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복음주의 선교신학 발전사로 본 장훈태 박사

        소윤정 ( So Youn Jung )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21 복음과 선교 Vol.54 No.-

        필자는 한국 복음주의 선교신학 발전에 있어서, 1992년 백석대학교 (구. 천안대학교) 대학설립 추진위원을 시작으로 1994년부터 2000년까지 동대학 선교학과 학과장을 역임하고 2021년 6월 백석대학교 선교학 교수로 정년퇴임하는 선교신학자 장훈태 박사의 공헌과 헌신적 삶의 역사적 의미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한국 복음주의 선교신학은 시대적으로 큰 도전에 직면해 있는데, 급변하는 세계상황과 다문화 사회로 한국 사회구조의 근본적인 변화가 있어지고 있는 이러한 상황가운데 한국복음주의 선교학의 지표를 다시금 확인하고 지나간 발자취를 회고하면서 앞으로의 발전전략을 수립함에 있어서 한 시대를 복음주의선교신학 발전을 위하여 살아온 선교신학자에 대하여 살펴보는 것은 이론적인 선교신학 연구와 달리 실천적인 선교신학 발전을 위한 토대가 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먼저 장훈태 박사의 학회 활동을 중심으로 복음주의 선교신학발전에 기여한 점들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를 재구성하고 활성화하는데 기여하였고, 한국연구재단과 관련하여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가 한국 인문학 발전에 있어서 학문적 객관성을 인정받고 저변을 확대할 수 있도록 학술지 <복음과 선교>를 등재지로 승격시키는데 헌신하였으며, 개혁주의생명신학회를 설립하는데 토대가 되어 역할을 다하고 <생명과 말씀>을 등재로 승격시키는데 큰 헌신을 하였다. 뿐만 아니라 모교인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ACTS신학연구소 발간 < ACTS신학저널 > 학술지를 등재지로 승격하도록 현신하였으며 지피지기(知彼知己)의 마음으로 한국중동학회의 회원으로 활동하면서 ‘수쿠크’도입을 반대하기도 하였다. 또한 지역학 연구를 위하여 한국아프리카 학회 활동을 하게 되었으며 편집위원으로 활동중이다. 두 번째로 학문적 성과면에 있어서 매년 평균 7편의 다양한 논문들을 계속적으로 발표하고 있는 장훈태 박사는 2019년을 기점으로 선교신학 주제 연구보다는 서부아프리카를 중심으로 한 지역학연구에 열의를 다하고 있다. 이는 학제간 융합을 통한 인문학발전에 기여를 인정할 만하며 기존의 다른 선교신학자들에 비하여 선구자적 역할을 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겠다. 세 번째로 선교실천적 측면에서 장훈태 박사는 지역학연구 논문발표와 함께 실천적인 선교활동을 통하여 복음이 증거되는 일에 앞장서고 있다. 선교지 정보 알리기와 연구소외 지역을 방문하고 연구하면서 선교실천적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이는 비거주선교의 형태의 하나로 비거주 선교를 실천하며 선교동원에 기여하고 있는 1세대 비거주선교사 모델이라고 생각한다. The author discussed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Missional Scholar Dr. Chang Hun Tae’s contributions and dedicated life who began his career as a member of the Promotion Committee of the Foundation of Baekseok University(Former Cheonan University), successively served as the Dean of the Department of Mission Studies in the same university from 1994 through 2000 and is retiring as a Professor of Mission Studies at Baekseok University in June 2021 in the development of Korea Evangelical Mission Theology. Korea Evangelical Mission Theology is facing a great challenge currently. In this situation, where there are fundamental changes in Korean social structure with rapidly changing world situation and multicultural society, examining the missionary theologian who has lived a period for the development of Evangelical Mission Theology in establishing the developmental strategy in the future, checking on the indicators of Korea Evangelical Mission Studies again and recalling the past steps could be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mission theology unlike the theoretical mission theological studies. First, this study examined contributions to the development of evangelical mission theology, focusing on Missional Scholar Dr. Chang Hun Tae’s academic activities. He contributed to restructuring and revitalizing the Korea Evangelical Missiological Society and devoted himself to the promotion of Academic Journal, The Gospel and Mission to a registered journal, concerning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so that Korea Evangelical Missiological Society could get its academic objectivity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Humanities and expand the base, played his role as the base for the foundation of Society for Reformed Life Theology and made a great dedication to the promotion of Life and Word as a registered journal. Moreover, he was devoted to the promotion of the academic journal ACTS Theological Journal published by his alma mater, Asia United Theological University ACTS Theology Institute to a registered journal and opposed the introduction of ‘Sukuk,’ active as a member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Middle East Studies out of his mind to know his enemy and himself to win the battle. In addition, for regional studies, he came to be active in the Korean Association of African Studies and active as an editor. Second, in terms of academic achievement, Missional Scholar Dr. Chang Hun Tae, who continuously publishes seven papers every year on average, fulfills his zeal in regional studies, focusing on Western Africa rather than studies of mission theological topics since 2019. It is worth recognizing his contributions to the development of humanities through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and it can be evaluated that he played a pioneering role compared to other existing missionary theologians. Third, from the aspects of missionary practice, Missional Scholar Dr. Chang Hun Tae has led the spread of the Gospel through practical missionary work along with the presentation of papers on regional studies. Reporting on information about the mission fields and visiting and investigating the areas excluded from research, he seeks missionary practical methods. It is judged that it is one of the forms of nonresident mission work, which is the first-generation nonresident missionary model contributing to missionary mobilization, practicing non-resident mission work.

