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장기 정책모기지에 대한 국민의 감성 변화 분석

        홍희정,홍성현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3 인문사회과학연구 Vol.66 No.4

        본 연구는 국민들의 주거안정을 위해 새롭게 도입된 초장기 정책모기지에 대한 국민의 감성 변화를 분석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빅데이터 분석 방법의하나인 감성분석을 활용하여 국민 소통의 대표 채널인 SNS․포털사이트와 언론기관의 기사를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초장기 정책모기지 제도를 도입 하기 전 국민의 감성은 긍정과 부정적 감성이 공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도입 후 보다 긍정적으로 감성이 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 결과에 따른 정책적 시사점은 첫째, 초장기 정책모기지에 대한 부정적 감성을 완화할 수 있는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초장기 정책모기지에 대한 국민적 감성이 긍정적이므로 향후 제도를 점증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셋째, 초장기 정책모기지를 제대로 알리기 위한 대국민 홍보가 필요하다. 넷째, 장기적인 관점에서 초장기 정책모기지의 리스크 관리에 대한 고민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sought to derive policy implications by analyzing changes in public sentiment toward the Super Long Term Policy Mortgage, which was newly introduced to ensure housing stability. To this end, we used sentiment analysis, one of the Big data analysis methods, to analyze articles from SNS, portal sites, and media organizations, which are representative public communication channel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before the introduction of the Super Long Term Policy Mortgage system, the public's sentiment was both positive and negative. Still, after the system's opening, it was confirmed that the feeling changed to a more positive one.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olicy efforts are needed to alleviate negative sentiment toward Super Long Term Policy Mortgages. Second, since public sentiment toward Super Long Term Policy Mortgages is positive, there is a need to expand the system in the future gradually. Third, public promotion is needed to inform the public about Super Long Term Policy Mortgages properly. Fourth, from a long-term perspective, it will be necessary to consider risk management of Super Long Term Policy Mortgages.

      • KCI우수등재

        삼론종에서의 깨달음, 궁극적 경지인가 점진적인 과정인가?

        조윤경(Cho Yoon Kyung) 불교학연구회 2018 불교학연구 Vol.55 No.-

        삼론종에서 깨달음은 중도의 실상에 대한 궁극적 체득이다. 삼론종에서 깨달음을 궁극적이고 완전한 것이라 보면서도 실질적으로는 여러 단계의 가르침을 설정하여 이를통해 중생을 교화한다. 본 논문에서는 삼론종의 단계적 가르침과 궁극적 깨달음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초장(初章)과 중가(中假), 그리고 삼중이제(三重二諦)의 각 단계에서 깨달음에 접근하는 방식을 고찰하였다. 초장은 중가 이전의 입문적이고 개괄적인 가르침으로, 입문자들은 초장을 접하고 나서 현상에 대한 의심을 생성하게 된다. 하지만 이 의심은 특정한 방향성이 없이 거친 집착들을 제거하기 쉽도록 흔들어놓기만 한다는 점에서 깨달음과는 거리가 있다. 반면, 특정 대상의 상황에 맞게 적확한 가르침을 펼치는 중가의 단계에서는 집착의 뿌리를 송두리째 뽑아냄으로서 진정한 깨달음에 이를 수 있게 한다. 중가의 대표적인 가르침인 삼중이제의 각 단계들은 한 대상을 점진적으로 제도하기도 하고, 여러 근기를 동시에 교화시키기도 한다. 삼중이제의 점진적인 단계들은 교화대상이 집착으로 인해 깨닫지 못하고 미혹된 것에서 비롯된 현상적인 결과일 뿐, 각 단계는 모두 궁극적 진리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삼중이제의 각 단계는 여러 근기의 중생을 함께 대치하여 그들 모두를 깨달음으로 이끄는 방편이기도 하다. 이 때 세 가지 층위의 가르침은 설법하는 근기에 따라 차별화된 것이지, 어느 한 가르침이 다른 한 가르침보다 높은 것은 아니다. 이처럼 삼중이제의 각 단계는 교화대상을 궁극적 깨달음으로 인도한다는 점에서 공통된다. 삼론교학에서 여러 다양한 형태의 교설 가운데 일부는 점진적 단계로 설정되어 있 다. 그러나 각각의 단계적 가르침 자체는 깨달음의 불완전한 현현이 아니며, 깨달은 자의 지혜가 중생에게 구현된 것으로서, 모두 궁극적 깨달음을 보증하고 있다. Enlightenment refers to ultimate acquisition of the reality in Sanlun School. While enlightenment is considered an ultimate state, they developed the multiple stages of teaching and let people guided by the stages in practice. This study mainly focuses on the approches taken to reach enlightenment at Chuzhang and Zhongjia, and the each stage of Threefold Two Truths so that we can explore correlation between the gradual teachings and ultimate enlightenment. Chuzhang is the entry level stage that teaches general ideas ahead of Zhongjia. After being exposed to Chuzhang, people start having doubts. What these doubts do to people’s obsessions is mere shake which will do no more than scatter obsessions into a state where they can easily be removed. At the stage of Zhongjia, however, people are given teachings that suit the specific situations they are facing that will enable people to root out their obsessions and let them achieve ultimate enlightenment. Threefold Two Truths, one of the most renown teaching of Zhongjia, is not only the gradual teaching to a subject but also the teaching that change a number of different fundamental abilities at once. All of these gradual stages show the ultimate truth, but the multiple stages exist due to the lured subjects who failed to be enlightened. Every level of Threefold Two Truths is the Skillful Means targeting each individual and lead him to enlightenment. It should be noted that this classification is only made in accordance with the fundamental abilities of people and among the stages is no hierarchy. All stages in Threefold Two Truths are the same in a way that lead people to ultimate enlightenment. In Sanlun School, each stage of the gradual teachings in itself is not the incomplete manifestation of enlightenment, but the embodiment of the wisdom of the enlightened, guaranteeing ultimate enlightenment.

