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치위생학 전공 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의사소통능력, 자율적 교육풍토가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요인

        김서연 중소기업융합학회 2019 융합정보논문지 Vol.9 No.12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roblem solving ability of dental hygiene and students' communication ability and critical thinking and autonomous educational climate. The subjects were 249 dental hygienists who attended two university from May 20 to June 1, 2018.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with mean, t-test and one-way ANOVA. The overall mean of critical thinking tendency was 3.47 points, the total mean of communication life was 3.48 points. The overall mean of autonomous educational climate was 3.14 points and the total mean of problem solving ability was 3.40 points. The higher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core, the higher the problem solving ability.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the major, the higher the problem solving ability. Therefore, if the program to improve communication ability, critical thinking tendency, and autonomous educational climate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ental hygiene is expected to improve the problem solving ability. 치위생학 전공 대학생들의 비판적 사고성향, 의사소통능력, 자율적 교육풍토가 문제해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2018년 5월 20일부터 6월 1일까지 2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치위생학과 249명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통계분석은 평균, t-test, one-way ANOVA로 실시하였다. 비판적사고성향의 전체평균은 3.47점이었고 의사소통생활의 전체평균은 3.48점으로 나타났다. 자율적 교육풍토의 전체 평균은 3.14점이었고, 문제해결능력의 전제 평균은 3.40점으로 나타났다. 치위생학 전공 대학생들의 문제해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비판적 사고성향 점수가 높을수록 문제해결능력이 높게 나타났으며(p<0.001),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 문제해결능력이 높게 나타났다(p<0.05). 따라서 치위생학 전공 대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과 비판적 사고성향, 자율적 교육풍토를 향상하는 프로그램이 적용된다면 문제해결능력을 더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임상치위생학에서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의 모듈 개발 및 평가

        ( Jin-sun Choi ),( Soo-myoung Bae ),( Sun-jung Shin ),( Bo-mi Shin ),( Hyo-jin Lee ) 한국치위생학회 2022 한국치위생학회지 Vol.22 No.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수업 모듈을 개발하여 임상치위생학 수업에 적용함으로써 문제중심학습을 운영하는 것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도와 치위생학의 역량 수준, 성찰일지를 통한 학습자 의견을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20년 2학기에 수행되었고, 연구대상은 4학년 2학기 과정의 임상치위생학(특수환자구강건강관리) 교과목 수강생 31명이었다. 개발된 PBL 학습모듈을 15주간 수업에 적용하였고, 모든 PBL 수업이 종료된 후 수업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학생 역량 수준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PBL 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높았고, 자가역량 수준도 수업 전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더불어, PBL 학습활동 후 성찰일지를 통해 상위주제 3개는 PBL 학습을 통해 얻은 역량, PBL 학습을 통해 배운 인문사회학적 요소, PBL 학습에서의 장애 요인이 도출되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개발된 PBL 학습모듈은 학생들이 문제를 파악하여 통합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역량뿐만 아니라 인문사회학적 역량 제고를 견인할 수 있는 수업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learners’ satisfaction with operating Problem-Based Learning (PBL), competency level for dental hygiene, and learners’ opinions through a reflection journal by developing a PBL class module and applying it to clinical dental hygiene classes.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1 students in the Clinical Dental Hygiene (oral health management for special patients) course in the second semester of the fourth grade. This study was conducted over the first semester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20. The developed PBL learning module was applied for the 15 weeks class, and after all PBL classes were over, the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class and the change in student competency level was evaluated. Results: The overall satisfaction of learners with PBL was high, and the level of self-competence also increased compared to before class. In addition, the top three topics (Competencies learned through PBL, humanistic and sociological elements learned through PBL, and obstacles in the PBL) were derived through the reflection journal after PBL learning activities. Conclusions: It was confirmed that the PBL learning module developed in this study is a class that enables students to identify problems and solve them integrally and drives the improvement of humanities and sociological competencies.