      • KCI등재

        21세기 복음주의선교가 나아가야 할 방향

        김승호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9 복음과 선교 Vol.48 No.-

        복음이 한국 땅에 들어온 지 135년이라는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 한국 교회는 세계 교회가 놀랄만한 경이적인 성장을 경험했다. 주요교단의 세계최대교회들이 대부분 한국에 있을 정도로 크게 성장하는 축복을 누렸다. 한국 교회는 성경대로 믿고 성경대로 살고자 노력해온 복음적인 교회로 성장해왔다. 하지만 현재 선교이해당사자들 사이에서 한국선교가 중대 기로에 서 있음을 인정하고 있다. 최근 한국선교가 겪은 시행착오들에 대한 자기성찰과 반성에 대한 회의들과 글들이 수도 없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연구자는 본 연구에서 한국선교의 현재를 진단하고, 21세기 한국 복음주의선교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네 가지로 제시했다. 첫째, 1974년 로잔대회 이후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복음주의의 선교는 여전히 내세와 현세, 영혼과 육체, 거룩과 세속으로 나누는 이원론적 경향성을 띠고 있으며 선교를 전도와 동일시하여 복음의 총체적 성격을 여전히 간과하고 있음을 반성해야 한다. 둘째, 3차에 걸친 로잔대회의 교회사적 그리고 선교적 공헌과 특징을 들라면 ‘복음전도의 우선순위’를 강조함으로 복음주의 신학 및 선교의 정체성을 분명하게 규정해 준 점이다. 변함없이 복음전도의 절대 우선순위를 천명하면서도, 역사적으로 복음주의 진영이 간과해온 교회의 사회적 책임 또한 강조함으로 21세기 복음진영의 선교가 나아갈 방향이 어떻게 되어야 할지 제시했다. 따라서 21세기 복음주의 진영이 총체적 선교를 하되, 세계 교회협의회가 ‘세계 교회협의회가 연합하여 복음화를 이루고자 했던 목표가 시간이 흐르면서 인본주의로 흘러간 실수’를 재현 하지 않기 위해서도 ‘복음전도의 우선순위’를 확고하게 붙잡을 필요가 있다. 셋째, 다원주의 사회로 접어든 사회에서 복음주의 교회는 성경의 가르침을 확고히 지키되 다른 한편으로는 타종교와의 창조적 관계설정을 위해서도 노력해 나갈 필요가 있다(여기서 타종교란 성경의 핵심교리를 전면 부인하고 복음에 가장 저항적인 이슬람과 유사기독교를 제외한 종교를 의미함). 전통적으로 복음주의는 타종교에 대해 무례하고 무지하며 배타적인 자세를 취해왔다. 우리가 주장하는 ‘유일주의는 진리차원에서의 배타이지 사람에 대한 배타가 되어서는 안된다’. 필요한 부분에서의 협력은 예수 그리스도께서 보여주신 사랑의 실천, 기독신앙의 내용을 삶의 현장에서 타종교인들에게 보여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줄 수 있다. 넷째, 선교에서의 협력문제이다. 그 동안 복음주의 진영은 진보진영에 비해 개 교단, 개 교회, 그리고 개 선교단체중심의 선교를 해온 것이 사실이다. 개별적이며 경쟁적인 선교는 해소되어야 할 과제이다 During the relatively short period of 135 years since the Gospel entered Korea, the Korean church has experienced remarkable, phenomenal growth. The Korean church has been so blessed that Korea now has the largest churches of major protestant denominations in the world. From the beginning, the Korean church as an evangelical church has tried to believe in and live according to the Bible. However, all parties who are involved in missions related to Korean church missions are currently at a critical crossroads. There have been numerous meetings and written works pertainingto self-reflection on mistakes that Korean missions have made during last thirty-five years. In this study, the present state of Korean missions was analyzed, and four suggestions are presented for Korean evangelical mission in the 21st century. The suggestions are asfollows: First, despite significant efforts since the 1974 Lausanne Congress, Korean evangelical missions still have the dualistic tendency to make distinctions between afterlife and mortal life, soul and body, holiness and secularity and continues to overlook the whole nature of the gospel by identifying missions as merely evangelism. Korean evangelical churches need to make a concerted and strong effort to overcome their dualistic views toward human begins and the world. Second, contributions of the three Lausanne Conferences in church history and mission activities have been that the Lausanne movement clearly defined the identity of evangelical theology and Christian missions by emphasizing the “primacy of evangelism”. By emphasizing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the church which evangelicals have historically overlooked, a better direction is suggested for evangelical missions in the 21st century. Evangelicals in the 21st century must complete the whole mission. Furthermore, they need to be careful of not making the same great mistake W.C.C has made where missions were replaced by humanization. Third, in a pluralistic society, the evangelical church needs tokeep firmly to the teachings of scripture while trying to establish creative relations with other religions. However, evangelicals should not engage in dialogue with Islam and quasi-Christianism that are most resistant to the gospel. Traditionally, evangelicals have been rude, ignorant, and exclusive to other religions. Our main concern should be the exclusion of the truth, not the exclusion of the people of other religions. Cooperation with other religions in our daily life is practicing the love that Jesus Christ showed to people around Him during His public life. Fourth, cooperation is an important matter in Christian missions. For long periods in missionary history evangelicals have focused on individuals and followed a local church (denominations) centered missionary approach. From here on out, evangelicals must strive to end competition in the missionary fields and work towards cooperation.

