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SCIEKCI등재

        두부회전에 따른 측모두부방사선 계측치의 변화

        김광수,황미선,최의환,김광원,윤영주 대한치과교정학회 2000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0 No.1

        본 연구는 측모두부방사선사진 촬영시 발생될 수 있는 두부회전이 측정된 선, 각계측치들에 어느 정도의 투사오차를 야기시키는지 알아보기 위해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에 소장중인 건조두개골 중 비교적 상태가 양호하고 특별한 비대칭이 없는 영구치열기의 건조두개골 17개를 표본으로 선택하여 시행하였다. 각각의 건조두개골을 수직축(Z축)을 중심으로 기준위치(0˚)에 대해 1˚ 간격으로 ±15˚ 까지 실험적으로 회전시켜 총 527장의 측모두부방사선사진을 촬영하였다. 이를 근거로 기준위치(0˚)에서의 계측치와 각 회전각에서의 계측치들 사이에 paired t-test를 시행하여 측모두부방사선사진 계측치 간의 차이를 규명하였으며, 이를 통해 투사오차의 관점에서 교정학적으로 유용한 측모두부방사선 계측항목을 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각계측항목이 선계측항목에 비해 투사오차가 작았다. 2.각계측항목은 정중시상면에 위치한 기준점들을 많이 포함할수록 투사오차가 작았다. 3.수평선계측항목의 길이는 필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되었으나, 초점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서는 증가되다가 감소되었으며 상대적으로 그 변화양이 작았다. 4.두부회전에 따른 투사오차는 수직선계측항목에 비해 수평선계측항목에서 컸다. 5.수직선계측항목은 회전축으로부터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투사오차가 증가하였다. 이상을 종합해 볼 때 두부회전에 따른 측모두부방사선사진 계측치의 투사오차를 최소로 하기 위해서는 선계측항목보다는 각계측항목을 사용하는 것이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effect of projection errors on cephalometric linear and angular measurements according to head rotation during taking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s. Seventeen skulls with permanent dentition and no gross asymmetry were obtained from the Department of Anatomy, Medical School, Chosun University. Total 527 x-ray films were taken with 1˚ interval from the reference position(0˚) to ±15˚ around the vertical axis (Z axis) which is perpendicular to the midpoint of the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wo ear rods in submento-vertex direction.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by faired t-test if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mean of the reference position(0") and that of each rotation angl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The projection errors of angular measurements were smaller than those of linear measurements. 2.The projection errors of angular measurements including midline landmarks were smaller than those including bilateral landmarks. 3.The horizontal linear measurements were gradually decreased when the skull was rotated toward the film, but slightly increased and then decreased when the skull was rotated toward the focal spot. However, the changes were smaller in focal direction. 4.The projection errors of horizontal linear measurements were larger than those of vertical linear measurements. 5.The projection errors of vertical linear measurements were increased with increased distance from the rotation axis to vertical measurements. It is concluded that the use of angular measeurements rather than linear measurements is recommended to minimize the projection errors.

      • SCOPUSSCIEKCI등재

        Soft Tissue Profiles of Young Oriental Adults

        Park, Young-Guk,Chung, Kyu-Rhim,Chu, Stephen,Fu, Min-Kui 대한치과교정학회 1997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7 No.6

