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취업준비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취업준비행동의 관계: 낙관성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최유진,홍지영 한국재활심리학회 2023 재활심리연구 Vol.30 No.4

        본 연구는 취업준비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취업준비행동의 관계에서 낙관성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순차적으로 매개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 거주하는 대학교 4학년 이상의 20대 미취업자 476명을 대상으로 취업스트레스 척도, 낙관성 척도,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척도, 취업준비행동 척도를 사용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과 AMO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스트레스는 낙관성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부적 상관을 보였으나, 취업준비행동과는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낙관성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취업준비행동과 정적 상관을 나타냈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취업준비행동과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낙관성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취업스트레스와 취업준비행동의 관계를 순차적으로 매개하였으며, 취업스트레스는 취업준비행동에 직접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을 제시하고 연구의 제한 점 및 후속 연구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optimism and career decesion-making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eeking stress and job preparation behaviors among job seeker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using the Job Preparation Behavior Scale, Job Seeking Stress Scale, Optimism Scale, and Career Decesion-Making Self-Efficacy Scale with a sample of 476 unemployed individuals aged 30 or younger, in their fourth year of university or above, residing nationwid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and AMOS 22.0.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job seeking stress was found to sequentially mediate the effects of optimism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job search behaviors. Second, the inhibitory effects of optimism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ere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eeking stress and job preparation behaviors.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s well as the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직업계 고등학생들의 학교만족도, 진로적응성, 취업스트레스와 취업준비행동간의 관계 분석 - 충북지역 학생들을 대상으로 -

        구혜경,정수현,이병찬,남윤명 충북대학교 국가미래기술경영연구소 2023 기술경영 Vol.8 No.4

        4차 산업혁명과 같은 환경변화에 어떻게 대처하느냐는 조직의 생존 및 성장과 직결된 문제이다. 취업난이 심화되고 있는 환경 속에서 직업계 고등학교는 사회변화에 주도적 또는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의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직업계고 학생들이 진로행동을 준비하고 추구하기 위해 필요한 개인 요인들에 대해 파악하고 이들의 관계에 대한 분석을 통해 진로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교육만족도, 진로적응성, 취업스트레스와 취업준비행동의 관계를 분석하고, 이들의 관계에서 진로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첫째, 학교만족도는 진로적응성, 취업스트레스 및 취업준비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적응성과 취업스트레스, 취업준비행동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나타났다. 직업계 고등학생들은 자신의 진로 즉 취업에 대한 적응성이 높아질수록 취업에 대한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업계 고등학생들의 진로적응성이 높을수록 취업에 대한 준비행동이 많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취업에 대한 스트레스를 낮게 지각할수록 학생들은 자신의 장래를 위한 준비를 적극적으로 행동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학교만족도, 진로적응성, 취업스트레스와 취업준비행동의 관계에서는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직접효과보다는 간접효과가 더욱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dentifies the individual factors necessary for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o prepare and pursue career behavior and presents implications for career education through analysis of their relationships. To this end,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satisfaction, job stress, and job preparation behavior was analyzed, and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in their relationship was examin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school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adaptability, job stress, and job preparation behavior.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adaptability, employment stress, and job preparation behavior, it was found th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form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etc., were found to reduce their stress on employment as their career adaptability increased, and it can be seen that the higher the career adaptability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he more preparatory behavior for employment. Third, the lower the perception of employment stress, the more active students are preparing for their future.

