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정체된 시화 인공습지와 해수유통이 활발한 강화 갯벌에서의 혐기성 유기물 분해능 및 분해경로 비교
김성한,목진숙,정정호,장윤영,최광순,현정호 한국습지학회 2007 한국습지학회지 Vol.9 No.1
본 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정체된 환경인 시화 인공습지와 조석에 의한 흐름이 존재하는 강화도 갯벌에서 혐기성 유기물 분해능과 분해경로 중 황산염 환원과 철 환원의 상대적 중요성에 대해 비교하고, 조절요인으로서 퇴적물 상층수 흐름의 중요성을 토의하였다. 퇴적토 상층수의 흐름이 존재하지 않는 시화 인공습지의 공극수에서 CO2, NH4+ , 및 H2S의 농도가 강화도 갯벌에 비해 각각 3 배, 20 배 및 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퇴적물의 산화-환원의 정도를 알 수 있는 Fe(III)와 총 환원된 황의 농도 비는 강화도 갯벌이 시화 인공습지에 비해 12배 이상 높은 값을 나타내어 강화도 갯벌이 시화 인공습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산화된 상태인 것을 알 수 있었다. 혐기성 유기물 분해능은 강화도 갯벌 (0.039 mM C h-1 )이 시화 인공습지 (0.0001 mM C h-1 ) 보다 약 390배 높은 값을 보이고 있다. 유기물 분해경로에서 황산염 환원력은 시화인공습지 (314 ~ 580 nmol cm-3 d-1)가 담수습지임에도 불구하고 강화도 갯벌 (2 ~ 769 nmol cm-3 d-1 )과 같은 높은 값을 나타낸 반면, 철 환원력은 강화도 갯벌 (0.1368 μmol cm-3 h-1 )이 시화 인공습지 (0.087 μmol cm-3 h-1 ) 보다 약 1.7배 높은 값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시화 인공습지에서는 전자수용체가 적절히 공급되지 못하고 있음을 나타내며, 이의 개선을 위해서는 강화도 갯벌의 조석과 같은 상층수의 흐름을 조절하는 것이 필수적인 사항으로 인식되었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1) to compare the rates and pathways of organic matter minerlaization at stagnant freshwater wetland in Shiwha to highly irrigated coastal wetland in Ganghwa; and (2) to discuss the significance of irrigation into the sediment in controlling the organic carbon oxidation in Shiwha wetland. Concentrations of CO2, NH4+ and H2S in the pore water of the Shiwha wetland were 3 times, 30 times, and 3 times higher than that in the pore water of the Ganghwa wetland, respectively. The ratio of Fe(III) to total reduced sulfur at the Ganghwa wetland was 12 times higher than at the Shiwha wetla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Ganghwa wetland with frequent tidal inundation were relatively oxidized than highly stagnant Shiwha wetland. Rates of organic matter oxidation at the Ganghwa wetland (0.039 mM C h-1) was 390 times higher than that at the Shiwha wetland (0.0001 mM C h-1). Rates of sulfate reduction at the Shiwha wetland (314 ~ 580 nmol cm-3 d-1) were comparable to the sulfate reduction at Ganghwa wetland (2 ~ 769 nmol cm-3 d-1), whereas Fe(III) reduction rates were 1.7 times higher at the Ganghwa wetland (0.1368 8mol cm-3 h-1) than at the Shiwha wetland (0.0878mol cm-3 h-1). The results implied that the water flow system of the Shiwha wetland was too stagnant to flush out the reduced pore water from the sediment, and thus anaerobic microbial respiration was limited by the availability of electron acceptors.
