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카리스마적 권위와 제도설립 그리고 확산 - 동학·천도교의 성립과 전개 과정을 중심으로

        김남희 동학학회 2020 동학학보 Vol.0 No.56

        ‘신의 은총으로 받은 선물’이라는 뜻으로 사용되었던 ‘카리스마’는 초기 그리스도교 공동체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3세기 이후 성직제도가 정착되면서, 카리스마 개념은 그리스도교 공동체 안에서 잊혀졌다. 이후 20세기 초 막스 베버(M. Weber)가 카리스마 개념을 다시 도입하면서, 카리스마는 이제 그리스도교의 울타리를 넘어 정치, 경제, 사회, 문화에서 일반화되어 사용되기 시작했다. 베버의 연구를 시작으로 카리스마 개념에 대한 정의와 활용에 대한 연구는 다양하게 시도되었다. 베버가 카리스마 개념을 사회학적 개념의 틀로 정립하였다면, 슈무엘 아이젠슈타트(S. N. Eisenstadt)와 에드워드 쉴스(E. Shils)는 베버의 카리스마 개념을 재정의하고 사회변동 과정의 요인으로 확대 적용했다. 이는 카리스마 개념이 종교가 사회를 변동시키는 요인으로서 단순히 종속변수가 아님을 보여준다. 무엇보다도 급격한 사회변동에 영향을 받고 민감하게 반응하는 ‘신종교 운동’(new religious movement)의 경우, 초기 교세를 확장시키는데 있어 창교자의 카리스마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가장 대표적인 신종교인 동학·천도교 안에서 카리스마의 속성과 변용과정에 주목하였다. 구체적으로 동학·천도교가 성립되고 전개되는 과정을 베버의 카리스적 권위(Charismatic Authority)와 아이젠슈타트의 제도설립(Institution Building) 그리고 쉴스의 중심과 주변(Center and Periphery) 개념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이로써 창교자의 카리스마는 종교가 일상화(routinization)되는 과정 안에서 사라지거나 퇴색되는 것이 아니라 제도설립을 통해 중심에서 주변으로 확산되었다는 것을 밝히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Charisma”, which had originally been used with the meaning of “gifts received by God’s grace”, was employed as an important concept in the early Christian community. Since the establishment of sacerdotalism in the third century, the concept of charisma had been forgotten in Christian communities. Later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reintroduction of this concept by Max Weber initiated its generalized use in the fields of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beyond the border of Christianity. Starting with Weber’s research, various studies were attempted regarding the definition and utilization of charisma. Weber may have established the concept of charisma as a conceptual framework of sociology, whereas Shmuel N. Eisenstadt and Edward Shils redefined this concept and extended its application as a factor influencing the process of social change. This shows that the concept of charisma is a factor by which religions change society, not merely a dependent variable. Above all, for “new religious movements” that are influenced by and sensitively respond to radical social change, the charisma of religious founders plays an important role in expanding congregation in the early stage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was focused on the attributes of charisma and the process of its transformation in Donghak and Cheondogyo, which are the most representative new religions formed in South Korea. In specific,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Donghak and Cheondogyo were examined with a focus on the concepts of Weber’s charismatic authority, Eisenstadt’s institution building, and Shils’s center and periphery. In doing so, the study aimed to verify that the charisma of religious founders did not disappear or fade during the routinization of religions, but was rather spread from the center to the periphery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institutions.

      • KCI등재

        韓國의 憲法上 스포츠權과 리더십에 關한 硏究

        백윤철,정성범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10 스포츠와 법 Vol.13 No.4

