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철학원전 번역을 통해 본 우리의 근현대 - 개화기부터 1953년 이전까지 ; 50년대까지 영미철학의 수용과 용어의 번역

        황필홍 ( Hwang Pil Hong ),이병수 ( Lee Byeong Su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3 시대와 철학 Vol.14 No.2

        영국의 고전경험론과 분석철학, 실용주의를 포함하는 영미철학이 이 땅에 본격적으로 도입되기 시작한 것은 60년대부터다. 그 전까지 영미철학은 독일철학과 구분되는 철학적 사조로서 주목받지 못했다. 이 글은 50년대까지 영미철학적 논의를 전개하고 있는 철학자를 중심으로 그들의 철학적 입장과 그들이 사용한 주요 철학용어를 고찰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이 글에서 다룬 철학자는 한치진, 박종홍, 김준섭이다. 초창기 철학자들이 일본어 번역에 의존하여 서양철학적 개념을 이해했다는 사실은 번역 과정에서 야기될 수밖에 없는 서양철학적 개념어에 대한 진지한 반성과 사상적 고투가 그들에게 생략되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식민지 근대화와 철학적 사유의 초기 상황의 제약아래서도, 초창기 철학자들은 자신이 설정한 철학적 과제와 밀접한 철학적 개념어에 관한 한, 분명한 자각을 가지고 있었다. 초창기 철학자들은 일본어 번역에 의지하여 철학했음에도 불구하고 제한된 범위 내에서 주체적 번역의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었다. 해방 후 실용주의, 과학철학과 기호논리학 등 영미철학 관련 용어가 철학자마다 다양하게 번역되고 있는데, 이는 번역되는 철학사상이 완전히 소화되지 못한 초기적 단계에 있음을 말해주고 있음과 동시에 해방 이후 서양철학과 직접 접하면서 나름대로 적합한 번역어를 모색한 노력과도 맞닿아 있다. In 1960`s, British and American Philosophy including british classic empiricism, analytic philosophy, pragmatism fully began to spread to Korea. And before that time, British and American Philosophy wasn`t paid attention such a philosophical current as was different from German Philosophy. In this paper, I focussed on the philosophical asserts and terms of early Korean philosophers who had discussed British and American Philosophy from colonization period of Japan Empire to 1950,s. They were Han Chi-Jin, Park Song-Hong and Kim Jun-Sub. The early Korean philosophers approached to and comprehended western philosophical terms through translation of Japanese language. It meant that they lacked sincere reflection and strenuous efforts towards philosophical terms inevitably caused by the process of translation. However, even under the colonial modernization and early situation of philosophical thinking, the early Korean philosophers were sharply conscious of such philosophical terms as deeply concerned with their own philosophical task. Saying in other words, though studying western philosophy through translation of Japanese language, they held subjective attitude about translation within restricted extent. After the Independence from Japan Empire, The terms of British and American Philosophy concerned with pragmatism, philosophy of science, symbolic logic, were variously translated into Korean by every philosopher. This showed that their early reception of British and American Philosophy resulted in insufficient comprehension of translated philosophical thoughts, and that they came into direct contact with western philosophy, not through translation of Japanese language, groped for adequate translation.

      • KCI등재

        철학상담에서 철학의 역할

        김도식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9 통일인문학 Vol.77 No.-

        This paper examines the role of philosophy in philosophical counseling. While the previous discussions on philosophical counseling start from the question, “What is philosophical counseling?”, I begin with the question “What is philosophy?”, asking the features of philosophy which can be connected to counseling. That means, I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philosophy before I answer the relation between philosophy and counseling. Three features of philosophy, which have to do with counseling are as follows. First, philosophy emphasizes on questions. Second, philosophy, especially the analytic philosophy tries to achieve the clarification of meaning. Third, philosophy distinguishes ‘ought’ from ‘is’. This paper also explains how these features are important in, and can be applied for, counseling. So I claim that these features are the main reasons which can make philosophical counseling successful. 이 논문은 철학상담의 영역에서 철학의 역할이 무엇인지를 살펴본다. 철학상담에 대한 기존의 논의는 일반적으로 “철학상담이 무엇인가?”로부터 출발하는 반면, 이 논문은 “철학이 무엇인가?”, 특히 상담과 연결될 수 있는철학의 특징이 무엇인가로부터 논의를 시작한다. 즉 철학상담에 대한 새로운설명을 제시하는 대신, 철학의 특징을 먼저 파악하고 이를 상담에 적용하는방법을 택한 것이다. 상담과 연결될 수 있는 철학의 특징은 1)질문이 중요한 학문 2)의미의명료화 그리고 3)사실과 당위의 구분이며, 이 세 가지 요소가 상담에 어떻게적용될 수 있는지를 이 논문에서 밝히고 있다. 철학에서와 마찬가지로, 상담에서의 핵심은 1)상담자의 질문 방식 2)내담자의 말을 정확하게 이해하는것 그리고 3)사실과 당위를 구분하여 내담자의 갈등요소를 해소하는 것이다. 이처럼 철학의 특징에는 상담에 적용될 수 있는 중요한 요소들이 있기에철학상담이라는 영역이 자연스럽게 자리를 잡을 수 있게 되었다고 이 논문은주장한다.