      • 가곡 초장 초두의 축소 현상에 대하여: 중거와 평거를 중심으로

        육아란 ( Yug A-ran ) 전북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2023 예술과 문화 Vol.3 No.0

        관현반주에 맞추어 시조시를 노래하는 전통 성악곡인 가곡은 현재 남창 26곡과 여창 15곡이 전해진다. 현재 전승되고 있는 가곡은 하규일의 전창을 바탕으로 정제되었는데, 본고에서는 하규일 전창을 바탕으로 한 악곡들을 살펴보았다. 가곡은 노랫말이 늘어남에 따라 3장과 5장의 음악 각수를 늘려 늘어난 노랫말을 처리하고 초장·2장·4장은 음악 각수가 불변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몇몇 악곡에서는 초장 초두에서도 음악의 길이가 유동적인 경우가 발견된다. 이러한 경우는 중거와 평거에서 집중적으로 나타나는데 본고는 이러한 초장 초두가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현상을 살피고 중거·평거·두거의 성립과정을 고찰하였다 초장 초두가 변하는 현상 중에서도 3박이 탈락하는 ‘각’과 8박이 탈락하는 ‘벌떨어진장단’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각’은 노랫말이 2음절일 때 주로 나타났으며, ‘벌떨어진장단’은 남창 중거 일부 악보에 서만 특유하게 나타났다. 이를 노랫말을 얹어 부른 곡조의 변천사에 따라 확인해 본 결과 세 가지 경우로 정리되었다. 첫 번째는 이수대엽이나 중거에서 바로 평거로 직행하게 된 경우이고, 두 번째는 일부 악곡에서 두거 초장 초두의 3박이 탈락하여 결과적으로 평거로 불리게 된 경우이다. 이는 이수대엽에 서 중거·평거·두거가 동시에 파생된 것이 아닌, 두거를 거쳐 평거가 된 것임을 나타낸다. 또한 분류는 중거로 되어 있으나 초장의 8박이 탈락함으로써 사실상은 평거가 되는 경우인데, 8박이 탈락한 결과 내드름이 평으로 내는 내드름이 되면서 성질만 놓고 보면 평거가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가곡 초장 초두의 가변성을 확인하고 중거·평거·두거의 성립 과정을 재고하였다 Gagok is traditional vocal music that sings Sijo poems to the accompaniment of an orchestra. Currently, 26 pieces male singing and 15 pieces female singing are performing. Gagok, which is currently handed down, has been refined based on Ha Gyu-il's singing, and this study examined the songs based on Ha Gyu-il's singing. As the number of lyrics increases in gagok, the number of musical ground in lines 3 and 5 is increased, and the number of music in lines 1, 2, and 4 is known to be invariant, but in some songs, the length of the music is found to be fluid even in the beginning of the first half of the first line. This case appears intensively in “Jung-geo” and “Pyeong-geo”, and this paper examines the phenomenon of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beginning of the first half of first line, and considers the process of establishment of “Jung-geo”, “Pyeong-geo”, and “Du-geo”. Among the changes in the beginning of the first half of the first line, we took a look at the “Gak” where 3 beats are eliminated and the “Beoltteoreojin jangdan” where 8 beats are eliminated. “Gak” appeared mainly when the lyrics of the song were two-syllable beginning, “Beoltteoreojin Jangdan” appeared unique only in some of the piece of music in “Jung-geo” of the male singing. As a result of confirming this according to the history of changes in tunes sung with lyrics, it was organized into three cases. The first case is the case where “Isudaeyeop” or “Jung-geo” went directly to “Pyeong-geo”, and the second case was the case where 3 beats were dropped from “Du-geo” and consequently it was called “Pyeong-geo”. This indicates that “Jung-geo”, “Pyeong-geo”, and “Du-geo” were not simultaneously derived from “Isudaeyeop”, but became “Pyeong-geo” through “Du-geo”. In addition, the classification is “Jung-geo”, but 8 nights are eliminated and become “Pyeong-geo”. As a result of the eliminated of the first line 8 beats, it was confirmed that the beginning of the first line (naedeureum) became the beginning called “Pyeong”, and its nature became “Pyeong-geo”. Through this study, the variability of the first half of the first line in Gagok was confirmed and the process of establishing “Jung-geo”, “Pyeong-geo”, and “Du-geo” was reconsidered.