        This study tried to analyze what kinds of relationship charismatic leadership has with sports which needs better perform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at meaning a charisma has, what the features of leadership are, how the effect of leadership shows and what correlation between charisma leadership and sports performance is. For this study, the existing literature regarding the relation between charisma leadership theory and sports performance was analyzed, and the temporal extent of this study was based on the significant data and information for the latest 5 years. Sports rights are understood to be guaranteed under Article 10 and Article 37 of the Constitution. Also sports rights are subjective civil rights for individuals and have effects toward the state. This means that the state must ensure sports rights passively by being obligated to prohibit infringement of the nation's rights to sports and actively by protecting the rights. Objectively, sports rights have characteristics of the state's value orders, providing ripple effects, spillover effects, and system guarantees. As for ripple effects, they are effective toward the state and have effects to have the state maintain sports rights as well as effects toward persons. Based on the foundation of sports rights, behaviors of charismatic leaders affect value system, attitudes, and behaviors of team members from the standpoint of a leader. Roles of charismatic leaders are about what a leader would do while the influence process selected by a leader is about how and why effectively a leader's behavior affects team members. In order to make the leadership 'process' more elaborate, what we would need is how a leader can more usefully influence team members. In other words, the influence process is composed of two elements, which are exchange influence process and reformative influence process. 본 연구에서는 카리스마 리더십이 보다 나은 성과를 필요로 하는 스포츠와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 관계를 분석해 보기 위한 구체적인 목적으로 첫째, 카리스마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둘째, 카리스마 리더십의 의미와 특징은 무엇인가. 셋째, 카리스마 리더십의 효과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그리고 마지막으로 카리스마 리더십과 스포츠 성과와는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카리스마 리더십과 스포츠 성과와의 관계에 대한 문헌연구와 최근 5년 동안의 중요 데이터 및 정보를 기초로 한 연구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헌법상 스포츠권을 기초로 카리스마 리더자의 리더 행동이 팀 구성원의 성과에 그리고 카리스마 리더자의 리더 행동이 스포츠 성과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카리스마 리더십은 스포츠 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히딩크 감독의 리더십의 예에서 볼 수 있었으며, 이 결과들은 국가적 차원에서는 국제관계, 국내에서의 사회, 경제, 정치, 문화 등 많은 분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개인적 차원에서는 사기앙양, 만족감, 국가에 대한 애국심 고양 , 응집력 향상 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카리스마 리더자의 리더 행동으로 스포츠의 좋은 성과는 국가적 차원과 개인적 차원에서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앞으로 이러한 중요성을 감안하면 헌법상 스포츠권, 스포츠의 성과와 카리스마 리더의 관계에 대해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이었다. 더불어 카리스마 리더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도 매우 중요하고 필요하다는 것이었다.

      • KCI등재

        출가자의 카리스마 형성에 관한 연구

        조기룡 한국선학회 2006 한국선학 Vol.15 No.-

        삼보 사상과 삼귀의 교리는 출가자를 절대적 존재로 인정받게 하여주는데, 이는 출가자가 카리스마를 형성함에 있어서 근원적인 힘이 된다. 하지만 불교의 사상과 교리가 출가자에게 카리스마를 부여한다고 하여서 출가자의 카리스마가 자동적으로 형성되는 것은 아니다. 카리스마가 형성되기 위해서는 출가자가 카리스마적 행동과 이미지를 창출해야 한다. 카리스마적 행동이란 장기적 안목이 있는 미래상 제시, 매사를 정열적으로 추진하는 열정, 설득력과 수 사력(修辭力)을 갖춘 설법력, 삶의 모범을 보이는 모본성, 그리고 상담과 개별 인지를 통한 개인 배려 등을 의미한다. 또한 카리스마적 이미지란 신도로 하여금 출가자에게 카리스마가 있음을 느끼게 하는 것을 말한다. 카리스마적 이미지는 출가자가 세속인과 는 달리 성스러운 삶을 살고 있다는 영적 이미지와 그가 사회적 으로 인정을 받고 있다는 인식인 사회적 이미지에 의하여 창조된다. 이에 더하여 신도의 인식과 헌신이 있어야만 출가자의 카리스마는 형성될 수 있다. 삼보 사상과 삼귀의 교리 체계 속에서 출가자의 카리스마적 행동이 발현되고 출가자의 이미지가 창조된 후에는 신도가 출가자를 절대적인 존재로 지각하고 자신과 동일시하고 헌신할 수 있어야만 비로소 카리스마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를 요약하여 말하면, 출가자의 카리스마는 삼보 사상과 삼귀의 교리 체계 속에서 출가자가 카리스마적 행동과 이미지 창조를 보여주고 이를 신도가 인식하고 헌신하는 과정을 통해서 형성된다고 할 수 있다. The monk's charisma is formed by an interaction between the monk's factors and the believer's actors on the dogma about three jewels and the three refuges. The monk's factors are the charismatic actions and the creation of charismatic images and the believer's actors are the cognition and the devotion. In other words, monk's vision, passion, eloquence, role modeling, and individual care are the part of factors which form monk's charisma. But monk's charisma is formed not only the category of monk's action but also the creation of charismatic images. The monk's charismatic images is created by the spiritual images that he lives a holy life and the social images that he is admitted socially. After the revelation of monk's charismatic action and the creation of his charismatic images, the believer's cognition and devotion must happen to create the monk's charisma.