      • KCI등재

        현행 고교 윤리 및 철학 교과서의 문제성 연구 - 반철학적·비철학적 교화의 문제를 중심으로 -

        소병철(So, Byung-chul) 대한철학회 2022 哲學硏究 Vol.164 No.-

        논자는 이 글에서 한국의 현행 고교 윤리(도덕) 및 철학 교과서에 나타난 반철학적·비철학적 교화의 흔적들을 적시하며 그것들을 극복하는 올바른 방향성의 윤곽을 시론적으로 제시해 보았다. 『고등학교 생활과 윤리』, 『고등학교 윤리와 사상』, 『고등학교 고전과 윤리』, 『고등학교 철학』 등 네 종의 검인정 교과서를 검토한 결과, 논자는 각각 ‘평면적·나열적 내용 구성’, ‘윤리의 도구적 합리화’, ‘동아시아 전통의 특권화’, ‘의사소통의 수직적 왜곡’으로 요약되는 네 가지 문제점이 그러한 교화의 흔적으로 교과서에 나타남을 발견할 수 있었다. 맨 먼저 논자는 ‘평면적·나열적 내용 구성’에 대해 향후 교과서의 내용 구성을 단순히 평면적이고 나열적인 방식에서 보다 더 입체적이고 문제 제기적인 방식으로 바꿔 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둘째로 ‘윤리의 도구적 합리화’에 대해서는 교과서가 도덕적인 양심을 자양하는 밑거름이 되어야지 단순히 유불리에 따라서만 행동하는 타산성의 배양토가 되어선 안 된다고 주장했다. 셋째로 ‘동아시아 전통의 특권화’에 대해서는 동아시아 사상을 단순히 그것이 ‘우리 것’이란 이유로 윤리책에 싣기 전에 그중에서 윤리와 관련 있는, 그래서 윤리책에 실릴 만한 요소들을 가려내는 ‘윤리적 여과’가 선행되지 않으면 안 된다고 주장했다. 넷째로 ‘의사소통의 수직적 왜곡’에 대해서는 수업에서 행해지는 토론이 무리한 다수결로 결론을 급조하는 형식적 의결의 절차가 아니라 모두가 자신의 생각을 충분히 드러내고 타인의 생각을 충분히 경청하며 ‘함께하는 발견’에 도달하는 합리적 의사소통의 절차로 재정립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In this essay I show the traces of anti-philosophical or non-philosophical indoctrination in Korean current upper secondary textbooks of ethics (morals) and philosophy, and tentatively outline the right prescriptions to cope with them.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four textbooks approv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hat is, Life and Ethics, Ethics and Thought, Classics and Ethics, and Philosophy, I could find that the four problems respectively summarized as the ‘plane and arraying architecture of contents’, the ‘instrumental rationalization of ethics’, the ‘nationalistically privileged East Asian tradition’ and the ‘majoritarian misguidance of communication’ come into notice as the traces of such indoctrination in them. Firstly, as for the ‘plane and arraying architecture of contents’ I assert that the architecture of contents of those textbooks should be henceforth changed from merely plane and arraying ones to multi-sided and questioning ones. Secondly, as for the ‘instrumental rationalization of ethics’ I emphasize that those textbooks should not be the fosterers of prudence which make students do only the profitable, but the base manure nourishing their moral conscience. Thirdly, as for the ‘nationalistically privileged East Asian tradition’ I insist that the authors of textbooks must complete, above all, ‘ethical filtering’, picking out the ethics-related elements of East Asian thought before they insert it into the textbook of ethics simply giving the justification that it is ‘ours.’ Fourthly, as for the ‘majoritarian misguidance of communication’ I advocate that the discussion items in the textbooks should not lead students to the hastily made decisions by majority, but to the rational communication through which every student can freely express their own thoughts and listen to the others’ thoughts sufficiently and arrive at the ‘common discoveries.’