      • KCI등재

        조종남의 선교신학과 선교이해 - 존 웨슬리의 선교와 로잔운동을 중심으로

        박영환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20 복음과 선교 Vol.49 No.-

        The mission history of the Korean churches goes with Jong-Nam Cho, the pioneer of the evangelical mission. He made the foundation of the evangelical mission and the connection to the Lausanne Mission Movement for the first time. He contributed to establishing the foundation of the Korean evangelical mission and suggested the positive ways to the Korean churches’ mission. His mission theology was based on John Wesley’s evangelism and his missionary works continued with the Lausanne Mission Movement that related to the Billy Graham World Congress on Evangelism in Berlin. He intended the revivalism with John Wesley’s evangelism, the new disciple movement, and the social participation of the Christians. He tried to solve the missionary issues of social participation through the evangelical ministry of the Lausanne Mission Movement. He regarded the social participation of the mission as the evangelical challenges. He organized the structural and functional missionary concepts as the complementary challenges to spread the gospel. Also, he organized the Asian Lausanne Movement in 1976 and became the main leader of the World Evangelical Movement. He worked as a policy-maker and devoted himself to inform the Korea Lausanne Congress to the theological students. Since the third Lausanne Congress in 2010, Jong-Nam Cho strived to make connections with the evangelism and the Lausanne Congress beyond the Asian Lausanne. Even though the social participation for the mission was the main problem of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he strongly insisted on the practical role of the mission that incorporates the faith and life. As the leader of Korea Lausanne, h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pastors and students. To research the Jong-Nam Cho’s mission studies should be the top priority work for the Korea World Mission. 조종남의 선교신학 과 이해는 한국 교회의 세계선교 이해의 출발점이며 복음주의선교의 효시라 할 수 있다. 누구보다도 한국 선교의 복음주의선교에 초석을 놓았고, 선교이해로는 로잔대회와 연계한 최초의 신학자다. 그의 열정은 오늘날 한국 복음주의선교의 근간이 되었고, 한국 교회의 미래 세계선교의 방향의 시금석이다. 그러므로 조종남의 선교신학과 선교이해는 한국선교의 절대적 명제다. 조종남의 선교신학은 존 웨슬리의 영혼구원이고, 선교이해는 로잔대회를 통해 한국기독교에 계승되었다. 복음주의 선교이해의 역사의 기초를 제공한 빌리 그래함(Billy Graham) 전도대회와 연계된 베를린대회를 출발로 로잔대회가 선교역사에 등장했다. 정리하면 웨슬리의 영혼구원을 바탕으로 한 전도와 부흥운동, 총력전도로 본 제자화 운동, 믿음과 삶을 통합한 사회참여의 방법과 이해가 조종남의 선교신학이다. 세계선교의 갈등 주제인 선교의 사회참여는 로잔대회를 통해 전도로 풀어갔으며, 조종남은 전도하기 전 선행적 과제로 사회참여를, 전도이후 복음의 실천적 삶으로 사회참여를 설명했다. 이러한 시도는 전도의 우선권 논쟁을 잠재웠고, 선교의 구조적 이해·기능적 이해·전도의 보완적 과제로 정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사회참여’논쟁은 계속되고 있다. 조종남은 1976년 아시아로잔을 시작으로 웨슬리의 ‘영혼을 구원하는 전도’ 로잔운동의 ‘전도와 사회참여’를 아시아와 한국 기독교에 선교신학과 이해로 학문적 입장을 제시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복음주의 선교는 여전히 선교의 사회참여가 WCC와 핵심적 선교갈등에 내들리고 있다. 특히 조종남은 전도를 세계선교의 기능적 역할로 강조하며, 믿음과 삶을 통합한 “총체적 선교”로 정리했다. 그러므로 조종남의 선교신학과 선교이해를 연구하는 것은 한국복음주의선교의 필연적 과제다.

