문화수도정책사업을 그리고 전남은 각 시군이 접근하고 있는 바이에른 주의 지역경영사업들을 원용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고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외국의 사례를 우리 현실에 바로 도입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고 크게 경계하여야 할 일인데 문화가 다르고 여건이 다르기 때문이다. 남쪽 따뜻한 지역에서 자라는 유자를 추운 지역에 옮겨 심으면 탱자가 될 수 있고 큰 소나무를 한그루 옮겨 심으려면 4-5년을 사전에 준비해야 하는 것을 명심하며 외국의 사례를 원용하여야 할 것이다. 전문가를 동원한 심도 있는 검토와 사전 준비 그리고 사전에 성공여건을 충분히 검토하고 그 여건을 만들어가면서 도입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며 대 전제는 정부에만 의지하지 않고 지역스스로의 책임아래 내발적인 노력을 다하는 것이라 하겠다.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the German regional policy cases, which are applicable to Gwangju Metropolis and Jeonnam Province regional development. They are the innovative regional development core programme, the Research and Technology Supporting Policy of Bavaria, the 2010 European Cultural Capital Policy of Essen City, the 2011 European Green Capital Policy of Hamburg City, and the Regional Management Projects of Bavaria. Their general implications for Gwangju Metropolis and Jeonnam Province regional development are regional innovation, R&D support renponsible for the knowledge-based society, local cooperation, and region initiative regional management. Before inducement of foreign policy, the through review of the experts and the creation of the proper environment should be constructed previously.

      • KCI등재

        연구논문 : 농촌지역개발사업의 운영관리 역량과 주문협력에 관한 연구 -전남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을 중심으로-

        박수진 ( Soo Jin Park ),나주몽 ( Ju Mong Na ),송인성 ( In Sung Song )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2013 지역개발연구 Vol.45 No.1

        농촌지역사회에 만연한 문제 해결을 위해 다양한 지역개발사업들이 시도되고 있으나 각 사업에 대한 지속적인 운영관리의 미흡으로 인해 당초 의도한 사업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고 있다. 원활한 사업운영관리를 위해서는 사업 이후에도 지역주문의 자발적인 사업 참여와 협력, 성숙한 지역역량이 뒷바침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사업에 대한 주민들의 참여의지와 지역역량의 한계, 외부지원의 단절 등으로 인해 지속적인 사업운영관리에 한계가 있으며, 이에 대한 개선노력도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사업운영관리에 관한 학계의 관심 및 연구 성과는 매우 미미한데, 본 연구는 이에 문제의식을 갖고 원활한 사업운영관리를 위한 주민협력과 지역역량의 중요성을 검증함으로써 향후 사업운영관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주문참여가 강조되는 상향식개발사업 방식을 취하는 농촌마을 종합개발사업을 선정하였으며, 사업이 종료된 5개 사업권역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시도하였다.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지역역량강화사업유형 중 사업운영관리와 직접적 연관이 있으며, 전 사업권역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사업내용 중 권역사무장과 권역운영기금의 경우 주민협력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Although various regional development projects have been trying to solve the matter happened in rural area, it could not accomplish its original purpose because of problems in continuous operation and management at projects. When a project is finished, it is required that local community is willing to participate and cooperate by themselves in order to continue the project. But in most cases, participation rate of local community is very low as there is no government support. In fact the government cease its support as soon as a project is finished, and it makes hard to attract voluntary participation from community. Even if they have voluntary participation in community activities, self-operation and self-management of a project is not easy because they don`t have capability to deal with their own problems. Above all, there are not many valid studies regarding operation and management on a regional development projects. So 1 tried to verify importance of community`s cooperation and capability, as 1 had critical mind to that, And verified high correlation between structural factors which strengthen community capability and cooperation through empirical methods of study on the CRVDPs.