      • 수도회의 세습자산

        최인각(Choi, Ingag)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09 이성과 신앙 Vol.38 No.-

        교회 역사 안에서 수도회는 상당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 중요한 역할의 핵은 ‘카리스마’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카리스마는 수도회의 고유한 유산이며 전통이자, 영적자산이라 할 수 있다. 수도회는 회의 고유한 영적자산을 보존 및 발전시켜야 함은 당연하다. 더불어 교회법적인 보호를 받아야 한다. 교회법적인 보호를 받기 위해서는 구체적이고 명확한 실체가 있어야 한다. 세습자산인 Patrimonium의 용어는 단순한 교회법상의 구체적이고 실제적이며 강제적인 의미만이 아니라, 가시적이면서도 영적이고 초자연적인 성격을 지니는 교회 자산의 의미로 교부들 시대부터 자리매김해왔다. 교회의 현세적이고 영적인 재화는 모두 영원한 선을 이끄는 수단들로 여겨졌다. 1917년 법전에서 회의 카리스마로 다루어졌던 것이 1983년 법전에서는 회의 세습자산의 영역으로 흡수하였다. 교회법전에서 patrimonium 용어는 영적이며 철학적이고 정신적인 영역의 유산과 전통을 의미하기에, 그 세습자산은 교회의 인준을 거쳐 교회로부터 보호를 받고 발전시켜야 하는 대상이다. 교회법전 제578조에서 언급하는 ‘회의 세습자산’은 설립자의 정신과 계획으로부터 출발한다. 설립자의 카리스마가 회의 설립카리스마로 정착하고 발전하여 회의 카리스마로 발전하여 회의 고유한 전통이 된다. 이렇게 설립자의 카리스마가 회의 전통으로 자리매김하여 설립 카리스마로 되는 과정에서 교회 관할권자의 판단을 받게 된다. 교회 관할권자의 판단을 통하여 인준된 설립자의 정신과 계획 및 그 건전한 전통들은 회의 자산일 뿐만 아니라 교회의 자산으로 교회 직권자로부터 보호를 받게 된다. 회(단체)는 당연히 그 세습자산의 준수와 보존 및 발전의 의무를 가진다. 이러한 ‘회의 세습자산’은 ‘항상 성부의 뜻을 행하는 그리스도를 더욱 가까이 따르기 위한 것’이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내용은 설립자의 정신과 계획(카리스마) 및 건전한 전통들을 포함한 세습자산 안에 담겨져 있어야 한다. 각 수도회는 성부의 뜻을 행하는 그리스도를 따르지 않는 것을 회의 세습자산으로 삼아서는 안 된다. 수도 공동체는 자신들의 세습자산을 통하여 형제적 친교의 살아있는 유기체로 성장한다. 회의 세습자산을 보호하고 쇄신함에 있어, 주교의 직무와 수도회 장상의 직무는 경합하지 않는다. 모든 수도회는 교회법 제578조의 세습자산을 보존 발전하기 위한 고유한 자치권을 가진다. 이러한 자치권은 교회적 친교 안에서 행사되어야 한다. Nella ecclesiastica storia gli istituti hanno svolto un ruolo importante. Il nucleo del importante ruolo si può dire il carisma che è la propria eredità, la trdizione e il spirituale patrimonio degli istituti. Ḕ naturale che gli istituti devono consevare e sviluppare il proprio patrimonio, poi quale devono ricevere la canonica protezione. Per ricevere questa, si deve essere il soggetto che è congreto e definitivo. Il termine di 'partimonium' significava non solo semplice canonico senso che è congreto, temporale e obbligatorio, ma anche patrimoniale senso che è visibile, spirituale e sopranaturale carattere dai tempi di Padri. I beni che sono temporali e spirituali si sono considerato i strumenti che conducono ai eterni beni. Nel Codice del 1917 si trattavano i carisma degli istituti, si è accettato le parti del patrimonio degli istituti nel 1983. Dunque nel Codcie, il termine, patrimonium significa la erdità e tradizione delle spirituali, filosofici e artistici parti. Dopo sanciti dalla competente autorità della Chiesa, il patrimonio è il oggetto di conservare e sviluppare dalla Chiesa. ‘Patrimonio dell'istituto' che dice al can. 578, si inizia dall'intendimento e dai progetti dei fondatori. L'intendimento e i progetti dei fondatori si possono dire il carisma dei fondatori. Quello si mette e sviluppa al carisma degli istituti, poi diventa la propria tradizione degli istituti. Nel corso di avere il carisma degli istituto dal carisma di fondatore si riceve la sanzione dalla competente autorità. Autorità competente non solo ha il compito di sanzionare ma deve anche approvare in senso stretto ed approvandolo converte il patrimonio in un bene ecclesiale pubblico inalienabile, poiche appartiene in atto al deposito della vita, della dottrina e della sanitità della Chiesa. Il serio dovere di osservanza e conservanza, si basa precisamente sulla sanzione della Chiesa. Il patrimonio degli istituti deve essersi a seguire più da vicino Cristo che sempre compie la volontà del Padre. Questo contenuto deve essersi nel carisma dei fondatori o istituti e nelle sane tradizioni. Ogni istituto non deve accettare il patrimonio che non segue Cristo che sempre compie la volontà del Padre. Gli istituti si cresce come un vivente intimo-fraterno organismo attraverso il suo patrimonio. Il ministero di vescovo e di superiore non si contende per conservare e rinovare il patrimonio degli istituti. Ogni istituto può avere una giusta autonomia per conservare intergro il proprio patriomnio di cui al c. 578. Questa autonomia si deve esercitare nella ecclesiastica commune.