고해상도 위성영상과 GIS를 이용한 인공습지 적지 분석 - 경안천을 대상으로 -
고창환,진도,하성룡 한국습지학회 2008 한국습지학회지 Vol.10 No.2
도시화 및 산업화 등 인간의 다양한 활동은 하천의 주요 오염원으로 평가되어져 왔다. 현재 하천의 수질에 악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토지의 이용 및 축산업에 따른 비점오염원을 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이루어고 있으며, 이 가운데 서울을 비롯한 경기도의 상수원을 공급하는 주요 수자원으로 이용되고 있는 팔당호의 관리 방안에 대한 초유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지금까지 팔당호의 수질개선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경안천 살리기 운동과 같은 지자체의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상당한 액수의 경비를 소요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경안천 하류에 대단위 인공습지 조성사업을 계획시행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하수처리장의 신설 및 증설이 이루어지고 있어 팔당호 수질의 주요인으로 인정되고 있는 경안천의 수질이 상당 부분 개선될 것으로 전망되어지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그러한 수질개선사업은 근본적인 원인 분석 및 적극적 대안 제시가 아닌 아쉬움을 내포하고 있어 보다 세밀하고 과학적인 분석이 우선시되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안천 수질 개선을 위한 수질 및 부하량 분포를 공간적으로 파악함과 동시에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통한 대상지의 토지이용행태 분석과 GIS분석을 통한 습지의 입지 가능성을 분석하고, 이들의 종합적인 조건에 부합할 수 있는 인공습지의 위치 및 규모를 산정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진행은 ① 수질 및 부하량에 대한 공간분석을 통한 최대 오염부하 구역을 선정, ②고해상도 위성영상을 통한 토지이용 현황 파악, ③ 습지 조성 가능 대상지의 위치 선정, ④ GIS를 이용한 인공습지의 면적 및 체적 산정 등으로 이루어졌다. 기본적으로 인공습지의 규모는 수자원공사에서 제공하고 있는 습지처리효율에 따른 설계기준을 통해 유도되었으며, 그 결과 경안천 일대에 2개 구역(용인하수처리장 부근, 대대천주북천 일대)에서 인공습지의 조성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고, 그 면적은 각각 127,586㎡과 1,647㎡로 책정되었다 Various human activities such as the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are estimated the main factors to pollute the stream. Now days, numerous studies are carried out for managing non-point sources which have un-effect on water quality of streams by land-use and livestock. In case of Korea, a matter of concern that the management of Pal dang reservoir - the main water resources of the national capital region - has been occurring. Especially, large-scale constructed-wetlands are planned and constructed at the end of Kyoung-an stream. Additionally a lot of sewage treatment plants are newly installed and extended in this watershed. According to these efforts, water quality of Kyoung-an stream is predicted that would be improved. But the more detail and scientific analysis should be carried out for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because, existing water quality improvement projects are not involved to analyze root of water quality deterioration and improvement plan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elect suitable areas for constructed-wetlands and to calculate size of the constructed-wetlands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in Kyoung-an stream through the geographical pollutant distribution analysis and land-use pattern analysis by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 and suitable area analysis of constructed-wetlands by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he progress of this study is to select maximum pollutant loaded area by geographical analysis based on wate① rquality data, ② to analyze land-use patterns using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 ③ to select suitable areas of constructed-wetlands, ④ to calculate area and volume of chosen constructed-wetlands using GIS. Basically, sizes of constructed-wetlands are induced through the constructed-wetlands design index based on treatment ratio(provided by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two areas are selected to construct constructed-wetlands. One of the area was 127,586㎡ near by Yong-in sewage treatment plant, and the other area was 1,647㎡ near by Ju-buk stream and Dae-dae stream.