      • KCI등재

        광주지역 청년층 인재유출 원인분석 및 대응방안 연구

        이찬영 ( Chanyoung Lee ),조세형 ( Se-hyung Jo ),류재준 ( Jae-joon Ryu )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2016 지역개발연구 Vol.48 No.1

        본고에서는 광주지역 청년층의 인재유출 현황 및 원인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대응책을 제시한다. 학령 기를 구분하여 인재유출 현황을 살펴본 결과, 매년 광주지역 고등학교 출신의 4년제 대학 진학자 중 약 17%는 수도권에 진학하고 있고, 광주지역 대졸자의 약 23%는 수도권에 취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전출률은 다른 광역시에 비해 높은 편인데, 광주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의 경쟁력 저하와 상대적으로 낮은 취업률이 이 지역에 소재한 고등학교 졸업자의 수도권 대학 진학에 영향을 미치고 있고, 고학력자에 대한 노동수요 부족 및 열악한 근로여건은 광주지역 대졸자의 수도권 이주를 부추기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에 비춰볼 때, 광주지역의 인재유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2014년에 통과된 <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육성법 >을 토대로 산업·학교·연구기관·주민 및 시민단체의 협력 고도화를 통해 지방 명문대학 육성, 공공기관의 지역인재 고용 활성화, 그리고 고급 인적자원의 관리 및 중개시스템 개발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of youth outflow in Gwangju and its causes and suggest some potential responses. The analysis conducted by school-period shows that abouth 17% of four-year college entrants from high school in Gwangju enter the university in capital regions and about 23% of college graduates in Gwangju have a job in capital regions. The outflow rates of Gwangju is higher than that of any other metropolitan city. The situation results from the low competitiveness of college and employment rates in Gwangju. Those factors make high school graduates in Gwangju push to metropolitan``s college. Also, a shortage of labor demand on higher-educated youth and poor working conditions trigger college graduates in Gwangju to move to capital regions. These results imply that we need to foster a prestigious university in local area, to promote employment of local talents in public institutions, and to manage higher educated human resources and develop matching system through the cooperation of industry-education-research institute-community using the laws concerning the development of local universities and balanced local human resources were established in 2014.

      • KCI등재

        청년의 취업선호가 지역정착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엄창옥 ( Changok Um ),나주몽 ( Jumong Na ),백경호 ( Kyungho Baek )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2021 지역개발연구 Vol.53 No.2

        청년 일자리 부족과 노동시장의 미스매치 문제는 지역에서 수도권으로의 청년 유출의 중요한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청년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지금까지 지역에서는 한편으로는 지역전략산업 육성을 통해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청년 일ㆍ경험 지원 정책을 실시하며 노동시장의 미스매칭 해소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청년유출은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지역노동시장의 미스매칭으로 인한 청년유출문제를 지역청년의 취업선호에서 찾고자 하였다. 다시 말하자면 지역청년의 취업선호에 맞는 지역노동시장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지역청년의 지역정착을 유도할 수 있다는 관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청년의 취업선호를 조사하고, 이 취업선호의 어떤 요인이 청년들의 지역정착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광주, 대구, 강원의 청년을 대상으로 조사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취업선호의 어떤 요소가 지역정착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를 보면, ‘자신의 기능과 능력 활용’, ‘회사의 규모와 지명도’, ‘직무의 사회적 의미’, ‘능력중시 회사’, ‘전근이 없거나 한정된 지역 내에서의 전근’ 요인이 지역정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설명변수가 강원에 비해 대구와 광주에서 적극적 정착에 더 큰 영향을 주었으며, 연령대가 높을수록, 여성보다 남성이 적극정착에 영향을 더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방자치단체가 청년들이 지역 내에서 사회ㆍ경제적 역할을 키우고, 능력을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을 제공할 경우 청년의 지역정착이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Lack of employment opportunities for youth and job mismatch are the main reasons for the problem of youth outflow from the region to the metropolitan area along with the youth unemployment problem. In order to reduce the outflow of youth, local governments are actively implementing policies to support youth work experience and trying to resolve the mismatch, but the achievements are not showing well. If local governments provide 「work-experience」 policies based on youth job preferences and reduce mismatches successfully, the possibility of youth settling in the local area will increase. Based on these predictions,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youth job preferences on local settlement using Ordinal Logistic Regression model(OLR). The survey data of youth in Daegu, Gwangju, and Gangwon was used in this analysis process. As a result, factors such as ‘use of one's own skills and capabilities’, ‘the size and reputation of the company’, ‘social meaning’, ‘capacity-oriented companies’, and ‘areas with no commuting or limited commuting’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local settlement of youth. There was a some difference in the influence from region to region. the job preference factors of youth in Daegu and Gwangju had a greater influence on local settlement compared to youth in Gangwon. It is thought to reflect the geographical factor that Gangwon is close to the metropolitan area. In addition, we confirmed that the older group, the more males than females had an influence on local settlement. This means that if local governments provide various ways for youth to develop their social and economic roles and utilize their abilities within the region, the local settlement of young people can increase.