      • KCI등재

        절화 백합의 생장과 발육에 미치는 생장억제제의 관주처리 효과

        박인숙,박송경,Aung Htay Naing,황윤정,강시용,임기병 한국화훼산업육성협회 2010 화훼연구 Vol.18 No.3

        키가 큰 절화용 백합인 ‘Rialto’와 ‘Elodie’ 및 ‘Raizan’ 을 분화 및 화단용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ancymidol과 uniconazole 및 paclobutrazol을 농도별로 관주처리 하 였다. 오리엔탈 백합인 ‘Rialto’의 경우, paclobutrazol을 처리한 구에서는 초장뿐만 아니라 잎과 꽃에 있어서도 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다. 그러나 ancymidol 처리구에서 생장은 농도에 관계없이 30% 이상 억제되었다. 한편 엽수나 개화수 등은 무처리구와 비슷한 경향이었다. Uniconazole 1mg·L-1 처리구에서 초장은 무처리구와 비슷한 경향이었으나 5와 10mg·L-1 처리구에서는 30% 정도 단축되었다. 아시아틱 백합인 ‘Elodie’의 경우 ‘Rialto’와 마찬가지로 paclobutrazol 처리구에서는 무처리 구와 유의차를 관찰할 수 없었다. 한편 모든 ancymidol 관주처리구에서는 초장이 무처리구보다 50~60% 단축 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30mg·L-1의 ancymidol 처리구에서는 엽수가 감소하였으며 개화소요일수도 무 처리구보다 다소 지연되었다. Uniconazole 1mg·L-1 처 리구에서 초장을 제외한 모든 형질들은 무처리구와 유 사하였지만 5와 10mg·L-1 처리구에서는 무처리구와 유 의차가 인정되었다. 신나팔나리인 ‘Raizan’ 또한 상기 의 두 품종과 마찬가지로 paclobutrazol 처리구에서는 왜화효과를 관찰할 수 없었다. Ancymidol 처리구는 농도에 관계없이 초장이 무처리구보다 60% 이상 단축 되었으며 특히 30mg·L-1 처리구에서는 개화소요일수가 다소 지연되었다. Uniconazole 10mg·L-1 처리구에서 초장 은 약 26% 감소하였으나 다른 형질은 무처리구와 유의차 가 없었다. 결과적으로, ancymidol과 uniconazole의 관주 처리는 양적 형질에 큰 변화 없이 초장을 줄여 분화용 백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매우 효과적이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ree different growth retardants for applying pot or bedding plant with ‘Rialto’, ‘Elodie’, and ‘Raizan’. Ancymidol, uniconazole, and paclobutrazol were applied as a drench at various concentrations. In Oriental hybrid lily ‘Rialto’, no changes were observed not only plant height but also leaves and flowers in paclobutrazol treatment. But the growth of plant treated with ancymidol was inhibited above 30% compare to control regardless of concentrations. However, numbers of leaf and flower per plant were similar to those of controls. Plant height was similar to nontreated control in 1 mg·L-1 uniconazole treatment but that reduced about 30% in drench application of 5 and 10 mg·L-1 uniconazole. Asiatic hybrid lily ‘Elodie’ was not different in growth between application of paclobutrazol and nontreatment as ‘Rialto’. While, in all ancymidol treatments, plant height was 50~60% shorter than that of control. Also, numbers of leaves were reduced and days to flowering were slightly delayed in 30 mg·L-1 ancymidol treatment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All traits except plant height of 1 mg·L-1 uniconazole were similar to control but there were differences of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5, 10 mg·L-1 uniconazole drench and nontreated control. Lilium x formolongi ‘Raizan’ like above two cultivars had no dwarf effect on height in paclobutrazol treatment. In drench application of ancymidol, plant height reduced over 60% than that of control regardless of concentrations. Especially, days to flowering were a little delayed with 30 mg·L-1 paclobutrazol treatment. Plant height of 10 mg·L-1 uniconazole was about 26% shorter than that of control, but other traits were no differences between uniconazole treatment and control. In result, the drench application of ancymidol and uniconazole was pretty effective for usage as pot lily without great changes of quantitative traits.

      • KCI등재

        Effect of Application Method and Concentration of Plant Growth Retardants On Plant Quality of Potted Saxifraga rosacea Moench

        Yeon Hee Park,Yoon Jin Kim,Hyun Hwan Jung,Ki Sun Kim 한국화훼산업육성협회 2011 화훼연구 Vol.19 No.3

