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친환경건축의 평가를 위한 LEED 3.0 인증제도와 국내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의 평가항목 비교 연구 - 에너지와 대기부문을 중심으로

        김준영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3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5 No.1

        이 연구는 국내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를 LEED 인증제도와 비교함으로 그 발전적 개선방향을 찾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전체적인 LEED 인증시스템의 구조와 평가항목과 국내 친환경건축물 인증 시스템의 구조와 평가항목을 비교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평가시스템 중 에너지와 대기부문의 항목을 비교하여 그 점수의 비중과 세부항목에 대한 평가방법과 기준을 비교하였다. LEED 인증은 7개의 대항목과 여기에 따르는 57개의 세부항목이 있다. 57개 세부항목은 8개의 필수 항목과 49개의 점수를 부여하는 항목으로 구성되며 이 항목들로 평가한 총점을 4레벨의 차등을 두어 인증을 부여하는데 비해 국내친환경인증은 9개의 대부문과 20개의 범주 33개의 세부항목으로 평가하며 이중 점수를 부여하는 항목 중 필수 항목이 포함되어 있음을 살펴보았다. 그 구성이 약간 다르지만 대부분의 세부항목이 일대일로 대응할 수 있으므로 국내 친환경건축물 인증이 LEED 인증을 비롯하여 해외 친환경건축물 인증의 제도를 비교 연구함으로 많은 보완과 발전을 가져왔음을 볼 수 있었다. 이에 비해 각각의 세부항목에 대한 비중은 조금씩 차이가 있다. 또한 이런 비중의 차이와 세부항목에 대한 평가기준이 미국과 국내의 지역적 여건의 차이를 반영하며 친환경건축을 유도하는 주안점이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에너지와 대기부문이 차지하는 점수비중은 LEED 인증과 국내 친환경건축물 인증 모두에서 가장 큼을 볼 수 있다. 에너지 대기부문에서 에너지효율항목은 LEED 인증과 국내 친환경건축물 인증 모두에서 가장 큰 배점을 가지는 항목이다. 하지만 에너지효율을 평가하는데 LEED 인증과 국내친환경건축물 인증은 조금 다른 방법으로 평가함을 알 수 있다. LEED 인증에서 eQUEST라는 에너지 시뮬레이션 툴을 사용하며 에너지효율을 총량적으로 평가하는데 반해 국내 친환경건축물 인증에서는 에너지 성능지표 검토서를 사용할 경우 개별평가방식을 따른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에너지 효율등급을 사용하여 평가하는 경우 ECO-2시뮬레이션 툴을 이용하여 LEED 인증과 같이 에너지사용총량에 대해 평가할 수 있게 되었다.

      • KCI등재

        친환경건축물 유형별 인증평가요소 비교 연구 : 공동주택과 업무용건축물을 중심으로

        신희숙,구본학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7 No.4

        (연구배경 및 목적)본 연구는 우리나라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의 현황 및 유사제도를 비교하고, 2013년부터 통합되는 녹색건축물 인증제도에 대해 고찰하였다. (연구방법)평가대상지는 2010년 10월 이후 본 인증을 받은 공동주택 14개단지와 업무용건축물 5개동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가항목 중 자연환경과 관련이 있는 토지이용, 수자원, 생태환경을 비교하였다. (결과)평가결과 공동주택의 경우 총 53점 중 평균취득점수는 26.128점으로 총점의 49%로 나타났고, 업무용건축물의 경우는 총 40점 중 15.348점인 38.37%로 공동주택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토지이용과 수자원의 경우 비슷한 점수를 취득했지만 업무용건축물의 경우는 생태환경이 특히 낮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업무용건축물의 경우 옥상녹화와 녹지공간이 늘어나고 있지만 상대적으로 많이 부부족한 결과로 나타났다 (Background and Purpose)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eco-friendly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in Korea to its similar system, and to consider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which is to be integrated from 2013. (Method)This study set the 14 complexes of apartment housing, and 5 office buildings, which were officially certified after October in 2010, as its target sites for evaluation, and compar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land use, water resources, and eco-environment which are related to natural environment among evaluation items. (Result)As a result of doing evaluation, it was found that the acquired average points of apartment housing were 26.128 out of total points of 53, marking 49% of total points while the points of office buildings were 15.348 out of total points of 40 with the 38.37% of total points, being lower than that of apartment housing. Seeing that in case of the land use and water resources, both acquired similar points, but office buildings were found to be especially low in eco-environment, it can be judged that the cases of an office building's rooftop greening and green space have increased, but, the general results show that there still remain a lot of shortages.