      •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외모와 취업 스트레스 및 취업불안과의 관계

        조미경 ( Mi Kyoung Cho ),최은지 ( Eun Ji Choi ),이지원 ( Ji Won Lee ),이유나 ( Yu Na Lee ),채지영 ( Ji Young Chae ) 서울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13 간호학의 지평 Vol.10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외모만족도, 외모관심도, 면접에서의 외모비중, 취업 스트레스, 취업불안을 파악하기 위해 수도권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3, 4학년 남녀 대학생 각 85명씩, 총 170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결과, 외모 만족도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의미 있게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일반적 특성에서 종교와 외모관리 여부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의미 있게 높았다. 이것은 외모에 관심이 많은 여학생들이 남학생들에 비해 외모에 대한 만족정도가 낮고 더 많은 갈등을 느끼고 있다고 보고한 선행 연구14)의 결과와 일치하였고, 이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외모를 자신의 가치를 높이는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반영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대중매체를 통해 주입된 외모지상주의의 영향이 크며, 외모를 개인의 경쟁력이라고 생각하는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사회풍조와 무관하다고 볼 수 없다. 본 연구결과, 외모만족도가 낮은 여학생에서 외모관심도가 높게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된 결과대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의미 있게 높았고, 특히 외모관리여부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외모관심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Song15)과 Mellor 등16)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본 연구결과, 연령에 따른 외모관심도는 연령이 어릴수록, 학년이 높을수록 외모관심도 평균은 높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Kim17)의 연구에서 학년이 어릴수록 외모관심도가 높다고 보고한 것과 다소 일치하지만, Lee18)와 Kim17)에서 나온 결과인 연령이 높을수록 외모관심도가 높게 나타난 것과 다소 상이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것은 본 연구가 대학교 3, 4학년 학생들만을 대상으로 한 것이고, 본 연구의 4학년 학생들 중 21%는 간호대 학생으로서 이미 취업을 한 상태이므로, 취업을 위한 외모관심도는 한창 취업불안이 높은 3학년 학생들이 더 높았을 것으로 사료된다. Kim17)의 연구에서 학년이 어릴수록 외모관심도가 높다고 보고한 것은 요즘 대학생들의 가장 큰 고민인 취업으로 인하여 대학생들의 취업에 대한 불안과 스트레스가 높고, 그 결과 선배들의 취업 준비와 취업 현황을 지켜보고 있는 하위학년이 취업과 관련 있는 외모에 높은 관심을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취업준비를 하는 대학생들에서는 취업과 관련된 외모관심도가 연령과 학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취업여부가 결정되기 전에 자료를 수집하여 비교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취업불안으로 인해 외모 관리에 신경을 많이 쓰는 미취업 학생들과 취업한 선배들 간에 취업에 필요한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 면접에서의 외모비중은 성별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성별과 면접 시 외모비중간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 면접관들이 주의 깊게 보는 사항에 관한 설문에서 1위가 외적 이미지가 83%를 차지하고 그 외 입사열정, 인성, 설득력 있는 답변 및 상황대처 능력, 눈 마주침 순으로 나온 연구결과19)와 면접에서의 외모 효과에 대한 내용은 일맥상통하지만, 성별과 면접 시 외모비중의 상호작용효과에 대한 비교 논문이 없어서 성별과 면접시 외모비중의 상호작용효과에 따른 비교는 직접적으로 할 수 없는 상황이다. MBA 면접상황에서 외모의 효과를 실험한 연구에서는 비록 외모가 직접적으로 면접점수에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지만, 외모와 의사소통능력의 상호작용으로 면접점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한 연구20)도 있어서 면접자와 피면접자의 면접 평가에 대한 비교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또한 최근 대학생들의 취업준비 행동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는데 Suk과 Choi21)에 의하면 취업을 위한 준비행동으로 학생들이 대부분 자격증 획득을, Park과 Ban22)에 의하면 대학생의 절반 이상이 재학 중에 외국어 시험을 준비하고 응시한다고 하였다. 하지만 취업준비행동과 외모관리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여 그 관계를 알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취업준비행동에 있어서 외모관리와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하고, 취업을 위해 긍정적인 외적 이미지 확립과 취업에서 필요한 외모관리를 위한 정보제공이 취업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취업 스트레스는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일반적 특성에서 학년과 성별, 취업여부와 성별, 면접 시 외모비중과 성별 간에는 유의한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성별에 따라 취업 스트레스에 차이가 없었던 결과는 Kim23)의 연구와는 일치하였으나, Suk과 Choi21)의 연구에서는 남학생의 72%가 학교의 위상이 취업에 크게 영향을 끼친다고 생각하여 취업 스트레스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게 나타난 결과와 Shin과 Chang24)의 연구에서 대학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취업 스트레스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았다고 보고한 결과와는 상이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보건계열 3학년 학생비율이 높고 4학년 학생의 58%가 취업이 된 상태였기 때문에 취업 스트레스는 학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Kim23)의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자가 일반대학 학생들로 남학생과 4학년 학생 비율이 높았고, 자료수집기간에 취업 준비의 막바지에 있는 4학년 학생들이 3학년 학생들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취업 스트레스를 보고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취업 스트레스는 3학년에서는 여학생이 높았고, 4학년에서는 남학생이 높게 나타남으로써 학년과 성별 간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본 연구의 대상자인 여학생은 전수가 간호대 학생이었고, 남학생의 경우는 간호대학생과 다른 학과 학생이 섞여 있음으로 여학생에서는 선배들의 취업준비와 결과를 지켜보면서 얼마 남지 않은 취업준비기간에 대한 부담감이 작용했기 때문으로 생각되며, 남학생에서는 대부분이 간호학과가 아닌 다른 보건계열 학생들로서 본격적인 취업준비기간이 아니었기 때문으로 생각되어진다. 