        운간초의 분화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Kumoma’ 와 ‘Kumoma-Gusa’ 두 품종의 생장과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식물생장억제제 (PGRs) 4종을 처리 하였다. 식물생장억제제 종류와 처리농도는 paclobutrazol (10, 20, 40, 80 mg·L-1), flurprimidol (5, 10, 20, 40mg·L-1), daminozide (500, 1000, 2000, 4000mg·L-1), chlormequat (50, 100, 200, 400 mg·L-1)이고 엽면살포 와 토양관주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Paclobutrazol 40 mg·L-1 처리는 운간초의 두 품종에서 초장과 화경 장을 줄이는데 효과적이었다. ‘Kumoma’ 품종에서, paclobutrazol 40 mg·L-1 엽면살포와 토양관주 처리방 법은 초장을 각각 12.6, 12.5 cm로, 화경장은 3.4, 3.3 cm로 줄일 수 있었다. ‘Kumoma-Gusa‘ 품종에서 는 paclobutrazol 토양관주는 처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초장은 13.2-10.7 cm, 화경장은 3.9-2.0 cm까지 줄일 수 있었지만 꽃의 수는 대조구와 비교했을 때 현 저하게 감소하여서 20개까지 감소하였다. Flurprimidol 20mg·L-1 스프레이와 토양관주 처리는 두 품종 모두 초장과 화경장을 줄일 수 있었다. ‘Kumoma’ 품종에 서 flurprimidol 10 mg·L-1 스프레이 또는 토양관주 처리는 개화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었고 대조구와 비 교해 꽃의 수는 44.7개 이상, 출하 일수는 5일 정도 빨리 출하 할 수 있었다. ‘Kumoma-Gusa‘ 품종에서 PGRs처리에 의한 초장 과 화경장 억제효과가 가장 큰 것은 paclobutrazol 80mg·L-1과 flurprimidol 40mg·L-1 이었고 paclobutrazol 과 flurprimidol 스프레이와 토양관주 처리에서 각각, 초장은 10.7, 9.9 cm, 화경장은 2.0, 1.5 cm 로 생장 억제효과가 가장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flurprimidol 40 mg·L-1 토양관주 처리에서 출하일수는 농도에 따라 3-13일 정도 대조구보다 늦어졌고 꽃의 수는 15.6개로 가장 적은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두 품종 모두에서 daminozide 처리는 초장과 화경장 이 줄어들지 않았지만 ‘Kumoma’ 품종에서는 대조구 와 비교했을 때 꽃의 수가 증가하였다. Chlormequat 처리는 paclobutrazol 과 flurprimidol 처리와 비교했 을 때 화경장 감소효과는 작았고 처리 식물의 잎은 다른 처리에 비해 연한 녹색을 보여주었다. 두 품종 모두에서 chlormequat 과 daminozide 처리는 생육과 개화 품질에 효과적으로 영향을 주지는 않았지만 꽃의 수는 모든 처리농도에서 41개 이상을 보여주었고, ‘Kumoma-Gusa’ 품종에 chlormequat 토양관주 처리는 최대 꽃의 수 63개를 볼 수 있었다. 이번 결과들은 paclobutrazol 과 flurprimidol 처리가 운간초 분화의 품질 향상을 위한 화경장의 생육을 조 절하는 생장억제제로서 사용 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 고, ‘Kumoma’ 품종에서는 paclobutrazol 40 mg·L-1 스프레이는 생육특성을, flurprimidol 10 mg·L-1 토양관 주 방법은 개화관련 특성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생장억 제제의 농도로 추천 될 수 있고, ‘Kumoma-Gusa’ 품종 에서는 flurprimidol 20mg·L-1 스프레이와 flurprimidol 5mg·L-1 토양관주 방법이 운간초 분화의 생육특성과 개 화품질을 향상시키는 생장억제제의 농도로 추천 될 수 있다. Four different plant growth retardants (PGRs), paclobutrazol, flurprimidol, daminozide, and chlormequat, were applied to potted Saxifraga rosacea ‘Kumoma’ and ‘Kumoma-Gusa’ plants for control of the growth and flowering. Paclobutrazol (10, 20, 40, 80 mg·L-1), flurprimidol (5, 10, 20, 40 mg·L-1), daminozide (500, 1000, 2000, 4000 mg·L-1), and chlormequat (50, 100, 200, 400 mg·L-1) were applied to the plants by a foliar spray or drenching. In ‘Kumoma’, application of 40 mg·L-1 paclobutrazol by a foliar spray or drenching reduced plant height by 12.5 and 12.6 cm, and flower length by 3.4 and 3.3 cm,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in ‘Kumoma-Gusa’, drenching of paclobutrazol reduced plant height by 10.7 to 12.6 cm and flower length by 2.0 to 3.9 cm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but the number of florets almost fell to 20 as compared to 40.5 in the control. ‘Kumoma-Gusa’ plants drenched with 80 mg·L-1 paclobutrazol and sprayed with 40 mg·L-1 flurprimidol had the shortest heights of 10.7 and 9.9 cm, and floral length of 2.0 and 1.5 cm, respectively. A flurprimidol drenching at 40 mg·L-1 delayed the harvest by 3-13 days as compared to the control and the smallest number of florets, 15.6, was observed in this treatment. In both cultivars, chlormequat and daminozide did not effectively influence the growth and flowering. However, number of florets increased to more than 41 at all concentrations and up to 63, the greatest floret number, with chlormequat drench in ‘Kumoma-Gusa’.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over 40 mg·L-1 of paclobutrazol or 5 to 20 mg·L-1 of flurprimidol could be used as PGRs to control the growth of floral length and flowering for improving potted plant quality in S. rosacea ‘Kumoma’ and ‘Kumoma-Gusa’.