        이 연구는 정상 교합과 양호한 안모를 가진 169명의 남자와 174명의 여자 아시아 각국인을 대상으로 연조직 측모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100명의 한국인, 100명의 중국인, 72명의 월남인 및 71명의 일본인으로부터 촬영된 측모두부방사선사진 상에서 9개의 계측점을 설정하고 전산 입력한 뒤 6 개의 연조직 계측 항목에 대한 측정을 시행한 후 통계 처리하였다. 분산 분석에서 중국인의 총 측모(Gl'-Pr'-Pg')는 한국인이나 월남인에서 보다 적은 돌출도를 보였다(P<0.01). 중국인의 안면평면측모(Gl'-Sn'-Pg')역시 월남인 보다 적은 돌출각을 나타내었다(P<0.01). 홀더웨이의 하순각(Pg'-LS:N-B)은 월남인에서 가장 컸고 다음으로 중국인, 한국인, 일본인의 순으로 크게 나타났다. 월남인의 상순은 중국인에서 보다 리켗츠의 심미적 기준선에 더 많이 근접하였고 한국인과 일본인에서의 상순은 기준선보다 후방에 위치하였다. 한국인과 일본인의 하순은 심미적 기준선에 근접한 반면 중국인과 월남인의 하순은 기준선 보다 2mm전방에 위치하였다. 한국인과 월남인의 비순각은 중국인과 일본인에서 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간의 성차는 기본적으로 코의 높이에서 상이하였고 이로 인하여 여자에서의 총 측모각과 비순간이 남자보다 크게 나타났다(P<0.001). 이러한 결과는 아시아 각국인들의 연조직 측모에 대하여 단일 표준치에 의한 분석평가가 적절하지 않으며 각 인종별 표준치 설정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four groups of Oriental young adults(169 males and 174 females) with normal occlusion and well balanced faced. Lateral cephalograms of 100 Koreans, 100 Chinese, 72 Vietnamese and 71 Japanese were digitized and six profile measures were computed. Analyses of variance showed that total profile(Gl'-Pr'-Pg') of Chinese was significantly less convex than the profile of Koreans of Vietnamese. Facial profile(Gl'-Pr'-Pg') of Chinese was also significantly less convex than that of Vietnamese. Holdaway's soft tissue angle(Pg'-LS:N-B)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Vietnamese than Chinese and Korean, who were in turn greater than Japanese. The upper lip of Vietnamese is significantly closer to Ricketts' esthetic plane, than Chinese; Koreans and Japanese are significantly further behind the plane than Chinese. The lower lip of Koreans and Japanese was close to the esthetic plane, while Chinese and Vietnamese were approximately 2mm ahead. The nasolabial angle was significantly smaller for Chinese and Japanese than Koreans and Vietnamese. Sex differences were primarily dependent on the nose; total facial convexity and the nasolabial angle were significantly larger in females than ma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a single standard of facial profile is not sufficient or appropriate for Oriental patients.

      • KCI등재

        유치열기 정상교합아동의 측모두부방사선 계측연구

        김지연,권장혁,김경호,박기태 大韓小兒齒科學會 2005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열기 부정교합의 진단자료로 사용할 수 있는 정상 계측치를 알아보는 것이다. 4세에서 6세 사이 유치열기 정상교합아동 32명의 측모두부방사선 계측사진 및 안모사진을 이용하여 악골 및 연조직의 전후방적, 수직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수평적인 골격성 계측항목 중 SNA는 83°,SNB는 78.72°,ANB는 5.28°를 나타내어 하악골이 상악골에 비해 후방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수직적인 골격성 계측항목 중 Gonial angle은 127°를 나타내어 성인에 비하여 High angle pattern을 보였다. 연조직 분석에서는 성인에 비해 convex한 soft tissue profile이 관찰되었다. 치성 계측항목 중 U1 to SN은 91.04°, IMPA는 86.57°를 나타내어 성인에 비해 reteroclination된 상하악 유중절치가 관찰되었다. 정상교합아동의 골격성분석에서 여자가 남자에 비하여 평균 나이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linear measurement는 전제적으로 남자가 여자보다 큰 수치를 보였다.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formulate cephalometric norms of normal occlusion for usage in orthodontic diagnosis of malocclusion in Korean children. Thirty two children, aged 4 to 6. with normal occlusion were chosen for this study. Sagittal and vertical relations were analyzed using lateral cephapogram and clinical photos and the measuremen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adults. On skeletal sagittal analysis, the mean values of the SNA and SNB angles were 83°and 78.72°. It showed that the mandible was retrognathic and retropositioned in comparison to those angle pattern in children and reduction of gonial angle due to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the mandible. On dental analysis. the mean values of the U1 to SN and IMPA were 91.04° and 86.57°, This showed retroclined upper and lower deciduous teeth in comparison to adults. For values. the linear values were generally greater in males than females.