      • KCI등재

        김수환 추기경과 가톨릭 시민 - 카리스마의 집중과 확산을 중심으로 -

        김남희(Kim, Nam Hui)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9 인간연구 Vol.0 No.39

        김수환 추기경 선종 이후 그를 기억하기 위한 작업과 연구는 교회 안팎에서 다양하게 이루어져왔다. 추기경에 대한 다각적 연구 사례는 그의 영성과 나눔 정신이 교회 내뿐만 아니라 한국 사회로 확산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교지도자이자 사회의 지도자로서 그가 지닌 권위의 힘, 즉 카리스마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더구나 항상 미소를 짓고 있는 추기경의 모습은 늘 당연하다고 여겼을 뿐 연구할 주제라고 생각하지는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간과되어 왔던 김수환 추기경의 카리스마와 당연하다고 여겨왔던 그의 웃음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막스 베버의 권위와 카리스마 개념을 살펴보았다. 베버는 신학적 개념인 카리스마를 한 개인이 지닌 ‘권위’의 한 양태를 일컫는 개념으로 새롭게 해석했다. 또한 권위의 한 유형인 카리스마적 권위를 전통적 권위와 합리적-법적 권위와 비교하였다. 베버의 카리스마 개념에서 볼 때, 추기경은 제도권 안에 있는 종교 지도자로서 전통적, 합리적-법적 종교적 권위보다 카리스마적인 종교적 권위가 더욱 크게 드러난 지도자라고 할 수 있다. 그의 삶과 어록을 통해 이러한 카리스마적 종교적 권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나아가 베버가 말한 카리스마의 일상화 개념을 토대로 은퇴 뒤 퇴색된 추기경의 카리스마적 종교적 권위를 웃음이라는 주제로 새롭게 해석하였다. 추기경의 이미지라 할 수 있는 ‘인자한 미소’를 웃음의 유형에서 학문적 의미를 찾고, 그 웃음을 영성적 관점에서 고찰했다. 마지막으로 막스 베버의 카리스마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통해 개인에게 집중된 카리스마적 권위를 아이젠슈타트와 쉴스의 이론을 토대로 카리스마의 확산 개념을 살펴보았다. 이로써 추기경의 카리스마가 현재적으로 구현될 인간상을 ‘가톨릭 시민’이라 명명하고, 나아가 가톨릭 시민교육의 필요성을 제안했다. Since the demise of Cardinal Kim(1922-2009), several diverse studies of his life and work have been conducted both within and outside of the church. Many of these have revealed that his spirituality and generosity extended throughout Korean society as well as among the church′s community. However, his power and charisma as both a religious and social leader have not been explored to date. Moreover, scholars have not considered his propensity to smile as a serious subject for study, considering it a mere matter of fact. To address this oversight, this study focuses on Cardinal Kim′s charisma, which has hitherto been overlooked, and also on his tendency to smile, which has been taken for granted. To this end, I will first examine Max Weber’s concepts of authority and charisma. Weber reinterpreted the theological notion of charisma as a form of individual authority. He also drew comparisons between charismatic authority, traditional authority, and rational-legal authority. With respect to Weber’s notion of charisma, Cardinal Kim, who led the religious movement within the established social boundaries, can be described as a leader whose charismatic religious authority is more salient than other forms of authority, including traditional and rational-legal authority. In this paper, Cardinal Kim′s charismatic religious authority is examined on the basis of his life and sayings. Cardinal Kim′s charismatic religious authority, which declined after his retirement, will also be reinterpreted in this paper, with a focus on his propensity for smiling, on the basis of Weber’s concept of routinization of charisma. Referring to the classification of laughter, his well-known “generous smile” is endowed with scholarly significance and also examined from a spiritual perspective. Finally, this paper offers a critique of Weber’s notion of charisma, which focuses solely on the individual, and investigates the notion of the transmission of charisma, building on theories developed by S. N. Eisenstadt and E. Shils. Based on this research, I label this personality, through which Cardinal Kim′s charisma can be recreated for the present age, as “Catholic Citizenship,” and propse that civil education be introduced for Catholics.