      • KCI우수등재

        북(北)에서의 원효 화쟁사상 연구 ‒한명환 조선철학전사 (2)(사회과학출판사, 2010)를 중심으로‒

        김원명 한국철학회 2023 철학 Vol.- No.157

        본 연구는 한명환 (2010)의 조선철학전사(2)에 나타나는 “원효의 철학및 사회정치사상” 가운데 ‘화쟁 사상’과 ‘(화쟁) 변증법’을 소개하고, 이를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이다. 글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처음에 “들어가는 말”이 있다. 두 번째로 북의 철학사상연구 배경으로 ‘병영체제’의 ‘수령주의’와 ‘사회주의’ 체제를 살펴봤다. 세 번째로 “한명환의 조선철학전사(2)와 ‘원효의 철학 및 사회정치사상’”을 살펴봤다. 이 내용은북의 기존 연구들이 누적된 결과물이기에, 누적된 연구물들과 이 책 내용을 함께 소개했다. 네 번째로는 “원효 화쟁사상의 본질: 주체적이며 변증법적 사상이지만 지배계급 요구 반영”을, 다섯 번째로 “원효 화쟁의 논리: 발전된 변증법적 사유지만 상대주의적 궤변”을, 여섯 번째로 “해동종철학의 변증법: 화쟁 변증법 특징의 긍정성과부정성”을, 일곱 번째로 “원효 화쟁 사상에 대한 이해와 평가의 한계”로 글을 맺었다. 한명환의 원효 화쟁사상 연구 관점은 두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원효가 해동종철학을 창시했다는 애국주의적 관점이다. 둘째, 원효가 피지배 계급 관점에서 봉건 착취 계급의 진보적 계층을 대변한다는 유물론적 역사관이다. 이는 서구에서수입된 역사관으로 본 것이다. 둘째 관점의 유물론적 역사관으로 본 원효의 화쟁사상에 대한 평가는 첫째 관점의 민족철학을 구성하는 애국주의적 관점과 내적 모순을 가진다. 한명환은 원효의 ‘해동종철학’의 ‘화쟁사상’과 ‘해동종철학의 (화쟁) 변증법’에 대해 ‘김일성주의’와 ‘사회주의(변증법적 유물론)’ 관점의 연구와 평가를 이어가고 있다. 1994년 북의 헌법에서 ‘마르크스・레닌주의’ 지도 이념 명기를삭제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0년의 조선철학전사에서 ‘화쟁사상’과 ‘해동종철학의 (화쟁) 변증법’을 이해하고 평가하는데 있어, 김정일 교시를 적시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주체사상’과 ‘변증법적 유물론’ 관점을 대체할 새로운 대안의 관점을 구성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앞으로 남과 세계 학계에서 연구되는 유물론과원효의 화쟁사상 연구를 반영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troduces ‘Hwajaeng Thought’ and ‘(Hwajaeng) Dialectics’ among the “Social and Political Thoughts of Wonhyo” found in Han, Myeong-hwan’s (2010) History of Joseon Philosophy(2) and critically reviews them. The order of the writing is as follows: First, there’s an “Introduction.” Second, we examined the “authoritarianism” and “socialism” systems within the “military system” as the background for the study of North Korea’s philosophical ideology to understand North Korea’s perspective of descript. Second, North Korea’s literature represents the culmination of existing studies. Therefore, it’s essential to introduce the accumulated studies and the contents of this book. Third, we explored History of Joseon Philosophy(2) and “Social and Political Thoughts of Wonhyo”. Subsequently, we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text. Fourth, we discussed “The essence of Wonhyo’s Hwajaeng: independent and dialectical thought, reflecting the needs of the ruling class”. Fifth, we examined “The Logic of Wonhyo’s hwajaeng: Developed Dialectic, relativistic sophistry”. Sixth, we delved into “The Dialectic Method of Haedongjong Philosophy: The Positiveness and Negativeness of the Characteristics of Hwajaeng Dialectic”. Seventh, we covered “The Ending Words: Limitations of Understanding and Evaluation of Wonhyo’s Hwajaeng”. Han’s research perspective on Wonhyo’s Hwajaeng can be summarized in two ways; First, it takes a patriotic view that Wonhyo founded the Haedongjong philosophy. Secon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oppressed class, Wonhyo is seen as representing the progressive class within the feudal exploitation system. This second view adopts a historical materialism, influenced by historical materialism in marxism. However, evaluating Wonhyo’s Hwajaeng idea from this materialistic standpoint presents limitations, as it contradicts the first patriotic viewpoint that forms the national philosophy. HAN is continuing to research and evaluate the ‘Hwajaeng idea’ of Wonhyo’s ‘Haedongjong philosophy’ and the ‘(Hwajaeng) dialectic of Haedongjong philosophy’ from the perspectives of ‘Kim Il-sungism’ and ‘Socialism (dialectical materialism)’. In 1994, the ‘Marxism-Leninism’ guiding ideology was deleted from North Korea’s constitution. Nevertheless, in History of Joseon Philosophy of 2010, Kim Jong-il’s words are recorded in understanding and evaluating the ‘Hwajaeng Thought’ and the ‘(Hwajaeng) Dialectic of Haedongjong Philosophy.’ Moreover, it does not constitute a new alternative perspective to replace the ‘Juche ideology’ and ‘dialectical materialism’ perspectives.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reflect the research on materialism and Wonhyo’s Hwajaeng Thought studied in academia across the world.