      • KCI등재

        Cone-Beam Computed Tomogram (CBCT)과 Adjusted 2D lateral cephalogram의 계측점 차이에 관한 비교 연구

        손수정,전윤식,김민지,Son, Soo-Jung,Chun, Youn-Sic,Kim, Minji 대한치과보철학회 2014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2 No.3

        목적: 본 연구에서는 CBCT (Cone-Beam Computed Tomogram)와 100%로 확대율을 보정한 조절된 측모 두부 방사선 규격 계측 사진(Adjusted 2D Lateral Cephalogram; 이하 Adj-Ceph)의 좌표값을 비교하여 차이가 있는 계측점들의 항목을 분석하여 기존의 2D 분석법을 CBCT 분석에 적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평가해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성인 환자 50명의 CBCT 자료 50개와, 동일 환자의 측모 두부 방사선 규격사진을 100% 확대율로 보정한 자료(Adj-Ceph) 50개를 대상으로 하여, 수평축과 수직축의 좌표를 비교하였다. 계측점들의 위치와 좌우 중첩 여부에 따라 두개골 전방에 위치한 점들(group A), 두개 중후방에 위치한 점들(group B), 좌우 양측성 점들(group C), 치아부위 계측점들(group D) 네 그룹으로 나누어 분석 하였고, 좌표값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기 위하여 paired t-test를 시행하였다. 결과: 수평축(Y축)에서는 Group B (S, Ar, Ba, PNS), Group C (Po, Or, Hinge axis, Go), Group D (U1RP, U6CP, L6CP) 등 11개의 계측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수직축(Z축)에서는 전체 계측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1). 좌표값의 차이 분석 결과 수평축에서는 13개의 계측점에서 1 mm 이상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수직축에서는 Group B의 Sella를 제외한 전체 계측점에서 1 mm 이상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CBCT 분석 시에는 기존의 측모두부방사선 규격사진의 분석법을 그대로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3D 분석법, 또는 수평축에서 13개의 계측점들이 보정되고, 수칙축 19개가 보정된 수정된 새로운 2D 분석법이 사용되어야 한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if 2D analysis method is applicable to analysis of CBCT by comparing measuring points of CBCT with those of Adjusted 2D Lateral Cephalogram (Adj-Ceph) with magnification adjusted to 100% and finding out at which landmarks the difference in position appear. Materials and methods: CBCT data and Adj-Ceph (100% magnification) data from 50 adult patients have been extracted as research objects, and the horizontal (Y axis) and vertical (Z axis) coordinates of landmarks were compared. Landmarks have been categorized into 4 groups by the position and whether they are bilaterally overlapped. Paired t-test was used to compare differences between Adj-Ceph and CBCT.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t 11 landmarks including Group B (S, Ar, Ba, PNS), Group C (Po, Or, Hinge axis, Go) and Group D (U1RP, U6CP, L6CP) in the horizontal (Y) axis while all the landmarks in vertical (Z) axi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P<.05). As a result of landmark difference analysis, a meaningful difference with more than 1 mm at 13 landmarks were indentifed in the horizontal axis. In the vertical axis, significant difference over 1 mm was detected from every landmark except Sella. Conclusion: Using the conventional lateral cephalometric measurements on CBCT is insufficient. A new 3D analysis or a modified 2D analysis adjusted on 19 landmarks of the vertical axis and 13 of the horizontal axis are needed when implementing CBCT diagnosis.

      • SCOPUSSCIEKCI등재

        부정교합의 유형과 성별에 따른 자연두부위치의 재현성에 관한 연구

        김하란,이동렬,김광원,윤영주 대한치과교정학회 2000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0 No.3

        교정치료의 진단 및 치료계획의 수립시 이용되는 측모두부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골격성 부정교합의 형태와 성별에 따른 두부위치의 재현성을 파악하고자 성인남녀 90명을 대상으로 자세변수 6항목을 설정하여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자연두부위치의 재현성에 있어서 남,녀 각각의 자세변수는 통계학적인 유의성이 없었다 (P〉0.05). 2. 자연두부위치의 재현성에 있어서 각 부정교합군과 전체 표본 각각의 자세변수는 통계학적인 유의성이 없었다(P〉0.05). 3. method error를 이용한 자연두부위치의 재현성은 모든군에서 우수하였다. 결론적으로 자연두부위치의 재현성은 골격성 부정교합의 양상과 성별에 관계없이 우수하였는데, 이는 자연두부위치를 이용한 많은 연구에 도움이 될 뿐 아니라 교정적 문제와 관련된 기능과 형태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할 때 그 가치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reproducibility of natural head position according to skeletal malocclusion types and sex using cephalometric radiographs for establishing orthodontic diagnosis and treatment planning. The sample consisted of 90 young adults (male 45, female 45) who had the skeletal malocclusion. Cephalometric radiographs were taken in natural head position,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and method error of 6 postural variables were estimated to evaluate the reproducibility of the natural head position.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 1.In the reproducibility of the natural head position, postural variables ha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male and female (P〉0.05). 2.In the reproducibility of the natural head position, postural variables ha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Class I, II, III, and total group (P〉0.05). 3.The reproducibility of natural head position using method error was excellent in all groups.