      • KCI등재

        베버의 지배 개념 - 인터넷 사회에서도 가능한가?

        박창호 한국사회이론학회 2020 사회이론 Vol.- No.58

        This article is to explore whether the concept of domination, which M. Weber has typified is applicable to the Internet space as well. Weber saw domination as an important element of social action. He described that the structure of domination exerts influence in all areas that carry out social action, creating social order. Weber explained the legitimacies of domination and categorized them into the domination of three types: traditional domination, rational domination, and charismatic domination. All of these are divided into domination based on usual authority and unusual authority. Among them, we can understand traditional domination of infinite moral responsibility and rational domination of limited moral duties with a specific purpose. However, in the case of charismatic domination, Weber viewed the individual's qualities and abilities as domination. The charismatic dominance is understood in the organized form of social group while thinking of the charismatic community. Therefore, when the charismatic person with a charismatic quality disappears, the charismatic community that maintained the dominant order through charisma wants a new charisma irrelevant to the individual's qualities. It was the routinization of charisma caused by a hereditary charisma. In this process, Weber argues that charismatic domination eventually turns into traditional and rational domination. However, the order of domination in the Internet shows the emergence of influencers with individual qualities such as charisma, and there is a phenomenon that literally charismatic domination, rather than traditional domination and rational domination, becomes a daily routine. The influencers of Internet include however not only politicians but also celebrities, athletes, and other various characters and exert an influence on the domination of Internet through various social media. Their abilities shown in various areas are based on the charismatic qualities.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domination of the influencers are specific on the point of the basis of the dominant order grounded on the voluntary will and subjective meaning the ruled. It is different from the pessimistic positions seen by Weber. The remarkable characteristic of the domination order in Internet is that the ruled with the legitimacy of self-satisfaction, follows the rulers, the influencers, on the basis of emotions rather than coercive forces. 이 글은 베버가 유형화한 지배의 개념을 인터넷 공간에서도 적용 가능한지 탐색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시작한다. 베버는 지배를 사회적 행위의 중요한 요소로 보았다. 사회적 행위를 이루는 모든 영역에 지배의 구조가 영향력을 행사해 사회의 틀을 만드는 것으로 보았다. 베버는 지배의 정당성을 동원해서 크게 세 가지 지배인, 전통적 지배, 합법적 지배, 카리스마 지배로 유형화시키고 있다. 이들은 모두 권위에 근거한 지배로 일상적 권위에 근거한 지배와 비일상적 권위에 근거한 지배로 나눈다. 그 가운데 도덕적 책무가 무한인 전통적 지배와 일정한 합목적적 규칙에 따라 제한된 도덕적 임무만이 따르는 합법적 지배는 쉽게 이해가능하다. 그러나 카리스마 지배의 경우 베버는 일시적으로 개인의 자질이나 능력을 앞세운 지배로 보았다. 이러한 지배는 카리스마 공동체를 생각하면서 조직화된 집단지배의 형태로 이해하고 있다. 따라서 카리스마적 자질이 있는 개인이 사라지면 카리스마를 통해 지배질서를 유지하던 공동체는 새로운 카리스마를 원하게 되면서 개인의 자질과 상관없는 세습적 카리스마로 일종의 카리스마의 일상화가 일어난다. 이런 과정에 결국 카리스마 지배는 전통적 지배와, 합법적 지배로 변하게 된다는 것이 베버의 주장이다. 그러나 인터넷에서 일어나는 지배의 질서는 카리스마와 같은 개인의 자질을 갖춘 인플루언서의 등장으로 전통적 지배와 합법적 지배가 아닌 말 그대로 카리스마 지배가 일상화되는 현상이 일어난다. 다만, 이들이 정치인뿐만 아니라, 연예인, 운동선수 등 다양한 인물들이 여러 SNS의 미디어로 지배력을 행사하고 있어 카리스마가 다양한 영역에서 발생한다. 또한 이들 지배의 특징은 복종자의 자발적 의지와 주관적 의미를 앞세운 지배여서 베버가 본 비관적 입장의 지배질서와는 다르게 보인다. 강압적 지배보다는 감정을 앞세운 자기만족의 정당성이 앞서는 피지배자 집단이 부각되는 것이 인터넷 지배질서의 두드러진 특성이다.