      • KCI등재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 평가방법 개선 연구

        오세경(Se Kyung Oh),한민석(Min Suk Han),임병찬(Pyeong Chan Ihm) 한국아시아학회 2011 아시아연구 Vol.14 No.1

        지구의 환경문제와 에너지 부족에 대한 관심은 환경친화적이고 지속가능한 개발에 대한 연구와 적용이 전 세계적으로 계속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건축 및 도시계획분야에서는 친환경건축물 인증과 에너지 인증이 시행되고, 지속적 인 연구와 이를 뒷받침하는 제도를 개정하고 있다.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는 건물의 친환경 성능을 평가하고 친환경성능을 제시하여 대상건물을 평가하는 도구이며, 현재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세계 주요국가에서 시행 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영국, 일본 등 주요국가의 친환경건축물 인증기준을 중심으로 최근에 업데이트된 인증제도의 특징 및 평가방법을 분석하여 향후 국내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의 개선 및 연구방향에 대해 제시하였다. 첫째, 친환경건축물인증항목에서 환경관리부문 보행자 자전거안전부문 경관부문과 에너지 운용체계 관리 부문은 인증항목에 추가적으로 고려해야겠다. 둘째, 한국의 친환경건축물 인증기준에서 에너지부문에 대한 배점을 높게 하는 방향으로 개선을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셋째, 인증기준의 평가 방법에서는 한국의 경우도 다양한 등급방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Recently, energy and environment problems are serious all over the world. Therefore, environmental conferences in international society have held on Rio de Janeiro from UNCED in 1992 upward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for countermeasure of environmental matters. Such developed countries as United States, Japan, Canada and British are to take effect building performance certification criteria what is certification system of environment for promotion in aspects of Green Buildings. Korea is enforcing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GBCC) for multi-unit residential building, mixed-use dwellings, office and school. And now GBCCs for stores and accommodations are under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about standards and assessment of certification systems which are LEED in USGBC since 1993 in United States, BREEAM since 1991 in United Kindom, CASBEE in Japan and GBCC of KGBC in state-run organization since 2002 and ``Environment-friendly Building Guidelines`` of Seoul to be recently driven. This study shows that sevaral fators, such as environtmantal management, pedestrian safety, urban scape and ennergy operation system, are considered Korean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In addition, GBCC is needed to improve scoring system and ranking system by considering developed countries cases Higher score in energy section.

      • KCI등재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에 대한 국내 선행 연구의 경향 분석

        김다해,김민기,정은정,장미선 한국주거학회 2022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33 No.1

        About 18,000 buildings certified as green buildings so far in Korea, interest in the certification has recently led to consideration of the healthy life of the occupants. Also the government is planning to expand green remodeling in accordance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Green New Deal polic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s being used internationally and the trends of previous domestic studies. This research analyzed 101 papers published from 2013, when G-SEED was introduced, to the 2021. Analysis includes publication year, research purpose, method, certification type, and space type. As a result, researches were the most active in 2013-14 and gradually decreased thereafter. Researches aimed at improving performance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standard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Among domestic and foreign certifications, studies dealing with G-SEED accounted for the largest proportion, and the largest number of studies targeting residential spaces. This research showed that there are needs for studies on the sustainability of certified buildings and certifications’ studies that can support a healthy life for the current social situat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irections in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s’ field. 국내에는 현재까지 친환경 건축물로 인증받은 건축물이 누적 18천건에 이르고 있는 상황에서, 최근에는 재실자의 건강한 삶까지 고려한 인증제도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지고 있다. 정부에서는 그린 뉴딜 정책 시행에 따라 그린 리모델링 확산을 계획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학계에서도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 될 것으로 예상되어 현 시점에서 국내외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 관련 국내 선행연구의 경향을 파악해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G-SEED가 도입된 2013년부터 현재까지 발간된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 관련 논문 101건을 대상으로, 출판연도, 연구목적, 연구방법, 인증제도 유형, 공간유형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2013-14년 이 분야의 연구가 가장 활발하였고, 이후 출판된 논문의 수가 점차 감소하였다. 연구목적에서는 성능평가와 인증기준 개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고, 국내외 인증제도 중에는 G-SEED를 다룬 연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주거공간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이 분야의 연구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공동주택 사례평가를 통한 국내와 일본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의 비교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승희,조태근,이정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2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4 No.2