본 연구결과, 취업불안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학년과 성별, 취업여부와 성별, 외모관리여부와 성별, 면접 시 외모비중과 성별 간에는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학년에 따라 여학생에서는 3학년이, 남학생에서는 4학년이 취업불안이 더 높게 나타남으로써 Kim과 Choi25)의 일반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3학년에 비해 4학년에서 취업불안을 더 많이 느낀다는 결과와 다소 일치하였다. 본 연구에서 성별에 따른 취업불안의 차이는 없었으나 여학생의 취업불안이 전체 평균 66.51±23.22, 남학생이 70.19±21.80로 남학생의 취업불안의 평균이 높았던 것에 반해 남자보다 여자가 취업불안이 높다고 보고한 연구결과26)와는 상반된 결과를 보여주고 있었다. 이것은 위에서 언급하였듯, 여학생의 경우가 남학생보다 취업이 더 많이 이루어졌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대학생의 취업불안, 우울, 자살생각을 본 연구25)에서 같은 척도로 측정된 취업불안의 평균이 평균 75.6±22.4와 비교하였을 때, 본 연구에서의 취업불안이 조금 낮은 평균을 보여주고 있는 데, 이는 연구대상자들이 보건계열학과의 학생들로 비교적 일반 대학생들에 비해 취업이 용이하기 때문에 취업불안이 약간 낮게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취업여부에 따라 취업한 학생들에 비해 미취업 학생들이 취업불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취업 전에 취업불안이 높은 것은 당연한 결과로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 남녀 대학생 모두 취업 불안이 높을수록 취업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남학생에서는 외모 관심도가 높을수록, 여학생에게서는 면접 시 외모비중이 높다고 인지할수록 취업 불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남녀 대학생의 취업 불안에 외모 요인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취업에 있어 면접 시 외모에 대한 평가로 취업유무가 좌우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결과는 Shin27)의 연구에서 면접관이 지원자의 용모를 면접 평가의 중요한 기준으로 보기 때문에 외모관리에 대한 스트레스가 취업 스트레스로 이어진 것이라고 볼 수 있다. Cho28)의 비서전공자 대상의 취업 관련 변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에서 졸업생들이 취업에 영향을 미쳤다고 인식하는 중요도의 순서는 인성, 자격증 순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외국어, 학력, 외모는 동일한 순위로 나타났다. 또한 Yang 등29)의 지원자와 면접관의 상호비교를 중심으로 승무원 채용을 위한 평가항목에 대한 연구에서 승무원 채용과정을 살펴보면, 다양한 면접관과 다양한 면접 방법을 활용함으로써 채용과정에서 면접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았고, 항공사별 승무원 채용 기준으로 단정한 이미지와 용모를 인재 상으로 제시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취업면접시의 이미지가 면접의 성과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사회현상4-7,27-29)에 따라 취업불안과 취업 스트레스가 높은 사람들은 취업 면접 시 취업하기 위한 기관에서 원하는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므로 취업기관별 어떠한 이미지를 추구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향후에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concern regarding appearance according to gender,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and the influence appearance has on job-seeking stress and anxiety under the ever-increasing pressure on students to secure employment so that appropriate psychological interventions can be provided to undergraduates.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70 third and fourth year undergraduates in Gyeonggi province from August 31st to September 6th, 2012 to figure out the correlations and differences in variables of appearance satisfaction and concern, and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and job-seeking stress and anxiety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in gender.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two-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1. There was difference between the genders for appearance satisfaction and concern. The level of satisfaction was higher in male students while concerns regarding appearance were higher in female students.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regarding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job-seeking stress, and job-seeking anxiety. 2. For the concerns in appearanc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enders in appearance management, and gender and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showed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s. Stress and anxiety from job-seeking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enders, but there were common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s between gender and grades, gender and employment, and gender and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3.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job-seeking stress as their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in male students who had higher concern in appearance, and in female students who placed more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Conclusion: As female students perceived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as important more than male students, their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while male students who showed higher concern in appearance also showed higher level of anxiety in job-seeking. As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job-seeking stress was also higher according to the entire participants, based on this result, methods to decrease job-seeking anxiety should be suggested.