      • KCI우수등재

        On the significance of the Daeseung saron hyeonui gi 大乘四論玄義記 for research on early Korean Buddhist thought

        Jorg Plassen(요르그 플라센) 한국사연구회 2007 한국사연구 Vol.136 No.-

        일반적으로 삼론학파의 계보는 僧朗에서 시작되어 吉藏(549~623)에서 완성되었다고 알려져 있는 것과 달리 중국 초기 삼론사상사는 상당히 복잡하다. 경쟁하는 분파들이 존재하였다는 점을 고려하면 삼론사상이 어떤 과정을 통해 백제에 전해졌는지의 문제는 별도로 하더라도 백제에 전래되고 다시 일본으로 전해진 삼론사상이 어느 분파의 것이었는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慧均의 《大乘四論玄義記》가 백제에서 찬술된 문헌으로 밝혀진것은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중요한 단서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기존 연구들에서 검토된 것처럼 《대승사론현의기》의 내용은 길장의 저술로 전해지는 《大乘玄論》과 대단히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두 문헌 모두에서 나타나고 있는 法朗의 가르침에 대한 빈번한 언급은 두 문헌의 찬술자들이 동일한 스승의 제자로서 사상적으로 거의 비슷한 입장에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혜균과 길장 모두 法朗에 의하여 형성된 논리 형식인 ‘初章’을 강조하고 있지만 《대승사론현의기》 중의 〈初章中假義〉에서 길장의 이론과의 차이점을 발견한 일부 일본 학자들은 혜균의 사상이 法朗과 吉藏에 의해 비판되었던 中假師와 연결되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그렇지만 《대승사론현의기》의 내용으로 볼 때 혜균은 中과 假를 구별하는 中假師와는 전혀 다른 입장을 취하고 있으며, 《續高僧傳》의 기록에 의하면 길장 역시 혜균과 동일한 논리를 제시하였다. 따라서 혜균과 길장의 기본적 입장은 동일하였다고 할 수 있다. 《대승사론현의기》와 《대승현론》의 가장 큰 차이점은 다른 목적을 위해 찬술되었던 글들을 후대에 편집한 後者와 달리 前者는 처음 부터 일정한 목적을 가지고 찬술되었다는 점이다. 결과적으로 《대승사론현의기》는 《대승현론》에 비하여 훨씬 알기 쉽고 명확하게 씌어졌으며, 이런 점에서 초보자들을 염두에 두고 찬술되었던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승사론현의기》의 작자를 비롯한 백제의 삼론학자들은 자신들을 陳?隋?百濟 등의 국경을 넘어 발전하였던 국제적 학파인 法朗을 계승한 “一家”의 일부로 간주하였고, 이는 정당한 인식이었다. 혜균과 길장이 모두 法朗의 사상에 의거하고 있고, 기존의 연구들을 통하여 밝혀진 것처럼 “一家”의 저술 태도가 ‘교학적 입장’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무집착의 상태에 이르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혜균과 길장의 저술에서 사소한 방법론적 차이 이상의 사상적 차이를 발견하려는 어떠한 시도도 성과를 거두기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오히려 혜균과 길장의 저술은 “一家”의 사상과 논리적 틀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서로 상보적인 것으로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6세기 후반에서 7세기 초에 활동하였던 뛰어난 삼론학자인 혜균의 발견은 백제 삼론학뿐 아니라 元曉의 和諍 사상에 대한 이해에도 새로운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대승사론현의기》에서 나타나고 있는 백제에서의 三論사상과 攝論사상의 갈등은 唯識사상과 中觀사상에 대한 원효의 비판이 단순히 추상적인 것이 아니라 보다 실제적인 배경을 갖는 것이었음을 보여주며, 이를 통하여 원효의 사상에서 화쟁사상이 강조된 것이 고려시대와 식민지시대의 정치적 관심사에 의한 왜곡에서 비롯되었다고 하는 견해들을 반박할 수 있게 한다. 원효는 실제로 《대승사론현의기》를 읽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원효의 《涅槃宗要》에 나오는 佛性의 본질에 대한 논의와 비슷한 내용이 《대승현론》 중의 〈佛性義〉에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 이미 1980년대 초에 지적되었지만 비슷한 내용이 《대승사론현의기》의 〈佛性義〉에도 나오고 있다는 사실은 최근까지도 간과되어 왔다. 《열반종요》에서 제시되고 있는 여섯 가지 입장은 《대승사론현의기》와 《대승현론》에 나오는 열 가지 혹은 열한 가지의 입장 중에서 선택된 것들이다. 《열반종요》의 내용이 간결하기 때문에 원효가 어느 문헌에 근거하여 서술하였는지는 쉽게 판단하기 어렵다. 하지만 원효는 여섯 입장 중 다섯 입장의 주창자들의 개인적 이름이나 주석했던 사찰의 이름을 ?白馬寺愛法師, 莊嚴寺, 光宅雲法師, 梁武蕭焉, 新師? 제시하고 있는데, 이러한 이름들이 길장의 저술에는 전혀 보이지 않는 반면 혜균의 저술에는 新師를 제외한 나머지 다섯 이름들이 모두 나타나고 있다. 이로 보아 원효는 해당 부분을 저술할 때에 《대승사론현의기》의 내용을 알고 있었던 것이 분명하다. 이러한 사실은 두 가지 이유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첫째로, 원효가 《대승사론현의기》를 알고 있었다는 사실은 그의 저술인 《初章觀文》의 성격에 대하여 많은 것을 시사한다. ‘初章’이 《대승사론현의기》 전체를 관통하는 기본적 논리적 틀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원효의 《초장관문》은 法朗이 제자들에게 가르친 내용과 관련된 저술일 가능성이 높다. 더욱 중요한 점은 《열반종요》에 나오는 佛性의 본질에 대한 여섯 가지 입장에 대한 논의가 원효의 화쟁사상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 대단히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는 것이다. 각각의 주장들의 결점을 지적하여 부정한 이후에 원효는 뜻밖에도 모든 주장들이 “옳기도 하고 옳지 않기도 하다”는 점을 설명하고 있다. 佛性이 “不然”이므로 각각의 주장이 모두 잘못되었고, “非不然”이므로 각각의 주장이 모두 옳다는 것이다. 기존의 연구들에서는 이와 같이 모든 것을 부정하는 것을 통하여 모든 것을 긍정하는 원효의 인식 방법을 길장의 〈佛性義〉에 나오는 논리와 연결시켜 이해하였다. 그렇지만 어떠한 견해를 “(오직 하나의) 올바른 것”으로 주장하면 그것은 곧바로 일방적이고 올바르지 않은 것이 되지만 道의 입장에서 방편으로서 견해들을 제시하는 것이라면 어떤 것이라도 올바를 수 있다는 화쟁의 기본적인 사고방식은 《대승사론현의기》의 입장에서도 나올 수 있는 것이다. 실제로 세 사람 모두 是와 非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지만 길장은 《莊子》 〈齊物論〉에 대한 郭象의 주석을 직접 인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렇지 않은 원효나 혜균과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다. 또한 《대승사론현의기》에 보이는 ‘邪見六師’에 대한 언급은 원효가 佛性의 본질에 대한 주장들 중에서 여섯 가지의 견해들만을 제시하게 하는데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보인다. 원효는 혜균과 길장의 양 저술 모두를 잘 알고 있었을 것이다. 그렇지만 길장의 《대승현론》이 원효의 화쟁 이론에 영향을 미쳤다면 《대승사론현의기》가 원효의 화쟁 이론에 영향을 미친 증거는 더 크다고 생각된다.