      • KCI등재후보

        自山 安廓 哲學思想의 韓國 哲學史的 意義 : On The Meaning of An Hwak`s Philosophy in the Korean History

        朴洪植 동양철학연구회 2003 東洋哲學硏究 Vol.33 No.-

        본 논문은 自山 安廓(1886~1946) 哲學 思想의 韓國哲學史的 意義를 밝히고자 한 것이다. 安廓의 哲學 관련 저술인 「自覺論」『朝鮮哲學思想槪論』『儒敎의 進化와 新儒』「안유의 道學과 後儒」 등을 중심 자료로 삼아 哲學觀, 性理學的 思惟體系와의 相異點, 傳統的 儒學觀, 다른 開化思想家의 비교, 梁啓超등 安廓의 哲學思想 形成에 影響을 끼친 내용 등을 分析하여 그의 韓國哲學史的 意義를 도출하였다. 특히 傳統과 開化라는 觀點에 注目하여 그의 思想이 傳統的 思惟體系로부터 近代的 思惟體系로 轉換되었음을 밝혔다. 安廓은 理性과 自覺, 天道와 人道, 哲學과 倫理라는 槪念에 注目하면서 近代的 學問觀에 입각하여 韓國人의 意識과 韓國哲學을 自主的 主體的으로 構成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그 내용이 最初로 쓰여진 <한글 哲學書>를 저술하였다는 점에서 韓國哲學史의 새로운 地平을 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An Hwak's(Jasan, 1886-1946) philosophical backgrounds were traditional ideas and Western modern ideas. Even though An Hwak criticized Confucianism which was dominant traditional ideas of the Choseon Period, he tried to inherit tradition in an independent position and reform Choseon modernly. It is possible to know that both An Hwak's theory of tradition inheritance and theory of reform have a strong trend in public directivity and nationalism. An Hwak can be regarded as a man of advanced knowledge who accommodatedWestern modern ideas based on national identity. An Hwak's philosophical ideas' characteristics can be said that they were under influence of 20소 century's advanced intellectuals like Yiang CH'i-ch'ao' and Western modern ideas' universal outlook on the world. However when we keep this particular situation, the current of Korean thought, in our mind the achievements that An Hwak's philosophical ideas accomplished can be evaluated that they were more than just movement of patriotic enlightenment. They presented the conversion from traditional speculation to modern speculation.

      • KCI등재

        다카하시 도오루(高橋亨)의 ‘한국철학관’과 내셔널리즘

        김미영(Kim Miyeong) 한국동양철학회 2010 동양철학 Vol.0 No.34

        현재 한국철학계에서는 다카하시의 철학관을 두 측면에서 평가한다. 한편으로는 식민사관으로 비판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근대적 의미의 전통철학 연구의 개척자로 평가한다. 이 양대 평가는 모두 일본 제국주의의 식민통치과정과 긴밀히 연관되어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1910년대, 1920년대, 1930년대에 걸쳐 나타나는 그의 한국철학관의 변화과정을 중심으로 그의 한국철학관 형성과정과 국가사상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1910년대에는 한국이 중국사상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방향모색의 과정에서 조선의 고유문자나 조선의 고유문학의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지 않았다. 그러나 1920년대에는 동화정책의 일환으로 한국어의 일본어로의 대체를 강조하며, 한국철학사에서 조선어에 의한 창작활동의 가능성을 배제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유학사 연구의 시발점을 1910년대에는 신라시대로부터 시작하나, 1920년대에는 철학으로서의 유학이라는 측면에서 조선성리학 구명에 중점을 두며 고려말부터 시작하고 있다. 또한 1920년대에는 유학을 철학적 측면으로 다루며 조선성리학에 집중하고, 한국인의 일본에의 동화를 위한 종교정책의 일환으로 불교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반면, 1930년대에 접어들면 조선유학의 특징을 종교성에 두며, 한국인에게 종교적 교화라는 측면에서 불교보다 유학이 적합하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이 시기에 그는 더 이상 불교연구를 진행하지 않고, 한국유교의 종교성을 구명하는 데 집중한다. 따라서 그는 중국이 근세 쇠퇴한 원인이나 조선이 멸망한 원인을 유교에서 찾으려는 시도를 부정하면서, 조선이 500년간 유지될 수 있었던 힘을 유교에서 찾고 있다. 이러한 일련의 한국철학관의 변화는 그의 전통철학 연구대상의 변화를 초래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변화는 20세기 철학사와 국가사상간의 관계를 읽어볼 수 있게 해 준다. 따라서 철학사상이 국가사상을 어떻게 넘어설 수 있는가의 문제는 20세기 전개된 철학사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통해서 가능하게 될 것이다. Takahashi's viewpoint on Korean Philosophy is evaluated from two aspects by Korean philosophers. One is criticized by Colonialism, and the other is evaluated from the standpoint that he was the scholar studying Korean traditional philosophy by modern systems of study. These two aspects are related with the course of colonial regime of Japanese imperialism. So, I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velopment process of his viewpoint on Korean Philosophy and the nationalism, laying stress on the change of his viewpoint on it in 1910's, 1920's, and 1930's. In 1910's, he didn't exclude the possibility of Korean traditional character or literature as a way out of Korean Chinese Thought in this time. But in 1920's, he as an assimilationist, stressing the substitution of Japanese for Korean, tried to exclude the possibility of studying Korean philosophy in Korean in the history of Korean philosophy. Accordingly, in 1910's, he put the starting point of Korean confucian history in Shilla, but in 1920's, in the end of Koryo. Also, in 1920's, he focused on Chu Zi's learning of Chosun, emphasizing the confucianism as a philosophical idea, and on Korean Buddhism as a part of a religion policy for the Korean assimilation to Japan. But, in 1930's, he emphasized Chosun confucianism as a religion, not studying the Korean Buddhism any more, but Korean confucianism, from the viewpoint that the confucianism as a religion was more suitable for Korean. This change of his viewpoint on Korean philosophy led to the transition of object of his study and show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istory of philosophy in the 20th century and the nationalism. Therefore, in order for philosophy to overcome nationalism, I think we have to have critical review on his study of the history of Korean philosophy developed in the 20th century.