      • KCI등재

        연구논문 : 사회적경제와 지역개발

        이상면 ( Sang Myeon Lee )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2015 지역개발연구 Vol.47 No.2

        사회적경제가 자본주의 시장경제의 폐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사회적경제는 기본적으로 지역을 기반으로 출발한다. 우리나라 지역개발 정책은 호혜, 연대, 신뢰와 협력 등 사회경제적 철학 관점에서 재검토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지역정책의 우선순위가 사회적경제 생태계 구축에 주어져야 하고, 생태계 구축은 지역자원 활용을 극대화하는 산업 포트폴리오 구성, 사회적경제 조직의 지속가능 경영, 토지, 노동 및 자본의 지역화를 추구하는 내발적 발전론에 뒷받침 되어야 한다. 세계 각 지역에서 생태계 구축을 통한 많은 혁신운동이 추진되고 있는데, 이들이 점진적으로 확산되어, 결국 사회적경제가 시장경제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쳐, 지역에 뿌리를 둔 주민들의 행복 창출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The social economy is expanding the horizons worldwide, as an alternative to cope with the problems brought about by the market society. It fundamentally starts on the basis of the region itself. Korea`s regional development policies should be reviewed from the viewpoint of the social economic ideas, such as reciprocity, solidarity, cooperation and trust. Policy priority will be given to the establishment of ecological economic system supported by endogenous development theory which insists the formation of industry portfolio to maximize the utilization of local resources, the sustainable growth of social economical entity, and the localization of land, labour & money. Lots of innovational movement is initiated in many regions and should gradually proliferate, to the extent that the social economy will encroach the market system and result in the creation of happiness of people rooted on the region.

      • KCI등재

        농촌지역개발을 위한 역량강화전략에 관한 사례연구 -실천공동체의 형성과정과 공유가치창출을 중심으로-

        박수진 ( Soo Jin Park ),나주몽 ( Ju Mong Na )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2014 지역개발연구 Vol.46 No.2

        내발적 발전 측면에서 지역역량의 중요성과 역량개발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는 이미 형성되었지만, 지역에서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는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방법론에 대한 논의와 성과는 미진한 상태다. 본 연구에서는 그 방법을 실천공동체에서 찾고자 하였다. 실천공동체의 개념은 이미 우리 생활에 익숙한 것이며, 구체적인 이론과 체계를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이상의 연구배경에 따라 전남 함평 모평권역의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체계를 실천공동체의 형성과정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분석에 앞서 현장 관찰과 사업실무자를 대상으로 한 심층면담을 실시했고, 그 결과를 사례지역 분석틀(frame)에 기준해 분석하였다. 또한 해당 지역의 주민을 대상으로 실시된 바 있는 ‘주민참여 행태’ 관련 설문결과를 2차 자료로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를 통해 실천공동체의 구성요소 및 공유가치창출 측면에서 지역개발역량을 강화시키기 위한 전략을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주요전략으로 ① 자신감을 상승시킬 동기부여를 한다. ② 새로운 이슈(issue)를 제시한다. ③ 실무자들의 활동여건을 보장한다. ④ 지역개발사업의 지속성, 성과 측면에서 자원의 선택과 집중 전략이 필요하다. A social consensus on community capacity and competence improvement already developed in voluntary development aspect but we didn`t accomplish much in terms of practical and concrete methodology. This study attempted to devise a method in Community of Practice(CoP). Because the concept of CoP is very familiar to us now and has a theory and system.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esent strategies for strengthening capabilities in rural development projects from components of CoP and Creating Shared Value(CSV). I analyzed the process and system of Comprehensive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s(CRVDPs) in case of Mopyeong area in Hampyeong-gun, Jeollanam-do. I observed the case region and interviewed the person in charge before the analysis, and then I analyzed the results on the basis of framework. The questionnaire results on residents participation behavior were used as a secondary source. The strategies for strengthening capabilities in rural development projects are as follows. ① motivation to inspire confidence ② new issue to freshen up the atmosphere ③ guarantee of conditions to active of practicing professionals ④ select and concentrations of resource.