      • KCI등재

        카리스마 재고: 참된 공동체를 추구하며

        이은재 ( Lee Eunjae )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20 영산신학저널 Vol.0 No.54

        카리스마라는 개념은 매력적이면서도 여전히 베일에 가려있다. 카리스마의 기원은 코이네 그리스어이며, 어간어인 Charis와 Charisma는 초기 기독교 문헌에서 동의어로 사용되곤 했다. 기독교의 영역에서 구약성서는 이 개념을 알지 못했기에 찾아볼 수 없으며, 신약성서에서 비로소 바울이 처음 사용했다. 바울은 철저히 섬김이라는 관점에서 카리스마를 사용했다. 기독교가 로마 제국내에서 제도로 자리를 잡으면서 카리스마는 점차 직분자의 권위로 대체되기 시작했다. 카리스마와 제도의 관계는 교회론을 이해하는 열쇠가 되었다. 오늘날 다시 카리스마를 재고한다는 것은 그 본래적인 의미를 회복한다는 것을 뜻한다. 즉, 카리스마를 소유한다는 것은 모든 신자들이 하나님의 영에 붙들린다는 의미이며, 따라서 성령에 따른 제자의 삶을 추구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교회가 그리스도의 몸이라는 선포는 모든 기독교인들이 참으로 하나님의 영 안에서 사역한다는 것인 동시에 교회의 모든 신자들이 카리스마의 담지자라는 말이다. 기독교 신앙이 공동체 안에서 생생하게 작동하기 위해서 모든 구성원들의 활동과 모임이 제 역할을 감당할 수 있도록 변화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를 위해서 카리스마의 회복은 제도와 조직이 안고 있는 고착성을 뛰어넘어 창조적인 사고와 섬김의 실천을 가능하게 해 줄 것이다. The term charisma is as fascinating as it is puzzling. The origin of the term charisma goes back to the Hellenic colloquial language (=Koine). The root word Charis (=grace) and Charisma (=gift of grace) are often used synonymously in the early Christian scriptures. In the Christian-religious field, the term Charis first appeared in the writings of Philo of Alexandria, in Epictetus and in Paul. What does it mean for the members of the early Christian community to have charisma? First of all, this means that the Spirit of God rests in him, that he is inspired by God’s Pneuma. Since the body of Christ encompasses the entire ecclesia, that is, all Christianity, and every true Christian carries the Spirit of God within him, every member of the church is also a carrier of charisma. If the Christian faith is actually best conveyed within the community, then vitality of Christian life can be expected from the outset in smaller community groups. For this, charismatic existence overcomes the dichotomy between thinking and living, theory and practice, by revealing and realizing the indissoluble relationship between charismatic thinking and living.

      • KCI등재

        카리스마 운동의 특징과 에큐메니칼 의의

        김다니엘 ( Daniel J Kim )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3 복음과 선교 Vol.22 No.-