      • 지상부 제거 및 육지와의 격리거리에 따른 갈대의 생육 특성

        민병미 한국습지학회 2005 한국습지학회지 Vol.7 No.2

        육지로 격리된 거리에 따른 갈대의 생육과 지상부의 예취가 익년 갈대생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2000년부터 2001년까지 경기도 화성시 주곡면 호곡리에서 갈대 자연군락을 대상으로 초장과 건중량을 조사하였다. 육지와 접한 지역은, 갈대의 평균밀도는 122.67개체/㎡, 평균초장은 100.36 ㎝, 개체당 평균 건중량은 4.241 g, 단위면적당 건중량은 537.574 g/㎡이었다. 그리고 해양방향에서 육지방향으로 이행함에 따라 개체의 초장 및 건중량, 단위 면적 당 건중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육지와 격리된 지역은 평균밀도는 102.30개/㎡, 평균초장은 43.894 ㎝, 개체당 평균 건중량은 0.779 g, 단위면적당 건중량은 73.495 g/㎡이었다. 또한 해양방향에서 육지방향으로 이행함에 따른 갈대의 초장과 건중량의 변화는 없었다. 예취한 지역에서 익년의 갈대 생장은 예취하지 않은 지역에 비해 초장과 개체당 건중량은 차이가 없었으나 밀도와 단위 면적당 건중량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일장처리에 따른 스탠다드 절화국화 ‘백마’의 동적 줄기 신장 분석