      • SCOPUSSCIEKCI등재

        A size analysis in obstructive sleep apnea patients

        Pae, Eung-Kwon,Park, Young-Chel,Lowe, Alan A. 대한치과교정학회 1997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7 No.6

        폐쇄성 수면무호홉(이하 OSA환자)의 일반적인 특징의 하나로 다소 비대한 Subnental부위를 든다. 따라서 근간에는 경부주의의 측정을 임상적 진단의 한 보조방법으로 채택하는 경우도 있다. 본 연구는 80명의 환자로 부터 직접위와 앙와위의 두 자세에서 각각 두 장의 측모두부방서선사진을 채득하여 OSA환자의 안면과 혀의 크기를 일반인의 그것과 비교하였다. 채득된 실험자료는 각각 증상의 심한 정도에 따라 무증상군, 경미군, 中증군 그리고 重증군으로 나누었다. 크기 측정의 방법으로는 각각의 두 계측점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모든 계측치의 합으로 해부학적 크기를 대신하였다. 결과로서, 안면의 크기가 혀의 크기보다 체중과 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증상의 심한 정도와는 혀의 크기가 더 중요한 측정치 임을 알 수 있었다. 혀의 크기가 증상의 정도에 비례함에 있어서 1%의 유의차를 보였다. The submental region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OSA) is perceived to larger than normal. Therefore neck thickness has become a variable routinely measured during clinical screening of OSA subjects. In general, OSA patients are believed to have a large tongue and a narrow airway. To test if OSA patients have a larger face and tongue than non-apneics, eighty pairs of upright and supine cephalograms were obtained from four groups of subjects subclassified in accordance with severity. The sum of distances between pairs of landmarks was calculated for each subjects and employed as a pure size variable for the face and tongue. Only tongue size becomes larger in accordance with apnea severity in both body positions (P<.01). Tongue size reflects apnea severity, yet it provides only a small fraction of the explanation with regard to apnea severity. We conclude that size may be one factor of many which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OSA severity.

      • SCOPUSSCIEKCI등재

        Effects of conventional and modified facemask therapies on dentofacial structures

        Yagci, Ahmet,Uysal, Tancan The Korean Association Of Orthodontists 2010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40 No.6

        이번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페이스 마스크와 변형된 페이스 마스크의 치아 및 골격적 효과를 평가하고자 III급 부정교합환에서 치료군과 비치료군을 비교하였다. 24명의 환자(여자: 13명, 남자: 11)로 구성된 기존의 페이스 마스크 그룹(Group 1, mean age, $9.2{\pm}1.4$ years)과 24명의 환자(여자: 12명, 남자: 12명)로 구성된 변형된 페이스 마스크(Group 2, mean age, $9.3{\pm}1.6$ years); 그리고 21 명(여자: 11 명, 남자: 10명)으로 구성된 대조군 그룹(Group 3, mean age, $9.8{\pm}1.9$ years)으로 분류하였다. 그룹 내 그룹 간에 치료군과 대조군을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그룹 내 비교는 비모수적인 방법의 Wilcoxon's test으로 그룹 간의 변화는 Kruskal-Wallis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후 그룹 간의 통계적인 유효성 검증을 위하여 Mann-Whitney test와 Bonferroni's correction 을 시행하였다 (p < 0.016). Group 1에서 SNB 변화가 대조군보다 적었다. SNA, ANB, SN-MP, A to N perp과 Upper lip to E plane이 증가하였다. Group 2에서는 SNB, U1-NA (mm) U1-NA ($^{\circ}$) and Pog to N perp (mm) 변화는 대조군보다 적었다. SNA, ANB, SN-MP, A to N perp과 Upper lip to E plane이 증가하였다. 변형된 페이스 마스크는 상악 열성장이 있는 III급 부정교합 환자에게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악궁 확장을 동반한 페이스 마스크를 통하여 상악은 회전을 야기시키지 않고 전방으로 이동하였으며 모든 치료군에서 하악은 후하방으로 이동하였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prospective study was to evaluate the dentofacial effects of conventional and modified facemask therapies with rapid maxillary expansion, in a group of Class III patients; and compared with an untreated control group. Methods: The conventional facemask group (Group 1) comprised of 24 patients, 13 girls and 11 boys (mean age, $9.2{\pm}1.4$ years); the modified facemask treatment group (Group 2) comprised of 24 patients, 12 girls and 12 boys (mean age, $9.3{\pm}1.6$ years); and the control group (Group 3) comprised of 21 subjects, 11 girls and 10 boys (mean age, $9.8{\pm}1.9$ years). Treatment and control changes within the group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were analyzed statistically. Intra-group comparisons were evaluated using the non-parametric Wilcoxon's test and intergroup changes were analyzed using the Kruskal-Wallis tes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intergroup differences was further assessed with the Mann-Whitney test for independent samples and applying Bonferroni's correction (p < 0.016). Results: In group 1, SNB changes were less than the control. There were increases in SNA, ANB, SN-MP, A to N perp and Upper lip to E plane. In group 2, SNB, U1-NA (mm) U1-NA (${\circ}$) and Pog to N perp (mm) changes were less than the control. There were increases in SNA, ANB, SN-MP, A to N perp and Upper lip to E plane. Conclusions: Modified facemask appliance can be used effectively in Class III patients with a retrognathic maxilla. Facemask therapies with expansion resulted in an anterior advancement and translation of maxilla without rotation; and the mandible moved downward and backward ward in both treatment groups.