국내 연안습지 보전 정책의 법제도적 한계와 개선방향 고찰
육근형 한국습지학회 2013 한국습지학회지 Vol.15 No.4
우리나라는 1999년 람사르 협약의 국내이행을 위하여 「습지보전법」을 제정하여 환경부와 해양수산부가 각각 내륙습지 와 연안습지를 관리하고 있다. 연안습지는 2001년 무안갯벌을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하기 시작하여, 2013년 6월 기준으로 총 12개 지역, 218.96㎢을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하였다. 제도가 도입된 지 10년이 지나면서 보호지역 지정 면적이 늘어 나는 외형적 성과를 거두었으나, 한편에서는 습지 보전정책이 효과적으로 이행되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기도 한다. 이 연구에서는 습지 관련 법률과 제도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분석하고, 연안습지 보전 정책의 효과적인 이행을 위한 정책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기후변화 대응과 관련된 습지 활용사례 및 정책 개선방향
임정철(Jeongcheol Lim),노백호(Paikho Rho) 한국습지학회 2024 한국습지학회지 Vol.26 No.4
기후변화는 전 지구적으로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습지는 탄소 격리와 생물다양성 보전 측면에서 기후변화 완화와 적응에 중요한 생태계로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습지 정책은 기후변화 대응 전략과의 연계가 부족하여 그 잠재력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습지가 기후변화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정책적 개선 방향과 주요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제사회의 기후변화 대응 노력과 주요 국가들의 습지 활용 사례를 분석하고, 우리나라 습지 정책의 현황과 문제점을 비교·검토하였다. 체계적인 문헌 고찰과 TACCC(Transparency, Accuracy, Consistency, Completeness, Comparability) 원칙에 근거한 연구 결과, 기후변화 대응과 습지 보전 정책의 통합적 접근의 필요성이 도출되었다. 특히, 습지의 탄소 격리 능력에 대한 과학적 평가와 이를 기반으로 한 정책 수립이 가장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정책과제를 제안한다: (1) 기후변화 대응과 습지 보전 정책 수립에 있어 통합적 접근을 통해 습지를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 NDC)에 포함하고, 통합적인 기후변화 대응 전략을 수립한다. (2) 과학적 데이터 기반의 습지 관리를 위해 습지의 상태와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탄소 흡수량 등 정량적 데이터를 구축한다. (3) 중앙정부와 지자체 간 협력 강화를 통해 지역 특성에 맞는 습지 보전 및 복원 전략을 마련하고, 지역 사회의 참여를 유도한다. (4) 자연기반해법(Naturebased Solutions, NbS)의 도입으로 습지의 기후변화 완화 및 적응 기능을 극대화한다. (5) 재정적 지원 확대와 전문 인력 양성을 통해 습지 보전 정책의 실행력을 높인다. 이러한 습지 정책 개선 전략은 우리나라의 기후변화 대응 역량을 강화하고, 국제사회의 노력에 동참하여 지속 가능한 습지 생태계 관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are being observed globally, and wetlands are known as important ecosystems for climate change mitigation and adaptation with carbon sequestration and biodiversity conservation. However, current wetland policies in Korea are poorly related to climate change response strategies and are not fully utilizing the potential of wetland capabilities. This study aims to suggest improvement considerations and major strategies for strengthening wetland policies with effective tools for climate change response. Case studies and literature reviews on the international efforts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and the use of wetlands in major developed countries are used to identify the key factors to establish wetland policies with consideration of current status and different wetland issues in Korea. Results of this study with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TACCC(Transparency, Accuracy, Consistency, Completeness, Comparability) principles show that integrated approach on wetland policies to climate change response are needed. Based on the results, we propose the following policy recommendations. Firstly, carbon sequestration and storage are integrated through climate change response strategies and wetland conservation policies for national greenhouse gas reduction goals of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s(NDC). Secondly, data-based wetland management should be implemented with scientific research, and wetland conditions and changes are continuously monitored, in particular quantitative data such as carbon absorption of wetlands are systematically collected. Thirdly, cooperating with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in wetland policies, public participation on wetland conservation are encouraged with establishment of wetland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strategies suitable for local characteristics. Fourthly, expanding the role of wetlands in climate change mitigation and adaptation strategies with incorporation of the Nature-based Solutions(NbS). Fifthly, the implementation capabilities of wetland conservation policies is enhanced by financial supports and training of wetland education and professionals. These wetland policies strengthens the ability of wetlands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effectively, and contribute to sustainable wetland ecosystem management by participating international efforts on wetland conservation and climate change.