      • KCI등재후보

        대졸 취업과 관련된 구직활동 요인에 관한 연구

        박완성,이형석 한국진로교육학회 2008 진로교육연구 Vol.21 No.3

        This study was for helping setup a direction of education, a labor policy and an education policy. It proved how many these factors such as working experience, studying foreign language in abroad, an employment goal before graduation, and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a certification of qualification, which were parameters related to seek employment during being in university, had effected to get a job these days. Participants were composed of 101,373 people based on the data of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OMS), which was provided from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The Research Method was Answer Tree’s Decision making Tree Analysis depending on CHAID algorithm. The result of study showed that: in the case of having any certification about employment, there was no working aim before graduation, and in the case of having any experience during in school, there is high possibility to be employed.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working goal before graduation in the case of having no certifications, and there were high chances to get a job in the case of studying foreign languages in abroad. The specific results of this surve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high possibilities to seek a job who say having any certification than have none, and second, in the case of having any certification, people who have any job experience during in school have more chances to be employed. Third, among them, there was high possibility to people who responded they had goals before graduating than people who had no goals. Forth, in the case of having no certification, people who have employment goals before graduating university and experience studying foreign language in abroad have more brighter prospect than the opposite.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tributed to establish collage policies which could be dealt rapidly with human power demand change in the labor market, but it could be provided as it should lead a prompt reorganization of college curriculums and employment program. 본 연구는 진로교육 수립과 노동정책 및 교육정책에 도움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으며, 대학 재학시의 구직관련 변수인 직장 다닌 경험(이르바이트 포함), 어학연수 경험, 졸업 전 취업목표, 자격증의 유무가 현재 직장을 얻는데 얼마나 영향을 미쳤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제공한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 자료를 활용하여 101,373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방법으로는 AnswerTree의 CHAID 알고리즘에 의한 의사결정나무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로는 취업과 관련하여 자격증이 있는 경우에는 졸업 전 취업목표가 없고, 재학 중 직장에 다닌 경험이 있는 경우가 취업할 가능성이 높으며, 반대로 자격증이 없는 경우에는 졸업 전 취업목표가 있고, 어학연수 경험이 있는 경우가 취업할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결과는 첫째, 자격증이 있다고 응답한 사람들이 없다고 응답한 사람들보다 취업할 가능성이 높다. 둘째, 자격증이 있는 경우 재학 중 직장 다닌 경험이 있는 경우 취업할 가능성이 더 높다. 셋째, 자격증이 있는 경우 졸업 전 취업목표가 없었다고 응답한 사람이 목표가 있었다고 응답한 경우보다 취업할 가능성이 높다. 넷째, 자격증이 없는 경우, 졸업 전 취업목표가 있고, 어학연수 경험이 있는 사람들이 없는 사람들보다 취업할 가능성이 더 높다. 본 연구결과는 노동시장의 인력수요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대학 정책 수립에 기여하되 대졸자들이 자신의 진로를 설정하여 나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한편, 대학 교육과정 및 진로 취업 프로그램의 신속한 개편을 유도해야 하며, 아울러 노동정책 측면에서 사회변화에 유연하게 대비할 수 있도록 경쟁력 있는 신규자격을 많이 개발하고 보급하여야 함을 시사점으로 제시할 수 있다.