      • KCI등재

        치위생학과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학습민첩성에 미치는 영향

        김서연 대한산업경영학회 2022 산업융합연구 Vol.20 No.12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 대학생의 셀프리서십이 학습민첩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2021년 9월 6일부터 10월 1일까지 K지역에 있는 2개 대학교 치위생학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195부 시행하였다. 통계프로그램은 SPSS win 25.o을 이용하였다. 셀프리더십에 있어서는 대학생활 만족도, 전공만족도, 대인관계, 성격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나타났고 학습민첩성에 있어서는 흡연예방 및 금연교육, 건강상태, 대학생활 만족도, 전공 만족도, 대인 관계, 성격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치위생학과 대학생에게 셀프리더십이 학습민첩성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 및 교육을 개발하여 학교만족도와 전공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며 다양한 학문간의 접근으로 반드시 융합연구가 앞으로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프로젝트 기반 지역사회치위생학 현장실습 수업적용 사례

        최문실 중소기업융합학회 2018 융합정보논문지 Vol.8 No.6

        본 연구는 G시 S대학교 치위생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지역사회치위생학 현장실습‘ 교과목의 수업방법으로 프로젝트기반학습의 적용가능성을 알아보기위해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은 2018년 4학년 30명이었다. 자료수집기간은 3월12일부터 6월27일까지이며, SPSS 20.0 program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조장의 팀 수행능력이 높은팀이 점수 결과도 높게 나타났으며(3.91±0.82), 학생들은 실습은 꼭 필요하다(4.10±0.88)하였고, 전공담당교수의 피드백(3.73±0.86)이 가장 만족도가 높았다. ‘지역사회치위생학 현장실습’ 교과목에서의 프로젝트기반 학습 수업적용에 의의가 있으며 수업에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of project - based learning as a teaching method for 'Dental Hygiene Practice' in the community dental hygiene department at G city S university. The subjects were 30 students in the fourth grade in 2018.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March 12 to June 27, and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ompared using SPSS 20.0 progra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score of the team with high team performance was high (3.91 ± 0.82), the students were required to practice (4.10 ± 0.88), and the feedback from the professor (3.73 ± 0.86) Satisfaction was high. It was determined that the application of project – based learning classes in the 'Community Dental Hygienic Field Practice' course was appropriate for the class.

      • KCI등재

        치위생학과와 타 학과 학생의 결핵에 대한 지식이 예방행위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 - 결핵에 대한 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강현주 한국융합학회 2017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8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치위생학과 학생과 타 학과 학생의 결핵(Tuberculosis) 감염에 대한 지식과 태도 및 예방 행위 사이의 관계를 확인하는 것으로 하였다. 일반적 특성은 백분율을 구하였고, 결핵에 대한 지식, 태도, 예방 행위의 관련성 분석은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결핵 감염에 대한 평균점수는 지식 13.56점, 태도 45.75점, 예방행위 41.75점 이었다. 타 학과 학생들의 결핵 감염에 대한 평균점수는 지식 12.93점, 태도 45.58점, 예방행위 42.01점 이었다. 두 그룹 학생들의 결핵에 대한 지식에서 예방행위에 미치는 태도의 매개효 과 결과, 학생들의 결핵지식은 태도에 영향을 미치지만 예방행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태도는 예방행위에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학생들의 결핵 감염에 대한 예방행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지식과 태도의 조정이 필요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학생들의 결핵 감염 예방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tried to define the relations between knowledge of tuberculosis infection, behavior and prevent behavior of the students of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and of non-dental hygiene. The data was collected from May, 2017 to June, 2017. Characteristics relative to variables were measured. As the result, in tuberculosis infection for the students of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the average point was 13.56points for knowledge; 45.75 points for behavior and 41.75points for prevent behavior. In tuberculosis infection for the students of the department of non-dental hygiene, the average point was 12.93points for knowledge; 45.58points for behavior and 42.01 for prevent behavior. As the result of the study, the student’s knowledge of tuberculosis had the effect on behavior, but it didn’t have the effect on prevent behavior, on the other hand, it had the effect on prevent behavior. The result of this study may be utilized for an educational program for preventing tuberculosis infection of the students.