      • KCI등재

        개항 이후 초기 한미관계와 선교사의 역할 - 알렌과 헐버트를 중심으로

        박응규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24 복음과 선교 Vol.65 No.1

        개항 이후 초기 한미관계와 선교사의 역할 - 알렌과 헐버트를 중심으로개신교가 19세기 후반에 은자의 나라에 들어 온 시기는 제국주의가 발전하고 있던 시기였다. 또한 한국 주변의 세 강대국인 중국, 러시아, 일본이 서로 세력 다툼을 하고 있던 시기였다. 각국은 한국을 통제하에 둠으로써 상대 국가들이 군사 기지를 건설하는 일을 사전에 예방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정치적 상황은 세기말의 일본 침공으로 연결되었다. 중국과 달리 한국의 제국주의 팽창은 서구열강에 의해 진행된 것이 아니라, 일본에 의해 이루어졌다. 유럽 제국주의는 기독교 왕국의 팽창에 기여했지만 일면에서는 기독교 선교에 방해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한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의 기독교인들은 매국노라는 낙인이 찍혔다. 이것이 아시아에서 기독교가 발전하지 못한 이유 가운데 하나이다. 1884년 6월 일본에 파송된 감리교 선교사인 로버트 맥클레이(Robert S. Maclay) 부부가 선교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해 한국을 방문하였다. 그들은 그 여행을 통해 선교를 할 수 있다는 왕실의 허락을 받았다. 전면적인 허가는 아니었지만, 그것은 의미 있는 첫 발걸음이었다. 또 하나의 중요한 사건은 1884년 9월 20일 호레이스 알렌(Horace N. Allen)이 한국에 도착한 것이다. 그것은 한국 개신교 선교의 전면적 시작을 예고하는 신호탄이었다. 그는 북미 장로교 선교회에서 의료 선교사로 파송 되었다. 그의 파송은 1882년 미국 정부가 서울에 설치한 공사관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1882년의 한미 수호 조약으로 인해 선교의 문이 개방된 이후로, 미 북장로교 선교부 소속 알렌이 중국에서 한국으로 선교지를 전임하여, 1884년에 “은둔의 나라”에 최초의 개신교 선교사로 입국하였고, 나중에는 외교관으로 활동하였다. 1885년에는 북장로교 선교부의 언더우드와 미 감리교에 속한 아펜젤러와 윌리엄 스크랜톤이 한국에 도착하였다. 호머 헐버트(Homer Hulbert)는 우리나라 최초 근대식 국립학교인 육영공원 교사로 1886년에 내한하여, 교사로 활동하면서 우리나라의 근대 청년 교육 운동에 선구적으로 기여하였고 독립운동에도 크게 공헌하였다. 그 이후에 다른 선교 기관들도 한국에 선교사들을 파송하기 시작하였으며, 1889년에 오스트레일리아 장로교 선교부가, 1892년에 미 남장로교 선교부가, 1896년에 미 남감리교 선교부가, 1898년에는 캐나다 장로교 선교부가 각기 선교사들을 파송하였다. 당시 선교사들은 공식적인 설교를 할 수 없었지만 학교와 병원을 설립하는 일은 한국 정부의 허락을 받았다. 특히 알렌과 헐버트는 개항 이후 초기 한미관계와 한국의 선교역사에서 개척자의 역할을 어려운 상황에서 잘 감당해 낸 선구자들이었다. 이 논문에서는 그들이 선교사로 활동하면서 다양한 분야에서 한국에서의 선교발전과 한미관계를 발전시키는 데에 그들이 기여한 공헌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Early Korean-American Relations and the Role of American Missionaries :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Horace Allen and Homer Hulbert When Protestant Christianity entered the Hermit Kingdom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it was a time when imperialism was developing. Also, it was a time when Korea’s three large neighbors, China, Russia, and Japan, were struggling with each other for power. Each wanted to control Korea and to prevent the others from putting military bases there. This political situation led to the Japanese invasion at the turn of the century. European imperialism helped to spread Christendom and, in one sense, hindered the spread of Christianity. The indegenous Christians, except in Korea, were branded as denationalised people. This was one of the reasons why Christianity did not make much headway in Asia. In June 1884, the Rev. and Mrs. Robert S. Maclay, Methodist missionaries to Japan, made a trip to Korea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a mission, and during the trip obtained royal permission to establish a mission. Although this was not full permission, including preaching of the gospel, it was a meaningful first step. Another important event was Horace N. Allen’s arrival on September 20, 1884, signaling a full-scale opening of Protestant missions in Korea. He was sent by the Board of the American Northern Presbyterian mission as a medical missionary. His appointment was closely related to the diplomatic mission in Seoul established by the U.S. government in 1882. Since the treaty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in 1882 opened a door for missionary work. Horace Allen of the Northern Presbyterian Board was transferred from China to Korea and thus became the first Protestant missionary to the “Hermit Nation” in 1884 and then became a diplomat of the United States to Korea. In 1885, Horace Underwood of the Northern Presbyterian Board, and Henry Appenzeller and William Scranton of the Methodist Episcopal Board, arrived on the field. Homer Hulbert arrived in 1886 as a teacher of Yukyeong Academy, the first modern national school and then he did very crucial role in educating many national leaders and in independence movement. Also, at the 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other foreign mission agencies began sending their missionaries to Korea: the Australian Presbyterian Mission in 1889, the Southern Presbyterian in 1892, the Southern Methodist in 1896, and the Canadian Presbyterian in 1898. These men were not allowed to preach, but were permitted by the Korean government to open hospitals and schools. Particularly, Allen and Hulbert were the pioneers in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the U.S. as well as various early missionary works in Korea. This paper seeks to examine their contributions to the early Korean-American relations.

      • KCI등재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역사와 미래

        장훈태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9 복음과 선교 Vol.45 No.-

        Now, 135 years after the gospel was introduced to Korean society, the Korean church is assigned the task of this age to deviate from the Western church and fulfill the responsibilities of world missions. However, today’s Korean church is in the situation of serious criticism to the church called new Christian persecution, and also is facing with situation to have to prepare for a variety of international issues, including the new Cold war and the dynamic structure, the strategic policies of nationalism(native priority principle), the global recession, and issues of immigrants and refugees. The Korean Evangelical Missiological Society(KEMS) was founded in 1984 and developed by missionaries with the perception that it is a critical time to establish theology at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Korean Church, and with the need to re-recognize ‘what the gospel is, and what mission is.’ In addition, it published the first issue of Evangelical Mission in 1985, and re-launched 13 years later in 1998 under the name of Theology of Mission, so that it is suggesting the correct missiological recognition and the direction for the future to Korean Missiological academia. The first principle of evangelical church and Theology of Mission is to start from the biblical perspective. This is to know the importance of the establishment of Biblical Theology of Mission by perceiving that life cannot be expected in mission without the church, just as there is no life in the church without mission. The second principle is the insight to read today’s world through the Bible. We need to generally observe ‘what missions and the role of church are’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period, and to examine churches and mission fields based on Bible. The third principle is that missionaries should study the gospel for own whole life. From now on, KEMS must be able to carry out the Great Commission(to proclaim the gospel to the ends of the earth) of Jesus Christ through union and cooperation between religious bodies and theological colleges in order to look ahead the future of the Korean Church, to not fail missional policies, and also to fulfill future missions. In other words, while the church needs to strengthen its support for more missional capabilities and innovation in the study of missionary theologians, missionary theologians need to come up with various tasks to apply the results of research to the church’s growth and mission fields. 한국 사회에 복음이 전파된 지 135년이 지난 지금, 서구 교회에서 벗어나 세계선교의 책임을 다해야 하는 시대적 과제를 안게 되었다. 그러나 지금 한국 교회는 신 기독교박해라 불리는 교회에 대한 비판이 심해지는 상황 가운데 신 냉전과 역학구도, 자국우선주의 전략 정책, 글로벌 경기침체, 이주민과 난민 문제 등 다양한 국제적 문제에 대비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해 있다.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는 1984년 한국 교회 100주년을 맞는 시점에 이르러 ‘신학을 정립해야 할 결정적인 시점’이라는 인식과 함께 ‘복음이 무엇이며 또 선교가 무엇인가’를 재인식해야 할 필요성을 느낀 선교학자들에 의해 설립되고 발전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또한 1985년 「복음선교」 창간호가 발행되었고, 13년 후인 1998년 「선교신학」 이란 명칭으로 재창간되면서 올바른 선교 신학적 인식과 함께 한국 선교신학계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복음주의 교회와 선교신학의 첫째 원리는 성경적 관점에서 출발하는 것이다. 그리고 선교 없는 교회에 생명이 없는 것과 마찬가지로, 교회 없는 선교에서는 생명력을 기대할 수 없다는 것을 인식하고 성경적 선교신학의 확립이 중요함을 아는 것이다. 두 번째 원리는 성경을 통해 오늘의 세계를 읽는 통찰력이다. 우리에게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선교사역과 교회의 역할은 무엇인가를 통섭적(統攝的)으로 관찰하는 일과 성경을 척도(尺度)로 하여 교회와 선교현장을 진단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셋째 원리는 사역자는 평생 복음을 위해 복음에 대한 공부를 해야야 한다는 것이다. 한국교회의 미래를 내다보고 선교정책이 실패하지 않도록 지금부터 우리 학회는 미래 선교를 위한 대비정책과 수립을 위하여 교단과 각 신학대학이 연합과 협력을 통한 예수 그리스도의 지상명령(땅 끝까지 복음 선포)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교회는 선교학자들의 연구를 위하여 보다 더 많은 선교역량 강화와 혁신을 위한 지원을 강화하고, 선교학자들은 연구 결과물이 교회성장과 선교현장에 적용될 수 있도록 다양한 과제들을 내놓아야 한다.