GIS를 활용한 하구의 습지추정 및 변화추이 분석에 관한 연구
노백호,이창희 한국습지학회 2007 한국습지학회지 Vol.9 No.2
하구습지는 육지생태계와 해양생태계가 만나는 전이적 특성으로 인해 다른 생태계에 비해 겨울철새를 비롯한 많은 생물종이 도래ㆍ서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하구습지에 대한 공간적 분포나 시간에 따른 하구습지 변동추이를 분석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한강, 섬진강, 가화천의 하구습지를 파악하였으며, 이때 구한말 이후 일관되게 제작되는 국가기본지형도를 이용함으로서 표준화된 방법으로 하구습지의 시대별 변화추이를 분석하였다. 특히 1910년대 제작된 고지형도와 1970년대, 그리고 2000년대에 제작된 지형도를 획득하여, 하구 내 갯벌, 습지, 모래에 대한 공간분포와 하구별 하구습지의 훼손실태를 파악하였다. 한강 및 영산강 하구와 같이 대하천 하구는 191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지속적으로 습지면적이 감소되었으나, 감소율은 크지 않았다. 그러나 1970년대 이후 하구둑 건설과 영산강유역종합개발계획 등 각종 개발사업이 이루어진 영산강의 하구습지는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한강 하구도 남북긴장 완화와 접경지역 개발지원에 따라 습지훼손이 심화되고 있다. 반면 하구둑이나 주변 개발사업으로부터 비교적 자유로운 가화천은 하구습지의 훼손이 낮은 상태인데, 아직도 1910년대와 비슷한 형태의 갯벌과 갯골을 간직하고 있다.
김덕길,신한규,김재근,김형수,유병국,안경수,장석원 한국습지학회 2011 한국습지학회지 Vol.13 No.3
댐 상류지역 및 주변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습지는 댐의 수질개선, 동식물의 서식처 확보 등과 같은 생태보전 및 경관 제공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댐이 지니고 있는 습지의 역할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문지형학적 방법인 HGM을 이용하여 댐습지의 기능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포늪과 보령댐을 기준습지로 선정하여 용담댐의 기능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 전체적인 기능이 0.6점 이상으로 나타났다. 이는 댐습지와 자연습지를 비교했을 때, 댐습지가 자연습지의 약 60%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댐에 위치하고 있는 습지의 관리와 보전이 잘 이루어진다면 보다 더 효과적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강동환,김성수,정휘제,권병혁,김일규 한국습지학회 2007 한국습지학회지 Vol.9 No.3
본 연구에서는 양산 신불산 고층습원인 달포늪 퇴적물의 입도, 주상도 및 유기물함량을 분석하여 퇴적물 입도와 종류에 따른 유기물함량의 상관성을 규명하였다. 연구지역인 달포늪은 3개 습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습지면적은 약 31,295 m2 이다. 달포늪 퇴적물의 입도분석은 7개 지점(습지A 3개, 습지B 3개 및 습지C 1개)에서 채취된 시료를 이용하였으며, 건식체분석과 피펫분석이 수행되었다. 입도분석 의하면 퇴적물 입도는 습지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크고, 습지A > 습지C > 습지B의 순으로 나타났다. 습지A와 습지B의 장축 및 단축과 습지C의 장축 방향에서 수평거리별 시추조사가 수행되었다. 습지A의 장축에서는 점토질 이탄층이 지표면하 심도 10~90 cm 정도로 분포하고 있으며, 습지 중앙부인 수평거리 100 m 지점에서 지표면하 심도 90 cm로서 가장 두꺼웠다. 습지B에서는 점토질 이탄층의 지표면하 심도가 27 cm 이하로서 습지로서의 수명이 다해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습지C는 규모가 적어 퇴적물의 조성이 단순하였으며, 점토질 이탄층이 지표면하 심도 10~34 cm 정도에 분포하고 있다. 달포늪에서 시추조사에 의해 채취된 퇴적물을 10 cm 간격으로 절단하여 유기물함량을 분석하였다. 습지A 퇴적물에서는 지표면하 심도 70 cm 정도까지 유기물함량이 40%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습지C 퇴적물에서도 지표면하 심도 10 cm 정도까지는 습지A와 유사하였으나 지표면하 심도가 30 cm 이상인 깊이에서는 20% 이내의 유기물함량을 보였다. 습지B는 지표면하 부근에서의 유기물함량이 40% 정도로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3개 습지 모두 지표면에 근접한 점토질 이탄층에서의 유기물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점토질 이탄층의 입도가 세립질이며 또한 식생의 사체를 통해 유기물이 지속적으로 공급되기 때문이다. 달포늪 퇴적물의 유기물함량은 습지A > 습지C > 습지B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퇴적물 내 점토질 이탄층의 형성 정도에 의한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달포늪 퇴적물의 유기물함량은 퇴적물의 입도와 상부 식생에 의해 지배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GIS를 기반으로 한 농촌 마을습지 판별 및 분포 특성 연구- 충남 서천군을 사례로 -