      • KCI등재

        정상교합자와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의 경추골성숙도에 관한 연구

        양규호,최남기,최봉선,이영준,류선열,김선미 大韓小兒齒科學會 2004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1 No.1

        정상교합자와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간의 성장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8-12세 여자를 대상으로 하여 진단 석고 모형과 측모두부방사선사진을 기준으로 정상교합자 172명 ,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 191명 총 363명을 분류하여 연구를 시행하였다. 경추의 하연의 만곡도와 수직·수평 길이의 비를 측정해서 연령이 증가함에 따른 변화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제2~6경추의 하연의 만곡도는 정상교합자와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 모두에서 일정하게 증가하였다. 2.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제3~6경추의 수직·수평 길이의 비도 정상교합자와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 모두에서 일정하게 증가하였다. 3. 제2~6경추의 하연의 만곡도와 제3~6경추의 수직·수평 길이의 비에서 정상교합자와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간의 경추골성숙도 차이를 조사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정상교합자와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간의 경추골성숙도를 비교했을 때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므로 성장에 차이가 없음을 시사하였다. This study was to evaluate and compare differences of the cervical vertebral skeletal maturity of normal occlusion and skeletal Class Ⅲ malocclusion. Normal occlusion (172 girls) and skeletal Class Ⅲ malocclusion(191 girl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diagnosis stone model and lateral cephalogram of Korean girls aging from 8 to 12 years. The concavity of inferior border, vertico-horizontal ratio of cervical vertebrae were observed and measured according to age. Differences of the cervical vertebral skeletal maturity were evalua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concavity of inferior border of the 2nd to 6th vertebrae of normal occlusion and skeletal Class Ⅲ had uniformly increased with age. 2. The vertico-horizontal ratio of the 3rd to 6th vertebrae of girls with normal occlusion and skeletal Class Ⅲ had uniformly increased with age.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ervical vertebral skeletal maturity between normal occlusion and skeletal Class Ⅲ malocclusion in the concavity of inferior border of the 2nd to 6th vertebrae and in the vertico-horizontal ratio of the 3rd to 6th vertebrae. The results in the study indicate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cervical vertebral skeletal maturity between girls with normal occlusion and skeletal Class Ⅲ malocclusion.

      • KCI등재

        정상교합자와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경추골성숙도에 관한 연구

        양규호,최남기,최봉선,이영준,류선열,김선미,Yang, Kyu-Ho,Choi, Nam-Ki,Choi, Bong-Sun,Lee, Young-Jun,Ryu, Sun-Youl,Kim, Seon-Mi 대한소아치과학회 2004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1 No.1