      • KCI등재

        복음주의 선교의 혼란과 위기, 그 답은 무엇인가?-4차 로잔대회를 생각하며-

        박영환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22 복음과 선교 Vol.60 No.-

        선교의 본질적 과제 혹은 정체성인 ‘복음전도’가 혼란과 혼돈 그리고 갈등을 유발하는 것처럼 이용당하고 있다. IMC가 WCC로 통합되면서 시작된 양 진영의 대립은 복음주의 선교의 본질적 과제인 ‘복음전도’를 ‘사회・정치적 책임’으로 확대하면서, ‘복음전도의 우선권’을 선교의 논쟁거리로 만들었다. 혼란과 혼돈에 빠진 복음주의 선교의 과제와 방향을 재정립하고자 한다. 1. 복음주의 선교는 혼란과 혼돈이 선교의 과제, 즉 선교사역 유형 결정에 있음을 지속적으로 제시하나, 에큐메니컬 선교는 세계를 향하여 새로운 주제들을 발굴하고 연구하며 대안적 제시를 함으로써 세계선교의 주체로 나아가고 있다. 2. 복음주의 선교는 선교의 본질적 이해로 본 우선권이 선교의 유형 확대로 인한 혼란과 혼돈임을 인지하고 선교의 정체성을 정립해야 한다. 3. 복음주의 선교는 ‘하나님의 선교’, ‘선교적 교회론’ 그리고 ‘통전적 선교’의 에큐메니컬적 선교 이해와 접근으로 만들어진 개념을 복음주의 선교로 착각하고 오해하여 ‘복음전도’의 절대성을 잃어 버렸다. 그러므로 로잔대회는 복음주의 선교가 직면한 과제와 방향을 직면하고, 왜 4차 대회가 필요한가를 살펴보아야 한다.