      • 취업애로계층 가구주의 노동속성변화에 관한 연구 - 장애인과 비장애인 가구주 비교 -

        김선희 ( Kim Sunny ),이정자 ( Lee Jeong Jar ) 한국장애인개발원 2010 장애인복지연구 Vol.1 No.2

        본 연구에서는 한국복지패널을 이용하여 취업애로계층이 실질적으로 가구를 대표하고 생계를 책임지고 있는 가구주의 노동속성의 변화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2006년부터 2008년까지 3년 동안 ‘취업애로계층 가구주의 장애여부에 따라 근로형태, 근로능력, 근로형태별 불완전취업자의 직종, 실업자의 구직 중 어려운 점, 비경제활동상태의 경우 비경제활동 사유, 그리고 균등화 소득에 따른 분포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취업애로계층 가구주의 근로형태는 공식적인 실업률은 안정적인 반면, 연도별 패널이 진행됨에 따라 취업의사가 취업을 준비 중이거나, 질병 또는 부상이나 노령으로 인한 심신무능력으로 비경제활동인구에 머무는 비율이 증가하였다. 둘째, 장애인 가구주 중 취업자의 경우 비장애인 가구주에 비해 임시직 또는 일용직으로 불완전취업 상태에 있고, 직업 분포는 단순노무직, 기능원 및 기능 관련직에 종사하는 비율이 높은 반면, 전문직 종사자는 아주 극소수에 불과하였다. 셋째, 공식적인 실업상태에 있는 장애인 가구주의 경우 구직과정에서 건강을 주요한 걸림돌로 느끼고, 패널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나이, 기술이나 경력부족의 비율이 점점 높게 차지하였다. 비장애인 가구주의 경우는 나이, 기술부족이나 저임금, 열악한 근무환경, 경력부족을 주요 요인으로 들고 있다. 넷째, 장애인과 비장애인 가구주 모두에서 비경제활동 사유로 ‘근로무능력’은 점차 낮아진 반면 ‘근로의사가 없거나 구직활동을 아예 포기’하는 비율이 눈에 띄게 증가하였다. 다섯째, 균등화 소득에 따른 취업애로계층 가구주의 소득변화는 장애인 가구주가 비장애인 가구주에 비해 저소득층에 포함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종단연구 중 짧은 기간 동안의 동태를 살펴봄으로써, 취업애로계층의 장애인 및 비장애인 가구주의 노동속성의 변화에 대한 기본적인 방향성을 알 수 있었고, 향후 취업애로계층의 고용지원정책 마련에 기여함과 동시에 지원된 정책의 효과를 제고하기 위한 실질적인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study is aimed to analyze changes of labour properties from the head of the household who belongs to a class of the unemployed but is responsible for living expense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works, implemented by KWPS (Korea Welfare Panel Study) in 2006, 2007, and 2008.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 (1)The official unemployment rates of underclass' households continue to be stable; as KWPS continued, however, the rates of unemployment are gradually increased because their willingness to work has been decreased, they intended to transfer to another job, or they suffered from mental and physical incapability from injuries and aging. (2)The most participants are employed as lower non-manual, unskilled manual workers and technical services, but only a few are manual workers. But The official unemployed rates of the economically inactive are gradually increased, which is categorized as they have a desire to be employed, working arrangements or disabilities by aging and an injuries. (3)In case of the disabled households who are under official unemployed conditions, they point health problems out as the important barrier on the process of job search. As the KWPS proceeded, they felt increasing problems in aging and lack of functions, skills, and experiences. (4) The reasons of the economically inactive are unwillingness to work and giving up to be employed, rather incapability to work. (5)Regarding the equal income, the possibility belonging to the low-income bracket tends to be included in a group of the disabled rather a group of non-disabled. The findings of this quantitative study which implemented in a longitudinal study revealed the basic trends in changes of labour properties from the underclass, disabled, and non-disabled households, and as a result, it can provide a practical base in the future, which contributes to set up an employment supporting policy as well as to improve the effects of supporting policy.

      • KCI등재

        미취업 청년의 취업스트레스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안지영(Jeeyoung An),김지현(Jihyeon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reliable and valid job-seeking stress scale for unemployed youth. Methods A total of 131 questions were composed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and open-ended questionnaire data to extract preliminary questions on the job-seeking stress scale of unemployed youth. Content validity was verified for experts, and preliminary questions composed of 58 items were derived through face validity verification for unemployed yout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on 232 unemployed youth,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on 292 people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scale. Result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performed, and convergent and criterion validity were verified. The job-seeking stress scale of unemployed youth was finally composed of 29 items, and the sub-factors were derived from the personal dimension, family dimension, interpersonal dimension, and social environmental dimension. Conclusions The nature of job stress experienced by unemployed youth who are in a job-seeking state after graduating from college was investigated. Based on this, it is expected to help diagnose and intervene for youth complaining of job-seeking stress. 목적 본 연구는 미취업 청년을 대상으로 신뢰롭고 타당한 취업스트레스 척도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미취업 청년의 취업스트레스 척도에 대한 예비문항을 추출하기 위해 문헌조사 및 개방형 설문자료를 바탕으로 총 131문항을 구성하였다. 전문가 대상으로 내용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고, 미취업 청년 대상으로 안면타당도 검증을 통해 58문항으로 구성된 예비문항을 도출하였다. 미취업 청년 232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개발된 척도의 타당화 검증을 위해 292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탐색적 요인분석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하고, 수렴, 준거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미취업 청년의 취업스트레스 척도는 최종적으로 29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하위요인으로는 개인 차원, 가족 차원, 대인관계 차원, 사회 환경적 차원이 도출되었다. 결론 대학 졸업 이후에 구직상태에 있는 미취업 청년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경험하는 취업스트레스의 성격이 무엇인지 탐색 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취업스트레스를 호소하는 청년을 위한 진단과 개입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선취업후진학정책 평가연구 - 특성화고·마이스터고를 중심으로 -

        이숙영 ( Lee Sook-young ),안선회 ( An Sun-hoi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문화연구 Vol.23 No.3