      • KCI등재

        의심의 ‘한국’철학, 한국에서도 철학을 하는가?

        박치완 ( Park¸ Tchi-wan ) 한국동서철학회 2020 동서철학연구 Vol.0 No.98

        대학에서 철학을 가르치고 배운지 어언 100여 년이 다 되어간다. 그런데 아직도 ‘한국을 철학화하는(philosophizing Korea)’ 일에 대한민국의 철학계는 게을리하고 있다. <서구유럽철학 = 철학>이라는 편견이 한국철학의 정체성마저 근절시키고 있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과연 세계철학의 지형도 내에서 한국철학의 위상을 찾는다는 것이 가능하겠는가? 그런 날이 언제쯤이면 올 수 있을까? 본고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세계철학 내에서 한국철학의 위상을 (재)점검하는 기회를 갖고자 한다. 제2장에서는 “서구유럽철학은 서구유럽철학이다”라는 소절을 통해 서구유럽철학만이 ‘보편적 진리’를 추구한다는 내재화된 편견 또는 착각을 바로 잡고자 한다. 제3장에서는 서구유럽과 ‘다른 곳’에는 “서구유럽과 다른 역사-문화-문명-철학이 존재한다”는 전제하에 지역-로컬 철학(즉 ‘한국철학’)의 창달만이 현재의 서구유럽 중심의 왜곡된 세계철학의 지형도를 바꿀 수 있다는 주장을 펴볼까 한다. 그리고 결론에서 세계철학의 지평에서 한국철학이 가능하려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 몇 가지 제안을 하며 이 글을 맺게 될 것이다. It has been over 100 years since started to teach and learn philosophy in University. However, the Korean Academy of philosophy is still neglecting to perform “philosophizing Korea”. The prejudice of < Western European Philosophy = Philosophy > eradicated the identity of Korean philosophy. In this situation, is it possible to find the status of Korean philosophy within the topographical map of world philosophy? When can such a day come?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have an opportunity to (re)check the status of Korean philosophy within world philosophy within this critical consciousness. In Chapter 2, I will try to correct the internalized prejudice or misconception that only Western European philosophy seeks ‘universal truth’ through the proposition that “Western European philosophy is Western European philosophy.” In Chapter 3, I will discuss the development of regional-local philosophy (that is, ‘Korean philosophy’) under the premise that “there is a history-culture-civilizationphilosophy different from Western Europe” in ‘different places’ from Western Europe. I would like to argue that it can change the topography of the distorted world philosophy at the center. And in conclusion, in order to make Korean philosophy possible on the horizon of world philosophy, we will conclude this article with some suggestions on what to do and how to do it.