      • KCI등재

        문제중심학습(PBL)을 이용한 학습자의 수업 만족도와 내용 타당성: 치위생학과 임상치위생학 교과목 중심으로

        배수명,김경민,김혜진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11

        In this study, PBL (Problem Based Learning) among creative teaching methods was applied to clinical dental hygiene lesson course during the first semester from March, 2018 to June,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students' satisfaction in the class using the creative teaching method, it was difficult to solve the problem than the existing class, but there was no difficulty in solving the problem solving problem after the class, “I was satisfied with the content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validity of the PBL teaching method for the learner in the classroom management method, the contents of the lecture started from the level that the learner can access, and the learner can solve the problem by covering the learning contents And learning contents are professional and new methods, but they are interesting. This study showed that PBL teaching method contributed to enhancement of interest and learning effect of learners. 본 연구는 부산시 D대학 치위생학과 3학년 40명을 대상으로 2018년 3월부터 6월 말까지 1학기동안 창의적 교수법 중 PBL(Problem Based Learning)을 전공교과목 중 임상치위생학 수업에 접목하였다. 창의적 교수법을 적용한 수업에서 학생들의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기존의 수업보다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이 어려웠기는 하지만 수강 후 문제해결형 문제를 해결하는데 어려움이 없었고 오히려 교과에 대한 지식이 향상되었고, 실제 생활에서 배운 내용을 활용 할 수 있어서 만족스럽다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수업 운영 방식에 있어서 학습자에게 PBL수업 방식의 타당성을 조사한 결과로는 수업내용이 학습자가 접근가능한 정도의 수준에서 출발하였고, 학습자의 생활과 이전까지 학습한 내용들을 포괄하여 문제를 해결해 나갈수 있다는 응답과 학습내용이 전문적이고 새로운 방법이지만 흥미를 유발하였다는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를 통해 PBL수업 방식이 학습자들의 흥미유발과 학습효과를 높이는데 기여하였다는 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치위생학과 팀기반 수업에서 학생평가방법의 비교

        김형미(Hyeong-mi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치위생학과 팀기반 수업에서 지필시험, 팀별평가, 팀원평가, 자기평가 등 다양한 학생평가방법을 비교하는 것이다. 분석대상은 2016, 2017학년도에 ‘구강보건교육학 실습’ 교과목을 수강한 학생들의 점수이고, 기술통계, Spearman 상관분석, 왜도와 첨도, Mann-Whitney U 검정 등의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네 가지 학생평가방법 중 자기평가와 팀원평가만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고, 팀원평가보다 자기평가를 관대하게 하였으며, 자기평가점수가 가장 중심화되어 있었다. 자기평가 여부에 따라 동료평가 점수의 관대화와 중심화 경향을 비교한 결과, 자기평가를 실시한 그룹에서 팀원평가를 더 관대하게 했으며, 더 중심화되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 팀기반 학습에서 각종 평가방법에 대해 비교하고 자기평가 여부에 따라 동료평가 결과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student evaluation methods in team based learning classes for dental hygiene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score of dental hygiene students who took the courses of ‘oral health education practice’. The analysis methods were spearman correlation analysis, skewness, kurtosis and Mann-Whitney U test. As a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elf-evaluation and peer-evaluation. Self-evaluation showed lenience tendency rather than peer-evaluation and self-evaluation found the highest central tendency. The peer-evaluation result was more lenience and more central in the group where self-evaluation was performed.

      • KCI등재

        치위생학과 교과과정에서의 초음파스켈링관련 교육실태조사

        김경민,김혜진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1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5 No.1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교과과정과 임상의 이질성을 줄이고 치과위생사의 구강건강증진자, 예 방치과처치자로서의 스켈링 역량증진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시행하였다. 2020년 6월부터 10월까지 부산, 경상 남도에 소재한 치과진료기관에 연구의 취지와 목적을 설명하고 동의를 구한 후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자료 분 석은 SPSS(ver. 25.0. for Windows. Chicago, IL. USA)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치위 생학과 교과과정과 임상과의 이질성을 줄이기 위해서 대학교에서 초음파 스켈러 수행에 관하여 이론 및 실습 수 업의 시수를 확대하여 더욱 체계적인 교육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기존의 교과서 내용을 현재 임상 상황 에 맞게 개편하여야 한다. 또한 면허 취득 후에도 치과위생사들의 초음파스켈링에 관한 교육을 들을 수 있도록 교 육의 기회를 확대 시켜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reduce the differences in curriculum and field for dental hygienists and suggest measures to increase scaling abilities as oral health promoters and preventive dentistry caregivers. The surveys were conducted from June to October 2020. The purpose of the study were explained to dental facilities located in Busan, Gyeongnam-do to ask for consent.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statistics software. Results of the study, the number of theory and practical training courses on conducting ultrasonic scaling need to be expanded in the universities to reduce the differences that exist between curriculums and the fields and furthermore, the existing contents of textbooks should be revised. Moreover, the opportunities for education should be expanded so that dental hygienists can take courses even after acquiring their licenses.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산업체 실습 만족도 분석