      • KCI등재

        피조세계도 선교의 대상인가? - 복음주의 선교신학 관점에서 바라본 생태신학

        이현모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20 복음과 선교 Vol.49 No.-

        “창조 세계의 보존이 선교인가?”라는 질문은 에큐메니칼 그룹에게는 이미 진부한 주제이다. 1970년대 이후로 WCC 총회는 생태적 관심을 자신의 사역 목표로 채택하고 있고 점차 그 중요성을 더 강조하고 있다. 복음주의 신학에서도 생태신학은 결코 소외된 주제가 아니었다. 로잔운동과 미가 네트워크, 아 로샤 운동, 케이프타운 선언문 2010, 자메이카 행동 요청 등이 생태에 대한 복음주의 관심의 중심을 이루어왔다. 그러나 생태신학을 선교신학의 관점에서 다루는 것은 복음주의 진영에서는 불편한 과제였다. 본고는 이런 상황 가운데에서 생태신학을 복음주의 선교신학 관점에서 다루어보려는 것이다. 피조 세계에 대한 복음주의 세계관은 분명하게 신 중심적 청지기주의이다. 이원론적 인간중심주의는 성경에 대한 편파적 해석에 불과하다. 성경은 창조주와 피조물을 구분하는 점에서는 이원론적이지만 인간과 자연을 이원론적으로 보지 않는다. 이원론적 인간중심주의는 데카르트에게서 유래된 세계관일 뿐이다. 생태중심주의는 결국 범신론 내지는 범재신론적 입장을 취하고 있다. 성경은 단호하게 범신론 혹은 범재신론적 성향을 대표적인 우상숭배로 거부하고 있다. 신 중심적 청지기직은 자연은 하나님의 소유이며 스스로 하나님으로부터 부여받은 존재 가치를 가지고 있다고 본다. 인간의 독특성을 인정하되 이것이 자연의 주인 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청지기로서의 사명을 의미할 뿐이다. 또한 인간과 자연 사이에 주체와 객체의 구분은 존재할 수 없다고 본다. 바울은 로마서와 골로새서에서 피조 세계의 구원 문제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피조 세계의 타락과 구원은 인간과 연계된 사건이지만 동시에 분리된 사건이다. 피조 세계의 타락은 인간의 범죄로 인해 하나님으로부터 저주를 받은 사건이다. 피조 세계의 구원은 피조 세계를 타락시킨 인간의 죄와 불순종이 궁극적으로 제거되어서 그 저주에서 해방되는 것을 의미한다. 하나님만이 구속을 행하시지만 피조 세계의 회복에서 인간은 회복된 존재로서 피조 세계의 공의를 이루는 사명을 가지고 있다. 피조 세계의 대붕괴를 의미하는 종말론을 볼 때 피조 세계의 보전을 교회의 선교 사명으로 정의하는 것이 모순되거나 불필요한 일이 아닌가라는 질문이 있다. 이 문제는 해석상의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다. 그러나 최후의 심판에 어떤 일이 벌어질지에 대한 해석이 피조 세계 보존을 외면하거나 파괴하는 인간 행동을 정당화 시키는 근거로 사용되는 것은 합당하지 않은 일이다. 결국 이 주제에 대한 복음주의 진영의 논쟁은 통전적 선교 개념으로 모아지게 된다. 오늘날 복음주의 선교 신학의 주류는 미시오 데이를 인정하되, 교회의 존재를 소극적이거나 부정적으로 보는 견해를 거부하는 미시오 데이를 수용하고 있다. 특히 ‘사회적 책임’을 ‘세상에 대한 책임’으로 변화시켜 가면서 피조세계를 포함하고 있다. 연구자는 창조 세계의 보존이 선교에 포함된다고 주장한다. 특히 생태정의라는 주제가 부상하면서 가난한 자와 미래 세대에 대한 생태학적 책임이 강조되고 있다. 통전적 선교에서 영혼 구원의 궁극성은 반드시 고수되어야 한다. 그러나 하나님의 구속의 최종적 목표가 모든 피조 세계의 회복임도 분명하다. 이 일에 동참하는 선교는 우리에게 명하신 사명이다. The question, “Is creation care mission?” is a banal issue for the ecumenical group. But dealing with eco-the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mission theology was an inconvenient task among evangelical groups. This paper attempts to deal with eco-the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evangelical mission theology in this context. The evangelical world-view on the created world is definitely theocentric stewardship. Dualistic anthropocentrism is nothing more than a biased interpretation of the Bible. The Bible is dualistic in distinguishing the Creator from the creature, but it does not view human and nature dualistic. Dualistic anthropocentrism is only a world-view derived from Descartes. Biocentrism eventually takes the position of pantheism or panentheism. The Bible firmly rejects pantheism or pantheistic propensity as a typical idolatry. Theocenteric stewardship sees nature as God’s property and possesses a value of existence driven from God. Recognize man’s uniqueness, but this does not mean that one is the master of nature, but only mission as steward. In addition, there is no distinction between subject and object between human and nature. Paul speaks of the redemption of the created world in Romans and Colossians. The fall and redemption of the created world is an event connected with man but a separate event at the same time. Only God does redemption, but in the restoration of the created world, man has the responsibility to fulfill the justice of the created world as a restored being. Also, in the eschatology of the great collapse of the creation world, the question is whether it is contradictory or unnecessary to define the conservation of the creation world as the mission of the church. There are various interpretations of this problem. But it is unreasonable that whatever the interpretation of what will happen at the Last Judgment is used as the justification for human action to ignore or destroy creation care. Eventually, the evangelical controversy on this subject would be gathered into the concept of holistic mission. The mainstream of evangelical missionary theology today embraces missio Dei which rejects the view of the church’s existence either negatively. In particular, the social responsibility in the definition of mission is transformed into a responsibility for the world, which includes the created world. Researcher claims that creation care is a mission. In particular, the emergence of the theme of eco-justice emphasizes the ecological responsibility of the poor and future generations. The ultimacy of soul winning in integral mission must be adhered to. But it is also clear that the ultimate goal of God’s redemption is the restoration of all creation. Participating in this work is a mission to us.

      • KCI등재

        한국 교회 평신도의 해외 선교 역량에 관한 조사 연구

        구성모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9 복음과 선교 Vol.46 No.-

        This study aims to overcome this problem in the reality that the missionary resources of the Korean church and the actual missionary support are decreasing, and to propos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by investigating the overseas mission capacity of the laymen to continue the Korean church to participate in missions. To do this, first, it is knowledge of mission. This is a basic knowledge of laity’s mission knowledge, a reason for their interest in laity’s missions, a difference in the proportion of mission in church and the proportion of laity feelings, and a deep study of the mission knowledge of laity. Second, mission mobilization and participation Abstract A Study on the Competency for Oversea Mission of Laity in Korean Church Ku, Seong Mo (Sungkyul University, Missiology) 구성모, 한국 교회 평신도의 해외 선교 역량에 관한 조사 연구 l 83 are the will to participate in the mission of the members of the church, the trust of the church’s mission policy. Third, a survey on the future development for missions shows that there is a plan for the establishment of a missionary organization in the church, the necessity of a mission agency in the church, and the planning and preparation agency for short-term missions. The questionnaire was based on a mobile phone, and the collected data was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the SPSS program 25, and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and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lack of understanding and depth in the understanding of mission. Second, there was a lack of communication between missionaries and laity for missions. There is also a research project that laity have to solve for the development of missions. ① It is clear that laity should be engaged in missions, but the actual participation rate is different. Why? ② Laity need to see more accurately about the extent and depth of the mission. ③ When we look at the practice of laity,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ought and practice. It is still necessary to study whether missions are expanding to Korean churches. ④ Why can’t we identify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laity on missions by region? ⑤ Missionaries need to share and activate the knowledge, information, and strategies they gain from the mission field. It is also necessary to study the direction of configuring the network for this purpose. 본고는 한국 교회의 선교사 자원과 실제 선교사 지원이 줄어들고 있는 현실에서 이를 극복하고 한국 교회가 선교에 계속적으로참여하도록 평신도를 대상으로 해외 선교 역량을 조사하여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하여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조사한 분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선교에 대한 지식이다. 이는 평신도들의 선교 지식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의 정도, 평신도들의 선교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된 이유, 선교가 교회에서 차지하는 비중과성도들이 직접 느끼는 비중의 차이, 성도들이 가지고 있는 선교에대한 지식의 깊이 조사이다. 둘째로 선교 동원 및 동참이다. 이는소속 교회의 상황 분석 평신도들의 선교 참여에 대한 의지, 교회의선교 정책에 대한 신뢰 등이다. 셋째로 선교를 위한 미래적 발전에대하여 설문조사다. 이는 출석하는 교회의 선교 기관 설립에 대한『복음과 선교』제46집 43-84 http://dx.doi.org/10.20326/KEMS.46.2.43 한국 교회 평신도의해외 선교 역량에 관한 조사 연구구성모(성결대학교, 선교학) 44 l 복음과 선교 제46집교회의 계획 유무, 교회내 선교 담당 기관의 필요성, 단기 선교의기획 및 준비 기관 등이다. 설문 방법은 모바일 폰을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프로그램 17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 하였으며,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평신도들의 선교에 대한 이해도는 부분적으로만 인지하고깊이가 부족하였다. 둘째로 선교를 위한 선교사와 평신도 간에 소통이 부족하였다. 또한 평신도들이 선교의 발전을 위하여 풀어야할 연구 과제도 발견되었는데 그것은 ① 평신도들은 선교를 해야한다는 점은 분명히 알지만 실제적으로 동참하는 비율이 다르다. 그 이유가 무엇인가? ② 평신도들이 실제적으로 선교에 대한 범위와 깊이에 대하여 보다 정확하게 확인할 필요가 있다. ③ 평신도들이 선교를 실천하는 것을 보면, 생각과 차이가 생긴다. 이는 아직 선교가 한국 교회에 저변화 되고 있는가를 연구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④ 지역별로 선교에 대한 평신도들의 인식 차이를 확인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⑤ 선교사들이 선교 현장에서 얻는 지식, 정보, 및 전략들을 공유하고 활성화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를 위한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는 방향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 KCI등재