        카리스마 운동과 에큐메니칼 운동의 기원은 20세기 초반부터 시작된다. 그들의 원동력과 목적은 근본적으로 동일하였다. 성령의 역사함으로 시작되었으며, 세계복음화를 목표로 삼았다. 그러나 그들의 성령의 방법론적 이해와 목적성취를 위한 과정에는 큰 차이가 있었다. 에큐메니칼 운동은 정규적인, 제도적 방식에 의존한 반면, 카리스마 운동은 비형시적인, 체험 중심적 방식을 취하였다. 에큐메니칼 공동체는 가시적이고 구조적인 교회의 연합을 강조한 반면, 카리스마 공동체는 영적 회복과 성령의 능력 부여함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이 두 운동의 역학적인 요소들 가운데 분명히 수렴되는 부분들이 있었다. 이 논문의 목적은 바로 이 운동들의 수렴되는 측면들을 논의하며, 특히 카리스마 운동이 교회에 활력과 연합, 세계복음화와 선교에 기여하는 중요한 역할을 제안한다. 카리스마 운동은 세 가지 주요한 측면에서 에큐메니칼 운동의 본래적 비전을 강조하고 보충하는 역할을 한다: (1) 기존 교회들의 “body ministry”를 통한 영적 회복; (2) “spiritual ecumenism”을 통한 교회의 연합함; (3) “Spirit empowerment”를 통해 교회의 사명을 감당케 도움. 이처럼 카리스마 운동은 에큐메니칼 운동이 잃어버린 필수적인 요소들을 제공한다. 교회의 미션을 위한 회복, 연합 그리고 능력 부여함 관점에서 볼 때 에큐메니칼 운동의 비전과 활력의 비결은 성령의 역사하심이다. 그러나 신학적이고 방법론적인 차원의 중요한 이슈들이 있는데 이러한 이슈들은 계속 논의되고 명확화 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1) 카리스마적 사역과 정통적 교리 사이의 관계; (2) 성령론과 기독론 사이의 관계; (3) 카리스마 공동체와 제도적 교회 사이의 관계; (4) 영적/신비적 연합과 가시적/사회적 연합 사이의 관계; (5) 교회내의 카리스마 운동과 세상에서의 사회-정치적 참여 사이의 관계. 이러한 주요한 쟁점들은 카리스마적 공동체들이 그들의 생각을 로잔 운동의 지혜를 통해 비추어봄으로써 큰 혜택을 받을 수 있다고 믿는다. 이것은 즉, 에큐메니즘의 의미에서 자유주의적, 인본주의적, 세속주의적, 그리고 종교다원주의적인 WCC 성향들에 의해 골칫거리가 되는 특별히 복음주의적 사고방식의 카리스마적 사람들에 대해서 합리적인 행함의 강의로 볼 수 있다. 로잔 운동의 주 메시지인 세계복음화의 의제와 통합이 될 수 있다면, 카리스마 운동과 에큐메니칼 운동의 역동적인 연합으로 인한 “온 교회”가 “온 복음”을 “온 세계”에게 전하며 나타내는 사명을 더욱 더 효율적으로 감당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고객자산, 브랜드 카리스마 및 타인추천 간의 관계 연구 : 수도권 뷰티숍을 중심으로

        김신애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16 마케팅논집 Vol.24 No.2

        본 연구는 글로벌시대를 맞아 K-pop, K-fashion, K-drama, K-beauty 등 전방위적으로 한류문화들이 확산되고 있는 시점에 K-beauty의 고객자산을 파악하고자 수도권에 소재하고 있는 뷰티숍 시장을 중심으로 고객자산(관계자산, 가치자산, 브랜드특유자산, 브랜드자산), 브랜드 카리스마 및 소비자의 타인추천 간의 관계를 다루고자 하였다. 387명의 뷰티숍을 이용하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실증ㆍ분석한 결과, 첫째, 고객의 뷰티숍에 대한 고객자산(관계자산, 가치자산, 브랜드특유자산, 브랜드자산)은 브랜드 카리스마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브랜드 카리스마는 고객의 타인추천에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영향관계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고객자산(관계자산, 가치자산, 브랜드특유자산, 브랜드자산)과 소비자의 타인추천 간에 브랜드 카리스마의 매개효과 여부를 분석한 결과 유효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놓고 볼 때, 뷰티숍의 고객자산은 미래의 비즈니스 안정화와 성장에 매우 중요한 지렛대로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 relationship study among customer equity, brand charisma and recommendation intentions in beauty shop markets focused on mediation effects of brand charisma for beauty shop in metropolitan region. Customer equity is what is called relationship asset, value assets. relationship specific asset, and brand assets. A total of 387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Data were gathered from respondents who use in metropolitan region. market. For this study, Data were analyzed by SPSS 21.0 Ver. After reliability and validity check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rrelations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pproach was used to test the hypotheses. As expected in the hypotheses, customer equity( relationship asset, value assets. relationship specific asset, and brand assets) does directly influence to brand charisma. brand charisma positively impact on recommendation intentions. In additional analysis, brand charisma has mediating role between customer assets and recommendation intentions. This result strongly supports our research model. Theoretical contribution and manageri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and the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s are presented in the part of the end.