        본 연구는 선취업후진학정책을 평가하여 정책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선취업후진학정책은 2010년에 제시되어 8년째 시행되고 있다. 선취업후진학정책 시행 이후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의 취업률은 매년 점차 상승하고 있으나, 전문계고에서 취업과 진학지도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가에 대해 검토가 필요한 상황이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취업후진학정책의 정책형성은 어떠한가? 둘째, 선취업후진학정책의 정책집행은 어떠한가? 셋째, 선취업후진학정책의 정책영향, 즉 정책산출인 효과성과 만족도는 어느 정도 달성되었으며, 사회적 영향은 어떠한가? 넷째, 선취업후진학정책의 정책평가와 정책환류는 어떠한가?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보완하였다. 문헌연구는 선취업후진학정책 관련 정부의 정책문서, 공문, 학술논문, 각종 언론보도 등을 모두 포괄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는 정책영향 단계에서 나타난 효과성과 만족도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선취업후진학정책형성평가 결과 취업률 저하라는 현실을 단기적으로 극복하기 위한 방안이었다고 분석되었으며, 정책집행평가에서는 집행계획의 민주성 측면에서 학생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이 부족하다는 점이 지적되었다. 정책영향평가 결과 취업률 향상이라는 양적인 측면에서는 효과적이나 양질의 일자리 보급이라는 질적인 면에서는 개선할 점이 많았다. 효과성과 만족도는 `보통`인 3점을 약간 상회하는 수준으로 나타나, 선취업후진학정책의 효과성과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 개선 노력이 요구된다. 정책평가의 타당성과 정책학습의 활용도 역시 미흡하다고 평가되어 정책평가와 환류 과정도 적극적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Work First-then to College Policy` which was presented in 2010 and which has been enforced for 7 year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how was the policy formation of the `Work First-then to College Policy`? Second, how was the policy implementation of the `Work First-then to College Policy`? Third, to what extent was the policy impact, i.e. the policy outputs, the effectiveness and the satisfaction, of the `Work First-then to College Policy` achieved and how are the social effects? Fourth, how were the policy evaluation and the policy feedback of the `Work First-then to College Policy`? Research methods are literature research and the questionnaire surve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he policy formation of the `Work First-then to College Policy` was judged as the way to overcome the reality of the declining employment rate in the short-term, and in the evaluation of the policy implementation, the process of collecting the students` opinions was insufficient in the democratic aspect of the implementation plan. The results of the policy impact evaluation showed that the policy was effective in the quantitative aspect of the rise of the employment rate but in the qualitative aspect of the dissemination of good quality jobs, there were many things that should be improved. Also, the conclusion was that, obsessed with the idea of `getting a job first` and `employment rate first`, the students were driven to employment, causing the students to inherit their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which can cause the fixation of class mobility and social polarization.