        한국선교사들의 비서구 종족에게 미칠 선교적 영향 고찰

        박진호 ( Park Jin Ho )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21 복음과 선교 Vol.54 No.-

        본 논문의 목적은 19세기 말 20세기 초 서구세계로부터 조선에 왔던 당시 조선 선교사들과 그 선교사들에게 부응한 한국교회 및 그 성도들에 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20세기 조선에 왔던 선교사들의 선교적 가치를 반추해보고, 21세기 한국선교사들이 비서구 종족에게 미칠 선교적 영향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것이 중요한 이유는 첫째, 조선에서 이루어진 선교는 세계에서 찾아보기 드문 성경적 선교 사역이었으며, 둘째, 당시 아프리카와 남미 그리고 다른 대륙이나 지역에서 행해졌던 제국주의적 선교유형과는 달리 성경중심의 개혁주의 선교모델이었기 때문이다. 셋째는, 지역교회 개척초기 삼자원리와 더불어 하나님 중심, 교회 중심, 그리고 말씀 중심이 선교의 모토가 되었다는 것이다. 그러한 삶과 더불어 교회를 개척하며 살아왔던 조선의 선교사들의 모범적 삶을 통해 조선의 기독교인들은 ‘오직 믿음’, ‘오직 은혜’, 그리고 ‘오직 하나님께 영광’이라는 굳건한 신앙의 초석을 놓을 수 있었다. 한국교회는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과 세속화(Secularism) 등으로 인해 혼탁한 오늘날에도 흔들림 없이 개혁주의 세계선교를 통해 세계선교의 커다란 역할을 감당하고 있다. 이제 한국교회와 선교사들은 마28:18-20절, 소위 ‘대위임령’(The Great Commission)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님께서 보내셨던 그들의 숭고한 삶을 다시 반추하고, 21세기 개혁주의 선교사역을 주저함 없이 수행해야 한다. 이런 점에서, 조선에서 행해졌던 선교사들의 선교사역은 세계적인 선교모델로서의 충분한 가치를 제시했다. 그들의 선교사역은 오직 예수 그리스도의 대위임령을 성취하기 위함이었고, 또 2000년 전 예수님께서 말씀하셨던 사도행전 1:8절의 성취였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not only to investigate the lives, attitudes, and the missionary works of Korean missionaries who came to Korea from the Western world between the late 19C and the early 20C. It is also to find the impacts of the result of their mission works performed in those times. On the other side, the Korean church members who responded to the missionary works with their participations will be considered, too. The reason why to find the trace of the Korean missionary impacts and the Korean church mission is to establish the future mission of the Korean church in the 21st century in a great way. To be frank, Christian mission works done in Korea got number of strong points as follow. First, it is already enough to be an exemplary missionary work in the world. Second, there was no colonialism engaged with its missions. Third, they had been performing their missionary work with an outstanding impacts without any imperialism. They did the missions within the principles of the Biblical mission model without imperialistic missionary attitudes or actions that were conducted in other continents or regions in Africa. Fourth, they made their mottos God-Centered, Church-Cen-tered, and Bible-Centered when they planted the local churches in the beginning stage of their missions. Through the exemplary lives of the Korean missionaries, the Korean Christians in the church could live their lives with the solid foundations of only faith, only grace, and only glory to God. However the Korean church members never compromise with secularization. This will promote to perform a significant role for the world mission as the reformist Bible-centered missionaries in the 21C. Lastly missions conducted in Korea with the “Comity Agreement” and “Three-Self Principal” mission and its impacts became the absolute invaluable values to the Korean Christian missions. What the missionaries in ‘Corea’ had done was only for the fulfillment of the Great Commission of Jesus Christ(Mt 28:18-20).