      • KCI등재

        마더 데레사를 통해 살펴본 자비의 카리스마

        김정은(Kim, Jung Eun)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6 神學展望 Vol.- No.194

        프란치스코 교황은 제2차 바티칸 공의회가 지닌 자비의 정신을 이어받아 공의회 폐막 50주년인 2015년 12월 8일에 ‘자비의 특별 희년’을 선포하였다. 자비가 교회 생활의 토대이자 모든 사목 활동의 출발점임을 강조하면서 특별히 자비의 육체적 활동과 영적 활동을 제안하였고 이 자비 활동을 실천한 교회의 표양으로 9월 4일 콜카타의 마더 데레사를 시성한다. 병을 치유하고 기적을 행하며 하느님 말씀을 가르치던 예수 그리스도의 자비로운 사목적 활동은 예수 부활과 승천 이후 성령의 은총을 통해 사도들에게 주어진 카리스마를 통해 이어졌고 사도들뿐만 아니라 세례를 받은 이들에게도 은총의 선물로서 다양한 카리스마들이 주어졌다. 이 카리스마들은 교회 공동체를 성장시킴은 물론, 가난하고 고통받는 이들에게 그리스도의 사랑과 복음을 선포하는 중요한 도구가 되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자비의 특별 희년에 시성되는 마더 데레사의 육체적, 영적 자비 활동들을 봉사와 섬김, 자비의 카리스마 측면에서 바라보았다. 마더 데레사는 예수 그리스도의 목마름을 채워드리는 영성 안에서 가장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봉사의 삶을 살았다. 이 삶은 연대성의 정신을 넘어 전 인격을 그들에게 나누어주는 자기증여적 희생을 의미한다. 예수 그리스도가 죽음이라는 희생을 통해 인류의 구원이라는 봉사의 길을 걸어간 것과 같이 가난한 이들과 함께 한 마더 데레사의 봉사의 카리스마는 공동선이라는 카리스마의 궁극적 목적을 성취하고 나아가 교회 전체 공동체의 신앙을 풍부하게 하는 생명의 보화가 된다. 더불어 마더 데레사는 가난한 이들을 위한 돌봄과 섬김의 자리에 위치함으로써 가난하고 고통받는 사람들 가운데 존재하는 창조자의 모습을 알아보며, 이들을 위한 섬김의 카리스마 안에서 하느님의 영광을 드러내고 왕의 품위를 실현한다. 사도 바오로는 모든 카리스마의 원리 위에 있는 하나의 비전으로 사랑을 제시하였다. 하느님과 이웃에 대한 온전한 사랑을 보여준 마더 데레사는 ‘하느님 사랑, 하느님 현존, 하느님 자비’의 표징이 되었고 서로 사랑하도록 창조된 본질적인 하느님 자녀의 모습을 보여준다. 이러한 자비로운 사랑이 교회 생활의 토대를 이루어 교회 안팎의 모든 사목 활동으로 이어질 때 위기에 처한 현대 사회에 생명력을 불어 넣어주고 사랑과 정의를 토대로 하는 평화를 가져다줄 수 있을 것이다. On December 8, 2015, Pope Francis, marking the 50th anniversary of the close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 and in inheriting a spirit of mercy from it, proclaimed an “Extraordinary Jubilee Year of Mercy”. He stressed that mercy is the basis of all church activities and a starting point of all pastoral activities, and he particularly focused on physical and spiritual activities based on mercy. On September 4, 2016, Pope Francis will declare Mother Teresa of Calcutta a saint, making her a modern symbol of a church that practices such mercy. The merciful teaching and acts of Jesus Christ, who cured diseases, performed miracles, and preached the word of God, were handed down through the charisma given to His disciples and through the grace of the Holy Spirit after His resurrection and ascension. Followers who were baptized were also given various kinds of charisma as a gift of grace. Such charisma was instrumental for the growth of the church community and for proclaiming the love and the gospel of Jesus Christ to the poor and the suffering.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paper examines the merciful physical and spiritual activities of Mother Teresa, who will be canonized in the Year of Extraordinary Jubilee of Mercy, from the perspective of serving and the charisma of mercy. Mother Teresa lived a life of serving and caring for the poorest people with the spirituality to follow and practice the teaching of Jesus Christ. Her life gave witness to a self-giving sacrifice that poured out her heart to the poor, going beyond the spirit of solidarity. As Jesus Christ led a life of serving and sacrifice towards the salvation of all mankind through His death, Mother Teresa and her charisma of serving the poor achieved ‘goodness for all’ the ultimate purpose of charisma, and became the treasure of life that enriches the faith of the whole church community. Moreover, Mother Teresa realized that God is with the poor and the sufferer by serving and caring for them. Through her charisma to serve, she revealed the glory of God and realized the dignity of God. Paul the Apostle presented love as one of the visions upon which all kinds of charisma are based. Mother Teresa practiced total love toward God and her neighbors, became a symbol of “God’s love, God’s presence, and God’s mercy” and revealed the image of God’s children who are created to love each other. Mercy and love are the basis of church life and all pastoral activities inside and outside of the church, and these qualities will help restore a modern society faced with crisis, delivering peace built upon love and jus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