      • KCI등재

        취업용 자기소개서 지도방안 연구

        신정숙(Shin Jung Suk) 동남어문학회 2015 동남어문논집 Vol.1 No.40

        This paper presented the fact that self-introduction for employment is a genre combining self-exploratory writing and persuasive (demonstrative) writing and a self-introduction teaching method focusing on a process considering these genre characteristics. We also reviewed the fact that self-introduction for employment is based on a demonstration format in terms of the writer persuades a human resources officer that he is a talent who is the most suitable for the company/job despite its self-exploratory nature in the context aspect. This means that a teacher can expand the process of teaching persuasive (demonstrative) writing to the process of teaching self-introduction for employment. For this purpose, first, a survey on demand (requirement) for writing lecture and area -specific (contents / configuration / rules) writing skills was conducted targeting juniors and seniors that can be regarded as job seekers. This can be seen as basic research to explore a self-introduction for employment teaching method considering the demand and distinctiveness of studen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targeting juniors and seniors of C University (A total of 245 people. humanities 57 people, engineering 97 people, arts and physical education 91 people), they greatly recognized the need for practical writing such as for a letter of introduction for employment among various writing genres due to the nature of job seekers and are the most vulnerable to the content area (selecting a topic /presenting basis of an argument) among area- specific (contents / configuration / rules) writing skills. These survey results can be seen as a meaningful indicator of the fact that it is necessary to comprehensively teach persuasive (demonstrative) writing and practical writing(self-introduction for employment) treated as important genres in the writing curriculum. Given the fact that self-introduction for employment basically uses a demonstration method(presenting argument+basis of the argument) as a descriptive strategy due to its nature of persuasive (demonstrative) writing, this paper proposed a process-centered self-introduction teaching method. And this self-introduction teaching method also reflects the fact that there is a substantial difference between general persuasive (demonstrative) writing and self-introduction for employment in contents. The contents are very limited in that general persuasive (demonstrative) writing has no limitation on topics while self-introduction is described around four questions (① growth process ②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personality ③ reason for application for company / job ④ aspirations after joining the company). There are also some differences in terms of the demonstration method of writing. Although persuasive (demonstrative) writing example, analysis comparison, quotation, metaphor, depiction as the grounds for claims, self-introduction has the nature of the self-exploratory writing in contents so the individual's specific experiences are used as an example (case). As shown above, self-introduction for employment can be seen to be self-exploratory writing in the content aspect and persuasive (demonstrative) writing in terms of a logical structure. Therefore, we think that it is preferable to teach self-introduction as an extension of persuasive (demonstrative) writing education in the curriculum of <writing> related subjects rather than being carried out by one time lectures or correction opened in writing center or writing classroom. 이 논문의 목적은 취업용 자기소개서가 자기 탐색적 글쓰기와 설득적(논증적) 글쓰기가 결합된 장르라는 사실과 이러한 장르적 특성을 고려한 과정 중심의 자기소개서 지도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또한 취업용 자기소개서가 내용적인 측면에서 자기 탐색적 성격을 띠고 있을지라도, 근본적으로 글쓴이가 인사담당자에게 자신이 지원하는 회사/직무에 가장 적합한 인재라는 사실을 설득하기 위한 논증형식에 기반하고 있다는 사실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는 교수자가 설득적(논증적) 글쓰기를 지도하는 과정에서 취업용 자기소개서를 지도하는 과정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서, 먼저 취업준비생으로 볼 수 있는 3~4학년을 대상으로 하여 글쓰기 특강에 대한 수요(요구), 영역별(내용/구성/규범) 글쓰기 능력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는 학생들의 수요와 특수성을 고려한 취업용 자기소개서 지도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조사라고 볼 수 있다. C대학 3~4학년을 대상(총 245명. 인문계열 57명, 이공계열 97명, 예체능계열 91명)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취업준비생이라는 특성상 다양한 글쓰기 장르 중에서는 취업용 소개서 등과 같은 실용적 글쓰기의 필요성을 크게 인식하고 있었고, 영역별(내용/구성/규범) 글쓰기 능력 중에서는 내용영역(주제선정/논거제시)에 가장 취약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설문결과는 글쓰기 관련 교과과정 내에서 중요한 장르로서 다루어지고 있는 설득적(논증적) 글쓰기와 실용적 글쓰기(취업용 자기소개서)를 통합적으로 지도할 필요가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의미 있는 지표라고 볼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취업용 자기소개서가 내용상으로 자기 탐색적인 특징을 띠고 있지만, 설득적(논증적) 글쓰기이기 때문에 논증방식(주장+논거제시)에 기반하고 있다는 사실을 고려하여 과정 중심의 자기소개서 지도방안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자기소개서 지도방안은 일반적인 설득적(논증적) 글쓰기와 취업용 자기소개서가 내용상 상당한 차이점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반영한 것이기도 하다. 일반적인 설득적(논증적) 글쓰기가 화제의 제한이 없는 반면에, 자기소개서는 4개의 질문항목(① 성장과정 ② 성격의 장단점 ③ 회사/직무 지원동기 ④ 입사 후 포부) 위주로 기술된다는 측면에서, 내용이 매우 제한적이다. 또한 글의 논증방식의 측면에서도 다소 차이점이 존재한다. 설득적(논증적) 글쓰기가 주장에 대한 논거로서 예시, 분석, 비교, 인용, 비유, 묘사 등을 활용하지만, 자기소개서는 자기 탐색적 글쓰기라는 특성상 주로 개인의 특정한 경험이 예시(사례)로 활용된다. 이와 같이 취업용 자기소개서는 내용적인 측면에서 볼 때 자기 탐색적 글쓰기이며, 논리적 구조의 측면에서 볼 때 설득적(논증적) 글쓰기라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자기소개서에 대한 교육은 글쓰기센터 혹은 글쓰기 교실에서 개설되는 일회성 특강이나 첨삭지도에 의해 이루어지기보다는 <글쓰기> 관련 과목의 교과과정 내에서 설득적(논증적) 글쓰기 교육의 연장선상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후보