        정상교합자와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간의 성장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8-12세 여자를 대상으로 하여 진단 석고 모형과 측모두부방사선사진을 기준으로 정상교합자 172명,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 191명 총 363명을 분류하여 연구를 시행하였다. 경추의 하연의 만곡도와 수직 수평 길이의 비를 측정해서 연령이 증가함에 따른 변화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제$2{\sim}6$경추의 하연의 만곡도는 정상교합자와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 모두에서 일정하게 증가하였다. 2.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제$3{\sim}6$ 경추의 수직 수평 길이의 비도 정상교합자와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 모두에서 일정하게 증가하였다. 3. 제$2{\sim}6$경추의 하연의 만곡도와 제$3{\sim}6$경추의 수직 수평 길이의 비에서 정상교합자와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간의 경추골성숙도 차이를 조사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정상교합자와 골격성 IIII급 부정교합자간의 경추골성숙도를 비교했을 때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므로 성장에 차이가 없음을 시사하였다. This study was to evaluate and compare differences of the cervical vertebral skeletal maturity of normal occlusion and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Normal occlusion (172 girls) and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191 girl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diagnosis stone model and lateral cephalogram of Korean girls aging from 8 to 12 years. The concavity of inferior border, vertico-horizontal ratio of cervical vertebrae were observed and measured according to age. Differences of the cervical vertebral skeletal maturity were evalua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concavity of inferior border of the 2nd to 6th vertebrae of normal occlusion and skeletal Class III had uniformly increased with age. 2. The vertico-horizontal ratio of the 3rd to 6th vertebrae of girls with normal occlusion and skeletal Class III had uniformly increased with age.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ervical vertebral skeletal maturity between normal occlusion and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in the concavity of inferior border of the 2nd to 6th vertebrae and in the vertico-horizontal ratio of the 3rd to 6th vertebrae. The results in the study indicate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cervical vertebral skeletal maturity between girls with normal occlusion and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 SCOPUSSCIEKCI등재

        제 2 대구치 발거에 의한 Ⅲ급 부정교합자의 치료효과에 관한 연구

        이성희,박영국,정규림 대한치과교정학회 2004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4 No.2

        이 연구는 제 2 대구치를 발거하고 하악 제 1 대구치의 후방이동을 위해 CPHG(cervical pull head gear)와 경우에 따라 Ⅲ급 고무줄을 사용하여 고정성 교정장치로 치료한 Ⅲ급 부정교합자의 치료전후 안면골 및 치아치조부, 연조직의 평균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평균 ANB 가 -1.4˚ 이고 IMPA가 85˚ 인 중등도이하의 Ⅲ 급 부정교합자 15명을 대상으로 치료전후 측모두부 X-선 규격사진의 평균 두개안면부 측면 중첩모식도를 작성하고 계측 분석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전안면고경에 대한 전하안면고경의 비율은 0.6%증가(P< 0.01)하였고, 하악 평면각이 1.5˚증가(P<0.05)하였다. 2. 전방 두개저에 대한 하악골 위치는 미약하게 후하방회전하였다. 3. 하악 제 1 대구치가 4.06mm(P<0.001)후방경사이동하였고 하악 전치는 설측으로 3.2˚경사이동(P<0.05)하였다. 4. 하순의 후퇴로 인한 안모의 개선이 이루어졌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골격성 부조화가 중등도 이하인 Ⅲ급 부정교합자에서 하악 제 1대구치의 후방이동을 용이하게 하고 하악 전치의 지나친 설측경사를 피하기 위해 제 2 대구치를 발거하는 것은 조심스러운 증례의 선택시 치료에 유용하리라 사료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제 2 대구치 발거 후 제 3 대구치의 맹출 및 치료후 예후에 대한 장기적인 관찰은 이루어지지 못하여 향후 이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This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the skeletal, dentoalveolar, and soft tissue changes of Class Ⅲ malocclusion cases treated by second molar extraction. The lateral cephalograms of 15 subjects with moderate Class Ⅲ malocclusion by average ANB -1.4˚ and IMPA 85˚ were traced and the computerized superimposition of average craniofacial change was made. The data was gather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Lower anterior facial height/anterior facial height increased by 0.6%(P<0.01), mandibular plane increased by 1.5˚ (P<0.05). 2. There was a slightly downward & backward rotation of the mandible. 3. Lower first molar tipped distally by 4.06mm(P<0.001), lower anterior teeth lingually tipped by 3.2˚ (P<0.05). 4. Retracted lower lip improved facial profile. This study may suggest that second molar extraction could be effective for a moderate Class Ⅲ malocclusion to make distalization of the lower first molar easier and avoid severe lingual tipping of the lower incisor, if the lower third molar has a normal shape, good direction of eruption and adequate time for lower second molar extr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