        박규현(Gyu Hyeon Park),이정현(Jeong Hyun Lee) 한국원예학회 2021 원예과학기술지 Vol.39 No.6

        본 연구는 일장수준에 따른 스탠다드 절화국화의 다이내믹한 초장의 변화과정을 Gompertz 생장 모델을 이용해 분석하고 처리간 생장에 관여하는 파라미터를 비교하였다. 스탠다드 절화국화(Dendranthema grandiflorum) ‘백마’는 정식 후 23일까지는 일장을 16시간 처리 이후, 일장의 길이를 8, 10, 12, 14, 16시간(H)으로 달리 처리 완전 밀폐된 식물공장에서 재배하였다. 일장처리에 사용한 광원은 형광등을 이용하였다. 12H 이하의 일장에서의 평균 출뢰소요일이 단일 처리 후 49일에서 59일로 8H 처리구에서 가장 지연되었고, 14시간 이상의 장일조건에서는 출뢰되지 않았다. 정식 후 일수에 따른 초장은 Gompertz 생장모델의 최대줄기신장량(yasm,cm), 상대줄기신장율(k, d <SUP>-1</SUP>), 최대줄기신장율에 도달하는 정식 후 일수(tinf,d)를 이용하여 유의적으로 측정값의 98%이상 묘사하였다. yasm는 12H 이하의 조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장일조건인 14H과 16H 처리구에서는 가장 높았다. tinf는 12H 이하에서는 정식 후 28일에 최대신장율에 도달하였으며, 12H 이상에서는 일장이 길어질수록 지연되었다. k은 8H-12H 처리구간에서는 일장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12H 이상에서 일장에 따라 감소하였다. 최대 줄기 신장율(MGR)은 12H처리구에서 1.15cm·d<SUP>-1</SUP>로 가장 높았다. 발육단계에 따른 상대 초장은 변환된 Gompertz 생장모델의 매개변수 최대상대줄기신장량(yasm.DVS), 상대줄기상대신장량(kDVS), 최대상대줄기신장율에 도달하는 DVS(tinf.DVS)를 이용하여 99% 이상 유의적으로 묘사할 수 있었다. yasm.DVS는 8H-12H 단일처리구에서는 범위는 0.014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14H와 16H 처리구는 1을 나타내 12H 처리구에 비해 22% 높았다. kDVS은 14H와 16H 처리구에서 12H 처리구에 비해 곡선의 변화가 급격하였으며 tinf.DVS는 12H 이하의 단일 처리구에서는 1.143-1.224 DVS로 단일처리 이후의 최대 상대 생장율을 나타냈다. 최대 상대 생장율지수에 도달시 12H 이하의 단일처리구에서는 상대 초장의 길이는 전체 길이의 68%, 14H과 16H 처리구에서는 총 각각 62%와 63%에 도달하였다. 본 연구 결과 Gompertz 생장모델은 스탠다드 국화 ‘백마’의 다이내믹한 초장 신장패턴을 해석하고 요약할 수 있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었으며, 초장의 다이내믹 신장율을 고려한 재배기간 중 ‘백마’의 장일처리시간은 14시간이상, 단일처리시간은 12시간을 유지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생각된다.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dynamic stem elongation of standard cut-chrysanthemum (Dendranthema grandiflorum) with different photoperiod levels. Standard cut-chrysanthemum cv. Baekma was grown at a 16 hr photoperiod until 23 days after planting, after that different photoperiods of 8, 10, 12, 14, and 16 hr (8H, 10H, 12H, 14H, 16H) were applied using fluorescent lights in a plant factory. The long-day treatments of 14H and 16H produced no flower buds and the 8H treatment was significantly delayed in flower budding initiation compared to the 10H or 12H treatments. The final characteristics of plant height, plant fresh weight, and number of internodes in the 14H and 16H treatm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other treatments. Plant height was significantly fitted with parameters of maximum stem length (yasm), relative stem elongation rate (k), and days to reach maximum stem elongation rate (tinf) in the Gompertz growth model as a function of days after planting. As the photoperiod increased longer than 14H, yasm was continuously increased, tinf was delayed in the 12H-16H treatments, and k was increased between the 8H and 12H treatments and decreased with long day treatments. The maximum stem elongation rate (MGR) was 1.15 cm·d<SUP>-1</SUP> in the 12H treatment, which was the highest stem elongation rate. Plant height and days after planting were translated to relative scales from 0 to 1 and 0 to 1 or 2 respectively. Relative stem length was significantly fitted and described 99% of relative plant height to developmental stage (DVS) with three parameters of maximum relative stem length (yasm.DVS), relative stem elongation length (kDVS), and days to reach maximum relative stem elongation rate (tinf.DVS) in the adjusted Gompertz growth model. yasm.DVS was no differences between 8H and 12H in short days whereas 14H and 16H were estimated to be 1 and compared to 12H 22% higher at long day treatment. kDVS was higher in the 14H and 16H treatments than in the 12H treatment, which means the long-day treatment increased growth rapidly to different DVS. tinf.DVS was estimated to be between 1.143 and 1.224 in the short day treatment and showed the maximum relative growth rate. Maximum growth ratio to DVS was 68% of plant height in 8H, 10H and 12H whereas 14 and 16H were 62% and 63% of plant height reached at tinf.DVS. Our study suggested that the Gompertz growth model can describe and summarize the dynamic stem elongation pattern of standard cut chrysanthemum ‘Baekma’ and it is advisable to use a 14H photoperiod in long-day conditions and a 12H photoperiod in short-day conditions during the cultivation of ‘Baekma’.

      • KCI등재후보

        변동마찰형 TMD를 이용한 초장주기 구조물의 진동제어

        황재승,임종환,이승우,김윤석 한국풍공학회 2011 한국풍공학회지 Vol.15 No.1

        Tuned mass damper has been used to enhance the wind performance of a structure by reducing the wind induced vibration, and recently applied to the super long period structures such as high rise buildings and long suspension bridges. In comparison with the conventional TMD, it is usually required that the applicable TMD to the super long period structure need a very long design stroke for the sake of the long period movement of the mass of TMD. For that reason, the design stroke of TMD should be carefully determined considering the available space for TMD and the size of mechanical components of TMD. In this study, a new type TMD, which has variable friction along the stroke, is provided to reduce the design stroke of TMD effectively with the equivalent control performance to a conventional TMD. Numerical analysis for the very slender pylon with a super long period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variable friction on the control performance of TMD. Through the numerical analysis, it is proved that the proposed TMD system in this study has an equivalent control effect and reduce the design stroke of TMD dramatically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TMD system. 풍하중에 의해 발생된 진동을 저감함으로써 구조물의 내풍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동조질량감쇠기가 많이 사용되어 왔으며, 초고층 초장대 구조물과 같이 매우 큰 주기를 가지는 구조물에도 그 적용방안이 확대되고 있다. 구조물이 가지는 초장주기 특성에 의해 TMD의 거동 또한 초장주기 특성을 보유하게 되고 구조물 진동변위의 수 배에 이르는 질량 이송거리가 요구된다. TMD의 이송거리가 매우 커짐에 따라 TMD 설치공간을 초과할 뿐만 아니라 TMD를 구성하는 스프링, 가이드 레일과 같은 부품의 제조가 불가능하게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구조물의 제어성능을 유지하면서 이송거리(stroke)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새로운 타입의 TMD를 제안하고 이들이 구조물의 진동제어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제안하는 TMD는 이송거리에 따라 마찰력이 조정되는 장치로써 이송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마찰력을 인위적으로 조절하여 최대 이송거리를 줄이는 시스템으로 이러한 변동마찰에 따른 구조물의 제어성능, 이송거리 저감을 초장주기 독립주탑을 대상으로 수치해석을 수행하엿다. 해석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된 변동마찰형 TMD는 기존의 선형 TMD에 비해 이송거리를 크게 줄이면서 진동저감효과는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숙근성 자생식물에 있어서 화아형성 후의 생장과 개화에 미치는 광도의 영향