        본 연구는 공동주택의 사례평가를 통하여 국내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인 GBCC와 일본 건축물 종합환경성능평가도구 CASBEE를 비교분석하고, 국내 GBCC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국내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GBCC), CASBEE 순으로 각 부문별 평가결과를 점수 획득비율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토지이용 부문에서는 7.1%, 6.7%, 교통 부문에서는 3.5%, 0.8%, 에너지 부문에서는 7.4%, 1.9%, 재료 및 자원 부문에서는 4.5%, 2.7%, 수자원 부문에서는 3.5%, 2.3%, 환경오염방지 부문에서는 1.8%, 2.9%, 유지관리 부문에서는 3.5%, 15.2%, 생태환경 부문에서는 15.9%, 0.4%, 실내환경 부문에서는 21.2%, 23.5%로 나타났다. 2) 전체항목에 대한 평가결과, 국내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GBCC)는 61.2점으로 나타나 우수등급에 적정하였고, CASBEE의 경우 B+등급(Good)으로 나타났다. CASBEE에서 도출된 최종점수를 100점 만점으로 환산할 경우 국내 GBCC의 일반등급에 적정한 52.8점으로 평가되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친환경학교시설의 유지관리 조사를 통한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정지나(Jung Ji-Na),태춘섭(Tae Choon-Seob),양정훈(Yang Jeong-Hoon),박상동(Park Sang-Dong) 대한건축학회 2010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6 No.6

        The number of buildings certified by GBCS(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has increased, especially in school facilities recently. It seems to be resulted from growing interest in 'Low Carbon and Green Growth'. But new version of the GBCS is urgently needed because the initial GBCS has been used too long time without any fundamental upda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improved GBCC(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For this, the enforcement background and developing process of GBCS were reviewed and a spot surve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poor maintenance of adopted technologies and the problems in applying the GBCC for the certified school facilities operated for longer than 1 year. The new version of GBCS including GBCC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hopefully turned up to be enforced soon, resulting in marking conspicuous distinctions between certified school and ordinary school.

      • KCI등재후보

        공동주택 친환경인증단지의 에너지성능지표 비교분석 연구

        김종엽,정윤혜,백혜선,Kim, Jong-Yeob,Jung, Yoon-Hye,Paik, Hae-Sun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13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ol.4 No.4

        Although many certification works have been carried out sinc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was enforced in 2002, analyses of the effects and efforts to improve this system are still poor. In the certification system, the energy performance was usually assessed by Energy Performance Index(EPI) of the Energy Saving Design Standards for Buildings. However, due to the inadequacy of analyses on current situation of the Index, there are difficulties to reform it. In this research of green-certified apartments, the author examined correlations between energy performance indexes and aimed to improve the Index by analyzing the scores based on point distribution of respective fields. The average EPI score of green-certified apartments was 74.68, and there was wide variations in min 63.4 and max 90. Furthermore, the average score of energy consumption, which was allotted the most points, was 7.04 out of 12. Therefore, betterments in the Index such as reinforcement in grade ranges and adjustment of the calculation method are necessary. 2002년에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가 시행된 이후 많은 인증 수행에도 불구하고 이 제도의 효과분석이나 개선방안 노력이 저조하다. 특히 인증제도에서 에너지성능은 에너지절약설계기준에 있는 에너지성능지표(EPI)로 평가되지만 지금까지 지표에 대한 현황분석이 미비하여 개선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공동주택 인증단지를 대상으로 에너지성능지표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에너지성능지표의 각 부문별 에너지 기본 배점에 따른 점수 현황을 분석하여 지표 개선을 도모하였다. 친환경 공동주택 인증단지의 EPI 평균득점은 약 74.68점, 최소 63.40점, 최대 90점으로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증지표 중에서 최고의 배점으로 편성된 에너지소비량의 경우, 최대 12점 배점에서 평균 7.04점으로 평균 수준에 머물고 있었다. 향후 에너지소비량 인증지표에서 등급구간의 강화 또는 산출식의 조정 등의 지표 개선이 필요하였다.

      • 국내 친환경건축물관련 인증제도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문미선(Moon Mi-Seon),정지나(Jung Ji-Na),가참희(Ka Cham-Hee),이진숙(Lee Jin-Sook),태춘섭(Tae Choon-Seob)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011 한국태양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4

        Presently, various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s are being enforced in Korea. However, people are in confusion and have an aptitude to waste time and money because these certification systems for buildings have very similar criteria. After investigating the foreign certification systems and domestic certification systems for the building, it is required that some of similar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s are integr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