박미옥 한국습지학회 2018 한국습지학회지 Vol.20 No.1
본 연구는 작지만 생태적으로 가치있는 마을습지 분포를 파악하여 GIS/DB를 구축하고 보전 관리 및 현명한 이용 방안을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지는 전형적인 농어촌마을인 서천군으로서, 먼저 수치지형도(1:5,000)를 바탕으로 Arc-GIS를이용하여 마을습지 가능지를 파악하였다. 또한 마을습지 관리를 위해 면적 625m2 이상인 습지와 미만인 습지로 구분하여각각 도출하였으며, 생태권역에 따라 도심지역, 내륙지역, 해안지역으로 구분하였다. 이렇게 조사된 마을습지 가능지를 습지판별지표에 따라 실내조사 및 현장답사를 통해 최종 마을습지로 판별하였다. 연구결과 도출된 서천군 마을습지 가능지는 570개소로서, 이를 생태권역으로 구분하면 도심지역 74개소, 내륙지역 220개소, 해안지역 276개소 등으로 나타났다. 습지판별 사례연구는각 생태권역별로 도심지역 2개읍 중 1개읍(서천읍), 해안지역 4개면 중 2개면(비인면, 서면), 내륙지역 7개면 중 3개면(마산면, 한산면, 시초면)을 대상으로 하였다. 마을습지 분포는 면적 625m2 미만의 마을습지가 대부분으로서 소규모 마을습지에 대한체계적 관리전략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내륙지역에 비해 해안지역이나 도심지역의 마을습지 판별율이 상대적으로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내륙지역이 아직 덜 교란되었음을 말해주고 있고, 상대적으로 도심지역과 해안지역 토지이용이 빠르게변화하고 있으며 특히 마을습지와 같이 중요성이 덜 인식된 토지들이 비교적 쉽게 훼손되고 있어 관리전략이 시급함을 알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a GIS / DB by grasping a small but ecologically valuable village wetland distribution, and to propose conservation management and wise use plan. The study area is Seocheon-gun, a typical farming village. Firstly, based on the digital topographical map (1:5,000), the Arc-GIS tool was used to identify the provisional(draft) village wetlands. In addition, for the management of village wetlands, wetlands with an area of more or less than 625m2 each were derived and according to ecological regions study area was classified into urban areas, inland areas and coastal areas. And finally, according to the wetland identifying indicators, the village wetlands were identified as the final village wetlands through indoor and field trip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re are 570 village wetlands in Seocheon – gun province, which are 74 in urban areas, 220 in inland areas, and 276 in coastal areas. The case study for village wetland identification was conducted in one out of two urban areas (Seocheon - eup), two of four coastal areas (Biin - myeon and Seo - myeon), and three of seven inland areas (Masan - myeon, Hansan - myeon, and Sicho - myeon). The distribution of village wetlands was found mainly to be a village wetland with an area of less than 625m2. In addition, compared with inland areas, the discrimination rate of village wetlands in coastal areas and urban areas was relatively low, indicating that inland areas were still less disturbed, and land use in urban areas and coastal areas is changing rapidly. Especially, land with less awareness such as village wetlands is relatively easily damaged, and management strategy is urgent.