      • KCI등재

        헤겔과 아테네 : 『철학사 강의』를 중심으로 살펴본 헤겔사상의 배후로서의 고전헬라철학

        전광식(Chon, Koang-sik) 대한철학회 2021 哲學硏究 Vol.157 No.-

        헤겔철학의 배후에는 크게 보아 세 가지 사상그룹이 있다고 볼 수 있는데, 그것은 플라톤-아리스텔레스-신플라톤주의의 고전헬라철학, 기독교 교리와 신학, 근세의 철학자 및 문학가들의 사상이다. 이 세 가지 사상그룹들을 살펴보면 각각 고전철학사상은 그의 연구사와, 기독교적 배경은 그의 신학공부 및 기독교 신앙사와, 근대 사상은 그의 시대사와 결부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가운데서 고전헬라철학적 배경은 그의 관념론적 체계의 골격을 이루는데 결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다. 이 배경을 구체적으로 말하면 무엇보다 플라톤철학, 아리스토텔레스 사상, 그리고 Plotinos와 Proklos의 신플라톤주의이다. 헤겔의 관념론체계에 담긴 플라톤의 철학은 무엇보다 이데아론과 변증법인데, 이것은 그에게 이념(Idee)으로서의 자기에게 머물러 있는 정신(das an sich seiende Geist)과 그것의 운동과정을 착상하는데 결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에서 헤겔이 특히 주목한 것은 ‘자기를 사유하는 사유’(das sich selbst denkende Denken)에 대한 이념이었다. 또 그에게는 보편자가 플라톤에 비해서 구체적으로 파악된다는 점에서 진일보하고 있다고 보았지만, 다양성을 부정하는 단일성(Einheit) 개념이 성립되지 않은 것을 취약점으로 간주했다. 다음으로 플로티노스의 사상에서 헤겔은 개별자의 전적 보편자로의 회귀사상, 절대자로서의 일자 개념, 그리고 일자에게로의 자기고양을 위한 정신의 열망에 대한 사상 등을 자기 체계와의 유사점들로 보고 있다. 신플라톤주의를 완성하다시피 한 프로클로스의 체계는 서양철학사에서 헤겔체계의 가장 가까운 모델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헤겔을 비판했던 L. Feuerbach도 ‘헤겔은 독일이나 기독교의 아리스토텔레스가 아니라, 독일의 프로클로스’라고 했다. 헤겔의 시각에 있어서 프로클로스사상의 탁월성은 그가 무엇보다 먼저 ‘플라톤적인 변증법에 대한 보다 깊은 연구’를 통해 신적 실체들에 담긴 모든 신비들을 드러내었다는 점이다. 무엇보다 프로클로스 사상체계가운데 μονή-πρόοδος-ἐπιστροφή와 같은 변증법적 삼중원리와 ὄν-ζωή-νοῦς 같은 삼단적 존재론은 헤겔체계의 기본구도에 결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자기사상의 배후로서의 이러한 고전헬라철학사 전반에 대한 헤겔의 인식과 평가를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첫째, 헤겔은 고전헬라철학의 중요성과 그것이 지니는 철학적 의미를 나름대로 잘 발견하고 있다. 둘째, 헤겔은 고전헬라 철학사상들에서 비록 완성된 형태는 아니라고 하더라도 자신의 사상을 포함한 후대의 사상들의 원형적 요소들이 들어있다고 보았다. 셋째, 그런 각각의 철학사상을 두고 헤겔은 장점과 단점을 지적한다. 넷째, 헤겔은 서양철학사 전체에 대한 자신의 조망과 마찬가지로 고전헬라 철학자들의 사상도 완성된 철학의 형태로 점진적으로 나아가는 과정으로 이해하고 있다. 다섯째, 헤겔은 철학사 전체에 대한 자신의 해석과 일치하게 고전헬라 철학사상들도 자신의 절대관념론 내지는 정신본체론의 관점에서 해석하려고 하였다. 여섯째, 헤겔은 이러한 고전헬라철학을 서양철학사의 시초로 보는 반면, 자신의 철학은 그것을 완성시킨 최종형태로 간주한다. 이러한 시각에 따르면 헤겔의 정신본체론적 철학은 서구철학 발달사의 정점에 달한 ‘마지막 철학’(die letzte Philosophie)이었다. There are three groups of ideas behind the Hegelian philosophy, which are the classical Greek philosophy of Plato-Aristotle-Neoplatonism, Christian doctrine and theology, and the ideas of modern philosophers and men of letters. Looking at these three ideological groups, it can be seen that classical philosophical ideology is related to his research history, Christian background is linked to his study of theology and his personal history of faith, and modern thoughts is connected with the contemporary society of his time. Among them, the classical Greek philosophy can be seen as having a decisive influence in forming the framework of his idealistic system. Plato’s theory of ideas can be seen as having a decisive influence on him in the conception of the Geist that stayed in itself (das an sich seienden Geist) as an idea (Idee). The movement process of the Hegelian Geist with the scheme of “an sich - für sich - an und für sich” reminds us of Plato’s dialectic. What Hegel paid special attention to in Aristotle’s thought was the idea of “thinking which thinks itself” (das sich selbst denkende Denken). In his view, Aristotle is making progress in that he grasps the universal more specifically than Plato, but his system still has a weakness in the point that the concept of unity or oneness, which absolutely denies the diversity of specific phenomena, is not yet established. Hegel’s system and the idea of Plotinus show the common perspective in the following points: the regression of the individual to the total universal, the idea of the One as the Absolute, and an idea of a noble and pure aspiration of the νοῦς for its uplifting of the spirit to the One.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Proclus’ system, the complete form of Neoplatonist thought, is the closest model of the Hegelian system in the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L. Feuerbach, who criticized Hegel, also said, ‘he is not a German or Christian Aristotle, but der deutsche Proklus’. In Hegel’s view, Proclus was an outstanding philosopher who revealed all the mysteries contained in divine realities with a deeper study of the platonic dialectic. Above all, the dialectical triple principle such as μονή-πρόοδος-ἐπιστροφή and the syllogistic ontology such as ὄν-ζωή-νοῦς appear to have had a decisive influence on the basic structure of the Hegelian system. Hegel’s perception and evaluation of the whole history of classical Greek philosophy as the background of his though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Hegel finds out the importance of classical Greek philosophy and its philosophical meaning. Second, Hegel saw that the archetypal elements of later thoughts, including his own, were contained in the classical Greek philosophical thoughts, even if not in a completed form, Third, for each of these philosophical thoughts, Hegel points out its strengths and weaknesses. Fourth, Hegel regards the thoughts of classical Greek philosophers as a series of gradual progress toward the form of completed philosophy, as well as his view of the entire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Fifth, Hegel tries to interpret classical Greek philosophical ideas from the point of view of his absolute idealism or Geistontologie, consistent with his interpretation of the entire philosophical history. Sixth, while Hegel sees this classical Greek philosophy as the beginning of the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he regards his philosophy as the final form that completed it. According to this perspective, Hegel’s philosophy of Geistontologie was the “last philosophy” (die letzte Philosophie), which reached the pinnacle of the development of Western philosophy.