        임영희,김민희,변미순,김규원 한국화훼산업육성협회 2007 화훼연구 Vol.15 No.2

        본 실험은 광도가 숙근성 자생식물 14종의 화아형성후의 생장과 개화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 였다. 평균 초장은 3.1~56.2cm, 평균 화서수는 1.0~ 9.2개, 평균 꽃수는 1.0~110.3개, 평균 화폭은 0.4~ 4.5cm로 종에 따라 차이가 컸다. 초장은 복수초, 병아 리난초, 금새우난초, 감자난초, 무늬둥굴레, 좀양지꽃과 분홍할미꽃은 10klux에서 억제되었는데 비해, 황금두메 냉이, 한라구절초, 한라돌창포는 2.5~5.0klux 하에서 억제되는 경향이었다. 화서수는 황금두메냉이, 한라구 절초, 깽깽이풀과 좀양지꽃은 10klux에서 많아졌는데 비해, 병아리난초는 2.5klux에서 많아졌다. 그러나 복 수초, 금새우난초, 좀비비추, 감자난초, 무늬둥굴레, 앵초, 분홍할미꽃, 분홍노루발과 한라돌창포는 광도와 무관하였다. 꽃수는 금새우난초, 황금두메냉이, 한라 구절초, 좀비비추, 깽깽이풀, 좀양지꽃, 앵초와 분홍노 루발은 10klux에서 많아졌으며 2.5klux에 비해 4.2~1,182.6% 증가하였다. 특히 황금두메냉이는 화서 수와 꽃수 증가에 대한 반응이 가장 컸다. 그러나 감 자난초와 무늬둥굴레는 광도가 낮을수록 꽃수가 증가 하였으며, 병아리난초와 한라돌창포는 5.0klux에서 증 가하였다. 화폭은 광도에 따른 차이가 적었다. 황금두 메냉이, 감자난초, 병아리난초, 한라돌창포, 한라구절초 와 무늬둥굴레는 초장과 꽃수 간에 정의 상관관계가 있어 초장이 커지면 꽃수도 많아졌는데 비해, 좀양지꽃 은 부의 상관관계가 있어 초장이 작을수록 꽃수가 많 아졌다. This study was performed for the effect of light intensity for growth and flowering on 14 species of perennial Korean native plant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average plant height was 3.1 to 56.2 cm, average number of inflorescences was 1.0 to 9.2, average number of flowers was 1.0 to 110.3, and average flower diameter was 0.4 to 4.5 cm, representing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14 species. Plant height tended to be shortened under 10 klux in Adonis amurensis, Amitostigma gracilis, Calanthe discolor for. sieboldii, Oreorchis patens, 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 for. variegatum, Potentilla matsumurae, and Pulsatilla davurica, while it had a tendency to be shortened under 35.2 to 70.4 μmol·m-2·S-1 in Cardamine resedifolia var. morii, Chrysanthemum zawadskii var. coreanum, and Tofieldia fauriei. Number of inflorescences increased under 10 klux in C. resedifolia, C. zawadskii, Jeffersonia dubia, and P. matsumurae, while it increased under 2.5 klux in A. gracilis. On the contrary, it was not affected by light intensity in A. amurensis, C. discolor, H. minor, O. patens, P. odoratum, P. sieboldii, P. davurica, P. incarnata, and T. fauriei. Number of flowers increased under 10 klux in C. discolor, C. resedifolia, C. zawadskii, H. minor, J. dubia, P. matsumurae, P. sieboldii, and P. incarnata, representing 4.2 to 1,182.6% increase as compared to that under 2.5 klux. In particular, response on increased number of inflorescences and flowers was the most significant in C. resedifolia. However, lower light intensity led to increased number of flowers in O. patens and P. odoratum, and it increased under 5.0 klux in A. gracilis and T. fauriei. Difference in flower diameter was not considerable under different light intensities. As correlation was positive between plant height and number of flowers in C. resedifolia, O. patens, A. gracilis, T. fauriei, C. zawadskii, and P. odoratum, higher plant height contributed to increased number of flowers, while it was negative in P. matsumurae, representing increased number of flowers led by lower plant heigh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