      • KCI등재

        한국적 상황에서 Business As Mission이 극복해야 할 난제와 그 대안을 위한 선교신학적 성찰

        김영규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9 복음과 선교 Vol.48 No.-

        Since business mission has started with the concept of holistic mission of Lausanne Covenant, ‘Business As Mission’ is actively in progress. BAM of Korea has started from SKBF (Shanghai Korean Business Forum) held in Shanghai. BAM groups are actively working in many missionary areas and Korean churches. BAM starts from the perspective of holistic mission that doesn’t distinguish between laymen and clergymen. It doesn’t distinguish between work and ministry, either. BAM sees business is mission and all works that all Christians are involved in are mission. It is the starting point of BAM. But many clergymen, Christiansand missionaries in Korea lack existential recognition. In addition to that, there are specialties of Korea when applying BAM. It is Confucianism formed for a long time in Korea. Korean Christians accepted Christianity through the prism of Confucianism. Confucianism is a moral system for politics based on the thought of noble men. It emphasizes on the superiority of men and contempt on labor creating hierarchy and caste system. Korean churches still have the prospective of Confucianism of the discriminative hierarchy of the traditional four classes of society (scholars, farmers, artisans and tradesmen) and dualism of sacred and secular worlds. It works as the struggling factor in churches and the obstacle to accept BAM. It is due to this Confucianism that they tend to regard the jobs given by a church as ranks and hierarchy not as the jobs given by God. BAM sees business itself as mission. It recognizes the business as the ministry ordered by God. But the specialty of Korea based on Confucianism makes it difficult to accept BAM. Then how can we overcome it? Rich Marshall suggests a new concept of the ‘ministry of King’ and the ‘ministry of Priest’ for all missions of Christians indicating the problems of hierarchy and sacred and secular division and maintaining that there are no hierarchy and no sacred and secular division for Christians. He suggests to use new terms to overcome the dualism, That is ‘the theory of the ministry of King’. There are two ministry for all Christians. He argues that Christians who work as ministry in business areas should becalled the ‘ministries of King’ and the missionaries and clergymen should be called the ‘ministry of Priest’. The terms emphasize that they are all equal under God overcoming the original dualism and hierarchy of the names of ‘clergymen and laymen’. These terms could be a foundation to overcome dualism that works as an obstacle of BAM. It can maximize good influence on the society through people who realize that the jobs done through one’s life are holy missions of God. 로잔언약의 총체적 선교의 개념으로부터 출발한 비즈니스선교가 선교로서의 비즈니스(Business As Mission,이하 BAM)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한국에서의 BAM은 상해에서 열린SKBF(Shanghai Korean Businessmen Forum)로부터 시작되었고, 현재 여러 선교 현장과 한국의 교회에서 BAM 그룹들이 결성되어활동하고 있다. 이 BAM은 평신도와 목회자를 구분하지 않고 일과사역을 구분하지 않는 총체적 선교 관점으로부터 출발한다. BAM 은 비즈니스가 곧 선교이며, 모든 크리스천이 비즈니스 영역에서수행하는 업무를 사역으로 인식한다. 이것이 BAM의 출발점이지만, 그러나 한국의 많은 목회자들과 크리스천들, 선교사들이 이BAM의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는 존재론적 인식이 결여된 채 크리스천 기업인의 비즈니스 활동이나, 선교사의 기업 활동쯤으로 이해하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게다가 이 BAM을 수용함에 있어난제로 작용하고 있는 한국적 특수성이 존재한다. 그렇다면 BAM을 수용함에 난제로 작용하고 있는 한국적 특수성은 무엇인가? 그것은 오랜 시간에 걸쳐 형성되어 온 유교주의이다. 한국 기독교는 이 유교적 세계관이라는 프리즘을 통해 수용되어졌다. 유교는 정치를 위한 소위 군자중심의 도덕률이었고, 남성우월주의와 노동을 천시하는 경향을 띄면서 계급주의와 차별적 신분제를 생산하게 되었다. 사농공상(士農工商)의 엄격한 차별적 신분제도와 성속(聖俗)의 이원론을 가지고 있는 유교적 세계관이 오늘날의 교회 안에 여전히 잔존하고 있어 교회 안에 갈등의 요소로작용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BAM을 수용하는데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다. 현재 한국 교회 안에서 여러 직분을 신이 주시는 섬김의직능으로 이해하기보다, 상하의 계급과 신분으로 이해하려는 경향이 매우 강한 것은 이러한 세계관으로부터 파생된 것이다. BAM은 비즈니스 자체를 선교로 이해하며, 비즈니스 세계에서수행하는 업무를 신이 부르신 사역(ministry)으로 인식한다. 그러나 유교적 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적 특수성이 이것을 수용함에 있어 난제로 작용하고 있다. 그렇다면 어떻게 이것을 극복할 수 있을 것인가? 리치 마샬(Rich Marshall)은 이러한 성속과 상하의 계급론적인 문제들을 지적하며 크리스천들에겐 결코 상하와 성속의 차별이없음과 크리스천들이 수행하는 모든 사역을 왕의 사역과 제사장의 사역이라는 새로운 개념으로 구분할 것을 제안한다. 크리스천들이 사용하는 언어 안에 이러한 차별과 이원론적인 세계관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이원론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용어의 사용을 제안한다. 그것이 ‘왕의 사역론’이다. 모든 크리스천들에겐 두가지의 사역이 있는데 비즈니스 영역에서 선교적 존재로 살아가는 크리스천들을 ‘왕의 사역(자)’로, 선교사 혹은 목회자들을 ‘제사장 사역(자)’로 부를 것을 주장한다. 이 용어는 ‘성직자와 평신도’ 라는 칭호 자체가 갖는 이원론, 상하의 계급론을 극복할 수 있으며 동등하게 신적 부르심을 받은 자들임을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용어 사용을 통해 BAM의 난제로서 작용하고 있는 이원론을 극복하는 기초가 될 수 있다. 이 ‘왕의 사역자’가 곧 BAMer이며, 자신의 삶에 행해지는 모든 업무가 곧 신적 부르심을 받은 거룩한 사역이라는 깨달음을 가진 이들을 통해 사회에 선한 영향력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