      • 글로컬 시대의 철학

        박치완(Tchi-wan PARK)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12 철학과 문화 Vol.25 No.-

        이 논문에서 우리는 글로컬 시대의 철학이 천착하고 또 지향해야 할 방향이 무엇인지를 거시적으로 제시하면서 한국철학의 정체성, 현주소를 점검해보는 자리를 마련해보는데 연구목표를 두었다. 이를 위해 서론에서는 현대철학의 지형도 변화를 설명하면서, 차이와 타자를 배제의 대상이 아니라 교류, 소통의 대상으로 포용할 수 있는 새로운 논리를 통해 철학이 일반적으로 기대고 있는 서구유럽적 보편성, 보편주의를 문화적 상대성, 특수성과의 관계 속에서 새롭게 조명해보았다. 그리고 본론에서는‘glocalization’(국내에서‘세계지역화’로 번역하고 있는)에 대한 새로운 번역과 해석(‘지역세계화’)을 통해 시장경제의 세계화나 문화의 세계화도 문제지만 특히 지식의 세계화를 미연에 막기 위해 대한민국의 철학계에서 고민하고 또 풀어야 할 과제가 무엇인지에 대해 적시해보았다. 마지막 결론에서는 모든 철학은 기본적으로 지역성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독일철학, 프랑스철학, 영미철학 등), 한국철학도 이제는 우리의 삶-생활 연관적 지역성을 살려야만 하고, 그렇지 못하면 보편성/특수성에도, 지역성/세계성에도 다다를 수 없다는‘화두’를 던져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는 모든 철학에도 문화적 색깔이 상존한다는 점을 확인할수 있었다. 미국, 프랑스, 독일 등 경제∙문화강국일수록 그렇다. 게다가 현대에 이르러서는, 19세기에‘과학’이 그랬던 것처럼,‘경제’가 모든 학문 영역을 좌지우지 한다. 사유-자유의 추구를 본질로 하는 철학이‘과거의 죽은 보편성’에 빠져 소일 할 수 없는 이유이다. 이 시대가 요구하는 보편성은 ‘로컬들’을 넘나들 수 있는 보편성이어야 하며, 그때 비로소 철학은 소수자에게만 이로운 것이 아니라 온 인류에게 봉사하는 공공성을 살릴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article, we intend to propound macroscopically the adequate direction of Korean philosophy, which is inquired in the age of glocalization, by presenting the identity and current position of it. Firstly, a new logic which embraces difference and other-ness as objects of exchange and communication, not objects of elimination, is proposed. In this perspective, the western european universality and universalism, in relation with the cultural relativity and cultural speciality, is also examined, along with explaining the change of the topographic map of contemporary philosophy. Secondly, we discuss the problem of glocalization (interpreted as 'localization of global' in Korea) of the market economy and culture, in order to highlight the danger of the globalization of knowledge. It is also argued that the task of Korean philosophy is to avoid this danger, through a new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of glocalization as 'globalization of local'. Finally, in conclusion, we argue that Korean philosophy must vitalize the locality related to life-living of its own, to establish the Korean indigenous perspectives of universality/speciality, locality/globality. It is imperative to consider that what we call 'philosophy' in the academic world, fundamentally, reflects it's own locality, as German philosophy, French philosophy, and Anglo-American philosophy, etc. Through this study, we find every philosophy connotes its own cultural color, as is remarkable in the economic and cultural super-power countries, like USA, France, Germany, etc. Moreover, as 19th century’s science did, economy overwhelms every region of studies. This is why philosophy, that pursues thought-freedom, should not flounder in the realm of dead universality. Thus, it is not until the concept of the contemporary universality crosses over locals that philosophy can revitalize its public nature by serving not a few but whole mankind.