        대학취업지원프로그램이 전공일치취업에 미치는 영향 : 전공만족도와 재학 중 근로경험의 조절효과 검증

        이소정,남정민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2021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Vol.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대졸자 중 취업자를 대상으로 대학취업지원프로그램이 전공일치취업에 미치는 효과와 대학취업지원프로그램과 전공일치취업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와 재학 중 근로경험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2017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데이터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대졸 취업자 중 상용근로자 10,108명을 표본으로 한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취업지원프로그램은 전공일치취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공만족도는 대학취업지원프로그램 도움정도와 전공일치취업의 관계를 조절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재학 중 근로경험은 대학취업지원프로그램과 전공일치취업의 관계를 조절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은 ‘입학-교육과정-졸업-취업’을 연계한 일련의 프로세스를 구축하고, 체계적인 전공별 커리큘럼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전공별 커리큘럼과 연계한 취업지원프로그램을 구축하여 학생들이 대학에서 투자하는 시간과 비용 손실을 줄이고 교육과정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비용 낭비를 최소화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university employment support education program on major matchmaking among college graduates and the adjustment of major satisfaction and working exper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job support education program and major match employment. To this end, the analysis was based on the 2017 GOMS data, and the study was conducted only with 10,108 regular workers among college graduates. Based on the sample response data, a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d validity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3.0,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 university employment support education program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matching majors. Second, major satisfaction is found to be effective in control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employment support education programs and major matching employment. Third, the working experience in school did not control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employment support education programs and major matching employment. Through this study, universities should establish a series of processes linking admissions-education courses-graduations-employment and prepare a systematic curriculum for each major. In addition, employment support education programs linked to curricula for each major should be established to reduce the time and cost loss that students invest in universities and minimize the waste of social expenses incurred in the curriculum.

      • KCI등재

        취업역량에 관한 대학생 교육요구도 분석 - 경력관리활동, 면접전형, 인재상, NCS 직업기초능력을 중심으로 -

        이종찬 한국취업진로학회 2019 취업진로연구 Vol.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채용제도변화에 따른 경력관리활동, 면접전형, 인재상, NCS 직업기초능력을 중심 으로 취업역량에 관한 대학생의 교육요구와 대학교육의 간극을 좁혀 바람직한 인재육성을 위한 대학교 육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경력관리활동, 면접전형, 인재상, NCS 직업기초능력을 중 심으로 대학생의 취업역량에 관한 대학생의 필요수준 대비 현재수준의 차이(gap) 및 교육요구도를 분 석하여 대학교 취업진로교육의 최우선순위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대학의 취업진로 교육과정 개발 및 정부의 고용지원 정책적인 측면에서 필요한 실제적,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35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기술 통계분석, IPA 매트릭스 분석, The Locus for Focus Model 분석, 대응표본 t검정, Borich 교육요구도 분 석을 실시하여 최우선 교육요구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취업역량에 관한 대학생의 최우선 교육요구 우선순위는 인턴, 직무역량, 입사지원서(내용), PT면접, 영어면접, 토론면접 순으로 확인되었다. 반면에 불필요한 교육요구 순위는 아르바이트, 농활, 외모, 동 아리, 봉사증명서, 도덕성, 직업윤리, 수리능력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대학생들은 인턴, 직무역 량, 입사지원서, 면접 준비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기에 대학과 정부는 이러한 인턴경험과 면접교육의 기 회제공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과 고용정책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대학생들은 아직까지 전통적인 스펙위주의 경력관리활동과 면접전형 준비에 몰두하고 있으나, 앞으로 능력중심채용에서 중 시되는 인재상과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지원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university education to nurture desirable talents by narrowing the gap between university education and education needs regarding employment competency, focusing on career management activities, interview, right people,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job skills. For this purpose, it is tried to derive the highest priority of university employment career education by analyzing current level difference(gap) and education needs for university students' level of need regarding career management activities, interview, right people, NCS job skill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ould give suggestions on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employment career curriculum of universities and policy support of government employment. For this purpose, 351 university students’ data were surveyed and analyzed statistically. The results of descriptive statistics, IPA matrix analysis, The Locus for Focus Model analysis, the corresponding sample t-test, and Borich's educational needs analysis were analyzed to derive the study results. Priority needs of university students on employment competency were identified in order of internship, job competency, job application forms(contents), PT interview, English interview, and discussion interview. On the other hand, the ranking of unnecessary education needs was in the order of part time, farming, appearance, club, service certificate, morality, professional ethics. In this way, university students have difficulties in preparing internships, job competencies, application forms, and interviews. Therefore, universities and governments should develop curriculum and support employment policies to provide such internship experiences and opportunities for interviewing. In addition, college students are still engaged in the preparation of career management activities and interview preparation for traditional specs. However, in the near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support the talented person and the basic skills of the profession which are important in the ability-based recrui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