        전현선(Hyun-Sun Jeon),김다혜(Da-Hye Kim),최용금(Yong-Keum Choi)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5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9 No.4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산업체 임상실습의 환경, 지도, 내용, 평가에 대한 만족도 인식을 조사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주된 결과를 얻었다. 치위생학과 학생의 임상실습에 대한 영역별 만족도는 임상실습환경 영역에서 18.23점을 보였고, 임상실습평가 영역에서는 16.42점으로 나타나 학생들이 가장 불만족스러워 하는 임상실습은 영역은 평가와 환경 영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실습 만족도 세부항목에서 임상실습 평가방법이 만족스러운가에 대한 응답으로 22.7%가 ‘그렇지 않다’ 라고 하여 학생들의 불만족이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학과에서는 임상실습 후 학생들의 임상실습 과정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여 임상실습기관의 환경적 상황을 파악하고 실습 교육의 시스템을 갖출 수 있도록 실습기관과 유기적인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또한 실습기관의 담당자 등 임상실습에 참여하는 대상이 표준화된 실습내용으로 임상실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실습내용 및 평가에 대한 기준을 학생들에게 제시함으로써 학생 스스로 실습에 대한 환경, 지도, 내용, 평가 등에 대해 인지하며 실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information for systematic operation of evaluate the appropriacy of current clinical practice education for dental hygiene students by investigating senior dental hygiene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 environment, instruction, contents and evaluation of current clinical practice educat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areas of clinical practice that the students were the most dissatisfied with were "evaluation" and "environment" as the satisfaction score of each area were 16.42 and 18.23 points, respectively. Furthermore, students answered that an assessor, evaluation criteria and system of clinical practice program were discontented. they were ‘dissatisfied’ with how their learning outcomes of clinical practice programs were evaluated. This indicated that clinical practice evaluation is the major contributor of students’ dissatisfaction. Constructing effective communication systems between dental hygiene faculties and clinical practice institutes is urgently needed in order to clearly grasp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various field practice settings by collecting students’ opinions and to set functional systems for clinical practice education. Moreover, the individuals in charge of managing the clinical practice programs shall set standardized filed practice contents and provide outlines of course contents and evaluation criteria so each student can follow such practice courses with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whole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 KCI등재

        치위생학과 학생의 임상실습기관에 따른 만족도와 스트레스에 대한 비교

        심형순,이향님 한국보건복지학회 2019 보건과 복지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and reduce clinical practice stress in dental hygiene student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127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of the university located in G Metropolitan Cit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satisfaction at clinical practice contents was the highest. The satisfaction at practice education and practice evaluation was higher in private clinics than in university hospitals. The highest clinical practice stress was environmental factors, followed by interpersonal relationship, roles, and activity. The stress was higher in university hospitals than in private clinics. For the factors influencing the 2nd clinical practice stress, the 1st clinical practice stress had the strongest positive(+) effect and the 2nd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had a negative(-) effect. It is necessary to provide campus simulation practice to help students’ adaptation to strange hospital environment, to prepare systematic practice manuals by year and clinical practice institution in consideration of curriculums, and to develop an integrative clinical practice program to explore personalized coping methods by examining detailed operation of clinical practice subjects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factors by student.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임상실습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임상실습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G광역시에 소재한 대학교 치위생학과 학생 12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임상실습내용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실습지도와 실습평가는 대학병원에 비해 개인의원에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임상실습스트레스는 환경요인이 가장 높았으며 대인관계, 역할 및 활동 순으로 개인의원에 비해 대학병원에서 높게 나타났다. 2차 임상실습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1차 임상실습스트레스가 가장 강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2차 임상실습만족도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낮선 병원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교내 시뮬레이션 실습이 이루어지고 교육과정을 고려한 학년별, 임상실습기관별로 체계화된 실습매뉴얼 마련과 임상실습교과목에 대한 세부적인 운영 및 학생별 임상실습스트레스 요인을 파악하여 맞춤형 대처 방안을 모색하는 통합적인 임상실습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