      • KCI등재

        변이할당분석을 이용한 지역산업구조 비교 분석 - 전라남도와 전라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

        김주진 ( Jujin Kim )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2020 지역개발연구 Vol.52 No.1

        지역은 각각 고유한 특성을 가지고 성장을 추구하고 있다. 이러한 성장은 다른 경제 환경을 조성하면서 지역 간 성장 차이를 유발한다. 우리나라는 1960년대 제조업 중심의 산업육성정책에서 1980년대 이후 접어들면서 지역 균형발전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지역산업은 지방자치단체의 발전을 견인하고 경제적·사회적 환경을 급속히 변화시킨다. 지역의 기반산업을 발굴하여 육성하는 것은 지역경제 활성화의 핵심전략이다. 이에 지역산업의 특징을 살펴보고 지역이 가지고 있는 특색을 파악하여 정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호남 지역의 중심지인 전라남도와 전라북도의 지역산업구조 비교를 위하여 변이할당분석을 실시하였다. 양 지역의 공간경제행위 분석을 바탕으로 하여 지역산업별 장단점을 발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2010년부터 2015년까지의 국내총생산(GDP)과 지역내총생산(GRDP) 자료를 이용하여 전라남도와 전라북도 지역의 지역 성장에 대한 산업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전라남도는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사업과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산업이 지역특화산업으로 나타났고, 전라북도는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이 지역특화산업으로 나타났다. 이에 전라남도와 전라북도의 상생 육성을 위한 산업으로는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산업으로 볼 수 있으며, 광업의 경우 전라남도와 전라북도가 함께 광업 육성 여부를 고민하여 산업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또한 도매 및 소매업과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은 두 지역 모두 입지상 계수가 낮고 산업구조효과와 지역할당효과에서 음(-)의 유형으로 나타나 구조조정 및 경쟁력 향상 등의 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Regions have their own characteristics and are pursuing growth. These growths lead to differences in growth between regions, creating a different economic environment. In the 1960s, Korea implemented industrial development policies centered on manufacturing. However, since the 1980s, it has been promoting regional balanced development policies. Regional industries drive the development of municipalities and rapidly change the economic and social environment. Discovering and fostering regional infrastructure is a key strategy for vitalizing the regional econom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policy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al industries and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In this study, Shift share analysis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regional industrial structure of Jeollanam-do and Jeollabuk-do, the center of Honam reg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ach region based on the analysis of spatial economic behaviors of both regions. In this regard, an industry analysis on regional growth in Jeollanam-do and Jeollabuk-do was conducted using the GDP and GRDP data from 2010 to 2015. As a result of research, Jeollanam-do showed that electricity, gas, steam and water projects, public administration, defense and social security administration industries were local specialty industries. In Jeollabuk-do, public administration, national defense and social security administration, health care service and social welfare service industry appeared as regional specialty industries. Therefore, the public administration, national defense, and social security administration industries can be considered as the industries for the win-win growth of Jeollanam-do and Jeollabuk-do. For the mining upbringing, Jeollanam-do and Jeollabuk-do should be considered for their strategies. finance and insurance have low location quotient (LQ) coefficients and are negative types in the industrial structure effect and regional allocation effect. Therefore, measures such as restructuring and competitiveness improvement are necess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