농촌관광마을 생태체험을 위한 연못형습지 식물의 한방 이용형태 분석
손진관,공민재,강방훈,김미희,강동현,이시영,한송희 한국습지학회 2017 한국습지학회지 Vol.19 No.3
최근 한국은 농촌관광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지만 유형은 농사체험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생태체험이 도입되고 있다. 농촌 생태체험의 공간인 연못의 콘텐츠, 교육자료 확보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못형습지 식물의 전통한방이용형태를 분석하였다. 전통한방은 과거부터 이어져 온 전통지식으로 요즘에도 의학, 약학,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 서 활용한다. 분석된 내용은 생태체험 교육자료에 도움이 될 것이다. 조사는 농촌지역 연못형습지 40개소의 식물을 조사하였 다. 전통한방이용형태는 특허청에서 운영하는 전통지식포탈의 내용을 제공받아 사용하였다. 40개 연못형습지에서 조사된 식물은 총 108과 457종이며, 그 중 전통한방이용형태에 대한 정보가 있는 종은 53과 314종이다. 이것은 연못형습지 주변의 식물 중 68.8%가 전통한방을 함유하고 있다는 의미다. 이 밖에도 음식, 공예, 전통농업 등의 활용 형태를 포함한다면 70~80% 이상 전통지식을 포함할 것이라 예상한다. 전통한방에 사용 된 314종의 효능은 570가지, 325가지의 병증을 치료하 는 효과가 있다. 1종당 평균 4.0(0~20)가지의 효능으로 6.6(0~20)가지의 병증을 치료할 수 있다. 본 연구 자료는 체험, 교육, 의학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길 기대한다. 그리고 많은 가치가 있는 연못형습지는 계속적으로 보전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시화호 인공습지에서 수생식물의 유기물 생산과 낙엽 분해
최광순,김호준,김동섭,조강현 한국습지학회 2013 한국습지학회지 Vol.15 No.3
수생식물의 수처리 기능을 고려한 습지관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화호 인공습지에서 유입수의 수질특성이 다른 2개의 습지(동화천과 반월천 습지)를 대상으로 갈대와 애기부들의 생장특성, 유기물 생산량과 분해속도를 조사하였 으며, 또한 유기물생산량과 분해량을 토대로 습지내로의 유기물 부하량을 추정하였다. 갈대와 애기부들의 길이생장은 기 온이 상승하는 3월에 증가하여 7~8월에 최고치(갈대 340cm, 부들 320cm) 를 보였다. 경엽부의 밀도는 갈대가 100~170 개체/m2의 범위로 애기부들의 밀도(최대 78 개체/m2)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갈대의 경엽부 최대 현존량은 1,350~ 1,980 g DM/m2의 범위로 반월천고습지에서 가장 컸고, 저습지에 비해 고습지에서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애기부들의 현존량은 1,940 g DM/m2로서 반월천고습지 갈대의 최대 현존량과 비슷한 값을 보였다. 갈대의 유기물생산력은 반월천고 습지 2,050 g DM/m2/yr > 동화천저습지 1,840 g DM/m2/yr > 반월천저습지 1,570 g DM/m2/yr ≒ 동화천고습지 1,540 g DM/m2/yr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애기부들은 2,210 g DM/m2/yr로서 갈대보다 생산력이 높게 나타났다. 시화호 인공습지 갈대와 애기부 들의 연간 총 유기물 생산량은 845 ton DM/yr (423 ton C/yr)이었으며, 이중 갈대에 의한 생산량이 90%를 차지했다. 수생식 물의 낙엽분해 속도(k)는 갈대와 애기부들 모두 잎이 줄기보다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갈대: 잎 0.0062/day, 줄기 0.0018/day; 애기부들: 잎0.0031/day, 줄기 0.0018/day). 그리고 줄기 낙엽의 분해속도는 갈대와 애기부들이 같은 반면 잎의 분해속도는 갈대가 애기부들보다 약 2배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수생식물의 연간 총 낙엽 분해량(285 ton C/yr, 연간 총 유기물생산량의 67.3%)으로부터, 수생식물의 의해 생산된 유기물의 32.7%는 습지내에 퇴적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