      • KCI등재후보

        환경갈등 예방을 위한 철학교육 - 강정마을 해군기지 갈등사례를 중심으로

        윤용택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15 철학·사상·문화 Vol.0 No.19

        The starting point of philosophy is our reality and life which are full of problems. To announce the availability of philosophy to the public and the non-philosophical professionals we need to reveal the various philosophical topics contained in our real problems. Until now, environmental issues and philosophical discussions about environmental problems being reduced to a matter of social science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frequently tend to be excluded. However, the deep analysis of environmental conflict problems makes us see that it is in contact with the problems of philosophy. Environmental conflict problems contain the facts and values, the dignity of humans and other life, the utility and distributive justice, the rights and obligations of current and future generations. The cause of such conflict lie mostly in facts, interests, social structure, often derived from differences in human relationships, values and identity. So in environmental conflicts there are many philosophical question to be addressed in ontology, epistemology, value theory, the legal philosophy, political philosophy and economic philosophy. Therefore, to analyze the essential causes of environmental conflict from different perspectives and to seek an alternative view meet with philosophical issues. This study analyzes the causes of environmental conflicts of the naval base in Gangjeong village, and reveals the philosophical meaning that they imply. Philosophical discussions about environmental problems are required to prevent or mitigate environmental conflicts; but they are also, as a training ground of philosophy education, quite fruitful. Discussions about various philosophical topics associated with the environmental conflicts will give us an opportunity to vitalize the stagnant philosophy and also to solve the complex environmental problems at the same time. 우리 철학계가 사회 각 분야에서 터져 나오는 갈등에 대해 조언이나 대안을 거의 제시하지 못하다보니 철학이 일반대중과 비전공자들로부터 외면 받고 있다. 철학의 출발점은 문제투성이인 우리의 삶과 현실이라야 한다. 철학 비전공자들에게 철학의 효용성을 보여주기 위해서는 우리 현실 문제 속에 들어 있는 다양한 철학적 논제들을 드러내는 작업이 필요하다. 지금까지는 환경문제가 사회과학과 환경공학 등의 문제로 축소됨으로써 환경문제에 대한 철학적 논의는 배제되는 경향이 많았다. 하지만 환경갈등 속의 여러 문제를 분석하다보면 그것이 철학의 문제와 맞닿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환경갈등 논쟁 속에는 사실과 가치, 인간과 다른 생명의 존엄성, 공리와 분배적 정의, 소집단과 대집단 및 현세대와 미래세대의 권리와 책무 등 다양한 문제가 들어 있다. 갈등 원인은 사실관계, 이해관계, 사회구조, 인간관계, 가치관, 정체성 등의 차이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환경갈등 문제 속에는 존재론, 인식론, 가치론 등의 철학의 기초영역뿐만 아니라 법철학, 정치철학, 경제철학, 생명철학, 과학철학 등에 이르기까지 철학의 여러 영역에서 다뤄야 할 철학적 논제들이 들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강정마을 해군기지 건설과정에서 생겨난 갈등 사례를 중심으로 환경갈등의 원인을 분석하고, 그것이 함축하는 철학적 의미를 드러내고, 그를 통해서 현실 문제를 철학교육에 접목해보는 데 있다. 환경갈등에 대한 철학적 논의는 환경갈등을 예방하거나 완화하는 데도 필요하지만, 철학교육의 훈련장으로서도 유효하다. 환경갈등이라는 주제로 철학적 논의를 벌이는 것은 복잡한 환경문제를 푸는 데 일조함과 동시에 침체된 철학에 생기를 불어넣는 계기가 될 것이다. 구체적인 현실 문제와 추상적인 철학적 논제를 접목하는 훈련을 위한 환경갈등을 주제로 한 철학교육은 장기적으로 볼 때 환경위기, 사회위기, 철학위기를 어느 정도 해소하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